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594A -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594A
KR20200112594A KR1020190091557A KR20190091557A KR20200112594A KR 20200112594 A KR20200112594 A KR 20200112594A KR 1020190091557 A KR1020190091557 A KR 1020190091557A KR 20190091557 A KR20190091557 A KR 20190091557A KR 20200112594 A KR20200112594 A KR 2020011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urifier
purifier
cleaning system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 이 데이비드
강지영
전종건
정해융
곽대영
박소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60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12519B1/en
Priority to US16/821,087 priority patent/US11629873B2/en
Priority to CN202010191311.6A priority patent/CN111720916B/zh
Publication of KR2020011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에 놓이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놓이는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실외정보를 참조하여 실내의 공기청정기를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purify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실내공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많은 부분은, 의류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외부 활동시에 의복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이 의복과 함께 실내로 유입된다. 의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 의류관리기가 각광을 받고 있고, 그 대표적인 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시판하는 스타일러라는 기기가 있다.
의복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기능과, 실내 공기청정을 할 수 있는 기기로서 KR10-2006-0089191호,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가 제시된 바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벽에 설치되는 송풍기구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옷으로 분사하여 옷의 이물질을 털어내기 때문에, 실내로 많은 먼지가 비산한다. 비산하는 먼지는 송풍기구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함께 멀리까지 날아가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더욱 오염시키는 다양한 문제로 연결된다.
KR10-2006-0089191호,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 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의 옷 먼지 제거 도면
본 발명은 상기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의류에서 제거된 먼지의 장거리 비산을 방지하여 실내오염을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류에 이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외기의 공기질 상태를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실내공간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에 놓이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놓이는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의 공기질 정보를 참조하여 실내의 공기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을 닫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실내의 공기질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에 의해서,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질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공기청정기를 동작하여 항상 청정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에는, 시각을 특정하는 타이머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누적되는 공기질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에 누적되는 이물의 양을 추산하여 귀가 후에 의복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터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작은 소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쉽게 장착되고 분리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에 의복 등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팬과 필터를 수용하여, 원활하게 주거환경 및 피복환경의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안착센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이동체 공기청정기와 메인 공기청정기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동체 놓임부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식하여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외면의 상하로 길게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원통으로 제공되는 메인 공기청정기의 좁은 각도의 설치 범위에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놓일 수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편리하게 취급하여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이 함몰되어 제공되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선단부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의 바닥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력이 없더라도 이동체 놓임부에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삽입되는 것만으로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메인 공기청정기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보조적인 수단으로 마그넷 등이 추가로 마련되어,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하였던 위치의 공기질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입고 있던 옷에 붙은 먼지의 양을 파악하여, 옷의 먼지를 털어낼 것인지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공기청정기가 자동을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연적으로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에 대응하여 실내공간을 더 적극적으로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키지 않고 외출하더라도, 귀가 후에 바로 청정공기의 분위기에서 생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적어도 두 개가 식별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같은 실내공간에 생활하는 사람의 수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의복의 먼지를 털어 낼지의 여부를 사용자 별로 추천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상기 공기청정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의 공기질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와 공기청정기 간의 연결이 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공기질센서는 실외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인접하는 실내공간의 공기청정기로 송신하는 것; 및 상기 공기질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참조하여 실외의 공기질이 나쁜 경우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인식하지 않더라도 항상 청정한 실내공기를 즐길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는, 독립된 기기로서 공기질센서 IOT기기에 내장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다른 기기를 조작함이 없이, 사용자는 저렴한 소형 IOT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센서 IOT기는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고정설치되어, 공기청정기가 직접 인접하는 실외공간의 영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공기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과 공기질정보를 메칭하여 시간-공기질정보로서 저장하는 것;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공기청정기로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의 운전여부를 사용자에게 추전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지역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의 운전여부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이동하는 별도의 독립 기기로 제공됨으로써, 옷에 붙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부속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공기청정기를 외부 상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 기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운전여부의 추천으로는, 의복의 이물질 제거여부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옷에 붙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먼지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제거함으로써, 실내로 비산하는 먼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먼지를 이동체 공기청정기에 의한 흡입방식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에 비산하는 먼지는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다시 흡입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는 먼지의 양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과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동기화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없는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서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활동을 한 다음에 실내에서 의복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의복의 오염도를 편리하게 파악하여 의복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실외공기질과 실내공기청정작용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기청정시스템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하는 도면.
도 3은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송풍장치와 직접 관련되는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7은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 내지 도 14는 실외에 놓이는 공기질센서 IOT기기로서, 도 12는 고정형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이동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럭도.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대용량의 공기에 대하여 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공기청정기(1)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고 소용량의 공기에 대한 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임에 반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사용자가 잡고서 편하게 사용하고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위치 고정된다는 것의 의미는, 벽이나 바닥에 고정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왼전히 이동시킬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 비하여 무겁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자주 옮기며 사용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대용량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소용량인 것은, 단위시간당 최대청정용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내부의 팬을 최고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 내부의 팬을 최저속도로 회전시키면, 청정용량은 역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대용량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소용량인 것은 변함이 없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거실 또는 옷방 등의 실내 공간에 놓여서, 해당 실내 공간의 전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의류에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의류표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에 정화된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상태와 무관하게 그 자신의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안쪽이 아니라 바깥쪽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바깥쪽 벽면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동체 공청기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창착된 상태에서, 자신의 고유한 공청작용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물론, 공청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주된 기능인 휴대용이라는 사용에 비하여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본체로 하는 충전 및 통신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분리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놓이는 이동체 놓임부(15)에는 라이트(3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38)는 필요시에 조명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38)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을 위하여 빛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흡입체(31)와, 상기 흡입체(3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3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체(31)는 일방향으로 긴 바의 형상이다. 상기 흡입체(31)의 하측면은 편평한 이차원 평면구조로 제공되는 흡입면(3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면(33)의 안쪽으로는 필터(34)가 고정되어, 상기 흡입면(3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흡입체(31)와 상기 손잡이(32)가 접속되는 부분에는, 상기 손잡이(32)가 상기 흡입체(31)보다 상방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홉입체(31)에서 상방으로 벤딩되는 벤딩부(37)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37)에 의해서, 의류와 손이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흡입면(33)은 전체로서 의류에 접하여 의류의 먼지를 원활히 빨아들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과도하게 손잡이를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에 오염물질이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록 상기 흡입체(31)와 상기 손잡이(32)의 연장방향이 같다고 하더라도, 상기 손잡이(32)의 중심축은 상기 흡입체(31)의 중심축에 비하여 'D' 만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37) 및 상기 흡입체(31)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청정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로는 상기 필터(34)에 의해서 이물질이 걸러진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는 전후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는 상기 손잡이(32)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손잡이의 전방 좌우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는 상기 벤딩부(37) 및 상기 흡입체(31)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36)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의류로 송풍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토출공기에 기류에 의해서 의류로부터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먼지가 줄어들면, 실내환경의 전체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와 상기 필터(34)의 사이에는 팬(35)이 제공되어, 필터(34) 및 흡입면(33)에 음압을 인가한다. 상기 음압에 의해서 이물질을 가지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의류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31)는 의류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더 쉽게 흡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입체의 높이를 H라 하고, 상기 흡입체의 폭을 W라 하고, 상기 흡입체의 길이를 L라고 할 때, 이 경우에, 상기 H < W < L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좌우 길이가 가장 길어서, 사용자가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잡고 손을 흔드는 것에 의해서, 의류의 넓은 영역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폭을 상기 흡입체의 높이보다 크게 하여, 같은 의류의 영역에서 더 많은 시간 동안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높이는 공기유동의 통로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장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로서 실시예에 따른 메인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및 송풍장치와 직접 관련되는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케이스(101) 및 토출가이드장치(190) 등의 구성이 제거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의 송풍장치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메인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원형의 단면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이는 이동체 놓임부(15)의 영역에서는 안쪽으로 요입되는 홈이 제공되어 완벽한 원형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해당하는 비원형의 영역은 풍향안내구조를 가져서, 공기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메인 공기청정기(1)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유동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하부 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1)는 원형 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필터를 구비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공기청정모듈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상기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미도시)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상기 분리부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중력방향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은 팬(1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 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은, 원주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측 흡입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는 토출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05)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190)의 토출그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9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 방향 상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토출그릴(192)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192)은 나선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토출그릴(192)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퍼지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측 흡입부(10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구(1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2)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구(112)는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2) 및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원통형인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을 형성하며 레버장치(142)를 지지하는 레버지지부(113),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부(11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는, 핸들(144)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레버돌출부(14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돌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테두리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버돌출부(145)는 후술할 지지장치(14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핸들(144)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 상기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레버 돌출부(14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버돌출부(145)에 대응하는 갯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 돌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버 돌출부(145)의 상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맞닿으면, 상기 레버본체(143)는 상기 지지장치(1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
반면에, 상기 레버 돌출부(145)의 하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맞닿으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로 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프레임(1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은 대략 일부분이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내주면측에는, 상기 레버장치(142) 및 지지장치(1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20)가 놓여지는 안착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절개된 일부 공간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이 조작되는 것을 허용하는 핸들공간부(131a)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은 상기 핸들공간부(131a)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부는 후술할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분리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가 분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재(120)가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핸들(144)이 조작되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재(120)는 결합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구(10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1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팬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기 팬하우징(150)에는, 팬(160)이 수용된다. 상기 팬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팬유입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팬유입부(152)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필터부재(1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160)은 상기 팬유입부(152)의 상측에 놓여진다. 상기 팬(160)으로는,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팬모터(165)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는 상기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햐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팬유입부(152)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팬유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된다. 공기는 상기 팬(16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블레이드(163)를 거쳐 유출된다. 이때, 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에지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 장치(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는 상기 팬하우징(15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는 상 기 팬하우징(150)의 외경과 동일하게 적층되어 상기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17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벽(171)의 직경은 상기 내벽(172)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외벽(171)의 직경은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 내벽(172)의 직경은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17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는 상기 팬모터(165)를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의 회전축은 상기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17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베인(175)은, 상기 팬(160)을 거쳐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은, 상기 외벽(171) 및 상기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B-B'의 단면도로서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놓이는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조는 도시하지 않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과 관련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전면부에는 상하로 길게 이동체 놓임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15)는 상기 케이스(101)의 안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기기 외면에서 안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흡입체(31)의 우측단부는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착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2)를 손쉽게 쥐고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취급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대응되는 한 쌍의 마그넷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바닥부 및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내면에 각각 이동체 마그넷(62) 및 본체 마그넷(6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61)(62)은, 상기 흡입체(31)의 선단부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바닥에 놓일 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이는 곳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안착센서(63)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가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장착된 것과 탈착된 것을 감지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청시스템의 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센서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전파감지, 전기단락, 기계적인 스위칭, 광신호단절, 무게변화, 및 열적변화 등,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안착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어떠한 전기적 또는 물리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에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흡입면(33) 주변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지만, 정확한 설명을 위하여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팬(35)은, 본 도면에서는 팬 구동부(46)로 칭하여, 상기 팬(35)을 포함하고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 등을 통칭하는 구성의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메인 공기청정기(1),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과 분리가 자유로운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포함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5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5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5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5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5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 구동부(5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7),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 대한 충전동작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58), 메인 공기청정기(1)의 주변부 및 엑세서리의 상태 등 외부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59), 및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6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9)에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 및 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안착센서(60), 및 실내 환경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1)와 연결되는 통신부(5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54)에 의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접속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4)는 바람직하게 무선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4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4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구동부(4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7),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충전동작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4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는 통신부(4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44)에 의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 접속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는 바람직하게 무선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44)(54) 간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상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54) 간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지시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 각각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부(48)(58) 간의 접속에 의해서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안착센서(60)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안착상태가 변하여 분리된 것을 감지하여, 미리 결정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0)의 신호상태변화를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제어부(51)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한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상태의 변화로는, 메인 공기청정기(1)의 가동상태변경, 및 조명부(62)의 동작상태의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좁은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고성능 필터를 제공할 수 없다. 극히 미세한 먼지 등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필터에 그 전부가 걸러지지 못하고, 주변부를 오염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작용에 의한 주변부의 오염를 없앨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메인 공기청정기(1)의 운전과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운전을, 다양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은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의 다양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되어 있고,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의 연결 동작은 대기상태이다(S1).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운전 중일 수도 있고, 운전 중이 아닐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면, 그 사실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S2).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제어부(51)는 상기 안착센서(60)의 오프 신호, 즉 이동체 공청기(2)의 분리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부(55)를 동작시킬 수 있다(S3).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분리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함께 동작을 개시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명확해 진다.
첫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먼지를 불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흡입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르면, 비산먼지가 없어지고,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먼지가 줄어든다.
둘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흡입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하더라도,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대적으로 저효율이기 때문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통과하는 먼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이동 중에 공기청정기로 흡입되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지는 먼지가 있을 수 있다. 이들 비흡입 먼지는 주변부 실내바닥 및 주변부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부의 먼지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의해 흡입되어 걸러짐으로써 주변부의 비산먼지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셋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사용자의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연동운전에 의하면, 실내환경이 개선되고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함께 동작되는 중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될 수 있다(S4).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정지시킬 수 있다(S5).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키는 것에서만 다르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8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에 더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이 시작된 다음에 수행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분리단계(S3)와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21)가 모두 수행된 다음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21)는, 상기 통신부(44)(54)의 상호 연결에 의해서 두 공기청정기 간에 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이 시작되지 않은 단계에서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가 되더라도 아직 먼지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문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되지 않아도 무방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키는 것에서만 다르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에 더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되거나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동작되더라도,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바로 운전되지 않는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먼지를 감지한 후에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분리단계(S3)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감지(S22)가 모두 수행된 다음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수행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감지단계(S22)는, 상기 먼지센서(61)에 의해서 일정 수준이상의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분리되더라도 먼지가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되더라도, 첫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둘째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센서가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의복의 먼지를 제거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임과 함께, 사용자에게 도 8 내지 도 10의 운전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되어 있고,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의 연결 동작은 대기상태이다(S31).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운전 중일 수도 있고, 운전 중이 아닐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면, 그 사실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S32).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제어부(51)는 상기 안착센서(60)의 신호에 근거하여, 조명부(62)를 동작시킬 수 있다(S33). 상기 조명부(62)는 의복을 비추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조명하에서 편리하게 의복에서 먼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라이트(38)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위치를 편리하게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흡입부가 있는 위치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빛이 비추어지는 의복의 외면을 관찰하며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흡입부와 근접하므로, 사용자는 그 근처에서 의복의 먼지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서, 메인 공기청정기와 의복의 위치는 더 가까워 질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서 걸러지지 못하거나 비산된 먼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결국, 공기청정시스템 주변의 바닥 및 실내공간은 더욱 청결해 지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및 상기 조명부(62)가 함께 동작하는 중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꺼지거나,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될 수 있다(S34).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정지시킬 수 있다(S35).
상기되는 실시예는 사용자의 의복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더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용도에 대한 적합성은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의복에 어느 정도의 먼지가 붙어 있는지 또는 실외공기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는 실내의 공기청정시스템에 사용되지 못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자신의 느낌이나 뉴스를 보고서 판단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영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실외공기의 질에 대응하여 더 정확한 정보에 따라서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하의 설명은 상기되는 실시예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것은 원 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실외에 놓이는 공기질센서 IOT기기로서, 도 12는 고정형이고, 도 13 및 도 14는 이동형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 난간(210)에 설치되는 고정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2)를 도시한다. 상기 고정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의 공기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하는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3)를 도시한다.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3)는 사용자에 신체 및 신체에 인접하는 어느 곳에 부착하기 위하여 노끈(20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3)는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하는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3)를 도시한다.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2)는 사용자에 신체의 어느 곳에 부착하기 위하여 클립(20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2)는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IOT기기의 손쉬운 체결 위치로서, 가방끈(211)을 예시하고, 가방끈에 상기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3)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5는 도 7에 상기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 및 상기 고정형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추가되는 것으로서, 메인 공기청정기 및 이동체 공기청정기에 대한 설명은 도 7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5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5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5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5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5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구동부(5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7),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 대한 충전동작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58), 메인 공기청정기(1)의 주변부 및 엑세서리의 상태 등 외부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59), 및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6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9)에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 및 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안착센서(60), 및 실내 환경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1)와 연결되는 통신부(5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4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4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4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4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구동부(4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7),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충전동작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4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는 통신부(4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 연결되어 상호 연결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는 바람직하게 무선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에는, 기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1), IOT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307), 및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하나의 기기가 공기청정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인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같은 실내 공간에 거주하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는 자신만의 공기질센서 IOT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사용자는 자신의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고유부호에 의해서 식별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6)는 와이파이, 근거리 통신, 및 유선접속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외부와 접속할 수 있다. 접속한 후에는 상기 메모리(307)에 저장된 정보 또는 자신이 감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의 구동부로는, 기기가 놓이는 공간이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302),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303), 현재시각 및 경과시간을 특정할 수 있는 타이머(304), 및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0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자신이 감지한 공기질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306)을 통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공기청정기(1)(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자신이 감지한 공기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상기 타이머(204)를 이용하여, 특정시각에 대응되는 공기질을 측정하여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공기질정보를 메칭해 둘 수 있다. 상기 타임 스팸프는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소정의 시간동안에 공기질의 변화를 계속 측정하여 연속적으로 공기질을 파악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라도, 특정시각에 대응하는 공기질정보가 서로 메칭되는 정보로서 유지될 수 있다. 이 정보를 시간-공기질정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는 통신부(306)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으로 송신된 시간-공기질정보는,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를 착용한 사용자의 의복에 이물이 어느 정도 부착되었는지 판단하는 일 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공기질정보를 참조하여 짧은 시간 동안이라고 공기오염이 심각한 지역에 있었다면,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이용하여 의복을 먼지를 털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을 이용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자기가 놓이는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청정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참조하여, 실외의 공기질이 나쁜 경우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42).
실외공기는 묻을 닫아 두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외의 공기가 나쁜 경우에는 실내의 사용자가 없더라도 실내의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영하여야만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외공기의 질이 나쁜 경우에는 공기청정시스템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고정형 공기질센서 IOT기기(202)의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공기질 센서 IOT기기(202)는 공기청정시스템이 설치되는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곳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IOT기기가 놓이는 환경의 실외공기가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형 공기질 센서 IOT기기(203)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대기의 공기질은 광역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자기가 놓이는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S51). 현재의 공기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와 인접하는 사용자에게 마스크착용을 경고할 수 있다(S52). 같은 지역의 사용자에게도 통신부를 통하여 마스크 착용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가 공기청정시스템의 메인 공기청정기(1) 및 이동체 공기청정기(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접근한다(S53). 이후에 공기질센서 IOT기기(202)(203)는, 메인 공기청정기(1) 또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시간-공기질정보가 송신할 수 있다(S54).
상기 시간-공기질정보가 수신되면, 메인 공기청정기(1) 또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의복에 이물이 많이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의복먼지를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로 털어내거나 또는 털어내지 않아도 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S55). 다시 말하면, 의복에 붙은 이물질의 정도를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로 파악하여 의복의 이물질을 털어낼지의 여부를 추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기가 생활한 공간의 공기질정보를 알지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의복에 이물이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청결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제어방법은,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각각의 공기질센서 IOT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사용자 마다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시스템에는,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의 메인 공기청정기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이 자유롭고, 의복에 적용이 자유로운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함께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기기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복의 먼지청소를 두 기기의 상호협력에 의해서 더 높은 효율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인 적용이 크게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공기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청결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1: 메인 공기청정기
2: 이동체 공기청정기
202: 고정형 공기질센서 IOT기기
203: 이동형 공기질센서 IOT기기

Claims (20)

  1.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에 놓이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실외공간에 놓여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에 의해서,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질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자동으로 동작되는 공기청정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에는, 시각을 특정하는 타이머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작은 소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되고 분리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팬과 필터를 수용하는 공기청정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안착센서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동체 놓임부에 안착되는 공기청정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놓임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외면의 상하로 길게 제공되는 공기청정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놓임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에서 함몰되어 제공되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선단부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의 바닥에 접하는 공기청정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청정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고정되어 상기 실외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청정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적어도 두 개인 공기청정시스템.
  13. 공기질센서가 실외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인접하는 실내공간의 공기청정기로 송신하는 것; 및
    상기 공기질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참조하여 실외의 공기질이 나쁜 경우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이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는, 독립된 기기인 공기질센서 IOT기기에 내장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는 상기 실내공간과 인접하는 실외공간에 고정설치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는, 상기 공기청정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7.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공기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과 공기질정보를 메칭하여 시간-공기질정보로서 저장하는 것;
    상기 공기질센서 IOT기기가 공기청정기로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참조하여 공기청정기의 운전여부를 사용자에게 추전하는 것이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센서 IOT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이동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부속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질센서 IOT 기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시간-공기질정보를 송신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운전여부의 추천은, 의복의 이물질 제거여부를 추천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091557A 2019-03-19 2019-07-2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112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0853.6A EP3712519B1 (en) 2019-03-19 2020-03-04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US16/821,087 US11629873B2 (en) 2019-03-19 2020-03-17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CN202010191311.6A CN111720916B (zh) 2019-03-19 2020-03-18 空气过滤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62 2019-03-19
KR20190031462 2019-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94A true KR20200112594A (ko) 2020-10-05

Family

ID=7280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557A KR20200112594A (ko) 2019-03-19 2019-07-2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5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191A (ko) 2006-07-19 2006-08-08 송경애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191A (ko) 2006-07-19 2006-08-08 송경애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873B2 (en)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CN111720908B (zh)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WO2018000716A1 (zh) 手持吸尘器
US11566800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KR101996058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00458A1 (zh) 手持吸尘器
KR101611026B1 (ko) 공기 청정기
KR20200112591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60199A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200112592A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112594A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111894A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111893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102554773B1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200111898A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4174356A (ja) 空気清浄機
KR20200111886A (ko) 공기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