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592A -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2592A KR20200112592A KR1020190091553A KR20190091553A KR20200112592A KR 20200112592 A KR20200112592 A KR 20200112592A KR 1020190091553 A KR1020190091553 A KR 1020190091553A KR 20190091553 A KR20190091553 A KR 20190091553A KR 20200112592 A KR20200112592 A KR 20200112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purifier
- air
- main air
- cleaning system
- moving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에는, 팬 및 필터가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거르는 흡입체; 상기 흡입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체에 제공되고, 상기 흡입체의 하면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타격 부재를 요동시켜 의복의 이물을 털어내는 터는 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먼지를 더 신속하게 털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일정부분은 의류에서 발생한다. 의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 스타일러라는 의류관리기도 각광을 받고 있다.
다른 일 예로, 의복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기능과, 실내 공기청정을 할 수 있는 기기로서 KR10-2006-0089191호,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 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 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가 소개된 바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벽에 설치되는 송풍기구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옷으로 분사하여 옷의 이물질을 털어내기 때문에, 실내로 많은 먼지가 비산한다. 비산하는 먼지는 송풍기구의 공기유동과 함께 멀리까지 날아가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더욱 오염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의류에서 제거된 먼지의 장거리 비산을 방지하여 실내오염을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류에 이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의복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에는, 팬 및 필터가 마련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이물질을 거르는 흡입체; 상기 흡입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체에 제공되고, 상기 흡입체의 하면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타격 부재를 요동시켜 의복의 이물을 털어내는 터는 기기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의복의 이물질을 손쉽게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흡입체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어, 별도의 전력기구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흡입체의 하면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져서, 의복의 먼지를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하면은, 바깥쪽 끝단에 두 꼭지점을 가지고,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을 가지도록 하여,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의복의 여러 위치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바깥쪽 끝단 두 꼭지점의 각도(β)는, 상기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의 각도(α)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의복의 어느 곳이나 다다를 수 있고,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흡입체를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이 닿지 않는 접히는 곳까지 흡입체의 두 끝단은 가 닿을 수 있다.
상기 바깥쪽 끝단에 두 꼭지점의 각도(β), 및 상기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의 각도(α)는 모두 90도보다 작다. 이에 따르면, 의복의 안쪽에 보이지 않는 구석 부분까지 공기청정기가 다다를 수 있다.
상기 흡입체는 상기 흡입체의 상면 및 상기 흡입체의 하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따르면, 하면유동을 통한 이물질 흡입 및 상면유동을 통한 흡입체 내부 구조물의 회전동력제공이라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중심축은 상기 흡입체의 중심축에 비하여 위에 위치하여, 의복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대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작은, 소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쉽게 장착되고 분리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되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의복을 청소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에는, 필터를 가지는 흡입체; 및 상기 흡입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측면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흡입측면에 대한 청소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흡입측면에 대한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포함되는 먼지 흡입구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먼지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흡입체, 특히 흡입측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입구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음압이 인가되어, 별도의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흡입체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입구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흡입구 연결관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메인 공기청정기 흡입측의 음압이 이동체 공기청정기에 이를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는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큰 부피의 흡입체의 장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을 감지하는 안착센서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이동체 공기청정기와 메인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통신이 수행되어, 상호 간의 연동작용이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하면에서 외부로 드러나고 의복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 부재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의복이나 섬유제품 등을 털어서 먼지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타격 부재와 연동하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회전부가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기류를 이용하기 때문에,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팬 모터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작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흡입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가능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며 타격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대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는 것을 신호로 이용하여,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상태가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메인 공기청정기와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내어, 더 효율적인 공기청정운전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동작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에서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더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먼지는 흡입하는 방식으로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비산하는 먼지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다단으로 먼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실내로 비산하는 먼지를 더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의 먼지를 이동체 공기청정기에 의한 흡입방식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공기 중에 비산하는 먼지는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다시 흡입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는 먼지의 양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과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동기화될 수 있어서, 필요없는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ㅐ? 먼지를 털어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 후에 옷에 붙어 있는 먼지를 거의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하는 도면.
도 3은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송풍장치와 직접 관련되는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7은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터는 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케이스부, 회전부 및 동력 전달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회전부와 동력 전달부의 분해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펀칭부의 동작을 순차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의 사시도.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의 먼지의 흡입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1은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이동체 공기청정기를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하는 도면.
도 3은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송풍장치와 직접 관련되는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B-B'의 단면도.
도 7은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터는 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케이스부, 회전부 및 동력 전달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회전부와 동력 전달부의 분해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펀칭부의 동작을 순차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의 사시도.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의 먼지의 흡입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1은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대용량의 공기에 대하여 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공기청정기(1)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고, 소용량의 공기에 대한 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임에 반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편하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위치 고정된다는 것의 의미는, 벽이나 바닥에 완전히 고정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왼전히 이동시킬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 비하여 무겁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자주 옮기며 사용하는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대용량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소용량인 것은, 단위시간당 최대청정용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내부의 팬을 최고로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 내부의 팬을 최저속도로 회전시키면, 청정용량은 역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대용량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소용량인 것은 변함이 없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거실 또는 옷방 등의 실내 공간에 놓여서, 해당 실내 공간 내부 전체 영역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의류에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의류표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에,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상태와 무관하게 그 자신의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바깥쪽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창착된 상태에서, 자신의 고유한 공청작용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청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주된 기능이 휴대용이라는 점에서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본체로 하여 충전 및 통신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메인 공기청정기에서 분리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메인 공기청정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놓이는 이동체 놓임부(15)에는 라이트(38)가 제공된다. 상기 라이트(38)는 공기청정시스템의 필요 시에 조명을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38)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었을 때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을 위하여 빛이 필요한 상황임을 감안하여 자동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메인 공기청정기(1)의 근처에서 의복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놓임부(15)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접하는 면에는, 먼지 흡입구(64)가 마련된다. 상기 먼지 흡입구(64)는 다수의 홀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입구(64)를 통해서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흡입측면(suction surface)(33)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메인 공기청정기(1)로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입구(64)의 작용은 후술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입체(31)와, 상기 흡입체(31)와 같은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32)가 포함된다.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래를 향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쥐고 메인 공기청정기(1)에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31)는 상면은 대략 사각형이고 하면은 대략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체(31)의 하면은 편평한 이동변 삼각형의 흡입측면(33)를 이차원 평면구조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측면(33)은, 상기 흡입측면(33)의 바깥쪽 끝단에 제공되는 두 꼭지점과, 상기 흡입측면(33)의 안쪽 끝단에 제공되는 한 개의 꼭지점을 가지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쪽 끝단의 한 꼭지점은 α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바깥쪽 끝단의 두 꼭지점은 β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측면(33)의 각 꼭지점의 각도는, 의복의 겨드랑이, 및 바지의 사타구니 등의 지점에 대한 원활한 이물제거를 수행하는 목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의복의 겨드랑이는 바깥쪽 끝단의 두 꼭지점 부분이 대응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바지의 사타구니는 안쪽 끝단의 한 꼭지점 부분이 대응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의류의 접혀지는 부분 구석구석에 대하여 정확히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꼭지점의 각도는 α<β<9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측면(33)의 바깥쪽 단부에는, 외부로 드러나는 타격부재(5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510)는 의복을 털 수 있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타격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격 부재(510)를 동작시키는 터는 기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흡입측면(33)의 안쪽에는 필터(34)가 고정되어, 상기 흡입측면(33)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흡입체(31)와 상기 손잡이(32)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손잡이(32)는 상방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7)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7)에 의해서, 의류와 손이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흡입측면(33)이 전체로서 의류에 접하여 의류의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비록 상기 흡입체(31)와 상기 손잡이(32)의 연장방향이 같은 경우라도, 단차를 제공하여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흡입체(31)에 비하여 그 기하학적 중심이 'D' 만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7) 및 상기 흡입체(31)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청정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로는 상기 필터(34)에 의해서 이물질이 걸러진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는 전후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는 상기 연결부(37) 및 상기 흡입체(31)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36)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의류로 송풍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결국 의류로부터의 비산먼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먼지가 줄어들면, 실내환경의 전체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6)와 상기 필터(34)의 사이에는 팬(35)이 제공되어, 필터(34) 및 흡입측면(33)에 음압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가지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의류에 붙어 있는 먼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로서 실시예에 따른 메인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 및 필터와 직접 관련되는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케이스(101) 및 토출가이드장치(190) 등의 구성이 제거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의 송풍장치는 단면이 대략 원형인 메인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원형의 단면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이는 이동체 놓임부(15)의 영역에서는 안쪽으로 요입되는 홈이 제공되어, 완벽한 원형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원형의 영역은 풍향안내구조를 제공하여 공기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메인 공기청정기(1)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유동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하부 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1)는 원형 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는, 필터를 구비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공기청정모듈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상기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분리부(미도시)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상기 분리부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중력방향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은 팬(1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 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은 원주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측 흡입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는 토출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05)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구비되는 토출가이드장치(190)의 토출그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장치(19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 방향 상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토출그릴(192)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192)은 나선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토출그릴(192)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퍼지는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측 흡입부(10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구(1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2)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구(112)는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배치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2) 및 상기 베이스측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원통형인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을 형성하며 레버장치(142)를 지지하는 레버지지부(113),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부(1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는, 핸들(144)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레버돌출부(14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돌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테두리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버돌출부(145)는 후술할 지지장치(14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핸들(144)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 상기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레버 돌출부(14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버돌출부(145)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 돌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버 돌출부(145)의 상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맞닿으면, 상기 레버본체(143)는 상기 지지장치(1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결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레버 돌출부(145)의 하부가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맞닿으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내려오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은 대략 일부분이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내주면 측에는, 상기 레버장치(142) 및 지지장치(1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20)가 놓이는 안착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1)의 절개된 일부 공간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이 조작되는 것을 허용하는 핸들공간부(131a)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은 상기 핸들공간부(131a)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의 상부는 후술할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필터부재(120)는 분리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가 분리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재(120)가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핸들(144)이 조작되면, 상기 필터부재(1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핸들(1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재(120)는 결합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상기 흡입구(103)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필터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1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팬하우징(150)이 포함된다. 상기 팬하우징(150)에는, 팬(160)이 수용된다. 상기 팬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팬유입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팬유입부(152)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필터부재(1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회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압력을 제공하는 팬(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160)은 상기 팬유입부(152)의 상측에 놓여진다. 상기 팬(160)으로는,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팬모터(165)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는 상기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햐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팬유입부(152)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팬유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된다. 공기는 상기 팬(16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블레이드(163)를 거쳐 유출된다. 이때, 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에지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 장치(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는 상기 팬하우징(15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는 상 기 팬하우징(150)의 외경과 동일하게 적층되어 상기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17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벽(171)의 직경은 상기 내벽(172)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외벽(171)의 직경은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외경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 내벽(172)의 직경은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내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17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는 상기 팬모터(165)를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165)의 회전축은 상기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17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베인(175)은, 상기 팬(160)을 거쳐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75)은, 상기 외벽(171) 및 상기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베인(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B-B'의 단면도로서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놓이는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 구조는 도시하지 않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과 관련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전면에서 상단부에는 이동체 놓임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15)는 상기 케이스(101)의 안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기기 외면에서 일체화되어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손잡이(32)가 아래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에 위치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측과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 측에 마그넷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바닥부 및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내면에, 각각 이동체 마그넷(62) 및 본체 마그넷(6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61)(62)은, 상기 흡입체(31)의 선단부가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정해진 위치에 놓인 후에,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이는 곳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안착센서(63)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장착된 것과 탈착된 것을 감지하여,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청시스템의 운용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3)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센서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전파감지, 전기단락, 기계적인 스위칭, 광신호단절, 무게변화, 및 열적변화 등,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안착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어떠한 전기적 또는 물리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에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이동체 놓임부(15)의 흡입측면(33) 주변을 살균처리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임부(15)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흡입측면(33)과 메인 공기청정기(1)의 먼지 흡입구(64)가 서로 대응하여 놓일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입구(64)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흡입력, 즉 음압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연결관로(1121)가 메인 공기청정기의 흡입구(112)와 먼지 흡입구(64)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인 상태에서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2), 상기 흡입구 연결관로(1121), 및 먼지 흡입구(64)를 통하여 상기 흡입측면(33)으로 음압이 전달된다. 상기 먼지 흡입구(64)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흡입측면(33)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항상 청결한 상태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의 구성 및 그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설명을 위하여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팬(35)은, 본 도면에서는 팬구동부(46)로 지칭하고, 상기 팬(35)을 포함하고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 등을 통칭하는 구성의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청정기(1)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과 탈착이 자유로운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포함한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5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5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5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5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5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구동부(5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7),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 대한 충전여부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58), 메인 공기청정기(1)의 주변부 및 엑세서리의 상태 등 외부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59), 및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6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9)에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 및 분리 상태를 감지하는 안착센서(60), 및 실내 환경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1)와 연결되는 통신부(5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연결되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4)는 바람직하게 무선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에는, 기기를 전체로서 제어하는 제어부(41), 기기 자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구동부(45),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2), 및 사용자의 조작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4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4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팬구동부(46), 기기의 동작정보 및 실내환경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7),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충전여부 및 충전진행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부(4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와 연결되는 통신부(44)가 더 제공되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는 바람직하게 무선통신을 예로 들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유선통신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44)(54) 간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상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 알려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44)(54) 간의 통신에 의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지시는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 각각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부(48)(58) 간의 접속에 의해서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안착센서(60)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안착상태가 변한 것을 감지하여, 미리 결정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0)의 신호상태변화를 트리거 신호로 하여,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제어부(51)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한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상태의 변화로는, 메인 공기청정기(1)의 가동상태변경, 및 조명부(62)의 동작상태의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좁은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고효율의 필터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미세한 먼지 등의 필터에 전부가 걸러지지 못하여, 주변부의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의류를 터는 중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주변에 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에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는 주변부의 오염를 방지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메인 공기청정기(1)의 운전을,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운전과 다양하게 동기화하여, 상기 공기청정시스템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의 다양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의 연동은 대기상태이다(S1).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운전 중일 수도 있고, 운전 중이 아닐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면, 그 사실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S2).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제어부(51)는 상기 안착센서(60)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부(55)를 동작시킬 수 있다(S3).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분리에 의한 동작, 및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분리 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동작이 개시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명확해 진다.
첫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먼지를 불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흡입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르면, 비산먼지가 없어지고,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먼지가 줄어든다.
둘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흡입방식으로 먼지를 필터링하더라도,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대적으로 저효율이기 때문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통과하는 먼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터는 작용에 의해서 공기청정기로 흡입되지 못하고 옷에서 그냥 떨어지는 먼지가 있을 수 있다. 이들 먼지는 주변부 실내바닥 및 주변부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부의 먼지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동작에 의해 다시 흡입되어 걸러짐으로써 주변부의 비산먼지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셋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사용자의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도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연동운전에 의하면, 실내환경이 더욱 개선되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실내공간이 더욱 청결해 지는 것도 물론이다.
넷째,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은, 이동체 공기청정기와 메인 공기청정기가 인접하여 사용되고, 의복의 먼지를 터는 중에 이동체 공기청정기로 흡입되지 못한 이물질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자유낙하한 이물질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로 흡입되어 실내공간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함께 동작되는 중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될 수 있다(S4).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은 상기 안착센서(60)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정지시킬 수 있다(S5).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키는 것에 있어서만 다르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8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에 더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이 시작된 다음에 수행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분리단계(S3)와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21)가 모두 수행된 다음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21)는, 상기 통신부(44)(54)의 상호 연결에 의해서 두 공기청정기 간에 서로 알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이 시작되지 않으면, 분리가 되더라도 아직 먼지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메인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키는 것에서만 다르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의 실시예에 더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먼지를 감지한 후에 수행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분리단계(S3)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감지(S22)가 모두 수행된 다음에,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단계(S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감지는 상기 먼지센서(61)에 의한 일정 수준이상의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이 시작되더라도 먼지가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단계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분리되더라도, 첫째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둘째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먼지센서가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의류에서 떨어진 먼지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의복의 먼지를 제거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임과 함께, 사용자에게 도 8 내지 도 10의 운전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와의 연동은 대기상태이다(S31).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가 운전 중일 수도 있고, 운전중이 아닐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분리되면, 그 사실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S32).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제어부(51)는 상기 안착센서(60)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조명부(62)를 동작시킬 수 있다(S33). 상기 조명부(62)는 의복을 비추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명부(62)의 조명 하에서 편리하게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라이트(38)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위치를 편리하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흡입부와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빛이 비추는 의복을 보고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더 편리하고 정확하고 빠르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2)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의 흡입부와 근접하므로, 사용자는 조명부(62)를 활용하기 위하여 메인 공기청정기(1)의 근처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메인 공기청정기의 근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동작은 의복의 먼지를 털어내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메인 공기청정기와 사용자의 위치는 가까와 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서 걸러지지 못한 먼지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결국, 공기청정시스템 주변의 바닥 및 실내공간은 더욱 청결해지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 및 상기 조명부(62)가 함께 동작되는 중에,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에 장착될 수 있다(S34).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장착은 상기 안착센서(60)에 의해서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알려질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정지하거나 라이팅을 종료시킬 수 있다(S35).
여기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안착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동작종료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꺼지면,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메인 공기청정기(1)에 안착되기 전이라도,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1)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관련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타격부재(510)가 의복을 터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상기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옷을 털어서 먼지 등의 이물을 강제로 제거하는 터는 기기(agitating devic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상기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터는 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케이스부, 회전부, 및 동력 전달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회전부와 동력 전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며 터는 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터는 기기는, 상기 타격부재 및 상기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기기로서, 의복 등의 천을 털어서 의복에 붙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더 신속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터는 기기는, 케이스부(200)에 의하여 외관이 형성되고, 케이스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부 케이스(202)와 하부 케이스(204)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터는 기기는 케이스부(200), 회전부(300), 동력 전달부(400), 및 펀칭부(500)를 나타낸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터는 기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부(200)의 내부에는 회전부(300)와 동력 전달부(400)가 마련된다. 펀칭부(500)는 케이스부(200)의 외부 하면에서 동력 전달부(400)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흡입체(31)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300)와 동력 전달부(400)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이탈 방지 부재(240)가,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240)는 소정 형상의 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는 기기는, 상기 타격 부재(510)를 운동시켜서 옷을 타격해서 먼지를 털어낸다. 털어진 먼지 및 이물 등은,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내부에 장착된 팬(35)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부(200)에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공(도 20의 210참조)과 유입공(도 20의 220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210)과 상기 유입공(220)에는, 상기 팬(35)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압이 전달되고, 그 음압에 의해서 외부로 부터 공기 또는 이물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210)은 케이스부(2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는 기기가 피청소면, 즉 의류에 대하여 흡입하는 경우, 흡입공(210)을 통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이 공기와 함께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220)은 상부 케이스(202), 즉 상기 흡입체(31)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고, 회전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를 유입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가 유입되는 면적이 작을수록 공기의 유입 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회전부(300)의 회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입공(220)은 가로 방향의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공(220)은 회전부(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및 그에 따른 회전부(300)의 회전이 원할히 이루지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공(220)은 회전부(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부(300)의 수평 중심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0)는 케이스부(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회전부(300)는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흡입공(210)과 유입공(2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0)는 다수개의 블레이드(312)가 마련되는 팬(310)과, 팬(310)의 회전축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봉(320)을 포함한다. 상기 팬(310)은 다수개의 블레이드(312)와 블레이드(312)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원판 부재(314)를 포함한다.
다수개의 블레이드(312)는, 원판 부재(314) 사이에 팬(310)의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312)는 장방형의 판재를 만곡시킨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312)는 팬(310)의 회전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입공(220)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오목하게 형성된 블레이드(312)의 일면에 충돌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블레이드(312)의 양단부에는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회전부(300)가 효과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원판 부재(3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판 부재(314)는, 유입공(2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312)에 충돌된 후 블레이드(312)의 측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회전부(300)의 회전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봉(320)은 팬(310)의 회전축이 되기 때문에 팬(31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전달부(400)는 회전부(30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부(200) 내부에 마련되고, 캠축(310)과 캠(420)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400)는 회전부(3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즉, 터는 기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부(300)의 팬(310)이 회전 운동을 하면, 동력 전달부(400)의 캠축(410)과 캠(420)에 의하여 상기 회전 운동은 상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부(400)에 연결된 펀칭부(500)는 진동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펀칭부(500)의 작동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캠축(410)은 회전부(300)의 양측에 마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는, 회전부(300)의 양측에 캠축(410)을 마련함으로써 블레이드(312)가 형성되지 않는 죽은 공간을 제거하였다. 이로 인하여 공기유동이 상기 회전부(300)에 집중되기 때문에, 팬(310)의 회전수 및 회전력이 증대되어 팬(3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캠축(410)은 회전부(3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캠축(4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16)와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부(300)는 케이스부(200) 내부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캠(420)은 캠축(410)과 마찬가지로 회전부(300)의 양측에 마련되어 캠축(410)과 펀칭부(50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캠(420)은 회전부(300)의 팬(310)으로부터 전달받는 동력을 펀칭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펀칭부(500)는 피청소면을 계속해서 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편칭부(500)는 동력 전달부(400)에 연결되고, 의류 등의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 등을 털어서 공기청정기의 본체(40)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즉, 펀칭부(500)가 피청소면을 반복적이고 단속적으로 가압하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먼지 및 이물 등이 비산된다. 비산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흡입공(210)을 통하여 흡입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터는 기기에 포함되는 부품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케이스부(200), 회전부(300) 및 동력 전달부(4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회전부(300)와 동력 전달부(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회전봉(320)이 팬(310)의 회전축에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팬(310)의 양측에 캠(420)이 연결된 캠축(410)을 결합하면, 그와 함께 회전봉(320)의 양단은 캠축(410)에도 관통 결합된다.
상기 캠축(410)은 회전부(3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부(300)와 동력 전달부(4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16)와 결합된다.
이후에, 결합되는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부(400)에 지지 부재(416)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부(200)에 장착된다. 그러면 회전부(300), 동력 전달부(400), 및 지지 부재(416)는 상기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이탈 방지 부재(24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캠(420)의 결합부(424)는 케이스부(20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여 케이스부(2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케이스부(2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캠(420)의 결합부(424)에, 편칭부(500)를 결합시키면, 실시예의 터는 기기의 결합은 완료된다.
도 15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펀칭부의 동작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캠축과 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며 실시예의 터는 기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캠축(410)은 서로 위상차를 가지도록 회전부(300)에 결합된다. 즉, 회전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캠축(410a)과 회전부(3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 캠축(410b)은 위상차가 나도록 배치된다. 동력 전달부(400)의 제 1 캠(420a) 및 제 2 캠(420b)은, 제 1 캠축(410a)과 제 2 캠축(410b)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바와 같이 2개의 캠(420)을 팬(310)의 양측에 마련함으로써, 팬(310)에 블레이드(312)가 형성되지 않은 죽은 공간을 없앨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펀칭부(500)의 진동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캠축(410a) 및 제 2 캠축(410b)의 중심은 팬(3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이에 따르면, 펀칭부(500)의 요동 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캠축(410a) 및 제 2 캠축(410b)의 위상차는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축(410)은, 회전부(3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16)에 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캠(420)이 끼워지는 걸림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420)은, 걸림부(414)가 삽입되는 고리 모양의 고리부(422)와, 펀칭부(500)와 결합하는 결합부(4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칭부(500)에는 홀(41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24)가 홀(412)에 삽입됨으로써 펀칭부(500)와 캠(420)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캠축(410a) 및 제 2 캠축(410b)의 중심은 팬(310)의 회전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캠축(410)의 중심과 팬(310)의 회전축이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펀칭부(500)가 요동 운동을 한다. 따라서, 캠(420)의 왕복 운동 거리의 1/2만큼 캠축(410)의 중심과 팬(310)의 회전축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는 기기의 작동 과정의 초기 상태에서는, 제 1 캠축(410a)의 중심이 팬(310)의 회전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팬(310)의 회전축 위에 위치한다. 제 1 캠축(410a)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 2 캠축(410b)의 중심은, 팬(310)의 회전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팬(310)의 회전축 아래에 위치한다.
제 1 캠(420a)은, 제 2 캠축(410b)의 걸림부(414)에 연결된 캠(420)보다, 캠(420)의 왕복 운동 거리만큼 위에 위치한다. 캠(420)과 결합된 펀칭부(500)는 제 1 캠축(410a)과 연결된 일단부에서 제 2 캠축(410b)과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로 아래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축(410a) 및 제 2 캠축(410b)이 180도 회전을 한다. 이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터는 기기의 작동 과정의 초기 상태와는 반대로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캠축(410a)의 중심이 팬(310)의 회전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팬(310)의 회전축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 1 캠축(410a)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 2 캠축(410b)의 중심은 팬(310)의 회전축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팬(310)의 회전축의 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 캠축(410a)의 걸림부(414)에 연결된 제 1 캠(420a)은, 제 2 캠축(410b)의 걸림부(414)에 연결된 제 2 캠(420b)보다 왕복 운동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한다. 제 1 캠축(410a)과 연결된 펀칭부(500)의 일단부는 피청소면을 가압하게 된다.
반면, 의복 등의 피청소면과 접지된 상태의 제 2 캠축(410b)과 연결된 펀칭부(500)의 타단부는 캠(420)의 왕복 운동 거리만큼 위로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 타단부는 피청소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팬(310)이 일회전을 하는 경우, 제 1 캠(420a) 및 제 2 캠(420b)에 연결된 펀칭부(50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시간차를 두고 피청소면을 각각 한 번씩 가압하는 요동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캠축(410) 간의 위상차가 없는 경우보다 두 배의 청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캠축(410)의 걸림부(414)는 캠(420)의 고리부(422)에 삽입됨으로써 캠(420)과 연결된다. 캠축(410)의 걸림부(414)와 캠(420)의 고리부(422)는 헐거운 끼워 맞춤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터는 기기의 작동시 캠(420)의 고리부(422)는, 캠축(410)의 걸림부(414)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캠축(410)이 캠(420)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7과 도 18에 따르면, 캠축(410)의 걸림부(414)는 캠축(410)의 고정부(412)에서 돌출 형성된 원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414)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며 상기 펀칭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는 기기에는 피청소면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펀칭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펀칭부(500)는 피청소면을 타격함으로써 먼지 및 이물 등이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 및 비산되도록 한다. 분리된 이물이 상기 흡입공(210)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펀칭부(500)는 피청소면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타격 부재(510)와, 타격 부재(510)의 양단에 마련되는 소음 저감 부재(도 12의 52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 부재(510)는 장방형의 판재로써, 피청소면이 섬유 재질의 의복이 타격 부재(510)에 의하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격 부재(510)의 상부면에는 캠(420)의 결합부(424)가 삽입되는 홀(412)이 형성되고, 캠(420)의 결합부(424)가 타격 부재(510)의 홀(412)에 삽입됨으로써 펀칭부(500)는 동력 전달부(400)와 연결된다.
소음 저감 부재(520)는 펀칭부(500)의 피청소면 가압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 부재(510)의 각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타격 부재(5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소음 저감 부재(520)의 단부 역시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캠(420)과 결합된 펀칭부(500)는, 제 1 캠(420a)과 연결된 일단부와 제 2 캠(420b)과 연결된 타단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따로 피청소면을 각각 한 번씩 가압하는 요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써, 타격 부재(510)의 양단부가 피청소면을 때리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 저감 부재(520)는 타격 부재(51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펀칭부(500)는 피청소면을 가압하면서 먼지 및 이물 등을 분리하는 부분으로서, 펀칭부(500)에는 피청소면과의 접촉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돌기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530)는 펀칭부(500)가 피청소면과 접촉되도록 타격 부재(510) 및 소음 저감 부재(520)로부터 돌출형성되고, 대략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돌기부(530)에 돌출된 복수 개의 작은 돌기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스부(200)의 저면에는 타격 부재(510)를 회피시키는 캐비티(230)가 형성된다.
상기 펀칭부(500)는 하부 케이스(204)의 하면에서 케이스부(200) 내부에 장착된 동력 전달부(4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펀칭부(500)가 피청소면을 가압할 경우뿐만 아니라, 펀칭부(500)가 케이스부(200)의 외면과 충돌할 경우에도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펀칭부(500)의 요동 운동시 타격 부재(510)와 케이스부(20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캐비티(230)가 케이스부(200)의 저면에 마련된다.
상기 캐비티(230)는 타격 부재(510)가 회피되도록 케이스부(200)의 저면을 함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는 기기의 작동 과정의 초기 상태에서, 캠(420)과 결합된 펀칭부(500)는 제 1 캠(420a)과 연결된 일단부에서 제 2 캠(420b)과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로 아래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팬(310)이 일회전을 하는 경우, 제 1 캠(420a) 및 제 2 캠(420b)에 연결된 펀칭부(50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시간차를 두고 피청소면인 의복을 각각 한 번씩 가압하는 요동 운동을 한다.
상기 캐비티(230)는 타격 부재(510)의 중심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 갈수록 케이스부(200)의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200)의 저면에는 결합부(424)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캠(420)의 결합부(424)는 하부 케이스(204)의 하면에 마련된 펀칭부(500)와 결합하기 위하여 케이스부(200)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다.
상기 펀칭부(500)가 요동 운동을 하게 되면, 캠(420)의 결합부(424)와 케이스부(200)의 관통공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캠(420)의 결합부(424)와 관통공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424)를 탄성 지지하는 관통부재(도 12의 250참조)가 관통공에 마련된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먼지의 흡입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며 실시예의 흡입공과 유입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터는 기기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 내부에 장착된 팬(35)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따라서, 케이스부(200)에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공(210)과 유입공(220)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부(200)의 외부 하면에 마련된 펀칭부(500)의 가압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이 비산할 수 있다. 비산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이동체 공기청정기(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입공(210)은 케이스부(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공(210)은 펀칭부(500)에 인접하는 영역에서도 마련되어 비산된 먼지를 바로 흡입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측면(33)도 비산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220)은 회전부(300)를 회전시키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케이스부(20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면적이 작을수록 공기의 유입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00)의 회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입공(220)은 가로 방향의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공(220)은 회전부(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유입공(220)은 팬(310)의 장착 위치를 바라보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유입 및 회전부의 회전이 원할히 이루지도록 한다.
또한, 유입공(220)에는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리브(222)가 케이스부(200)의 내부에 장착된 팬(310)을 향하여 마련된다. 이로써, 회전부(300)의 회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상기 터는 기기에 의해서 의복의 먼지를 털어서 제거할 수 있다. 털어진 먼지는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바닥에 마련되는 흡입공(210)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깥으로 비산된 먼지는 상기 유입공(220)을 통하여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간으로 퍼지는 이물질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도 21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메인 공기청정기(1)가 대기 상태에 놓여있다(S41). 이때,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상기 놓임부(15)에 장착되면, 상기 안착센서(63)에 의해서 이동체 공기청정기(2)가 놓인 사실을 메인 공기청정기(1)에 감지될 수 있다(S42).
이때,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2)는 적어도 한 차례 사용이 된 것으로서, 이물이 많이 붙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메인 공기청정기(1)가 동작하여, 상기 흡입구 연결관로(1121)를 통하여 음압이 인가되고, 이동체 공기청정기(2)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S43). 특히, 상기 흡입측면(33)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더 충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에 따르면, 이동체 공기청정기(2)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시스템에는, 위치가 고정되는 형태의 메인 공기청정기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이 자유롭고, 의복에 적용이 자유로운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함께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기기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복의 먼지청소를 두 기기의 상호협력에 의해서 더 높은 효율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인 적용이 크게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의 먼지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 메인 공기청정기
2: 이동체 공기청정기
500: 펀칭부
510: 타격부재
2: 이동체 공기청정기
500: 펀칭부
510: 타격부재
Claims (20)
- 팬 및 필터가 마련되어 외기를 흡입하고 이물질을 거르는 흡입체;
상기 흡입체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체에 제공되고, 상기 흡입체의 하면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타격 부재를 요동시켜 의복의 이물을 털어내는 터는 기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흡입체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공기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하면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하면은,
바깥쪽 끝단에 두 꼭지점을 가지고,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끝단에 두 꼭지점의 각도(β)는, 상기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의 각도(α)보다 큰 공기청정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끝단에 두 꼭지점의 각도(β), 및 상기 안쪽 끝단에 하나의 꼭지점의 각도(α)는 모두 90도 보다 작은 공기청정기.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는, 상기 흡입체의 상면 및 상기 흡입체의 하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청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중심은 상기 흡입체의 중심에 비하여 위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 - 대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작은, 소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쉽게 장착되고 분리되는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에는,
필터를 가지는 흡입체; 및
상기 흡입체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체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측면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를 바라보도록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면와 대응되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포함되는 먼지 흡입구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구에는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음압이 인가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구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흡입구 연결관로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는 하측을 향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의 안착을 감지하는 안착센서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와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는 통신이 수행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하면에서 외부로 드러나고 의복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와 연동하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회전부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흡입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한 공기청정시스템. - 대용량의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메인 공기청정기; 및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고,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는 것을 신호로 이용하여,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의 동작상태가 변할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면, 상기 메인 공기청정기가 동작하여, 상기 이동체 공기청정기에서 이물질을 떼어내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118682.1A CN111720908B (zh) | 2019-03-19 | 2020-02-26 |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
EP20160997.1A EP3712520B8 (en) | 2019-03-19 | 2020-03-04 | Air purifier, air purifying system |
US16/821,124 US11623173B2 (en) | 2019-03-19 | 2020-03-17 | Air purifier,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purify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31481 | 2019-03-19 | ||
KR1020190031481 | 2019-03-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592A true KR20200112592A (ko) | 2020-10-05 |
Family
ID=7280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553A KR20200112592A (ko) | 2019-03-19 | 2019-07-29 |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259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87999A (zh) * | 2022-06-02 | 2022-08-12 | 潍坊学院 | 一种清洁装置 |
CN115193173A (zh) * | 2022-07-07 | 2022-10-18 | 白鸽在线(厦门)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投保系统及终端数据处理服务器 |
CN118482472A (zh) * | 2024-07-16 | 2024-08-13 | 靖江市九洲空调设备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机组的过滤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9191A (ko) | 2006-07-19 | 2006-08-08 | 송경애 |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553A patent/KR2020011259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9191A (ko) | 2006-07-19 | 2006-08-08 | 송경애 | 초고속 헤어, 핸드, 바디 건조및 옷 먼지 제거(에어워시),공기청정기 기능의 다기능 드라이어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87999A (zh) * | 2022-06-02 | 2022-08-12 | 潍坊学院 | 一种清洁装置 |
CN114887999B (zh) * | 2022-06-02 | 2023-05-26 | 潍坊学院 | 一种清洁装置 |
CN115193173A (zh) * | 2022-07-07 | 2022-10-18 | 白鸽在线(厦门)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投保系统及终端数据处理服务器 |
CN115193173B (zh) * | 2022-07-07 | 2023-10-27 | 白鸽在线(厦门)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投保系统及终端数据处理服务器 |
CN118482472A (zh) * | 2024-07-16 | 2024-08-13 | 靖江市九洲空调设备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机组的过滤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720908B (zh) |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 |
KR20200112592A (ko) |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
US11566800B2 (en) |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 |
JP3223545U (ja) | 集塵裝置 | |
KR100768076B1 (ko) | 먼지떨이용 집진기 | |
TWI642853B (zh) | 離心式動葉輪、電動送風機、電動吸塵器以及烘手機 | |
JP6833306B2 (ja) | 布団用電気掃除機 | |
KR100802021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90063521A (ko) |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 |
KR20200111893A (ko) |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 |
JP2002349918A (ja) | 空気清浄機 | |
JP6719864B2 (ja) | 電気掃除機 | |
KR20200111894A (ko) | 공기청정기,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
JP6840121B2 (ja) | 電気掃除機 | |
KR102716798B1 (ko) |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 |
KR20200112591A (ko) |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 |
JP2004174356A (ja) | 空気清浄機 | |
JP2000333886A (ja) | 電気塵取り機 | |
JP3347299B2 (ja) | 技工用加工ボックス | |
JP3199163U (ja) | 卓上掃除機 | |
KR20200112594A (ko) |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
JP3222876U (ja) | 付着物除去装置 | |
JP6840122B2 (ja) | 電気掃除機 | |
JP6944434B2 (ja) | 電気掃除機 | |
JP6944435B2 (ja) | 電気掃除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