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55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555A
KR20140087555A KR1020120157985A KR20120157985A KR20140087555A KR 20140087555 A KR20140087555 A KR 20140087555A KR 1020120157985 A KR1020120157985 A KR 1020120157985A KR 20120157985 A KR20120157985 A KR 20120157985A KR 20140087555 A KR20140087555 A KR 20140087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unit
foreign mat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970B1 (ko
Inventor
김정윤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70B1/ko
Priority to GB201322765A priority patent/GB2509614B/en
Priority to US14/138,818 priority patent/US9702625B2/en
Priority to DE102013227120.4A priority patent/DE102013227120B4/de
Priority to FR1363433A priority patent/FR3000504B1/fr
Priority to CN201310750637.8A priority patent/CN103911832B/zh
Publication of KR2014008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인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축하는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한편, 의류(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드럼에 재공급하는 동안(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안) 열교환장치가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 및 가열하는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나뉘어질 수 있다.
한편, 건조 중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는 의류와 같은 건조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에 쌓일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면 세탁기가 위치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기능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건조기능이 구비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덕트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였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는 나라마다 설정된 표준화된 규격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에 의해 연결덕트의 길이(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의 길이)를 확장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연결덕트가 길어지면 의류처리장치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연결덕트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상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의 양을 확인한 뒤 청소해야만 건조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않았음에도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용량 확장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과 용량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업용 건조기로 사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축하는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하는 필터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삽입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에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가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홀,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배출덕트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 가능한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랙에 결합하는 모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압축시키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브러쉬에서 분리시키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필터프레임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크래퍼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압축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브러쉬 돌기로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 돌기는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와 다른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왕복하여 이물질을 압축하는 압축판, 상기 압축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압축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이 구비된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기어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고정되는 자력형성수단,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수용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상부에 상기 필터부를 고정시켜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홀과 소정거리 이격된 제2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감지수단은 상기 배출덕트에 고정되되 상기 제1홀의 하부에 위치한 제1자력감지수단, 상기 배출덕트에 고정되되 상기 제2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자력감지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용량 확장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과 용량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업용 건조기로 사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베이스패널 및 배출덕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및 배출덕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필터어셈블리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 및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터어셈블리에 구비된 하우징 및 배출덕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저장량감지부(위치감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 상기 드럼에 가열공기(열풍)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4),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투입구(111)가 구비된 전방패널(11), 상기 드럼(2)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유입구(131)가 구비된 후방패널(13), 상기 전방패널(11)과 후방패널(13)이 지지되며 상기 드럼(2)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패널(15)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드럼(2)에 투입하거나 드럼에서 인출할 수 있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전방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내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 컨트롤패널(1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패널(13)은 상기 전방패널을 마주보도록 상기 전방패널의 반대방향에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유입구(131)는 후방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부(3)에서 공급된 공기가 드럼(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3)에는 배출유로(4)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공기배출구(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3)에는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 플랜지(13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베이스패널(15)은 의류처리장치(100)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 전방패널(11)과 후방패널(13)은 상기 베이스패널(15)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5)에는 배출유로(4)에 구비된 배출덕트(43)와 후방패널에 구비된 공기배출구(13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덕트가이더(151, 15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부(1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지지부(17)는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바디(171), 상기 지지바디(1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2) 내부를 연통시키는 지지부 관통홀(173)을 포함한다.
따라서,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지지부 관통홀(173)을 거쳐 드럼(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지지부(17)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 플랜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방지지 플랜지(175)는 지지부 관통홀(173)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 경우 전방지지 플랜지(175)의 지름은 드럼(2)의 지름에 따라 지지부 관통홀(173)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의 전방면은 전방지지 플랜지(17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후방면은 후방지지 플랜지(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드럼(2)은 드럼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구동부는 드럼모터(21), 상기 드럼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드럼(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3)는 드럼(2)에 가열공기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과 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후방패널(13)에 구비되는 히터하우징(31), 상기 히터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가열수단, 33), 상기 배출유로(4)에 구비(연결덕트(41) 또는 배출덕트(43)에 구비)되는 팬(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31)은 후방패널에 구비된 공기유입구(131)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히터하우징(3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하우징 유입구(311)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히터하우징(31)을 캐비닛(1) 내부에 구비시키지 않고 캐비닛(1)의 외부에 구비시킨 것은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함이다.
세탁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많은 양의 공기를 드럼(2) 내부로 공급하여야만 일정 시간 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대용량 히터(가열수단)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히터를 구비시킨다면 캐비닛(1)의 외형이 커질 뿐만 아니라 대용량 히터에 의해 캐비닛(1)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 부품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공급부(3)를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시킨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빠른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드럼(2)의 높이방향(드럼의 회전축(C)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41), 상기 드럼(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연결덕트(4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41)는 투입구(111)의 하방(지지부 관통홀(173)의 전방)에 위치하여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덕트(43)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연결덕트(41)는 투입구(111)의 외주면과 배출덕트(43)의 덕트연결홀(431, 도 3참고)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배출덕트(43)는 연결덕트(41)와 공기배출구(133)를 연결하여 연결덕트(41)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공급부(3)에 구비된 팬(35)은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덕트(43)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서는 큰 풍량의 확보가 필수적인데 제한된 크기를 가진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팬을 설치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패널(13)에 팬(35)을 고정시키되 팬(35)이 공기배출구(133)를 통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캐비닛(1)의 크기 변화 없이도 대용량 팬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출덕트(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이 베이스패널(15)에 조립된 뒤 드럼(2)의 하부에 위치된 베이스패널에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배출덕트(43)가 후방패널(13)에 구비된 공기배출구(133)에 결합되도록 드럼(2)의 전방에서 후방패널(13)을 향해 배출덕트(43)를 밀어넣어 조립하여야 하는데 드럼(2)이 공기배출구(133)의 위치를 가릴 경우 배출덕트(43)를 공기배출구(133)에 결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페널(15)에는 배출덕트(43)와 공기배출구(13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덕트가이더(151, 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더는 상기 배출덕트(43)의 양측면이 상기 공기배출구(133)의 양측면에 일치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한 쌍의 위치가이더(151), 상기 배출덕트(43)의 상부 외주면과 하부 외주면이 상기 공기배출구(133)의 상부 외주면과 하부 외주면에 일치되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이더(1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가이더(151)와 높이가이더(153)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제조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한데 이를 위해 상기 위치가이더(151)와 높이가이더(153)는 제1플레이트(1511), 상기 제1플레이트가 절곡되어 구비되되 경사면(1515)이 구비된 제2플레이트(1513)로 구비된다.
다만, 위치가이더(151)는 상기 제2플레이트(1513)를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15)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가이더(153)는 상기 제1플레이트(1511)를 통해 상기 베이스패널(15)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출덕트(43)가 한 쌍의 위치가이더(151)가 제공하는 공간으로 삽입되기만 하면 배출덕트(43)의 양측면은 위치가이더(151)의 제1플레이트(1511)의 안내를 받아 공기배출구(133)의 양측면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또한, 배출덕트(43)가 공기배출구(133)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배출덕트(43)의 하부 외주면(바닥면)은 높이가이더(153)에 구비된 경사면(1515)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므로 배출덕트(43)가 공기배출구(133)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배출덕트(43)의 하부 외주면과 상부 외주면은 공기배출구(133)의 하부 외주면과 상부 외주면에 일치하게 될 것이다.
한편, 배출덕트(43)의 너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가이더(151)는 베이스패널(15)의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전방 위치가이더와 베이스패널(15)의 후방(공기배출구(133)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 위치가이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전방 위치가이더는 배출덕트(43)의 전방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한 쌍의 후방 위치가이더는 배출덕트(43)의 후방폭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드럼의 회전축(C)에 나란한 방향(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연결덕트(41)가 아니라 상기 배출덕트(4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연결덕트(41)에 필터가 구비되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결덕트(41)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어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의 길이방향(드럼의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배출덕트(43)에 필터어셈블리(5)가 구비되므로 필터어셈블리의 여과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빠른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배출덕트(4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1)에는 필터지지패널(19)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지지패널(19)에는 필터어셈블리(5)가 삽입되는 필터삽입홀(191)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지지패널(19)은 전방패널(11)의 하부(도어(1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5)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어셈블리(5)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저장공간(511)이 구비된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은 필터지지패널(19)에 구비된 필터삽입홀(191)을 통해 배출덕트(43)에 삽입되며 하우징(51)의 인출 및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51)에는 핸들(5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연결덕트(41)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우징의 개방면에는 필터부(5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하고, 필터부(53)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하우징(51) 내부에 압축시키는 이물질 제거부(B)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B)는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브러쉬(57), 브러쉬(57)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공간(511) 내부에 압축하는 압축부(55)로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필터부(53)는 하우징(51)의 개방면에 위치하는 필터프레임(531), 상기 필터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533)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프레임(531)은 덕트연결홀(431)에 연통하는 공기유입홀(5317)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덕트(41)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홀(431) 및 공기유입홀(5317)을 통해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되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533)를 거쳐 하우징(51)의 외부(배출덕트(43)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덕트(43)에는 연결덕트(41)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홀(5317)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가이더(433, 도 7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더(433)는 배출덕트(43)에 구비된 덕트연결홀(431)의 외주면에서 필터프레임(531)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가이더(433)는 연결덕트(41)에서 배출된 공기를 공기유입홀(5317)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필터어셈블리(5)가 필터삽입홀(191)을 통해 배출덕트(43)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필터어셈블리(5)를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덕트(43) 내부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31)의 상부면(필터프레임(531))을 지지하는 필터가이더(434, 도 7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터어셈블리(5)가 필터삽입홀(191)을 통해 배출덕트(43)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필터어셈블리(5)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부의 운동 시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프레임(531)은 공기유입홀(5317)이 구비된 제1프레임(5311), 프레임 회전축(5315)을 통해 제1프레임(5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프레임(53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저장공간(511)에 저장된 이물질을 하우징(51)에서 쉽게 인출하기 위함이다.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필터어셈블리(5)를 배출덕트(43)에서 인출시킨 뒤 필터프레임(531)을 하우징(51)에서 분리해야만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어셈블리(5)는 공기 여과용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하우징(51)의 크기는 증가하고 무게는 무거워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프레임(531)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면 필터어셈블리(5)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가 하우징(51)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필터프레임(531)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제2프레임(5313)은 제1프레임(53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1)에서 착탈 가능하므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B)는 브러쉬(57)와 압축부(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57)는 하우징(51) 내부(저장공간(511)의 내부)를 왕복하며 상기 필터(53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압축부(55)는 하우징(51)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저장공간(51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압축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57)가 상기 압축부(55)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필터(533)에 접촉하는 다수의 브러쉬 돌기(571)로 구비된다면 브러쉬(57)를 저장공간(511)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하나의 구동부(6, 브러쉬 구동부)만으로도 브러쉬 및 압축부를 모두 작동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프레임(531)에는 브러쉬(57)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스크래퍼(5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531)에는 필터(533)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531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래퍼(535)는 상기 리브(5312)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크래퍼 돌기(5351)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 돌기(571)는 다수 개가 상기 압축부(55)의 상부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브러쉬 돌기(571)는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와 다른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브러쉬 돌기들(571)은 브러쉬(57)가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운동할 때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5351)와 다른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53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5참고).
이는 압축부(55)가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할 때 브러쉬 돌기(571)와 스크래퍼 돌기(5351)가 접촉하여 압축부(55)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스크래퍼 돌기(5351)가 상기 브러쉬 돌기(571)와 접촉하는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스크래퍼 돌기(5351)에 의해 압축부(55)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 돌기(5351)는 공기유입홀(5317)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스크래퍼 경사면(S)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부(55)는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부(6)에 의해 하우징(51) 내부를 왕복하는 압축판(55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축부(55)는 압축판(551)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55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압축판(551)에 의한 유량감소 방지, 압축판(551)의 기능저하 방지 및 구동부(6)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압축판(551)은 하우징(51)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므로 압축판(551)에 관통홀(553)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공기유입홀(5317)을 통해 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압축판(551)에 의해 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해 필터어셈블리(5)의 여과량이 감소될 것이다.
또한, 압축판(551)에 관통홀(552)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저항에 의해 압축판(551)이 정상적인 왕복운동을 하지 못할 수도 있고, 구동부(6)의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판에 구비된 관통홀(553)을 통해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판(551)의 일측에는 축지지부(59)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축지지부(59)에는 상기 압축판(551)을 하우징(51)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6)가 지지된다.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축지지부(59)를 통해 상기 압축판(551)에 고정되는 모터(61), 모터의 회전축(611)에 결합하며 하우징(51)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기어(63), 상기 하우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기어(63)가 결합되는 랙(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61)는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B)를 이동시키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B)와 함께 이동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51)에는 회전축(611)이 삽입되는 슬릿(51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슬릿(517)은 하우징(51)의 일면이 절개되어 구비되며 하우징(5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데 도 4는 하우징(51)의 측면에 슬릿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상기 슬릿(517)은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의 상단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519)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홈(519)의 상부에는 필터프레임(531)이 위치하므로 모터의 회전축(611)은 홈(519)과 필터프레임(53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61)가 하우징(51)의 외부에서 왕복운동할 경우(컨트롤러가 회전축(611)의 회전방향을 제어) 배출덕트(43)와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덕트(43)는 모터(61)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435, 도 6 (b) 참고)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용부(435)는 배출덕트(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출덕트(43)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덕트(43)에 필터어셈블리(5)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부(B)가 하우징 내부를 왕복하더라도 모터(61)가 배출덕트(43)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435)에 의해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삽입되거나 배출덕트(43)에서 인출될 때 모터(61)가 배출덕트(43)와 간섭되는 것도 방지된다.
다만, 상기 모터수용부(435)는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43)의 측면이 절개된 덕트슬릿(437)의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랙(6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길이방향(필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5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랙(65)은 하우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상기 바의 표면에 구비되어 모터기어(63)에 치합되는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59)는 구동부(6)를 이물질 제거부(B)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구조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5 (a)는 상기 축지지부(59)가 압축판(551)에 고정되는 제1플랜지(591), 상기 제1플랜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플랜지(593)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플랜지(591)에는 회전축(611)이 수용되는 축수용홀(592, 제1플랜지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되어도 무방함)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593)에는 회전축(611)이 관통하는 축관통홀(594)이 구비되며 상기 모터기어(63)는 회전축(611)에 고정되어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611)의 회전에 의해 모터기어(63)가 회전하면 모터(61)는 랙(65)을 따라 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모터(61)가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모터가 고정된 이물질 제거부(B) 역시 하우징(51)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b)는 축지지부(5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축지지부(59)는 이물질 제거부(B)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축수용 하우징(595), 상기 축수용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는 축관통홀(596)로 구비된다.
상기 축수용 하우징(595)은 내부가 빈 중공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압축판(551)에 고정되며 상기 축관통홀(596)에는 모터의 회전축(611)이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축(611)에는 축플랜지(613)가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축(611)이 축수용 하우징(59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축플랜지(613)는 축수용 하우징(595)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축(611)이 축관통홀(596)을 통해 축수용 하우징(595)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B)는 구동부(6)와 함께 하우징(51)의 길이방향(필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하우징의 저장공간(5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저장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량 감지부는 저장공간(511) 내부의 이물질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7은 구동부(6)의 작동 시 압축부(55)나 브러쉬(57)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저장공간(51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저장량 감지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량 감지부를 위치감지부(7)로 칭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위치감지부(7)는 압축부(55)나 브러쉬(57)에 구비되는 자력형성수단(71), 상기 자력형성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형성수단(71)이 압축부(55)에 구비된다면 상기 자력감지수단(73, 7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43) 내부에 고정되되 저장공간(511)의 바닥면에 구비된 홀(514, 515)을 통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력형성수단(71)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자력감지수단(73, 75)은 자력형성수단이 제공하는 자력에 의해 ON-OFF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미도시)에 전송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hc)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감지수단은 압축부(55)가 기 설정된 초기위치(압축부의 왕복운동 제1한계점 L1)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자력감지수단(73), 이물질의 저장량이 기 설정된 저장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자력감지수단(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는 공기유입홀(5317)을 통해 필터어셈블리(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면 하우징(51)의 어느 위치에나 설정될 수 있는데 도 7은 하우징(51)의 전방면(핸들(513)이 위치하는 하우징의 일면, 또는 공기유입홀(5317)과 핸들(513) 사이의 공간)을 초기위치로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삽입되면 상기 제1자력감지수단(73)과 자력형성수단(71)은 하우징(51)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홀(514)을 통해 서로 마주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자력감지수단(75)은 하우징(51)에 저장 가능한 이물질의 최대량을 판단 가능한 위치에 구비된다.
하우징(51)에 저장 가능한 최대 이물질의 양은 건조효율이 심각히 저하되는 위치(왕복운동 제2한계점(L2))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트롤러(미도시)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전 제1자력감지수단(73)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초기위치에 있는지 여부 및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는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공급부(3)를 통해 드럼(2)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이물질 제거부(B)를 통해 필터(533)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컨트롤러(미도시)는 모터(61)에 구비된 회전축(611)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이물질 제거부(B)가 하우징(51) 내부에서 왕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제1자력감지수단(73)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한 때 모터의 회전축(61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면 회전축(611)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모터(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이물질 제거부(B)의 작동 중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필터어셈블리(5)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트롤러(미도시)가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알림수단(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5)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모터 회전축의 동작을 중단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2: 측면패널 13: 후방패널 15: 베이스패널
17: 드럼지지부 19: 필터지지패널 2: 드럼
3: 공기공급부 4: 배출유로 41: 연결덕트
43: 배출덕트 5: 필터어셈블리 51: 하우징
511: 저장공간 513: 핸들 514: 제1홀
515: 제2홀 517: 슬릿 53: 필터부
531: 필터프레임 5311: 제1프레임 5313: 제2프레임
533: 필터 535: 스크래퍼 55: 압축부
551: 압축판 552: 관통홀 57: 브러쉬
59: 축지지부 591: 제1플랜지 592: 축수용홀
593: 제2플랜지 594, 596: 축관통홀 595: 축수용하우징
6: 구동부 61: 모터 63: 모터기어
65: 랙 7: 저장량 감지부(위치감지부)
71: 자력형성수단 73, 75: 자력감지수단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가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축하는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하는 필터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삽입홀을 통해 상기 배출덕트에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가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홀,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배출덕트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공기유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 가능한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랙에 결합하는 모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압축시키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브러쉬에서 분리시키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필터프레임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스크래퍼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압축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브러쉬 돌기로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 돌기는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와 다른 하나의 스크래퍼 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를 왕복하여 이물질을 압축하는 압축판;
    상기 압축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압축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이 구비된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기어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고정되는 자력형성수단;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수용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상부에 상기 필터부를 고정시켜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홀과 소정거리 이격된 제2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감지수단은
    상기 배출덕트에 고정되되 상기 제1홀의 하부에 위치한 제1자력감지수단, 상기 배출덕트에 고정되되 상기 제2홀의 하부에 위치한 제2자력감지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20157985A 2012-12-31 2012-12-31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85A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2-12-31 의류처리장치
GB201322765A GB2509614B (en) 2012-12-31 2013-12-20 Filter assembly including impurity remover unit
US14/138,818 US9702625B2 (en) 2012-12-31 2013-12-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102013227120.4A DE102013227120B4 (de) 2012-12-31 2013-12-23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FR1363433A FR3000504B1 (fr) 2012-12-31 2013-12-23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ge
CN201310750637.8A CN103911832B (zh) 2012-12-31 2013-12-31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985A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2-12-3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55A true KR20140087555A (ko) 2014-07-09
KR102052970B1 KR102052970B1 (ko) 2019-12-06

Family

ID=5007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985A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2-12-3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2625B2 (ko)
KR (1) KR102052970B1 (ko)
CN (1) CN103911832B (ko)
DE (1) DE102013227120B4 (ko)
FR (1) FR3000504B1 (ko)
GB (1) GB25096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9795A (ja) * 2016-08-01 2018-02-08 株式会社コーワ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US11433341B2 (en) 2018-10-29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327B1 (ko) * 2014-07-18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839692A (zh) * 2017-04-07 2017-06-13 中化重庆涪陵化工有限公司 高效干燥的卧式转筒干燥机
CN108895782A (zh) * 2018-07-19 2018-11-27 芜湖青悠静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效果好的茶叶生产用烘干装置
KR102360389B1 (ko) * 2020-07-17 2022-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396A (ja) * 1993-11-19 1995-05-30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WO2008074581A1 (de) * 2006-12-19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es sowie eine solche vorrichtung enthaltendes hausgerät
EP2055825A1 (fr) * 2007-10-30 2009-05-06 FagorBrandt SAS Machine à sécher le linge comprenant un filtre à peluches
JP2010525285A (ja) * 2007-04-18 2010-07-22 ハイアー グルー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コンフィルターセルフ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10122466A (ko) * 2010-05-0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28B1 (ko) 2007-07-13 2008-04-17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의류건조기용 필터조립체
CN102257208B (zh) 2008-12-17 2013-12-11 Lg电子株式会社 烘干机和用于该烘干机的杂质去除设备
KR20110075779A (ko) 2009-12-29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청소장치
US9096970B2 (en) 2010-05-04 2015-08-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3-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KR101265644B1 (ko) * 2010-05-07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716821B1 (ko) 2010-10-12 201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린트 청소장치
CH704608A2 (de) 2011-03-01 2012-09-14 V Zug Ag Wäschetrockner mit Flusenfilterreinigung.
KR102029241B1 (ko) 2012-12-07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396A (ja) * 1993-11-19 1995-05-30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WO2008074581A1 (de) * 2006-12-19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es sowie eine solche vorrichtung enthaltendes hausgerät
JP2010525285A (ja) * 2007-04-18 2010-07-22 ハイアー グルー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コンフィルターセルフクリーニング装置
EP2055825A1 (fr) * 2007-10-30 2009-05-06 FagorBrandt SAS Machine à sécher le linge comprenant un filtre à peluches
KR20110122466A (ko) * 2010-05-0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9795A (ja) * 2016-08-01 2018-02-08 株式会社コーワ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US11433341B2 (en) 2018-10-29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2156A1 (en) 2014-07-03
KR102052970B1 (ko) 2019-12-06
US9702625B2 (en) 2017-07-11
DE102013227120B4 (de) 2018-11-22
GB2509614A (en) 2014-07-09
CN103911832B (zh) 2016-03-23
DE102013227120A1 (de) 2014-07-03
FR3000504B1 (fr) 2018-07-20
GB201322765D0 (en) 2014-02-05
GB2509614B (en) 2015-05-20
CN103911832A (zh) 2014-07-09
FR3000504A1 (fr)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226B1 (ko) 의류처리장치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KR2014007390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EP294858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133203B1 (en) Clothes dryer
KR2014008755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3225B1 (ko) 의류처리장치
EP352472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523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2294609B1 (ko) 의류 처리 장치
JP5537374B2 (ja) 乾燥処理装置及び除去装置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20210114723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21280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20009583A (ko) 세탁장치
KR1021486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29327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127356A (zh) 滚筒式洗干一体机
KR101191212B1 (ko) 세탁장치
KR20170140631A (ko) 세탁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