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58B1 -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58B1
KR101996058B1 KR1020170155774A KR20170155774A KR101996058B1 KR 101996058 B1 KR101996058 B1 KR 101996058B1 KR 1020170155774 A KR1020170155774 A KR 1020170155774A KR 20170155774 A KR20170155774 A KR 20170155774A KR 101996058 B1 KR101996058 B1 KR 10199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discharge
unit
pollu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106A (ko
Inventor
김명선
김비나
염정호
오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58B1/ko
Priority to US16/198,012 priority patent/US10914483B2/en
Publication of KR2019005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공지능 공기조화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운전 중에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냉매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공간을 냉난방하는 장치로, 실내 온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냉방기 또는 난방기와, 실내의 습도를 변화시키는 가습기 또는 제습기와, 실내의 청정도를 변화시키는 공기 청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난방, 가습, 제습, 공기 청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비숙련 사용자는 공기조화기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 성능은 필터의 관리에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비숙련 사용자는 필터 관리 및 교체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조화기 제조사들은 6개월, 12개월 등 사용환경과 무관하게 일정 주기로 필터 교체와 관련된 안내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사용 환경과 무관하게 일정 주기로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오염된 환경에서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경우, 예상보다 필터 성능이 빠르게 저하될 수 있어, 미교체시 나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깨끗한 환경에서는, 아직 깨끗한 필터를 너무 빠르게 교체함으로써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 1(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7-0042036)과 같이, 필터 오염에 의해 팬에 부하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전류 변화량으로 필터 교체 시점을 유추하여 판단하기도 하였다.
한편, 팬의 전류 변화는 필터 외에 다른 영향으로도 발생할 수 있어, 필터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에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숙련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운전 중에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운전 중에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는 단계, 및,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품질의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비숙련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토출 어셈블리와 송풍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유닛 및 토출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유닛에 포함되는 필터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어셈블리와 송풍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 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유닛 및 토출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 홀(75)이 형성되는 센터 패널 어셈블리(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토출유닛 홀더(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토출유닛 홀더(6)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을 공기조화기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과 토출유닛 홀더(6)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어셈블리(D)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 어셈블리(D)는 송풍기(5)와 정화유닛(17)을 갖는 공기 청정기에 설치될 수 있고, 정화유닛(17)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통해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 청정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정화유닛(17)은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유닛(17)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전기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되고 수분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와,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등일 수 있다.
토출 어셈블리(D)는 송풍기(5)와 열교환기(18)를 갖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에 설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18)와 열교환된 공기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통해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1)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키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본체유닛과, 토출 어셈블리(D)와, 본체유닛과 토출 어셈블리(D)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고, 본체유닛에는 열교환기(18)와 정화유닛(17) 중 적어도 하나와 송풍기(5)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토출 어셈블리(D)는 본체유닛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유닛에서 연결덕트로 공급된 공기는 연결덕트에서 한 쌍의 토출유닛(2,3)으로 유동되어 한 쌍의 토출유닛(2,3)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토출유닛 홀더(6)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동일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내부에는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로 안내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상부와 하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상부와 하부와 둘레부 중 어느 하나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가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하부에 형성될 경우,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하부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가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상부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가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될 경우, 흡입구는 둘레부 중 공기토출구와 이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상면과 하면이 각각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유닛일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유닛일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과 우측토출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 좌측 전방의 제1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전방의 제2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토출유닛과 우측 토출유닛은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방에는 2개의 전방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벽에 걸어서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케이싱(4)은 베이스 어셈블리(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11)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11)는 로어 프레임(12)과, 로어 프레임(12)에 형성된 후판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부(13A)는 로어 프레임(12)의 후방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어셈블리(11)는 로어 프레임(12)에 형성된 내부판(1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판(13B)은,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1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내부판(13B)은, 내부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판(13B)에 의해 생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음성 인식 모듈(60)이 장착될 수 있다.
케이싱(4)은 프론트 커버(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송풍기(5)의 전방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하단이 베이스 어셈블리(11)의 로어 프레임(12)에 올려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로어 프레임(12)의 일부를 차폐하게 로어 프레임(12)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4)은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1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16)는 베이스 어셈블리(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6)는 베이스 어셈블리(11)의 후판부(13A)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6)는 베이스 어셈블리(11)의 후판부(13A)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6)에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기흡입구(16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7)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17)은 흡입바디(16)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흡입된 공기는 정화유닛(17)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정화유닛(17)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싱(4)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8)는 공기유동방향으로 흡입바디(16)와 송풍기(5)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5)는 케이싱(4)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5)는 열교환기(18)의 일부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5)는 열교환기(1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5)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5)는 복수개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토출부(22)와, 복수개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토출부(24)를 포함한다. 송풍기(5)는 하나의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제1 토출부(22)와 제2 토출부(24)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5)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흡입부(21,23) 중 제1 흡입부(21)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1 토출부(22)로 송풍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흡입부(21,23) 중 제2 흡입부(23)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2 토출부(24)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5)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경우, 공기가 제1 흡입부(21)로 흡입된 후 제2 토출부(22)로 토출되는 제1 송풍유로와, 공기가 제2 흡입부(23)로 흡입된 후 제2 토출부(24)로 토출되는 제2 송풍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5)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경우, 제1 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1 블로워(25)와, 제1 블로워(25)를 회전시키는 제1 팬모터(2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2 블로워(27)와, 제2 블로워(27)를 회전시키는 제2 팬모터(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5)는 제1 팬모터(26)가 장착되고 제1 블로워(25)를 둘러싸는 제1 팬하우징(31)과, 제1 팬하우징(31)과 결합되고 제1 블로워(25)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흡입부(21)가 형성된 제1 오리피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5)는 제2 팬모터(28)가 장착되고 제2 블로워(27)를 둘러싸는 제2 팬하우징(33)과, 제2 팬하우징(33)과 결합되고 제2 블로워(27)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 흡입부(23)가 형성된 제2 오리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하우징(33)은 제1 오리피스(3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리피스(34)는 제2 팬하우징(33)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팬하우징(31)은 제1 오리피스(32)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기(5)는 토출 어셈블리(D)의 아래에 위치되어 토출 어셈블리(D)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5)는 토출 어셈블리(D)의 위에 위치되어 토출 어셈블리(D)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5)는 토출 어셈블리(D)의 후방에 위치되어 토출 어셈블리(D)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5)는 토출 어셈블리(D)의 아래에 위치될 경우 제1 토출부(22)와, 제2 토출부(24) 각각은 송풍기(5)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그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1 토출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팬하우징(31)과 제2 팬하우징(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하우징(31)은 배면 및 상면이 개방된 제1 프런트 덕트부(35)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팬하우징(33)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팬하우징(33)은 제1 프런트 덕트부(35)의 후방에 위치된 제1 리어 덕트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 덕트부(36)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되고 제2 팬하우징(33)에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덕트부(35)와 제1 리어 덕트부(36)는 제1 블로워(25)에서 송풍된 공기를 좌측 토출유닛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덕트부(35)가 제1 리어 덕트부(36) 전방에 위치되게 제1 팬하우징(31)과 제2 팬하우징(33)이 결합되면, 제1 프런트 덕트부(35)와 제1 리어 덕트부(36)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토출부(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팬하우징(33)과 제2 오리피스(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팬하우징(31)은 배면 및 상면이 개방된 제2 프런트 덕트부(37)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오리피스(34)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리피스(34)는 제2 프런트 덕트부(37)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리어 덕트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어 덕트부(38)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덕트부(37)와 제2 리어 덕트부(38)는 제2 블로워(27)에서 송풍된 공기를 우측 토출유닛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덕트부(37)가 제2 리어 덕트부(38) 전방에 위치되게 제2 팬하우징(33)과 제2 오리피스(34)가 결합되면, 제2 프런트 덕트부(37)와 제2 리어 덕트부(38)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예를 설명한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흡입구(41)와, 제1 흡입구(4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내부유로(42)와, 제1 내부유로(4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1 공기토출구(4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흡입구(41)와, 제1 내부유로(42)와, 제1 공기토출구(4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제1 토출유로(44)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에는 제1 토출유로(4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조절베인(4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풍향조절베인(45)은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풍향조절베인(45)은 제1 내부유로(4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1 공기토출구(43)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입구(4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유로(42)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4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제1 공기토출구(4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4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4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41)의 개방 방향과 제1 공기토출구(43)의 개방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흡입구(41)를 통해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 내부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되고, 제1 공기토출구(4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제1 토출유로(44)가 형성된 제1 토출바디(46)와, 제1 토출바디(46)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탑 바디(47)와, 제1 토출바디(46)의 하부에 결합된 제1 로어 링(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바디(46)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 흡입구(41)와, 제1 내부유로(42)와, 제1 공기토출구(43)는 제1 토출바디(46)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공기토출구(43)는 제1 토출바디(46)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1 풍향조절베인(45)은 제1 토출바디(4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토출바디(46)에는 제1 풍향조절베인(4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풍향조절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풍향조절모터는 제1 풍향조절베인(45)과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제1 풍향조절베인(4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토출바디(4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토출바디(46)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아우터 바디(46A)와, 제1 아우터 바디(46A)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이너 가이드(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바디(4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하는 제1 회전돌기(46C)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바디(46A)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바디(46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제1 이너 가이드(46B)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바디(46A)는 단면형상이 호 형상인 아우터 바디의 복수개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우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제1 공기토출구(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공기토출구(43)에 제1 토출그릴이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너 가이드(46B)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하부에 제1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1 토출유로(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풍향조절베인(45)은 제1 이너 가이드(4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탑 바디(47)는 제1 풍향조절모터에 연결된 제1 전선(미도시)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일 수 있고, 제1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4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탑 바디(47)는 제1 토출바디(46)의 상부에 끼움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탑 바디(47)는 제1 회전돌기(46C)를 둘러싸는 제1 보스부(47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스부(47B)는 제1 회전돌기(46C)와 함께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보스부(47B)는 탑 커버(140)의 제1 지지부(142)와 제1 회전돌기(4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제1 회전돌기(46C) 및 제1 보스부(47B)에 의해 탑 커버(140)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로어 링(48)은 제1 토출 바디(46)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토출바디(4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 로어 링(48)은 제1 토출바디(4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로어 링(4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어 링(48)은 로어 바디(100)에 안착될 수 있고, 로어 바디(100)와 마찰될 수 있다. 제1 로어 링(4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토출바디(46)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제1 토출바디(4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에는 송풍기(5)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흡입구(51)와, 제2 흡입구(5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내부유로(52)와, 제2 내부유로(5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2 공기토출구(5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흡입구(51)와, 제2 내부유로(52)와, 제2 공기토출구(5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제2 토출유로(54)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에는 제2 토출유로(5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조절베인(5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풍향조절베인(55)은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풍향조절베인(55)은 제2 내부유로(5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2 공기토출구(53)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입구(5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유로(52)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토출구(5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은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5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토출구(5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토출구(53)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51)의 개방 방향과 제2 공기토출구(53)의 개방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공기는 제2 흡입구(51)를 통해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 내부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되고, 제2 공기토출구(5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는 제2 토출유로(54)가 형성된 제2 토출바디(56)와, 제2 토출바디(56)의 상부에 설치된 제2 탑 바디(57)와, 제2 토출바디(56)의 하부에 결합된 제2 로어 링(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바디(56)는 제1 토출바디(46)과 같이,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 흡입구(51)와, 제2 내부유로(52)와, 제2 공기토출구(53)는 제2 토출바디(56)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53)는 제2 토출바디(56)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풍향조절베인(55)은 제2 토출바디(5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토출바디(56)에는 제2 풍향조절베인(5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풍향조절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풍향조절모터는 제2 풍향조절베인(55)과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제2 풍향조절베인(5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토출바디(5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토출바디(56)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아우터 바디(56A)와, 제1 아우터 바디(56A)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이너 가이드(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바디(5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하는 제2 회전돌기(56C)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바디(56A)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바디(56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제2 이너 가이드(56B)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바디(56A)는 단면형상이 호 형상인 아우터 바디의 복수개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우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제2 공기토출구(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공기토출구(53)에 제2 토출그릴이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너 가이드(26B)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하부에 제2 흡입구(5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2 토출유로(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풍향조절베인(55)은 제2 이너 가이드(5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탑 바디(57)는 제2 풍향조절모터에 연결된 제2 전선(미도시)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일 수 있고, 제2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5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탑 바디(57)는 제2 토출바디(56)의 상부에 끼움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탑 바디(57)는 제2 회전돌기(56C)를 둘러싸는 제2 보스부(57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스부(57B)는 제2 회전돌기(56C)와 함께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보스부(57B)는 탑 커버(140)의 제2 지지부(144)와 제2 회전돌기(5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토출유닛(5)은 제2 회전돌기(56C) 및 제2 보스부(57B)에 의해 탑 커버(140)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로어 링(58)은 제2 토출 바디(56)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토출바디(5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 로어 링(58)은 제2 토출바디(5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어 링(5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어 링(58)은 로어 바디(100)에 안착될 수 있고, 로어 바디(100)와 마찰될 수 있다. 제2 로어 링(5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토출바디(56)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제2 토출바디(5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이 올려진 로어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토출유닛(2,3)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상측에 위치되는 탑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탑 커버(140)의 하부에 리어 바디(120)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유닛 홀더(6)는 로어 바디(140)의 상부에 리어 바디(120)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ㄴ'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유닛 홀더(6)는 탑 커버(140)와 로어 바디(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탑 커버(140)와 로어 바디(140)의 사이에 리어 바디(120)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바디(10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로어 바디(100)에 이격되게 안착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의 하중은 로어 바디(100)에 분산되어 작용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토출유닛 홀더(6)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링 형상의 제1 안착부(101)와, 링 형상의 제2 안착부(102)와, 제1 안착부(101)와 제2 안착부(102)를 잇는 로어 플레이트부(103)를 포함한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제1 안착부(101)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제1 고정 링(104)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는 제2 안착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제2 고정 링(105)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플레이트부(103)는 제1 안착부(101) 및 제2 안착부(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부(103)는 제1 안착부(101)와 제2 안착부(102)의 사이와, 제1 안착부(101)의 후방부 및 제2 안착부(102)의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안착부(101)에 설치되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제1 고정링(104)과, 제2 안착부(102)에 설치되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제2 고정 링(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링(104)과 제1 로어 링(4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로어 링(48)은 제1 고정 링(104)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링(105)과 제2 로어 링(4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로어 링(58)은 제2 고정 링(105)에 안착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로어 바디(100)에 설치된 로어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로어 바디(10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송풍기(5)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토출유닛 홀더(6)를 송풍기(5)에 장착시키는 토출유닛 홀더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회전기구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를 회전시키는 제1 토출유닛 회전기구(8)와,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를 회전시키는 제2 토출유닛 회전기구(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유닛 회전기구(8)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에 배치된 제1 기어(82)와 제1 기어(82)에 치합되어 제1 기어(82)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기어(85)와, 체1구동기어(85)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82)는 제1 구동기어(85)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종동기어일 수 있다. 제1 기어(8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링형 바디는 외둘레 일부에 제1 구동기어(85)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바디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제1 로어 링(48)과 제1 토출바디(46)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링형 바디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기어(85)는 제1 기어(82)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기어(85)는 제1 기어(82) 주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기어(82)의 주변에서 제1 기어(8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모터(86)는 로어 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토출유닛 회전기구(9)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어(92)와 제2 기어(92)에 치합되어 제2 기어(9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기어(95)와, 제2 구동기어(95)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92)는 제2 구동기어(9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종동기어일 수 있다. 제2 기어(9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링형 바디는 외둘레 일부에 제2 구동기어(95)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바디는 제2 토출유닛(5)의 제2 로어 링(58)과 제2 토출바디(56)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링형 바디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기어(95)는 제2 기어(92)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기어(95)는 제2 기어(92) 주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기어(92)의 주변에서 제2 기어(9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모터(96)는 로어 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로어 커버(110)에는 제1 모터(86)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1 모터 수용부(112)와, 제2 모터(96)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2 모터 수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송풍기(5)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부(115,116)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로어 바디(1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로어 바디 체결부(118)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로어 바디(100)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로어 바디(100)의 후방부에 로어 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리어 바디(120)는 로어 바디(100)와 별도로 성형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체결부로 로어 바디(100)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리어 바디(12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의 후방 위치에서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6)를 갖을 수 있다. 돌출부(12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를 마주보는 일측부(126A)와,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를 마주보는 타측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6)는 일측부(126A)의 선단과 타측부(126B)의 선단을 잇는 전판부(12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6)는 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이 막힌 형상이고, 배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리어 바디(120)에 결합되는 백 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리어 바디(120)의 배면을 덮어 리어 바디(120)를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흡입 바디(16)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 바디(16) 상측을 덮을 수 있다.
탑 커버(14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상측에서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를 덮을 수 있다.
탑 커버(14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 상부와 돌출부(126) 상부 사이의 틈을 덮을 수 있다.
탑 커버(140)는 리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14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의 상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탑 커버(140)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2)과,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42)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홀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44)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홀일 수 있다. 탑 커버(140)는 리어 바디(120)의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로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일측면(161)이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고, 타측면(162)이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전면(163)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로 기능하고,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디스플레이 겸용 컨트롤 패널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증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 선단의 좌우 방향 폭(L1)은 돌출부(126) 선단의 좌우 방향 폭(L2) 보다 클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로어 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로어 바디(100)의 로어 플레이트부(103)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일부가 탑 커버(140)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로어 바디(100)와 탑 커버(140) 사이에서 한 쌍의 토출유닛(2,3)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로어 바디(100)와 탑 커버(140) 사이를 좌,우 구획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그 좌측면과 우측면과 전면 각각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한 쌍의 토출유닛(2,3)을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프레임일 수 있고,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이러한 토출유닛 홀더(6)에 좌,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토출유닛 홀더(6)에 설치되어, 토출유닛 홀더(6)를 좌,우 구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의 좌측과 리어 바디(120)의 좌측단 사이가 개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의 우측와 리어 바디(120)의 우측단 사이가 개방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어느 하나(2)는 일부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의 좌측과 리어 바디(120)의 좌측단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중 다른 하나(3)는 일부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의 우측과 리어 바디(120)의 우측단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와 토출유닛 홀더(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한 쌍의 토출유닛(2,3) 각각은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틈은 점차 커질 수 있고, 후방 방향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틈이 점차 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토출유닛 홀더(6)의 후방부와 전방부 중 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는 토출유닛 홀더(6)의 전방부 좌측과, 전방부 중앙과, 전방부 우측 중 전방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좌측면과, 우측면과, 전면 좌측과, 전면 우측이 개방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6)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A)에 의해 전면 중앙이 차폐될 수 있다.
케이싱(4)의 소정 영역에는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온도 센서(215a), 공기질 센서(215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예시된 센서의 구성 및 위치에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15a)는 공기조화기(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센서(215b)는 정화유닛(17)의 흡입구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공기질 센서(215b)는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실내의 공기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1)에 의한 공기 흐름과 무관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실내기 공기질 측정에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질 센서(215b)는 공기조화기(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무관하므로, 공기질 센서(215b)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화유닛(17)의 필터 교체 주기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유닛에 포함되는 필터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화유닛(17)은,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화유닛(17)은,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6개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의 개수, 종류, 배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정화유닛(17)은 프리 정전필터(8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정전필터(810)는 항균력을 가진 정전필터로 큰 먼지, 머리카락, 반려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프리 정전필터(810)는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앞에 배치될 수 있고, 비교적 큰 먼지를 거를 수 있다.
정화유닛(17)은 전처리 필터(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필터(820)는 비교적 큰 먼지를 거를 수 있다. 전처리 필터(820)는 먼지, 머리카락, 털 등을 거르고,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뒤에 배치되는 다른 필터들(830a, 830b, 840, 850)을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정화유닛(17)은 다양한 기능성 필터(830a, 830b)를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필터(830a, 830b)는, 프리 정전필터(810) 및/또는 전처리 필터(820)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 필터(830a, 830b)는, 공기 청정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필터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기능성 필터(830a, 830b)는 황사용 필터, 새집용 필터, 유아용 필터일 수 있다.
정화유닛(17)은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HEPA Filter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ance Filter, 8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화유닛(17)은 공기 중의 냄새 입자가 걸러지는 탈취 필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필터(850)는 헤파 필터(840)의 후류에 위치되어 헤파 필터(840)를 통과한 공기 중의 냄에 입자를 거를 수 있다. 탈취 필터(850)는 활성탄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유해가스, 음식 냄새, 곰팡이 냄새 등 실내의 각종 악취를 식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들(810, 820, 830a, 830b, 840, 850)는 청소 및 관리가 중요하며, 일정량 사용 후에는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사 또는 서비스 제공사들은 6개월, 12개월 등 사용환경과 무관하게 일정 주기로 필터 교체와 관련된 안내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사용 환경과 무관하게 일정 주기로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오염된 환경에서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경우, 예상보다 필터 성능이 빠르게 저하될 수 있어, 미교체시 나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깨끗한 환경에서는, 아직 깨끗한 필터를 너무 빠르게 교체함으로써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15), 및,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0), 및,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실내팬, 열교환기, 밸브, 풍향 조절 수단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정화유닛(도 3등의 17 참조)을 포함하고, 센서부(215)는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화 유닛(17)은,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필터 교체 기준은 복수의 필터별로 각각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2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50),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270), 소정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92), 소정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9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입력부(2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MI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부(220)는 복수의 마이크(221, 22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221, 22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21, 222)는 센터 패널 어셈블리(10B)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마이크 홀(75)에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오디오 입력부(220)가 제1 마이크(221)와 제2 마이크(222)의 2개의 마이크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디오 입력부(220)는 아날로그 소리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거나 처리부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음성 명령을 제어부(240) 또는 소정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입력부(220)는 각 마이크(221, 222)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필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등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에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사용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0)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간, 센서부(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 공기 오염도, 필터 오염도 등의 산출 및 판별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메모리(25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의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음원 파일은 통신부(270)을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음원 파일은 기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기설정된 동작 수행 후에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50)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조화기(1)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음성 인식 모듈이 호출어 인식 등 간단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의 호출어 포함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호출어 판단 알고리즘이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
상기 제어부(240) 및 음성 인식 모듈은 상기 호출어 판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의 상기 호출어 포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간단한 음성 인식은 공기조화기(1)가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등 고차원의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1)는 음성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조화기(1)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까지의 음성 인식 과정만 수행하고, 이후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시스템 자원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잡한 자연어 인식 및 처리는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호출어 음성 입력 여부의 판단은 공기조화기(1)와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서 이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출어 음성 입력 판단의 오인식을 줄이고,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메모리(250)에는 제한적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50)에는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240)는 오디오 입력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로부터 기설정된 호출어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호출어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G 휘센"이 호출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호출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웨이크 업(wake up) 음성 신호의 인식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신부(270)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 소정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1)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공기조화기(1)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또는 외부의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공기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와 통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음성 명령 등을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70)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기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92)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필터 교체 정보 등을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292)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29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291)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음성 인식 과정 및 공기조화기(1) 제어 과정의 각 단계에 대응하여 소정 정보를 시각적/청각적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91) 및 디스플레이(292)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실내팬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열교환기가 공급되는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켜 주변의 공기를 열 교환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부(28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로, 토출구 개방 시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좌우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8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베인을 구동하는 베인 구동부, 팬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80)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조작부(230), 공기조화기(1) 주변 소정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공기조화기(1) 주변, 외부 환경 등을 촬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메라는 촬영 효율을 위해 각 부위별로 여러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10)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 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21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존재 여부, 위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10)가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은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5)는, 실내외의 온도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와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먼지량 등 공기질을 센싱하는 공기질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센서부(215)는, 재실자의 존재 여부 및/또는 위치를 센싱하는 인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5)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실내 환경의 온도, 습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5)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실내 환경의 이산화탄소의 양, 미세먼지의 양 등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15)는, 온도, 습도, 공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215)는, 온도, 습도, 공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기설정된 일정 시간 주기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운전 중에 상기 센서부(215)의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필터 교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순히 운전시간만 카운팅(counting)하는 것은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오염정도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을 모두 반영하여 운전시의 공기 오염도에 따른 가중치를 운전시간에 반영함으로써, 필터 교체 주기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하고,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오염도 점검을 위한 전용 장치의 추가 없이도 사용자에게 실내 공기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공기질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시간, 풍량, 공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종래에는 공기조화기(1)의 사용환경과 관계없이 일정주기로 필터의 교체를 안내하였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의 경우 외부 필터 세척 안내와 함께 하루 소정 시간 사용된다는 가정하에 필터 교체 주기를 6개월 내지 12개월로 추정하여 안내하였다.
하지만, 공기조화기(1)를 오염된 환경에서 사용한 경우 예상보다 필터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고 오히려 나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조화기(1)를 깨끗한 환경에서 사용한 경우 필요 이상으로 깨끗한 필터를 교체하여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필터의 오염도는 공기 유입량과 공기 오염 정도에 비례하므로, 공기 유입량과 공기 오염 정도는 필터의 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상태를 추정 및 측정할 수 있고, 운전시의 풍량 정보와 공기질 센서의 공기상태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유입 공기량 = 운전시간 x 풍량
공기오염도 = 운전시 측정된 공기질
필터 오염도 = 유입 공기량 x 공기오염도
제어부(240)는, 상기와 같이, 필터 오염도를 추정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예측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필터 교체 알림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정확한 필터 교체 주기를 알려줌으로써 공기 청정 본연의 기능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공기조화기(1)를 덜 쓰는 사용자들의 경우는 정확한 필터 교체 시기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고, 평균보다 긴 교체 시기 안내를 통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공기조화기(1)를 많이 쓰는 사용자들의 경우는 빠른 교체 안내를 통해 공기조화기(1)를 성능 저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화 유닛(17)은,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필터 교체 기준은 복수의 필터별로 각각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40)는,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상기 복수의 필터별로 설정된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지 각각 판별할 수 있고, 소정 필터가 해당 필터에 설정된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필터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291)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안내 메시지로 필터 교체 정보를 알림으로써, 비숙력 사용자가 특별한 명령 또는 입력을 하지 않아도 소정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92)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210) 또는 센서부(215)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공간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카메라(210) 또는 센서부(2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291) 및/또는 디스플레이(29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40)는, 통신부(270)를 통하여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는 소정 서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으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기기로 공기조화기(1)의 필터 관련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터와 관련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거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240)는, 습도 및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터 건조를 위한 내부 건조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필터의 청소 시점을 안내하고 청소 여부에 따라 오염량을 재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필터의 잔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운전 명령 또는 각종 설정에 따라 소정 모드로 운전한다(S1010). 이 경우에, 제어부(240)는 운전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215)의 공기질 센서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S1020).
공기질 센서는, 운전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누적, 또는 평균값)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1030).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누적값 또는 평균값과 운전시간을 곱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40)는, 운전시간과 풍량을 곱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40)는, 유입 공기량과 공기오염도를 곱하여, 필터 오염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고도화된 공기질 센싱 수치에 따라 다중 필터의 세분화된 오염도를 파악하여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에서 연산된 각종 데이터도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할 수 있다(S1040).
제어부(240)는, 상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S1050),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60).
여기서, 상기 필터 교체 기준은, 상기 필터의 종류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292)에 표시하거나,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291)가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교체 시점 이전 사용 잔여기간 및 주문기간을 고려한 최적의 교체 시점을 사용장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소정 서버(1110) 및/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12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서 측정되는 데이터, 운전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기설정된 서버(1110)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110)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기설정된 휴대 단말기(1220), 기타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기기에서도 공기조화기(1)의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70)는, 기설정된 휴대 단말기(1220)로 직접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센서부(215)에서 측정되는 데이터, 운전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1110) 및/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1120)로 공기조화기(1)의 운전 시간, 실내 공기질 데이터 등을 언제 어디서는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10)가 공기조화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10)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하고,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292)에 표시하거나,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291)가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가 배치된 소정 공간에 없는데도 안내를 제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는, 카메라(210) 또는 센서부(215)가 구비할 수 있는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하여,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카메라(210) 또는 센서부(215)가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카메라(210) 또는 센서부(215)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거리(R1)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판별된 사용자와의 거리(R1)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도 1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292)에는 통상적인 정보, 예를 들어, 설정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다가, 도 13의 (a)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에 더 접근하여, 공기조화기(1)와 사용자와의 거리(R2)가 기준 거리보다 작아지면, 도 13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292)에는 필터 교체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품질의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비숙련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2,3: 토출유닛
4: 케이싱
5: 송풍기
6: 토출유닛 홀더
10A: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B: 센터 패널 어셈블리
17: 정화유닛
210: 카메라
215: 센서부
240: 제어부
270: 통신부
291: 오디오 출력부
292: 디스플레이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정화유닛;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의 청소 시점을 안내하고 청소 여부에 따라 상기 필터 오염도를 재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하고,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상기 복수의 필터별로 설정된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공기조화기의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운전 중에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필터 오염도를 기저장된 필터 오염도와 합산하는 단계;
    상기 합산된 필터 오염도가 필터 교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필터의 청소 시점을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의 청소 여부에 따라 상기 필터 오염도를 재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시간 중의 풍량과 상기 운전시간에 기초하여 유입 공기량을 판별하고, 상기 운전 중에 상기 공기질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오염도를 판별하며, 상기 유입 공기량과 상기 공기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오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기준은, 상기 필터의 종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가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오디오 출력부가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알림 정보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170155774A 2017-11-21 2017-11-21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774A KR101996058B1 (ko) 2017-11-21 2017-11-21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6/198,012 US10914483B2 (en) 2017-11-21 2018-11-21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774A KR101996058B1 (ko) 2017-11-21 2017-11-21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06A KR20190058106A (ko) 2019-05-29
KR101996058B1 true KR101996058B1 (ko) 2019-07-03

Family

ID=6653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74A KR101996058B1 (ko) 2017-11-21 2017-11-21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14483B2 (ko)
KR (1) KR101996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60B1 (ko) * 2017-12-26 2022-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146191A (zh) * 2019-06-28 2020-12-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组件、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KR20220031745A (ko) * 2019-07-26 2022-03-11 벨로3디, 인크. 3차원 물체 형상화에 대한 품질 보증
KR102367744B1 (ko) 2019-08-30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머신 러닝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필터 수명 예측방법
CN110701746A (zh) * 2019-10-25 2020-01-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FR3105364B1 (fr) * 2019-12-19 2021-11-19 Seb Sa Appareil de purification d’air
JP2021110475A (ja) * 2020-01-07 2021-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有用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242853B1 (ko) * 2020-05-20 2021-04-21 주식회사 힘펠 환풍기의 필터 수명 알람 시스템
KR102400932B1 (ko) * 2020-06-29 2022-05-24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 차량 적재함 내부 냉난방 공조를 위한 물류센터 시스템
KR102364999B1 (ko) * 2020-07-13 2022-02-18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필터오염 측정기반 필터교체 시기 알람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사용한 필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N115518472A (zh) * 2021-06-25 2022-12-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空气处理设备滤网孔调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71B1 (ko) * 2004-02-05 2011-03-07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에어 필터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89647B1 (ko) * 2006-01-12 2013-07-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에어 필터 교환 시기 알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3743B2 (en) * 2005-02-07 2007-08-07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identifying when to change an air filter
KR20090003873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00089605A (ko) * 2009-02-04 2010-08-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의 교환 시기 산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71B1 (ko) * 2004-02-05 2011-03-07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에어 필터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89647B1 (ko) * 2006-01-12 2013-07-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에어 필터 교환 시기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06A (ko) 2019-05-29
US10914483B2 (en) 2021-02-09
US20190154290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58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864958B (zh) 具有智能传感器和气流的空气净化器
KR102423156B1 (ko) 공기조화기
CN109196286B (zh) 空气净化设备
CN107076438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JP2019532263A (ja) 空気フィルタの状態感知
KR1023906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3800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076437B (zh) 换气净化器
KR1023800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666529B1 (ko)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JP706810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200089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0760B1 (ko) 필터 교체시기 알람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71100B1 (ko) 공기조화기
JP7452765B2 (ja) 空気調和機または空気清浄機または除湿空清機
JP2004211914A (ja) 除湿機
JP4374965B2 (ja) 換気送風装置
KR200329577Y1 (ko)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200106416A (ko) 공기 청정기 및 그의 필터 성능 산출 방법
KR10221265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29817B1 (ko) 공기조화기
JP2022191638A (ja) 送風装置
TW201822869A (zh) 空氣清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