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840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840A
KR20200142840A KR1020190070231A KR20190070231A KR20200142840A KR 20200142840 A KR20200142840 A KR 20200142840A KR 1020190070231 A KR1020190070231 A KR 1020190070231A KR 20190070231 A KR20190070231 A KR 20190070231A KR 20200142840 A KR20200142840 A KR 2020014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level detection
collect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상
박재룡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840A/ko
Priority to US16/900,179 priority patent/US12043948B2/en
Publication of KR2020014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배수 유로와 회수 유로를 독립적으로 구성한 의류 관리기를 개시한다. 의류 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와,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펌프와,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하는 배수통 및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홀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통의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관리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할 수 있고, 의류 등의 구김 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수납하는 관리실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 및 열교환기 등이 배치되는 기계실은 관리실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실과 기계실은 분리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기계실에 구비된 열교환기에 의하여 관리실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교환기에 의해 제습되어 다시 관리실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통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은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배수통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통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배수통 내부에는 수위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수위 센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위 감지센서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인지하기 어려웠다.
또한, 배수통 내부의 수위 감지센서에 문제가 발생하면, 배수통 내부에 집수된 물이 배수통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이러한 물 넘침이 발생했을 때, 배수통 외부로 넘친 물을 본체 내부로 이동시키는 회수 유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수통 내부에 배치된 수위 감지센서가 오작동할 때,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덕트로부터 배수통으로 물을 전달하는 배수 유로와 배수통 내부로부터 덕트로 물을 전달하는 회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로와 상기 회수 유로는 서로 독립되어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와,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펌프와,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하는 배수통 및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홀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배수통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제1유로 및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집수 덕트로 물을 배출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로 연장되는 제1호스와,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배수통 내부로 연장되는 제2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호스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구와, 상기 제2호스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실링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2호스는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2호스는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제2호스가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2호스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실링부재 및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배수통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배수통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유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유로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유로 연결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집수 덕트를 연결하는 제3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덕트는, 상기 열교환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가이드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제1집수 덕트와, 상기 제1집수 덕트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집수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 받아 수집하는 제2집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제1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제2집수 덕트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집수 덕트와 상기 제2집수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될 때, 상기 배수통 내부의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홀의 주위를 커버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마주보는 전방벽과,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전방벽을 연결하는 바닥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유입구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센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와 제2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센서는,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팅 마그넷과,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 소정의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플로팅 마그넷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및/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off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와,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펌프와,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와, 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수위 감지센서 및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및/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off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 각각은,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팅 마그넷과,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 소정의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플로팅 마그넷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프에 의해 전달 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통과,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배수통으로 물을 전달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상기 집수 덕트로 물을 전달하고, 상기 제1유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와, 상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수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배수통 내부에 배치된 수위 감지센서가 오작동할 때,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덕트로부터 배수통으로 물을 전달하는 배수 유로와 배수통 내부로부터 덕트로 물을 전달하는 회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로와 상기 회수 유로는 서로 독립되어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기계실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과 배수통에 결합되는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실링부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20)는 힌지,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를 수용 및 관리하도록 마련되는 관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함으로써 관리실(30)을 개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외부캐비닛(11)과, 외부캐비닛(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60)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내부캐비닛(12)에 마련되는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캐비닛(12)은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관리실(30) 및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50)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관리실(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5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5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지지부재(5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51)은 지지부재(5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51)을 통해서 공기가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홀(51)은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1유입구(31a) 및 제2유입구(32a)와, 제1배출구(31b) 및 제2배출구(32b), 그리고 증기유입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31a)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유입구(33)는 관리실(30)의 후면(12e)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유입구(33)는 제1유입구(3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는 관리실(30)의 상면(12a) 일 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배출구(32b)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a)는 지지부재(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홀(51)을 통해 지지부재(50)로 전달되어 지지부재(5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00) 및 급수통(71)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00)과 급수통(71)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00)은 열교환기(60)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스팀발생장치(7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급수통(71)의 물은 스팀발생장치(7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71)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00) 및 급수통(71)은 기계실(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관리실(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필요에 따라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관리실(3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63), 응축기(64) 및 압축기(65)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60)의 증발기(6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65)를 거쳐, 응축기(6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증발기(63)와 응축기(64)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제1팬(62)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63)와 응축기(6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기(60)는 증발기(63), 응축기(64) 및 제1팬(62)을 연결하는 제1덕트(6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덕트(66)는 관리실(30)에 연결되어 관리실(30)과 제1덕트(66) 사이를 순환하는 제습 유로(67)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덕트(66)는 관리실(30)의 제1유입구(31a)와 제1배출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66)의 일단은 제1유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제1배출구(31b)에 연결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공기는 제1배출구(31b)를 통해 제1덕트(66)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유입구(31a)를 통해 관리실(30)로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
제1유입구(31a)는 관리실(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배출구(31b)는 관리실(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유입구(31a) 및 제1배출구(31b)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덕트(66)는 제1배출구(31b)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유입구(31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62)은 제1덕트(66) 상에 마련되어 관리실(30)의 공기를 제1덕트(66)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에는 급수통(7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7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70)는 급수통(7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부(73)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7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부(73)는 관리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원활하게 분사하도록 끝부분이 노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리실(3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관리실(30)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제2덕트(8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덕트(81)의 내부에는 제2팬(8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관리실(30)과 제2덕트(81)를 순환하는 필터 유로(8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팬(82)은 필터 유로(8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b)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후면(12e)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필터(9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0)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커버(91)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관리실(30)의 상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8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84) 및 모터(84)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팬(8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84)는 그 축이 양 측방으로 돌출되며, 축의 양단에는 각각 제2팬(8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나의 모터(84)로 한 쌍의 제2팬(8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2팬(82)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팬(82)은 팬케이스(85)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케이스(85)는 관리실(30)의 상면(12a)에 마련되는 덕트브래킷(86)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브래킷(86)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홀(86a)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홀(86a)에 각각의 제2팬(82)이 결합되어 제2덕트(81)의 공기를 제2유입구(32a)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덕트(81)는 관리실(30)의 제2유입구(32a)와 제2배출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81)의 일단은 제2유입구(32a)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관리실(30)의 제2배출구(3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입구(32a)는 지지부재(50)에 연결되어 제2덕트(81)의 공기가 지지부재(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덕트(8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팬(82)은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제2배출구(32b)를 통해 흡입하여, 제2유입구(32a)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후면(12e)에는 필터(9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설치부(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배출구(32b)는 필터설치부(9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리실(30)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81)로 유입 시 제2배출구(32b)의 필터(9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제2덕트(8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9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9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송풍장치(80)를 통해 지지부재(5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9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 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실(30)은 의류 관리 시, 지지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관리실(30)은 제습 유로(67)와 필터 유로(83)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기계실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계실(40)에는 열교환기(60)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집수 덕트(200)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 덕트(200)는 열교환기(6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집수 덕트(210)와, 제1집수 덕트(2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 받아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제2집수 덕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집수 덕트(210)는 열교환기(60, 도 3 참조)를 수용하고, 열교환기(60)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내부 공간(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집수 덕트(210)는 내부 공간(211)의 일 측에 마련되는 덕트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 홀(212)은 내부 공간(211)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별도의 동력원 없이 내부 공간(211)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덕트 홀(212)은 내부 공간(21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집수 덕트(210)의 바닥 면은 덕트 홀(21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내부 공간(211)에 수집된 물은 경사진 바닥 면에 의해 덕트 홀(212)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2집수 덕트(220)는 제1집수 덕트(210) 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집수 덕트(220)는 제1집수 덕트(210)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집수 덕트(220)의 바닥 면은 제2집수 덕트(220)의 내부 공간(221)에 수집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집수 덕트(210)와 제2집수 덕트(220) 사이에는 연결 호스(213)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호스(213)는 제1집수 덕트(210)의 덕트 홀(212) 및 제2집수 덕트(220)의 일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호스(213)는 제1집수 덕트(210)에 수집된 물을 제2집수 덕트(22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집수 덕트(210)는 제2집수 덕트(220) 보다 위에 배치되고 제1집수 덕트(210)의 바닥 면은 덕트 홀(21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열교환기(60)에서 응축된 물은 덕트 홀(212)로 경사진 바닥 면에 의해 덕트 홀(212)로 가이드되고, 연결 호스(213)를 통해 제2집수 덕트(220)에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제2집수 덕트(220)에 수집된 물을 배수통(100)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집수 덕트(220)에 집수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6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61)는 제2집수 덕트(2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집수 덕트(220)의 외부에 배치된 펌프(61)와, 제2집수 덕트(220)를 연결하는 제1호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호스(231)의 일 측은 제2집수 덕트(220)의 하단과 연결되고, 제1호스(231)의 타 측은 펌프(6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호스(231)는 제2집수 덕트(220)로부터 펌프(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 관리기(1)는 펌프(61)와 배수통(100)을 연결하는 제2호스(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호스(232)는 펌프(61)에 의해 펌핑된 물을 배수통(100) 내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호스(232)의 일 단은 펌프(61)와 연결되고, 제2호스(232)의 타 단은 배수통(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호스(232)의 타 단은 제2호스(232)의 일 단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펌프(61)가 동작해야만 제2호스(232)의 일 단으로부터 제2호스(232)의 타 단으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집수 덕트(220)로부터 배수통(100) 내부로 물을 전달하는 유로를 제1유로(230)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본체(10) 내부의 물을 배수통(100)으로 보낸 후 배수통(100) 내부의 물을 비움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제1유로는 배수 유로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1)는 배수통(100) 내부의 물을 다시 집수 덕트(200)로 보내는 제2유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240)는 배수통(100) 내부의 물을 제2집수 덕트(22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240)는 후술할 유로 연결부재(250)와 제2집수 덕트(220)를 연결하는 제3호스(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240) 및 제3호스(241)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배수통(100) 내부의 물이 제2집수 덕트(220)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유로(240)를 통해 물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2유로는 회수 유로를 가리킨다.
도 6의 미설명 부호 222는 수위 감지센서를 가리킨다. 수위 감지센서(222)는 제2집수 덕트(22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위 감지센서(222)가 제2집수 덕트(220) 내부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임을 감지하면, 펌프(61)가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펌프(61)는 간헐적으로 동작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2집수 덕트(220)에 수집된 물을 배수통(100)으로 펌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과 배수통에 결합되는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에서, 배수통(100)은 후면에 형성되는 개구(101)와, 개구(101)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110, 도 9 참조)과, 오버플로우 홀(110)로 유입된 물을 배수통(100)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 파이프(11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01)에는 후술할 실링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1)는 배수통(1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로 연결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연결부재(250)는 배수통(1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수통(10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유로 연결부재(250)는 배수통(100)과 분리될 수 있다. 배수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면, 유로 연결부재(250)는 배수통(100)과 결합될 수 있다.
유로 연결부재(250)는 몸체부(251)와 커버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51)는 제1연결 파이프(252)와 제2연결 파이프(25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54)는 제3연결 파이프(25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제3연결 파이프(255)의 적어도 일부분은 실링부재(120)를 통과하여 배수통(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 파이프(252)와 제3연결 파이프(253)는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잇다. 제2연결 파이프(253)는 배수통(100) 내부에서 배출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호스와 파이프는 용어를 달리할 뿐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실링부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실링부재(120)는 실링부재(1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관통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홀(121)에는 제3연결 파이프(255)가 삽입될 수 있다. 관통 홀(121)의 직경은 제3연결 파이프(255)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배수통(100) 내부에는 전술한 개구(10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110)이 마련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0)은,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가 오버플로우 홀(110)이 형성된 높이만큼 상승하였을 때, 배수통(100) 내부의 물을 배수통(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0)을 통해 배출된 물은 전술한 제2유로(240)를 통해 제2집수 덕트(220)에 수집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0)은 배수통(100) 내부에 배치되는 제3연결 파이프(255)의 일 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제3연결 파이프(255)의 일 단을 유입구(102)라 한다. 유입구(102)를 통해 집수 덕트(200)에 수집된 물이 제1유로(230)를 거쳐 배수통(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0)이 유입구(102) 보다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유입구(102)를 통해 배수통(100) 내부의 물이 배수통(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즉, 별도의 회수 유로(240)가 마련되기 때문에, 배수 유로(230)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는 배수 유로가 회수 유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기 때문에 배수통의 물이 배수 유로를 통해 역류하는 과정에서 물이 기계실 내부로 새는 문제가 있었다. 기계실 내부에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계실 내부로의 수분 유입은 의류 관리기에 있어서는 치명적이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회수 유로를 배수 유로와 독립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수 유로를 통해 집수 덕트로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배수통(100) 내부에는 수위 감지센서(13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위 감지센서(130)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로와 회수 유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오버플로우 홀(110)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오버플로우 홀(110)로 유입된 물은 배출 파이프(111)의 끝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11)로부터 배출된 물은 유로 연결부재(250)의 몸체부(25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몸체부(251)의 바닥 면은 제2연결 파이프(25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몸체부(25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물은 바닥 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연결 파이프(253)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연결 파이프(253)는 전술한 제3호스(24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 파이프(253)로 유입된 물은 제3호스(241)를 통해 제2집수 덕트(2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유로(240)는 상기한 물의 이동 경로를 통칭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3연결 파이프(255)의 일 단은 제1연결 파이프(252)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 파이프(255)의 타 단은 배수통(100) 내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제3연결 파이프(255)의 타 단을 배수통(100)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구멍이란 의미에서 유입구(102)라 한다. 제1연결 파이프(252)의 타 단은 전술한 제2호스(23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61)에 의해 펌핑된 물은 제2호스(232)와 제1연결 파이프(252) 및 제3연결 파이프(255)를 거쳐 배수통(10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유로(230)는 제2집수 덕트(220)로부터 제1호스(231), 펌프(61), 제2호스(232), 제1연결 파이프(252) 및 제3연결 파이프(255)를 통해 배수통(100) 내부로 물을 배출하는 물의 이동 경로를 통칭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20)의 관통 홀(121)은 그 직경이 제3연결 파이프(255)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배수통(10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10)에 결합될 때, 제3연결 파이프(255)가 관통 홀(121)로부터 인출되거나 관통 홀(121)에 삽입되는 것을 실링부재(120)가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관통 홀이 슬릿(slit)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연결 파이프가 반복적으로 관통 홀에 삽입되거나 관통 홀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가 찢어질 수 있다. 실링부재가 찢어지면, 찢어진 실링부재의 틈을 통해 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계실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 의류 관리기의 전장품이 오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링부재(120)의 관통 홀(121)의 직경은 제3연결 파이프(255)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수위 감지센서(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감지센서(14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감지센서(140)는 물에 뜨도록 마련되는 플로팅 마그넷(141)과, 플로팅 마그넷(141)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때 플로팅 마그넷(14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감지센서(142)와, 플로팅 마그넷(141)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하우징(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팅 마그넷(141)이 물에 뜨지 않아 마그넷 하우징(143)의 하단에 위치할 때, 감지센서(142)와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로팅 마그넷(141)이 물에 뜨지 않았을 때, 감지센서(142)와 플로팅 마그넷(141)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될 수 있다. 이 때, 감지센서(142)가 감지하는 플로팅 마그넷(141)의 자기력은 최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팅 마그넷(141)이 물에 떠서 마그넷 하우징(143)의 상단에 위치할 때, 플로팅 마그넷(141)은 감지센서(142)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로팅 마그넷(141)이 물에 떠 있을 때, 감지센서(142)와 플로팅 마그넷(141) 사이의 거리는 최대가 될 수 있다. 이 때, 감지센서(142)가 감지하는 플로팅 마그넷(141)의 자기력은 최소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감지센서와 플로팅 마그넷 사이의 거리는, 플로팅 마그넷이 물에 떠 있을 때 최소가 되고 플로팅 마그넷이 물에 뜨지 않았을 때 최대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센서(142)는 플로팅 마그넷(141)의 자기력을 감지함으로써 플로팅 마그넷(142)의 부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배수통(100)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을 때, 플로팅 마그넷(141)이 마그넷 하우징(14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배수통(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격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260)은 오버플로우 홀(110)의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260)은 오버플로우 홀(1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좌측벽(261)과 우측벽(2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벽(260)은 오버플로우 홀(110)과 마주보는 전방벽(263)과, 좌측벽(261)과 우측벽(262) 및 전방벽(263)을 연결하는 바닥 벽(264)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60)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260)은, 배수통(100) 내부의 물이 사용자의 의도치 않게 오버플로우 홀(11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수통(10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배수통(100) 내부의 물을 배수하려고 할 때, 사용자가 배수통(100)을 들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수통(100) 내부의 물이 오버플로우 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격벽(260)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격벽(260)으로 인해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가 오버플로우 홀(110) 이상으로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버플로우 홀(110)로 물이 배출되지 않고 유입구(102)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260)의 개방된 상면은 유입구(102) 보다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감지센서(13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는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의류 관리기(1)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 및/또는 제2수위 감지센서(150)의 상태 또는 배수통(100)의 만수위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3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로부터 배수통(100) 내부의 수위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1)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위 감지센서(140, 150)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 및/또는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배수통(100)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320)가 만수위 또는 물비움 표시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 및/또는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배수통(100)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한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에도 제1수위 감지센서(140) 및/또는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만수위를 감지하면,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off하도록 의류 관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고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만수위를 감지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320)에 제1수위 감지센서(140)가 오작동한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가 오작동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제1수위 감지센서(14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가 만수위를 감지하고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부(320)에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오작동한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오작동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제2수위 감지센서(15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의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에서, 배수통(100)은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통(100) 내부에는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수위 감지센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수위 감지센서의 이상을 감지하기가 어려웠다. 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의류 관리기는 계속해서 동작하게 된다.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의류 관리기가 동작하면, 배수통 내부의 수위는 만수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통 내부 수위가 만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한 회수 유로를 통해 배수통 내부의 물을 집수 덕트로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제1수위 감지센서(140)와 제2수위 감지센서(150)가 마련되면, 사용자는 수위 감지센서의 이상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의류 관리기의 동작이 off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홀 및 이를 포함하는 회수 유로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확률이 매우 낮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관점에서, 오버플로우 홀 및 이를 포함하는 회수 유로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의류 관리기 10 : 본체
20 : 도어 30 : 관리실
40 : 기계실 50 : 지지부재
60 : 열교환기 100 : 배수통
110 : 오버플로우 홀 120 : 실링부재
130 : 수위 감지센서 200 : 집수 덕트
250 : 유로 연결부재 260 : 격벽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하는 배수통; 및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홀 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배수통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제1유로; 및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집수 덕트로 물을 배출하는 제2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로 연장되는 제1호스와,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배수통 내부로 연장되는 제2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2호스의 일 단에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구와,
    상기 제2호스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실링하도록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2호스는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2호스는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관통 홀의 직경은, 상기 제2호스가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관통 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2호스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및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배수통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배수통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유로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유로 연결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유로 연결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집수 덕트를 연결하는 제3호스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덕트는,
    상기 열교환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가이드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제1집수 덕트와,
    상기 제1집수 덕트 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집수 덕트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 받아 수집하는 제2집수 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제2집수 덕트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집수 덕트와 상기 제2집수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될 때, 상기 배수통 내부의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홀의 주위를 커버하는 격벽; 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홀과 마주보는 전방벽과, 상기 양 측벽과 상기 전방벽을 연결하는 바닥 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유입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센서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와 제2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센서는,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팅 마그넷과,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 소정의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플로팅 마그넷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및/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off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
    상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수위 감지센서; 및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및/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의류 관리기의 동작을 off하도록 상기 의류 관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만수위를 감지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류 관리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상기 제2수위 감지센서 각각은,
    상기 배수통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로팅 마그넷과,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 소정의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마그넷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플로팅 마그넷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9.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 덕트;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집수 덕트에 수집된 물을 펌프에 의해 전달 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통;
    상기 집수 덕트로부터 상기 배수통으로 물을 전달하는 제1유로; 및
    상기 배수통으로부터 상기 집수 덕트로 물을 전달하고, 상기 제1유로와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제2유로; 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수위 감지센서; 및
    상기 배수통 내부에 상기 제1수위 감지센서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 내부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수위 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190070231A 2019-06-13 2019-06-13 의류 관리기 KR20200142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31A KR20200142840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관리기
US16/900,179 US12043948B2 (en) 2019-06-13 2020-06-12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31A KR20200142840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40A true KR20200142840A (ko) 2020-12-23

Family

ID=7374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31A KR20200142840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043948B2 (ko)
KR (1) KR202001428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328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53633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WO2024005430A1 (ko) * 2022-06-30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605A1 (en) * 2021-12-20 2023-06-29 Arcelik Anonim Sirketi A 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0506A (en) 1981-06-05 1982-12-08 Toshiba Ceramics Co Ltd Large sized tuyere brick for shaft furnace
JP3613843B2 (ja) 1995-06-28 2005-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200382168Y1 (ko) 2005-02-05 2005-04-19 (주) 흥산제니스 마이콤제어 및 비상배수와 알림기능을 가진 에어컨용응축수 배수펌프
JP2007003132A (ja)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1362784B1 (ko) 2007-03-14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7776B1 (ko)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85308B1 (ko) * 2009-02-09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WO2014169955A1 (en) * 2013-04-17 2014-10-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PL3004450T3 (pl) * 2013-05-24 2023-02-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uszarka do prania oraz sposób sterowania suszarką do prania
KR102369584B1 (ko)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459016B1 (en) * 2015-03-12 2016-10-04 Gary E. Kopp After market installable closed loop humidifier system and kit utilizing high efficiency furnace condensate water or city water inlet for humidifying an enclosed space
US20200003217A1 (en) * 2018-06-29 2020-01-02 Wayne/Scott Fetzer Company Pump status display module, pump system using same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R20180133830A (ko) 2018-12-07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2080915B (zh) * 2019-06-13 2023-08-15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家用电器的储水盒水位检测系统、水位检测方法及干衣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328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53633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WO2024005430A1 (ko) * 2022-06-30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2664A1 (en) 2020-12-17
US12043948B2 (en) 202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840A (ko) 의류 관리기
EP3814567B1 (en) Clothes care apparatus
EP294980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8511116B2 (en) Washing/drying machine
KR20160098152A (ko) 의류처리장치
US20110005279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2639200A (zh) 衣物护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60098156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0511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2460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765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7494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 관리기
US20210310179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007760A (ko) 의류 관리기
JP2014033849A (ja) 衣類乾燥機
JP2007215833A (ja) 洗濯乾燥機
EP3875672B1 (en) Laundry dryer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EP4389957A1 (en) Clothing care apparatus
EP4438796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JP5656817B2 (ja) 洗濯機
KR2022012159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58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