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434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434A
KR20050095434A KR1020040020838A KR20040020838A KR20050095434A KR 20050095434 A KR20050095434 A KR 20050095434A KR 1020040020838 A KR1020040020838 A KR 1020040020838A KR 20040020838 A KR20040020838 A KR 20040020838A KR 20050095434 A KR20050095434 A KR 20050095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ensor
laundry
front panel
clothes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434A/ko
Priority to EP05250369A priority patent/EP1580315A1/en
Priority to CNA2005100050196A priority patent/CN1673442A/zh
Priority to US11/086,558 priority patent/US20050210703A1/en
Publication of KR2005009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센서의 설치 구조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패널과, 건조통 내의 세탁물 건조도를 검사하는 건조센서를 구비한 것으로, 건조센서는 건조통 및 건조통 내부의 세탁물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는 프론트패널에 설치되므로, 건조센서의 설치 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건조센서의 오차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열풍을 건조통내로 강제 송풍시켜 건조통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히터와 팬을 통해 가열된 열풍을 건조통내로 강제 순환시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전면에 도어가 마련되며 후방에 히터가 장착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건조통과, 하우징 후면에 배치되며 히터를 지나면서 발생된 열풍을 건조통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열풍흡입덕트와, 건조통내의 열풍이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열풍배출덕트와, 열풍배출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또한, 의류건조기에는 건조통의 전단 및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패널과 리어패널이 마련되어 있으며, 프론트패널과 리어패널에는 열풍배출덕트 및 열풍흡입덕트가 각각 배치되어 열풍이 건조통 내를 통과하며 건조통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패널에는 세탁물이 열풍배출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릴부재에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건조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그릴부재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가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의류건조기의 사용에 따라 장기간 고온의 열에 노출될 경우 변형할 소지가 있으며, 그릴부재가 변형될 경우 그릴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센서의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져 건조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과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 내의 세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환 형상의 지지부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건조통의 전단측 내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 하부에는 상기 건조통 내를 순환한 공기가 흡입되는 그릴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그릴부재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그릴부재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그릴 설치공이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그릴설치공 인접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센서 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센서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건조통 및 상기 건조통 내에 담긴 세탁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철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형상의 건조통(20)과, 건조통(20) 내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흡입덕트(30)와, 건조통(20)으로부터 열풍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배출덕트(4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세탁물 투입 및 인출을 위한 투입구(11)와, 투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투입구(11)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는 의류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3a)과 의류건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b) 등을 갖춘 컨트롤패널(13)이 배치된다.
열풍흡입덕트(30)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31)를 내장한 것으로 그 일단은 개방되고 그 타단은 건조통(20)에 연결되어 건조통(20)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열풍배출덕트(40)는 그 중도에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1))이 배치되어 열풍이 열풍흡입덕트(30), 건조통(20) 및 열풍배출덕트(40)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건조통(20)은 하우징(10)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러한 건조통(20)은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구동모터(50)로부터 벨트(5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이러한 구동모터(50)는 건조통(20)과 송풍팬(41))을 동시에 구동시키는데, 이를 위해 구동모터(50)의 회전축(51)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에 송풍팬(41))이 직결되어 송풍팬(4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타측에 풀리(52)가 설치되어 건조통(20)을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52)를 통해 회전력을 건조통(20)에 전달하여 건조통(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1"은 세탁물을 끌어올려 낙하시키도록 건조통(20)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리프터(21)이다.
건조통(20)의 전방측에는 건조통(20)의 전방측을 덮으며 건조통(20)의 전방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패널(60F)이 설치되며, 건조통(20)의 후방측에는 건조통(20)의 후방측을 덮으며 건조통(20)의 후방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패널(60R)이 설치된다.
또한, 프론트패널(60F) 및 리어패널(60R)에는 건조통(20)의 양단측 내주면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건조통(20)의 내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62)가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각 지지부(62)의 외주면에는 적은 마찰계수를 갖는 마찰부재(63)가 배치되어 마찰부재(63)를 통해 건조통(20)의 전후 양단이 두 지지부(62)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서 건조통(20)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건조통(20)의 전후 양단이 지지부(62)에 마련된 마찰부재(63)의 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리어패널(60R)에는 건조통(20) 내부로 열풍이 순환할 수 있도록 열풍흡입덕트(30)가 설치되어 열풍흡입덕트(30)로부터 열풍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프론트패널(60F)에는 열풍배출덕트(40)가 설치되어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열풍은 열풍흡입덕트(30)가 설치된 건조통(20)의 후방측으로부터 열풍배출덕트(40)가 설치된 건조통(2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건조통(20)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프론트패널(60F)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세탁물이 통과하는 관통공(61)이 지지부(62) 내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열풍과 함께 세탁물이 열풍배출덕트(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풍만이 통과하여 열풍배출덕트(40)로 유입되게 하는 그릴부재(70)가 열풍배출덕트(40)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릴부재(70)는 열풍은 통과하되 세탁물은 걸리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구(71)가 마련되어 있으며, 프론트패널(60F)의 지지부(62) 내주면에는 그릴부재(7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그릴 설치공(64)이 마련되어 그릴부재(70)가 그릴 설치공(64)을 통해 환형상으로 형성된 프론트패널(60F)의 지지부(62) 내측으로 돌출되어 건조통(20) 내의 열풍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에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센서(80)가 구비된다. 이러한 건조센서(80)는 프론트패널(60F)에 고정 설치되는데, 프론트패널(60F) 및 리어패널은 건조통(20)과 건조통(20) 내에 수납된 세탁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잘 변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건조센서(80)를 프론트패널(60F)에 설치하면 건조센서(80)의 설치 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60F) 및 리어패널(60R)은 강철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롤러(65)가 힌지결합되어 건조통(20)을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센서(8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전극(81)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두 전극(81)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세탁물의 수분 함량이 높을 경우에는 수분에 의해 두 전극 사이로 용이하게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어 두 전극(81) 사이의 저항이 낮아지며, 수분 함량이 낮을 경우에는 두 전극(81)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 두 전극(81) 사이의 저항이 높아지므로 두 전극(81)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센서(80)는 지지부(62)의 내주면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는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건조통(20)의 하부에 모이므로 세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조통(20) 하부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건조센서(80)의 설치를 위해 지지부(62)에는 그릴 설치공(64)의 인접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된 판상의 센서 설치부(66)가 마련되어 센서 설치부(66)에 건조센서(80)를 고정함으로써 건조센서(80)가 프론트패널(60F)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건조통(20) 내로 젖은 세탁물을 투입한 후 도어(12)를 닫고 건조행정을 수행시키면, 히터(31) 및 구동모터(50)가 구동한다. 이에 따라 송풍팬(41))의 동작으로 히터(31)를 지나면서 생성된 열풍은 열풍흡입덕트(30)를 통해 건조통(20)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통(20)내로 유입된 열풍은 송풍팬(41))의 흡입력에 의해 이동하며 젖은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과 함께 열풍배출덕트(40)를 통해 건조통(20) 외부로 배출되어 세탁물이 건조된다.
이 때, 세탁물의 건조도는 프론트패널(60F)의 지지부(62)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센서(80)의 두 전극(81)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검출되어 이에 의해 건조운전의 지속여부가 결정되므로 세탁물의 건조가 적정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건조통 및 건조통 내에 담긴 세탁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프론트패널에 건조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조센서의 설치 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건조센서의 오차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프론트패널 및 건조센서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건조통
30: 열풍흡입덕트 31: 히터
40: 열풍배출덕트 41: 송풍팬
50: 구동모터 60F: 프론트패널
62: 지지부 63: 마찰부재
64: 그릴 설치공 65: 롤러
66: 센서 설치부 70: 그릴부재
80: 건조센서

Claims (6)

  1.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패널과,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 내의 세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환 형상의 지지부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이 상기 건조통의 전단측 내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환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 하부에는 상기 건조통 내를 순환한 공기가 흡입되는 그릴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그릴부재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그릴부재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그릴 설치공이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그릴설치공 인접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센서 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센서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은 상기 건조통 및 상기 건조통 내에 담긴 세탁물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철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40020838A 2004-03-26 2004-03-26 의류건조기 KR20050095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38A KR20050095434A (ko) 2004-03-26 2004-03-26 의류건조기
EP05250369A EP1580315A1 (en) 2004-03-26 2005-01-25 Drying machine
CNA2005100050196A CN1673442A (zh) 2004-03-26 2005-01-31 烘干机
US11/086,558 US20050210703A1 (en) 2004-03-26 2005-03-23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38A KR20050095434A (ko) 2004-03-26 2004-03-26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434A true KR20050095434A (ko) 2005-09-29

Family

ID=3485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838A KR20050095434A (ko) 2004-03-26 2004-03-26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10703A1 (ko)
EP (1) EP1580315A1 (ko)
KR (1) KR20050095434A (ko)
CN (1) CN1673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521B1 (ko) * 2004-06-16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KR101270860B1 (ko) * 2006-05-26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실 장치의 건조 방법
KR101611270B1 (ko) * 2009-03-19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JP5799267B2 (ja) * 2011-03-3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EP2584086A1 (en) * 2011-10-21 2013-04-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drying machine with a moistur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1468A (en) * 1966-05-09 1968-07-09 Whirlpool Co Clothes dryer with bulkhead sensor
DE2819173A1 (de) * 1978-05-02 1979-11-15 Miele & Cie Trommeltrockner fuer waesche
US4738034A (en) * 1985-12-16 1988-04-19 Kabushiki Kaisha Toshiba Drying machine
US4972605A (en) * 1989-04-14 1990-11-27 Montalvo Guy L Insulation system for clothes dryer apparatus
JP3022150B2 (ja) * 1994-04-27 2000-03-15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5899005A (en) * 1997-03-13 1999-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dryness of clothing articles
US5940986A (en) * 1997-05-16 1999-08-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Heat staked moisture sensor electrodes
KR20020062446A (ko) * 2001-01-20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의 건조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0587323B1 (ko) * 2003-04-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기의 센서 장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521B1 (ko) * 2004-06-16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0315A1 (en) 2005-09-28
CN1673442A (zh) 2005-09-28
US20050210703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516B2 (en) Clothes drying machine
CN105793483B (zh) 干衣机
US7895771B2 (en) Clothes dryer with thermal insulation pad
US8087183B2 (en) Clothes dryer drum bearing assembly
BRPI0811006B1 (pt) Method for controlling a drum cloth dryer
KR20100041032A (ko) 의류건조기
CA2531591C (en) Clothes dryer with improved air flow
KR20060120828A (ko) 배기식 건조장치
CA2604666A1 (en) Clothes dryer bulkhead recess
US20050210703A1 (en) Drying machine
KR20050076213A (ko) 의류건조기
KR100568521B1 (ko) 의류건조기
JP438610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095550B1 (ko) 의류건조기
KR101095553B1 (ko) 의류건조기
KR100599041B1 (ko) 의류건조기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KR102627706B1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0664B1 (ko) 의류건조기
KR100819595B1 (ko) 건조기의 막힘 감지 장치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02329A (ko) 의류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90127768A (ko)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