KR20060039307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307A
KR20060039307A KR1020040088445A KR20040088445A KR20060039307A KR 20060039307 A KR20060039307 A KR 20060039307A KR 1020040088445 A KR1020040088445 A KR 1020040088445A KR 20040088445 A KR20040088445 A KR 20040088445A KR 20060039307 A KR20060039307 A KR 2006003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drum
air outlet
ai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수영
임형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307A/ko
Publication of KR2006003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배출구에 부착된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키도록 드럼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공기배출구를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된 이탈부재를 구비하여 공기배출구에 부착된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킴으로써 드럼 내부의 효율적인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건조센서가 건조대상물의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게 함으로써, 건조대상물의 상태에 알맞은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 DR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공기배출구 및 이탈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키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1a,11b: 개구부
12: 도어 20: 드럼
21: 리프터 31: 히터
40: 송풍장치 44: 공기유입구
50: 배기유로 55: 공기배출구
57: 건조센서 61a: 전면지지판
63: 마찰감소부재 80: 이탈부재
82: 지지대 83: 돌출부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드럼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에 붙어 있는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젖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된 회전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회전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그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회전드럼으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회전드럼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와 회전드럼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한다. 또 회전드럼이 회전할 때 건조대상물을 끌어올려 상승시켰다가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드럼의 내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한다.
이 의류건조기의 동작은 회전드럼 내부로 젖은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후 가동시키면,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송풍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 내부로 열풍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은 회전드럼 내부의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 하면서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또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건조센서를 포함한다. 건조센서는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통상 회전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 하측에 배치되며,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대상물의 습기를 감지함으로써 건조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센서의 감지를 통해 건조기의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 드럼내부의 리프터와 공기배출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배출구에 밀착된 소량의 건조대상물이 리프터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았다. 건조대상물이 많을 경우에는 건조대상물이 함께 회전하고 다른 건조대상물에 엉켜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소량의 건조대상물일 경우에는 공기배출구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은 상태로 건조를 마치게 된다. 이때, 건조대상물이 공기배출구를 막음으로써, 드럼내부 공기의 효율적인 공기 순환이 방해되어 건조효율이 떨어지며, 또한, 건조센서에 밀착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정확한 펄스 값을 얻기 어려워 건조센서의 감지에 의해 수행되는 건조기의 동작제어가 방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경우 공기배출구에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건조대상물을 떨어지게 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드럼 내부의 효율적인 공기 순환을 유도하며, 건조센서가 건조대상물의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게 함으로써, 건조대상물 의 상태에 알맞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에 부착된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키도록 회전드럼에 장착된 이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이탈부재는 드럼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공기배출구를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된다.
또한,상기 지지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또한, 상기 돌출부는 소형의 건조물도 이탈시킬 수 있도록, 드럼 회전시 공기배출구 하부를 스쳐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된 외부케이스(10), 외부케이스(1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20),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또 이 의류건조기는 회전드럼(20)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급기유로(47)와 배기유로(48) 및 송풍장치(40)를 포함한다.
회전드럼(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건조대상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복수의 리프터(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이러한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드럼(20)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덮도록 외부케이스(10)의 전면부 내측과 후면부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지지판(61a)과 후면지지판(61b)이 설치된다. 이때 회전드럼(20)은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전방지지판(61a)과 후방지지판(61b)으로부터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돌출하는 전방지지턱(62a)과 후방지지턱(62b)을 통해 지지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지지턱(62a,62b)과 회전드럼(20)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 사이에는 회전드럼(20)의 회전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등으로 된 마찰감소부재(63)가 개재된다. 전방지지판(61a)과 후방지지판(61b)의 하부에는 회전드럼(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27)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회전드럼(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것이다.
외부케이스(10)의 전면(13)과 전방지지판(61a)에는 회전드럼(20)의 내부로 건조대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들(11a,11b)이 형성되고, 외부케이스(10)의 전면(13)에는 이러한 개구들(11a,11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설치된다.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는 외부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0)와, 구동모터(50)의 동력을 회전드럼(20)에 전달하는 것으로 풀리(52) 및 회전벨트(53)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벨트(53)는 회전드럼(20)의 외면 과 구동모터(50)의 축(51)에 결합된 풀리(5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는 구동모터(50)가 회전할 때 회전드럼(20)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전드럼(2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급기유로(47)는 회전드럼(20) 하부의 외부케이스(10)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급기안내덕트(45)와, 후방지지판(61b)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44)와 하부 급기안내덕트(45)를 연결하며 후방지지판(61b)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급기안내덕트(46)를 통해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급기안내덕트(45)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1)가 설치된다.
회전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48)는 전방지지판(61a) 하부의 공기배출구(55)와 회전드럼(20)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4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배기안내덕트(70)와, 송풍장치(40)의 출구와 외부케이스(10)의 후면부 외측이 연통하도록 외부케이스(10)의 하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후방 배기안내덕트(43)를 통해 구성된다.
송풍장치(40)는 회전드럼(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0)의 축(51)에 설치된 송풍팬(41)과, 송풍팬(41)의 주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전방 및 후방 배기안내덕트(70,43)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송풍케이스(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감지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건조센서(57)를 구비한다. 이 건조센서(5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 내부의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용이하도록 공기배출구(55)가 마련된 전방지지판(61a)의 하측에 설치된다. 또한 이 건조센서(57) 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고 회전드럼(2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58,59)으로 이루어지며, 건조대상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전방지지판(61a)에 설치되는 공지의 전극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조센서(57)는 두 전극(58,59)에 걸쳐서 건조대상물이 접촉될 경우 건조대상물의 습기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두 전극(58,59)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의 젖은 상태를 감지하고, 건조대상물이 건조됨에 따라 두 전극(58,59)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는 현상을 통해 건조상태를 감지한다. 따라서 의류건조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건조센서(57)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건조상태를 판단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건조기가 작동을 하게 되면 공기는 하부 급기안내덕트(45)와 급기안내덕트(45)가 형성하는 급기유로(40)를 따라 흐르게 되고, 회전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회전드럼(20)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공기배출구(55)를 통해 배기유로(48)를 거쳐 건조기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 때문에 건조기 후면부에서 전면부로 풍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건조대상물은 풍압에 의해 건조기의 전면부 하부로 쏠리게 된다. 이때, 건조대상물이 많은 경우에는 리프트(21)에 걸려 드럼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였다가 낙하하게 되나, 건조대상물이 적은 경우에는 리프트(21)에 걸리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리프터(21)와 공기배출구(55)사이는 D만큼의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다.
리프터(21)와 공기배출구(55)사이의 공간인 D에 쌓이게 되는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키기 위해서 회전드럼에 이탈부재(80)이 장착된다.
이탈부재(80)는 드럼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지지대(82)와 상기 지지대(82)의 단부로부터 공기배출구(55)를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83)로 형성된다.
지지대(8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등 다양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드럼(20)에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로 단단히 고정된다. 돌출부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로 형성된다. 회전드럼(20)의 회전시 돌출부(83)는 공기배출구(55)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82)와 돌출부(83)의 재질을 다르게 한 이유는 지지대(82)는 드럼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하나, 돌출부(83)는 건조기의 공기배출구(55)에 부착된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이탈시켜야 하는바 건조대상물과의 마찰이 높으면서도,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는 공기배출구(55)에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는 전면지지판과 회전드럼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지지판(61a)의 하측에는 회전드럼방향으로 일정두께가 돌출되어 드럼방향으로 망이 형성된 공기배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구(55)의 하부에는 회전드럼(20) 내부의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용이하도록 건조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센서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고 회전드럼(2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58,59)으로 이루어진다.
소량의 건조대상물 건조시 풍압에 의해 공기배출구(55) 부근에 소량의 건조물이 쌓이게 된다. 이때, 회전드럼(20)에 장착된 건조대상물 이탈부재(80)의 돌출부(83)는 회전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일정한 원호를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회전드럼(20)의 회전시 돌출부(83)는 공기배출구(55)의 하측과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즉, 공기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된 건조센서(57)도 스치면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83)를 공기배출구(55)의 하측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한 것은 손수건과 같은 소형의 건조대상물은 부피가 작아 공기배출구(55)의 하부에만 쏠려있는바, 돌출부(83)가 공기배출구(55)의 상부만 접촉하도록 하면 공기배출구(55)에 붙어 있는 소형의 건조대상물을 떼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은 회전드럼에 장착된 이탈부재에 의해 공기배출구에 부착된 소형의 건조물을 이탈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55)와 건조센서(57)에는 소형의 건조대상물(85)이 부착되어 있다.
건조기가 동작함에 따라 드럼(20)은 회전하게 되고 드럼(20)에 장착된 이탈부재(80)는 점점 공기배출구(55)와 가까워진다.
드럼(20)이 더 회전하게 되면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부재(80)의 돌출부(83)에 소형의 건조대상물(85)은 걸리게 된다.
드럼(20)이 더 회전을 하게 되어 이탈부재(80)가 도 3의 (C)에서 보는 것과 같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소형의 건조대상물(85)은 이탈부재(80)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드럼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드럼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 소형의 건조대상물(85)은 다시 공기배출구(55)에 부착될 것이다. 그러나, 이탈부재(80) 또한 계속 회전하는 바, 다시 건조물(85)을 이탈시킨다. 즉, 소형의 건조물(85)은 공기배출구(55)에 부착과 이탈을 반복하게 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공기배출구(55)와 건조센서(57)에 계속해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의류건조기에서 소량의 건조물을 건조할 경우 건조물이 공기배출구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원활하지 못한 공기흐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건조센서에 밀착된 건조물을 제거하여 건조대상물의 건조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올바른 건조기의 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조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드럼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지지판에 마련된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에 부착된 건조대상물을 이탈시키도록 회전드럼에 장착되는 이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부재는 드럼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공기배출구를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회전시 상기 돌출부는 공기배출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40088445A 2004-11-02 2004-11-02 의류건조기 KR2006003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45A KR20060039307A (ko) 2004-11-02 2004-11-02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45A KR20060039307A (ko) 2004-11-02 2004-11-02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307A true KR20060039307A (ko) 2006-05-08

Family

ID=3714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445A KR20060039307A (ko) 2004-11-02 2004-11-02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552B2 (en) Filter assembly for a dryer appliance
US928516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CN105793483B (zh) 干衣机
US10301765B2 (en)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22479B2 (en) Clothing dryer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186597B1 (ko) 배기식 건조장치
KR20070026921A (ko) 건조 장치의 건조방법
KR100762332B1 (ko) 필터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568521B1 (ko) 의류건조기
JP4642729B2 (ja) 洗濯乾燥機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102373023B1 (ko) 의류 건조기
EP1777334A2 (en) Clothing drying machine
JP200711713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60039307A (ko) 의류건조기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KR100599039B1 (ko) 의류건조기
KR100635911B1 (ko) 의류건조기
KR102373024B1 (ko) 의류 건조기
KR102360869B1 (ko) 의류 건조기
KR100480718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50095434A (ko) 의류건조기
JP2012075683A (ja) 乾燥機
KR20190057659A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