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776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776B1
KR101467776B1 KR1020080030396A KR20080030396A KR101467776B1 KR 101467776 B1 KR101467776 B1 KR 101467776B1 KR 1020080030396 A KR1020080030396 A KR 1020080030396A KR 20080030396 A KR20080030396 A KR 20080030396A KR 101467776 B1 KR101467776 B1 KR 10146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drainage
tank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126A (ko
Inventor
유혜경
박대윤
김종석
김동원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776B1/ko
Priority to PCT/KR2009/001573 priority patent/WO2009123407A2/en
Priority to CN2009801105239A priority patent/CN101981247B/zh
Priority to US12/920,010 priority patent/US20110005279A1/en
Priority to DE112009000776.7T priority patent/DE112009000776B4/de
Publication of KR2009010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통이 아닌 다른 곳에 장착된 수위센서에 의하여 배수통의 존부 또는 배수통의 미리 설정된 수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응축수, 오수, 배수, 스팀, 수위센서, 만수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통이 아닌 다른 곳에 장착된 수위센서에 의하여 배수통의 존부 또는 배수통의 미리 설정된 수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넷 내부에 구비된 수납실 내에 수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수납된 의류의 처리란 의류에 송풍하거나,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여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일련의 과정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1회 이상 동일한 의류를 착용하면, 의류에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잔류하게 된다.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은 동일한 옷을 다시 착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의류를 세탁할 수 있으나, 빈번한 의류의 세탁과정은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의류의 유지 관리에 필 요한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 후 건조가 완료된 옷이라도 구김이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의류를 즉시 착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는 별도의 번거로운 다림질 작업 등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수납된 의류의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고,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습기가 함유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송풍(열풍 포함)할 수 있다.
의류를 바람 또는 열풍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면, 미세한 물입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잔류하는 냄새입자와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에서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공급된 스팀에 의하여 젖은 의류는 건조과정에서 구김이 완화 또는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 할 수 있으며, 의류의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상태로 의류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고, 건조과정에서 공급된 스팀을 응축수의 형태로 수집하여 배출해야 한다.
일반적인 세탁기에서 세탁과정과 달리 의류처리장치에서의 스팀의 생성에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지 않고, 상수도 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필요하므로, 스팀공급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은 수통 형태의 착탈가능한 급수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방법도 하수도 시설이 구비된 경우라면, 하수도에 직접 배수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설비가 복잡하고, 배수될 응축수의 양이 많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배수방법 역시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배수통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비우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팀의 응축수 또는 오수를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여 배수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착탈이 가능한 배수통에 스팀발생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또는 오수를 수집하는 경우, 일정량 이상의 물이 수집되어 배수통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해야 하지만, 응축수 또는 오수의 수집과정이 계속되면 상기 배수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칠 수 있다.
그러나, 배수통 자체를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므로, 수위센서를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
또한, 많이 사용되는 수위센서는 복수 개의 전극을 설치하고 통전여부로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므로, 물이 넘칠 수 있는 배수통에 전극을 설치하는 방법은 부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착탈가능하며 일정한 용량을 갖는 배수통 내부의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배수통의 배수시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배수통을 비울 것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통이 아닌 다른 곳에 장착된 수위센서에 의하여 배수통의 존부 또는 배수통의 미리 설정된 수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수납실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스팀발생장치, 상기 수납실, 또는 상기 순환덕트에서 응축된 스팀의 응축수를 수집하며,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수집된 물이 배수되며,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다시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배수통에 저장된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상기 배수통에 형성된 리턴홀을 통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이 상기 배수통과 상기 집수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은 상기 배수통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홀에서 흘러나온 물을 수용하는 수용탱크 형태의 물넘침 수 용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통의 리턴홀은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 내부에는 전류인가시 통전여부로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 내부에는 전류인가시 통전여부로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배수통에서 이송되는 물을 감지하여 배수시점과 이송시점의 시간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간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배수통이 없음을 알리는 알림신호 또는 상기 배수통의 배수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간간격을 측정하는 과정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은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은 내부에 물이 유입됨이 감지되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며, 상기 집수통 내부의 수위가 계속 증가하면 배수통을 비울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통은 내부에 물이 유입됨이 감지되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 통으로 배수하며, 상기 집수통 내부의 수위가 계속 증가하면 배수통을 비울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집수통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배수통으로 일정량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지 여부 또는 배수 후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획득된 정보에 따라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경우, 배수 후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따라 배수통 없음 또는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는 배수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배수통 없음을 판단하고,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경우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단계는 배수통 없음 또는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구별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의류를 수납하여 스 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냄새 또는 습기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통이 아닌 다른 곳에 장착된 수위센서에 의하여 배수통의 존부 또는 배수통의 미리 설정된 수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10)과 상기 수납실(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실(10)의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냄새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부품들이 장착되는 전장실(20)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실(10)과 전장실(20)은 하나의 캐비넷(70)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20)은 상기 수납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수납실(10) 내부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납실(10) 바닥면에는 저장실(1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과 수납실로 재공급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4)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과 상기 토출구(14)가 상기 수납실(1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전장실(20)의 위치가 상기 수납실(10)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납실(10)에는 상기 전장실(20) 내부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유닛(5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과 상기 토출구(14)는 외부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망형상의 구조물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20) 내부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장실(20) 내부의 구성 중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급수통과 배수통은 별도로 후술하기로 한다.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20)에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25)와 수납된 의류를 건조 또는 가열하기 위하여 수납실(10)의 습공기를 흡입하여 제습 또는 가열하는 순환덕트(26)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순환덕트(26)는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단순히 송풍하여 순환시키는 송풍기능도 당연히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송풍기능은 상기 순환덕트(26)를 경유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14)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팬을 구비하는 송풍덕트(28)에 의하여 가능하다.
상기 순환덕트(26)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에 따라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와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수납실(10)로 재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히트펌프 또는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 상기 수납실에서 흡입덕트(21)를 통하여 흡입된 습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습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된 공기의 가열을 위하여 히트펌프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순환덕트(26) 내부에 압축기(22)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습공기의 제습이 일어나는 응축부(23b)와 냉매를 응축시켜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23a)를 구비할 수 있다.
습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위하여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습된 공기의 충분한 가열을 위하여, 별도의 전열 히터를 추가할 수 있다.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에 따라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실(10)의 습공기를 흡입한 뒤, 제습 후 다시 수납실(10)로 재공급하는지 또는 습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기하는지에 따라서 배기식과 순환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납실(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제습하는 순환식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덕트(28)는 상기 수납실(10)의 토출구(14)와 연통되는 토출홀(24) 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덕트의 타단에는 상기 수납실(10)의 흡입구(11)에 연통하는 흡입홀(2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홀(21)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순환턱트(26)에 구비된 응축부(23b)에서 제습되고, 가열부(23a)에서 가열되어, 송풍덕트(28)를 통하여 다시 수납실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기(23)는 상기 압축기(22)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수납실(10)을 순환한 습한 공기를 냉매의 증발과정에서 제습하고, 냉매의 응축과정을 통하여 제습된 공기를 다시 가열한다.
이러한 냉매의 증발과정과 응축과정 사이에 냉매의 압축이 필요하다. 냉매의 압축은 상기 전장실(20) 내부에 구비된 압축기(22)에서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전장실(20)에는 배수통(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23)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상기 순환덕트(26) 하부에 위치하는 집수통(29)에 집수되고, 상기 집수통(29)에 집수된 오수는 배수통에 다시 운반되어 보관된다.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 내부에서도 공급된 스팀의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실 내부의 응축수 역시 착탈가능하게 상기 전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통으로 배수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수납실의 응축수를 직접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는 방법은 전장실 내부의 배관을 복잡하게 하므로, 상기 순환덕트(26) 열교환기(23) 하부에 형성될 수 있는 응축수 수렴공간(미도시)으로 우회시킨 뒤 집수통(29)을 통하여 배수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순환덕트(26)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집수통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집수통(29)은 상기 순환덕트(28) 내부의 열교환기의 응축수만을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스팀발생장치(25) 내부의 잔수 등을 상기 배수통 등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잔수를 저장하는 기능도 함께 갖을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는 배수통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통을 전장실(20)에서 분리하여, 그 내부에 보관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수통(29)으로부터 상기 배수통로의 오수의 이동은 배수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 등은 상기 집수통(29)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이 열교환기(23)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면, 상기 집수통(29)은 생략할 수 있으나, 배수통을 전장실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려면, 펌프를 사용하여 전장실 상부에 구비하는 배수통을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장실(20)로부터 상기 배수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통의 위치가 전장실(20)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펌프에 의하여 높이차를 보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되어야 하는 응축수 또는 오수 등은 일단 상기 집수통(29)으로 일시적으로 수집되어 하나의 배수펌프에 의하여 배수통으로 배수되면 하나의 펌프에 의하여 일괄적인 배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25), 상기 순환덕트(26) 또는 수납실(10) 내부의 응축수 또는 오수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집수통에 수집되는 구조라면 하나 의 배수펌프에 의한 배수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배수통과 후술할 물공급원 등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장실(20)에 장착된 진퇴 이동 또는 힌지 회동하도록 구비된 드로워(미도시) 등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전장실 등에서 인출 또는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통(29)으로부터 상기 배수통로 배수펌프 등을 이용하여 오수를 운반하므로, 상기 집수통의 크기는 상기 배수통의 크기보다 작아도 무관하다.
상기 수납실(10)에 수납되는 의류에 공급되는 스팀은 상기 전장실(20) 내부에 구비된 스팀발생장치(25)가 전장실 내부에 구비된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수납실(10)에 공급한다.
상기 급수통은 도 2에 도시된 배수통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장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수통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팀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많지 않으며, 상수도가 없는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해야 하므로 착탈식 급수통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상수도 시설이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급수통 역시 상수도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통은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25)는 스팀을 상기 스팀분사유닛을 통하여 스팀을 분사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서 발생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전장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유닛(50)이 도시된다.
도 1에는 상기 수납실 바닥면(12)에 복수 개의 스팀분사유닛(50)이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상 한개의 스팀분사유닛(50)이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팀분사유닛(50)은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서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수납실 내부로 스팀을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순환덕트(26)는 상기 수납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 또는 가열하는 공기의 순환유로이다.
상기 순환덕트(26)의 상기 수납실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은 상기 순환덕트(26)와 인접한 송풍덕트(28) 내의 송풍팬(미도시)에 의한다.
상기 수납실(10) 내부의 흡입구(11)과 연통된 흡입홀(21)에서 흡입된 수납실 공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23)를 경유하여 다시 토출홀(24)을 통하여, 상기 수납실(10)의 토출홀을 통하여 상기 수납실(10)로 토출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스팀이 상기 열교환기(23)의 응축부(23b)에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열교환기 전단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발생장치(25)가 스팀을 생성하는 방식은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내장된 히터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법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팀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스팀발생장치(25) 내에 물이 잔류하면, 내장된 전기 히터 등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물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발생장치(25) 내부의 잔수는 회수되어야 하며, 이러한 잔수가 회수되는 곳은 상기 급수통 또는 배수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배수통으로 잔수가 배수되는 경우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29)을 경유하여 배수될 것이다.
상기 스팀발생장치(25)는 상기 스팀분사유닛(50)을 통하여,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10)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상기 스팀분사유닛(50)은 상기 스팀발생장치(25)와 연결되고,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으로 직접 스팀의 응축수가 배수되기 위해서, 일단 스팀의 응축수는 상기 집수통(29)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집수통(29)과 연결된 상기 순환덕트(26) 내의 응축부(23b) 하부의 응축수 수렴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응축부(23b)에서 응축되는 응축수와 함께 집수통(29)를 경유하여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가 가능하다. 각각의 부품을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스팀분사유닛(50)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생성되는 즉시,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할 수 있으나, 스팀의 응축수는 고온이므로, 생성 즉시 배수하는 것보다 일정시간 동안 스팀분사유닛 내에 잔류시켜, 다시 기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수를 잔류시키면, 상기 스팀분사유닛(50) 내의 공간이 줄어들어 공급된 스팀이 쉽게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고온의 응축수가 공급된 스팀을 보온하는 효과까지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분사유닛 내에서 응축되는 스팀의 응축수는 일정시간 상기 스팀분사유닛(50) 내에 잔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팀분사유닛(50) 내부에 응축수를 잔류시키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배출구와 상기 배수통(70) 사이에 벨브(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브에 의하여 생성된 응축수가 생성 즉시 응축수배출구(53)을 통하여 배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벨브(80)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벨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분사유닛(5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통으로 바로 배수되지 않고, 상기 집수통(29)을 경유한다. 상기 응축수를 상기 집수통(29)에 일시적으로 보관한 뒤, 상기 배수펌프로 배수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기(23)에서 응축되는 응축수와 함께 배수될 수 있으므로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집수통(29)은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 또는 오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집수통(29)가 수위센서를 내장하는 이유는 착탈식 배수통에 수위센서를 장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집되는 응축수 또는 오수의 양을 집수통에서라도 측정하기 위함이다. 집수통(29)에서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배수통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물 또는 스팀의 유로를 중심으로 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전장실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급수통(90)은 a 유로를 통하여 스팀발생장치(25)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a 유로 상에는 급수펌프 또는 제어벨브 등이 구비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 선택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a 유로 상에 급수펌프가 장착되는 경우는 스팀발생장치(25)와 상기 급수통(90) 사이에 높이차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압에 의한 급수가 이뤄어질 수 없는 경우 등이다.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서 스팀을 생성하여, 수납실(10)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분사유닛(50)을 통하여 상기 수납실(10)에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분사유닛(50)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는 i 유로를 경유하여 집수통(29)으로 수집된다. 상기 i 유로 상에는 스팀분사유닛(50)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의 선택전인 배수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벨브(도 2의 80)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집수통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순환덕트(26) 내부의 응축수 수렴공간 등을 경유하여 상기 집수통(29)에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납실(10)에 공급된 스팀은 의류에 공급되어 의류의 처리에 사용된다. 그리고, 수납실(10) 내부의 습공기는 전장실 내부의 순환덕트(26)에 e 유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제습 또는 가열된다.
또한, 상기 수납실(10) 내부의 응축수는 순환덕트(26) 내부의 응축수 수렴공간, 예를 들면 순환덕트(26) 내부의 열교환기(23) 하부의 수렴공간으로 d 유로로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집수통(70)으로 바로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26)를 순환하는 공기는 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중 습공기가 순환하면서 제습되는 응축부(23b, 도 2참조)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며, 그 하부로 수렴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26) 하우징의 하부공간에 응축수가 수렴되고, 수렴된 응축수는 f 유로를 따라 상기 집수통(29)으로 이송된다.
상기 집수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0), 순환덕트(26), 스팀분사유닛(50) 및 스팀발생장치(25)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와 오수가 일시적으로 수렴되는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집수통(29)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위센서와 배수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수통(29)에 수집된 응축수 또는 오수는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된다.
이 경우, 상기 집수통(29)에서 상기 배수통(70)으로의 배수는 배수펌프에 의한 강제배수 경로인 g 유로를 따라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집수통(29)에 수집된 물이 배수되지만,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h 유로를 따라 다시 집수통(29)으로 다시 이송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배수통(7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저장된 물의 넘침에 대비하는 물넘침 수용공간(1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배수통으로 배수되는 경우, 일정 수위 이상의 물 은 다시 집수통(29)으로 이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70)은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으므로,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집수통(29)에서 배수통의 배수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70)의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넘친 경우, 물넘침을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110)의 일예를 도시한다.
상기 배수통(70)은 상기 전장실의 전면 등에 구비된 도어(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70)은 상기 도어(30) 내부에 안착되는 구조를 이루어, 진퇴이동하는 드로워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30) 내부에 안착되고 도어(30)는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어는 회동가능한 후자의 구조가 도시된다. 상기 배수통(70)은 상기 도어(30)와 대향하는 측면에 리턴홀(72)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통으로부터 배수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가 투입되는 배수구(74) 등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오수를 수집하는 배수통(70)의 크기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90)에 비해 큰 용량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급수통(90) 내부의 물은 장기간 보관되면, 이물질이 발생하며 변질되어 스팀발생장치(25)의 히터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전에 새로운 물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30)를 그 힌지축(3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배수통(70) 내부의 물은 상기 리턴홀(72)을 통하여 흘러 나간다.
도 4(a)는 상기 배수통(70) 내부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저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상기 도어(30)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며, 상기 배수통(70) 내부의 물 중 상기 리턴홀(72) 상부에 존재하는 물은 상기 리턴홀(72)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리턴홀(72)을 빠져나간 물은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는 물넘침 수용공간(110)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은 도어 배면에 구비된 제1 물넘침 수용공간(110a)과 상기 배수통(70) 하부에 구비된 제2 물넘침 수용공간(110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는 서로 연통된 구간이며, 상기 리턴홀(72)에서 흘러나온 물이 먼저 제1 물넘침 수용공간(110a)에 저장된 뒤 제2 물넘침 수용공간(110b)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 물넘침 수용공간(110b)은 도 3에 도시된 유로 h의해 상기 집수통(29)로 이송된다.
도 4(c)는 상기 배수통(70) 일정 수위 이상의 내부 물이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으로 빠져나간 뒤에, 빗금친 A 영역의 물만이 잔류함을 도시한다. 즉,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으로 빠져나간 물의 양은 도 4(b)의 빗금친 B 영역에 해당하는 물이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를 회전시켜도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빗금친 A 영역에 해당하는 물을 제외하는 물은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 또는 상기 집수통(29)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의 형식은 상기 배수통(70) 내부의 물이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배수되도록 하는 구조이면 그 형태의 제한은 없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통(70)은 힌지 회동하는 도어(30)에 장착된 구조이므로, 도 4(c)에 도시된 빗금친 A 영역 수위 이상의 물은 배수되도록 하며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a,110b)에 일시적으로 물넘침을 수용하게 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수통과 집수통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집수통(29)에서 집수된 물은 유로 g를 통하여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된다. 상기 집수통(29)은 상기 스팀발생장치(25)와 상기 수납실(10) 또는 순환덕트(26)로부터 공급되는 오수 또는 응축수를 유로 b, 유로 i, 유로 f를 통해 공급받는다.
상기 집수통(29)에서의 수위 측정에 의한 배수신호의 발생과정은 아래의 물넘침 수용공간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 6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70)의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넘친 경우, 물넘침을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11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은 상기 급수통(70)과 연통된 물넘침 수용탱크(110c)이다. 또한, 상기 배수통(70)에 형성된 리턴홀(72')은 상기 급수통(70)의 전장실 내부방향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리턴홀(72')을 기준으로 하는 수위 이상의 물은 상기 급수통(70)과 연통된 물넘침 수용탱크(110c)를 경유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유로 h'에 의하여 이송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h,h'는 물넘침 수용공간과 상기 집수통(29)를 연통시킨다. 상기 집수통(29)은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9a)에 의하여 내부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배수통, 물넘침 수용공간 그리고 집수통 사이의 물의 이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의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작동 중에는 상기 집수통(29)은 유로 b, 유로 i, 유로 f를 통하여, 스팀의 응축수 또는 오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유로 g를 통하여 집수통(29)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통(70)은 상기 집수통(29)에서 배수되는 물을 계속 저장하다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양의 물을 저장하지 못하고, 상기 리턴홀(72)을 통하여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a, 110b, 110c)으로 흘려 보낸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상기 집수통(29)과 상기 배수통(70)은 모두 비워진 상태라고 가정하면, 상기 집수통(29)에 수집되는 물은 계속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될 것이며, 상기 배수통(70)은 설정된 수위, 즉 리턴홀 등에 의하여 결정된 수위까지 계속 배수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수통(70)에서 미리 결정된 수위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이후에 배수되는 물은 상기 리턴홀로 계속 흘러나가고,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은 이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에서 수용된 물은 다시 집수통(29)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수위센서가 장착된 상기 집수통(29)은 유로 h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하여 계속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집수통(29)에 구비되는 수 위센서(29a)에 이송되는 물이 감지될 것이다.
원칙적으로 상기 집수통(29)은 내부의 물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통(29)으로 배수작업을 수행하여, 수위센서(29a)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위센서(29a)에서 배수통으로의 배수 뒤에도 물이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배수통에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다시 집수통(29)으로 이송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배수시기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수위센서(29a)에 상기 배수통(29)의 배수시기가 판단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배수통(70)을 비울 시기가 되었음을 알림신호 등을 이용하여 알리게 된다.
이러한 배수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발생장치를 비롯한 펌프 또는 각각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벨브 등은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수가 되기 전에 상기 집수통(29)으로 응축수 또는 오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알림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배수통(70)을 탈거하여, 내부의 오수 또는 응축수를 배수한 뒤 배수통(70)을 장착하면 된다.
상기 배수통(70)을 다시 장착하면, 상기 집수통(29) 내부의 배수펌프가 작동하여,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집수통(29)의 수위측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수위측정기능이 없는 배수통(70)의 비움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70)과 집수통(90)의 다른 실 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은 각각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경우를 공유한다. 즉, 물넘침 수용공간은 제2 물넘침 수용공간(110b)과 물넘침방지 탱크(110c)가 구비된다.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을 상기 배수통(70) 하부에 구비되는 것과 탱크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구비하면, 상기 집수통(29)에 구비된 수위센서(29a)를 이용하여, 보다 세분화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구비하기 때문에, 배수통에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장실(20) 내부의 집수통(29)에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배수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배수통(70)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이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이 배수통(70) 하부와 배수통(70)의 측면에 구비되면, 상기 집수통(29)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9a)를 사용하여, 상기 배수통(70)의 존부와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 여부를 구별하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배수통(70)의 존부와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집수통(29) 내부에 수집된 물이 없다는 것을 가정하고, 상기 급수통(90)에서 도 3의 유로 a를 통하여, 일 부의 물을 급수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25)는 이를 다시 유로 b를 통하여 집수통(29)에 공급하고, 집수통(29) 내부의 물을 모두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게 되는 경우, 그 이후의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장실(20) 내부에 배수통(70)이 장착되었으며, 미리 설정된 만수위가 아닌 경우이다. 미리 설정된 만수위란 상기 리턴홀(72')을 통해 상기 집수통(29)으로 저장된 물이 이송되지 않는 최대 수위를 말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된 물이 배수통(70)에서 넘치지 않고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배수통(70)이 장착되었으며 내부의 물을 비울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정상작동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정상작동이 가능한 전술한 경우 이외에 가정할 수 있는 상태는 상기 배수통(70)이 탈거된 상태이거나, 장착되었으나, 미리 설정된 만수위 이상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즉 상기 배수통(70)이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발생장치(25)에서 집수통으로 이송된 물을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하면, 배수된 물은 상기 배수통(70) 하부에 구비된 물넘침 저장공간(110b)을 통하여 즉시 상기 집수통(29)으로 이송된다.
상기 집수통(29) 내부의 물은 배수펌프에 의하여 배수되며, 상기 집수통(29)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수될 때까지 수위센서에 의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따라서, 수위가 측정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고, 그 시점 부터 시간을 기산하여, 상기 집수통(29) 내부의 수위가 다시 감지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상기 배수통(70)이 없는 경우에는 유로 h를 통하여 상기 집수통(29)으로 이송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통(70)이 있으나 상기 배수통(70)이 미리 결정된 만수위에 도달한 경우, 물넘침 저장공간으로 넘쳐흐른 물이 유로 h'를 통하여 상기 집수통에 도달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된 물이 다시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시간이 T1이며, 상기 배수통(70)으로 배수된 물이 물넘침 저장공간으로 넘쳐 다시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시간이 T2라고 측정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전자의 경우, 배수통을 장착할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배수통 내부의 물을 비울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집수통(29)로의 이송시간 T1은 배수되는 즉시 유로 h를 통하여 이송되는 경우이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상기 집수통(29)으로의 이송시간 T2는 상기 배수통(70)에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110C)로 물이 넘쳐 흐른 뒤 다시 유로 h'를 통하여 상기 집수통(29)로 이송되는 경우이므로, 상대적으로 긴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따라서, T1과 T2를 측정하여 그 사이값 Tm을 설정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집수통(29)으로의 물의 이송시간(T)을 측정하여 Tm 을 기준으로, i) T < Tm 인 경우에는 배수통 없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고, ii) T > Tm 인 경우에는 배수통 비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집수통(29)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9a)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통(70)의 존부 또는 상기 배수통(70)의 미리 결정된 수위에 도달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집수통(29)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29)은 상기 배수통(29) 하부에 구비된 물넘침 수용공간(110b)에서 물이 이송되는 유로 h와 탱크 형식의 물넘침 수용탱크(110c)에서 물이 이송되는 유로 h'와 상기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유로 g를 구비한다.
따라서, 집수통(29)으로의 물의 이송시간인 T1과 T2 사이의 값 Tm을 기준으로 집수통으로 물이 이송되는 시간 T를 측정하여, i) T < Tm 인 경우에는 배수통 없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고, ii) T > Tm 인 경우에는 배수통 비움이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송시간 T1과 T2가 오차범위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T1과 T2의 차이를 증폭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통(70)이 없는 경우에 물이 이송되는 시간은 즉시 측정이 되며, 상기 배수통(70)이 존재하지만 물이 넘쳐 이송되는 시간은 천천히 측정되기 위하여, 상기 수위센서(29a)를 유로 h와 집수통(29)의 연결부위에 장착하고, 상기 배수통(70)이 존재하지만 물이 넘쳐 이송되는 유로 h'와 상기 수위센서(29a) 사이에는 유로 h'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29c)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유로 h와 유로 h'를 통해 이송되는 물이 상기 수 위센서(29a)에 의해 감지되는 시간을 차이를 둘 수 있다.
상기 유로 h'를 통하여 이송된 물은 상기 집수통(29)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29c)으로 흘러가고, 저장공간의 수위가 높아진 뒤 상기 수위센서(29a)에 접촉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29a) 와 상기 저장공간(29c) 사이를 구획하지만 물이 흐를 수 있는 격벽(29b)를 구비할 수 있다. 유로 h를 통해 이송되는 물의 양이 작아 상기 수위센서에 감지되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29b)은 상기 집수통(29) 하우징 내에 구비된 격벽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격벽(29b) 하부로 유로 h를 통해 이송된 물이 상기 저장공간(29c)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29b) 하부에 위치하는 집수통(29)의 바닥면은 유로 h를 통해 이송된 물이 상기 저장공간(29c)로 흘러갈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수위센서가 장착되지 않은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집수통에 구비된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의 존부 또는 배수통의 배수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 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 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물 또는 스팀의 유로를 중심으로 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의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넘친 경우, 물넘침을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수통과 집수통의 연결관계를 단순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의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넘친 경우, 물넘침을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통과 집수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집수통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납실 20 : 전장실
25 : 스팀발생장치 29 : 집수통
29a : 수위센서 70 : 배수통
90 : 급수통 110 : 물넘침 수용공간

Claims (15)

  1.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수납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수납실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스팀발생장치, 상기 수납실, 또는 상기 순환덕트에서 응축된 스팀의 응축수를 수집하며,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수집된 물이 배수되며,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다시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착탈가능한 배수통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에 저장된 일정수위 이상의 물은 상기 배수통에 형성된 리턴홀을 통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물넘침 수용공간이 상기 배수통과 상기 집수통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 수용공간은 상기 배수통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홀에서 흘러나온 물을 수용하는 수용탱크 형태의 물넘침 수용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리턴홀은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내부에는 전류인가시 통전여부로 수위를 판단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배수통에서 이송되는 물을 감지하여 배수시점과 이송시점의 시간간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배수통이 없음을 알리는 알림신호 또는 상기 배수통의 배수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을 측정하는 과정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집수통 내부의 물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내부에 물이 유입됨이 감지되면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통으로 배수하며, 상기 집수통 내부의 수위가 계속 증가하면 배수통을 비울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집수통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배수통으로 일정량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지 여부 또는 배수 후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획득된 정보에 따라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되는 경우, 배수 후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따라 배수통 없음 또는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상태 판단단계는 배수단계에서 배수된 물이 상기 집수통으로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배수통 없음을 판단하고,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경우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는 배수통 없음 또는 배수통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만수위임을 구별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30396A 2008-04-01 2008-04-0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396A KR101467776B1 (ko) 2008-04-01 2008-04-0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09/001573 WO2009123407A2 (en) 2008-04-01 2009-03-27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2009801105239A CN101981247B (zh) 2008-04-01 2009-03-27 衣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
US12/920,010 US20110005279A1 (en) 2008-04-01 2009-03-27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E112009000776.7T DE112009000776B4 (de) 2008-04-01 2009-03-27 Wäschebehandlungsmaschine und Steuerverfahren für diesel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396A KR101467776B1 (ko) 2008-04-01 2008-04-0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126A KR20090105126A (ko) 2009-10-07
KR101467776B1 true KR101467776B1 (ko) 2014-12-03

Family

ID=4113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396A KR101467776B1 (ko) 2008-04-01 2008-04-0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5279A1 (ko)
KR (1) KR101467776B1 (ko)
CN (1) CN101981247B (ko)
DE (1) DE112009000776B4 (ko)
WO (1) WO20091234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216A1 (en) * 2014-12-19 2016-06-2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2043948B2 (en) 2019-06-13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2839A1 (de) *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Wärmepumpenkreis
SI23735A (sl) 2011-05-04 2012-11-30 GORENJE@gospodinjski@aparati@d@d Sušilnik perila s toplotno črpalko
JP6052964B2 (ja) * 2012-08-07 2016-12-27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廃蒸気解消装置
CN103526514B (zh) * 2013-09-23 2016-03-30 北京中家智铭设计有限公司 净洗一体机的衣物烘干装置
DE102014200768A1 (de) * 2014-01-17 2015-07-23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in einem Prozessluftkreislauf eines Trockners angeordneten Bauteils sowie 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1597106B1 (ko) 2014-12-19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9584B1 (ko)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587330A (zh) * 2016-07-08 2018-01-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提醒清理储水盒的方法及干衣机
CN108239865A (zh) * 2016-12-27 2018-07-0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干一体机排水结构、洗干一体机及烘干排水方法
CN107653608B (zh) * 2017-10-30 2020-08-28 佛山市巴苏尼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染色工艺的排水控制方法
CN108755051B (zh) * 2018-06-15 2021-08-3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干衣机用冷凝水收集组件及热泵式干衣机
KR102638952B1 (ko) 2018-09-12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34842A (zh) * 2018-12-26 2020-07-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护理设备的储水盒、设备及控制方法
CN111607946A (zh) * 2020-05-09 2020-09-0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JP1720856S (ja) * 2020-11-12 2022-07-27 履物洗浄・手入れ用キャビネット
CN113605066B (zh) * 2021-05-14 2024-09-03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干衣控制方法
CN113605050B (zh) * 2021-09-06 2023-11-21 海信冰箱有限公司 干衣机排水异常的报警方法、报警控制装置及干衣机
KR20240003157A (ko) * 2022-06-30 202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0335A1 (es) * 2005-03-23 2006-09-28 Ibai, S.Coop.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KR2006012984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5580A (ko) * 2006-04-27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4396C2 (de) * 1982-02-09 1983-12-08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Haushalt-Wäschetrockner mit einem oben angeordneten Kondensat-Sammelbehälter
DE4300694C2 (de) * 1993-01-13 2000-02-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schetrockner mit einer Kondensationseinrichtung
IT1275910B1 (it) * 1995-03-09 1997-10-24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con recupero di condensa in contenitore
IT1275878B1 (it) * 1995-03-09 1997-10-24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con recupero di condensa in contenitore
JPH08314542A (ja) * 1995-05-22 1996-11-29 Takashi Habuka 液面制御装置
US20050115120A1 (en) * 2002-03-01 2005-06-02 Ayla Cevik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 ironing
DE10302866B4 (de) * 2003-01-25 2010-08-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äschetrockner mit einer Einrichtung zum Einsprühen von Zusätzen und Verfahren hierfür
KR100666318B1 (ko) * 2003-08-13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US7418789B2 (en) * 2004-11-10 2008-09-02 Lg Electronics Inc. Combination dryer and method thereof
KR101218465B1 (ko) * 2006-05-15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8360B1 (ko) * 2006-12-29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55757A1 (en) * 2006-12-29 2008-07-03 Jong Seok Kim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0335A1 (es) * 2005-03-23 2006-09-28 Ibai, S.Coop.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KR2006012984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5580A (ko) * 2006-04-27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216A1 (en) * 2014-12-19 2016-06-2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9873971B2 (en) 2014-12-19 2018-01-2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2043948B2 (en) 2019-06-13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0776T5 (de) 2011-04-07
WO2009123407A3 (en) 2010-12-02
CN101981247A (zh) 2011-02-23
WO2009123407A2 (en) 2009-10-08
CN101981247B (zh) 2013-11-06
US20110005279A1 (en) 2011-01-13
DE112009000776B4 (de) 2016-07-07
KR20090105126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7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9802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77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2257206B (zh) 衣服处置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358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0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2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7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304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96469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35823B1 (ko) 의류처리장치
US11441258B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8010778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6777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1077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3580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6777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72884B1 (ko) 의류처리장치
CN113355894A (zh) 洗涤物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