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906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906A
KR20140073906A KR1020120141933A KR20120141933A KR20140073906A KR 20140073906 A KR20140073906 A KR 20140073906A KR 1020120141933 A KR1020120141933 A KR 1020120141933A KR 20120141933 A KR20120141933 A KR 20120141933A KR 20140073906 A KR20140073906 A KR 2014007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filter
brush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241B1 (ko
Inventor
김정윤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41B1/ko
Priority to US14/096,174 priority patent/US9677217B2/en
Priority to FR1362180A priority patent/FR2999195B1/fr
Priority to DE102013224968.3A priority patent/DE102013224968A1/de
Priority to GB1321617.1A priority patent/GB2509608B/en
Priority to CN201310659428.2A priority patent/CN103866528B/zh
Publication of KR2014007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에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운동하게 하는 브러쉬 구동부,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한편, 의류(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드럼에 재공급하는 동안(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안) 열교환장치가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 및 가열하는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나뉘어질 수 있다.
한편, 건조 중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는 의류와 같은 건조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에 쌓일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면 세탁기가 위치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능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건조기능이 구비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덕트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였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는 나라마다 설정된 표준화된 규격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에 의해 연결덕트의 길이(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의 길이)를 확장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연결덕트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상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때 마다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의 양을 확인한 뒤 청소해야만 건조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않았음에도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덕트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용량 확장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과 용량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업용 건조기로 사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의 진행 중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함으로써 건조단계의 진행 중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덕트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구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에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운동하게 하는 브러쉬 구동부,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킨 후 상기 위치감지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덕트에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착감지단계, 상기 위치감지부가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브러쉬에 구비된 자력형성수단 및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왕복운동 한계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으로 구비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용량 확장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여과 용량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업용 제품으로 사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의 진행 중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함으로써 건조단계의 진행 중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의 청소시기를 통지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덕트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인지 구분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배출유로 및 필터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브러쉬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어셈블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 상기 드럼에 가열공기(열풍)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4),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투입구(111)가 구비된 전방패널(11), 상기 드럼(2)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유입구(151)가 구비된 후방패널(15)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드럼(2)에 투입하거나 드럼에서 인출할 수 있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전방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내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 컨트롤패널(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패널(15)은 상기 전방패널을 마주보도록 상기 전방패널의 반대방향에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유입구(151)는 후방패널(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부(3)에서 공급된 공기가 드럼(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5)에는 배출유로(4, 도 2참고)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공기배출구(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5)에는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플랜지(15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부(1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지지부(17)는 투입구(111)와 드럼(2) 내부를 연통시키는 지지부 관통홀(171)을 포함한다.
따라서,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지지부 관통홀(171)을 거쳐 드럼(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지지부(17)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플랜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방플랜지(173)는 지지부 관통홀(17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 경우 전방플랜지(173)의 지름은 드럼(2)의 지름에 따라 지지부 관통홀(171)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의 전방면은 전방플랜지(17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후방면은 후방플랜지(1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드럼(2)은 드럼구동부(21)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구동부(21)는 모터(211),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드럼(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3)는 드럼(2)에 가열공기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과 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후방패널(15)에 구비되는 히터하우징(31), 상기 히터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가열수단, 33), 상기 배출유로(4)에 구비(연결덕트(41) 또는 배출덕트(43)에 구비)되는 팬(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31)은 후방패널에 구비된 공기유입구(151)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히터하우징(3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하우징 유입구(311)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히터하우징(31)을 캐비닛(1) 내부에 구비시키지 않고 캐비닛(1)의 외부에 구비시킨 것은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함이다.
세탁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많은 양의 공기를 드럼(2) 내부로 공급하여야만 일정 시간 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대용량 히터(가열수단)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히터를 구비시킨다면 캐비닛(1)의 외형이 커질 뿐만 아니라 대용량 히터에 의해 캐비닛(1)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 부품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공급부(3)를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시킨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빠른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드럼(2)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41), 상기 드럼(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연결덕트(4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41)는 투입구(111)의 하방(지지부 관통홀(171)의 전방)에 위치하여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덕트(43)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연결덕트(41)는 투입구(111)의 외주면과 배출덕트(43)의 덕트연결홀(431, 도 2참고)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배출덕트(43)는 연결덕트(41)와 공기배출구(153)를 연결하여 연결덕트(41)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공급부(3)에 구비된 팬(35)은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덕트(43)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서는 큰 풍량의 확보가 필수적인데 제한된 크기를 가진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팬을 설치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패널(15)에 팬(35)을 고정시키되 팬(35)이 공기배출구(153)를 통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캐비닛(1)의 크기 변화 없이도 대용량 팬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연결덕트(41)가 아니라 상기 배출덕트(43)에 구비되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연결덕트(41)에 필터가 구비되었는데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결덕트(41)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어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2)의 길이방향(드럼의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배출덕트(43)에 필터어셈블리(5)가 구비되므로 필터어셈블리의 여과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빠른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배출덕트(4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1)에는 필터지지패널(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패널(19)에는 필터어셈블리(5)가 삽입되는 필터삽입홀(191, 도 2참고)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지지패널(19)은 전방패널(11)의 하부(도어(1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5)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필터어셈블리(5)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저장공간(511)이 구비된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은 필터지지패널(19)에 구비된 필터삽입홀(191)을 통해 배출덕트(43)에 삽입되며 하우징(51)의 인출 및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51)에는 핸들(5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연결덕트(41)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우징의 개방면에는 필터부(53, 도 3참고)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브러쉬(57), 브러쉬(57)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공간(511) 내부에서 압축하는 압축부(5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53)는 하우징(51)의 개방면에 위치하는 프레임(531),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53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31)은 덕트연결홀(431)에 연통하는 공기유입홀(5317)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덕트(41)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홀(431) 및 공기유입홀(5317)을 통해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뒤 필터(533)를 거쳐 하우징(51)의 외부(배출덕트(43)의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31)은 공기유입홀(5317)이 구비된 제1프레임(5311), 제1프레임(5311)과 힌지결합하는 제2프레임(53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저장공간(511)에 저장된 이물질을 하우징(51)에서 쉽게 인출하기 위함인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프레임(531)에는 후술할 랙기어(65, 67)가 수용되는 랙기어 수용부(53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기어 수용부(5315)는 제1프레임(5311)과 제2프레임(5313)의 접합부(경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57)는 하우징(51) 내부(저장공간(511)의 내부)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터(53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압축부(55)는 하우징(51)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저장공간(51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압축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57)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55)의 상부면에 구비됨으로써 필터(533)에 접촉한다면 브러쉬(57)를 저장공간(511)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하나의 구동부(6, 브러쉬 구동부)만으로도 브러쉬 및 압축부를 모두 작동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55)의 마주보는 양단에는 바(bar) 형상의 바디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기어가 구비된 제1랙(551)과 제2랙(5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51)의 개방면에는 상기 랙(551, 552)의 이동을 안내하는 랙가이더(59)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랙가이더(59)는 필터부의 프레임(531)과 하우징(5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랙(551)과 제2랙(553)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랙가이더(59)는 하우징(51)의 개방된 상부면에 지지되는 가이더바디(591), 상기 가이더바디(591)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랙과 제2랙이 수용되는 랙수용부(5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수용부(593)는 가이더바디(591)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플랜지(5931), 제1랙과 제2랙이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기 제1가이드플랜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가이드플랜지(59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플랜지(5933)는 가이더바디(591)의 길이방향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더바디(591)의 일부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가이드플랜지(5933)를 통해 압축부(55)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필터어셈블리(5)의 이물질 압축량을 제2가이드플랜지(5933)를 통해 결정하기 위함이다.
브러쉬(57)에 의해 필터(533)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압축부(55)에 의해 공기유입홀(5317)이 위치된 방향에서 공기유입홀(5317)이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2가이드플랜지(5933)가 구비된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하우징(51)의 저장공간(5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면 압축부(55)는 제2가이드플랜지(5933)에 의해 압축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저장공간(511)에 이물질을 압축하게 될 것이다.
한편, 브러쉬(57)에 의해 필터(533)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브러쉬(57)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53)의 프레임(531)에는 스크래퍼(5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57)는 상기 압축부(55)의 상부면에 소정거리 이격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스크래퍼(535)는 상기 프레임(531)에 소정거리 이격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535)는 브러쉬(57)가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운동할 때 브러쉬에 구비된 하나의 돌기와 다른 하나의 돌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러쉬(57)에 구비된 다수의 돌기들은 상기 스크래퍼(535)와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축부(55)가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할 때 브러쉬(57)와 스크래퍼(535)가 접촉하여 압축부(55)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브러쉬를 형성하는 돌기들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스크래퍼가 쉽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상술한 압축부(55) 및 브러쉬(57)는 브러쉬 구동부(6)에 의해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브러쉬 구동부(6)는 배출덕트(43)의 외부에 고정되는 브러쉬 모터(61), 상기 배출덕트(43)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기어(63), 상기 랙기어 수용부(5315)에 구비되어 상기 랙(551, 553)을 회전시키는 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브러쉬 모터(61)는 배출덕트(43)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43)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유지보수에 용이할 것이다.
한편, 배출덕트(43)의 외부에 브러쉬 모터(61)가 고정될 경우 상기 모터기어(63)는 배출덕트(43)를 관통하는 상기 브러쉬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랙기어는 프레임(531)에 구비된 랙기어 수용부(5315)에 구비되는 제1랙기어(65) 및 제2랙기어(67)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는 연결축(69)을 통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저장공간(511) 내부에 이물질이 많거나 필터(533)에 이물질이 많은 경우 압축부(55)나 브러쉬(57)는 왕복운동 시 큰 저항을 받게 되므로 하나의 랙기어만 구비될 경우 필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저장공간 내부에 압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브러쉬 구동부는 제1랙기어(65)와 제2랙기어(67)가 연결축(69)을 통해 결합되어 있고, 제1랙기어(65)는 제1랙(551)에 치합되며 제2랙기어(67)는 제2랙(553)에 치합되어 있어 제1랙기어(65)와 제2랙기어(67) 중 어느 하나만 모터기어(63)에 연결되면 브러쉬 및 압축부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삽입홀(191)에서 랙기어(65, 67) 사이의 거리는 필터삽입홀(191)에서 모터기어(63)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로부터 인출되면 랙기어(65, 67) 중 하나가 모터기어(63)에서 분리되고,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삽입되면 랙기어(65, 67) 중 하나가 모터기어(63)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연결축(69)은 필터부(23)의 제1프레임(5311)과 제2프레임(5313)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으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프레임(5313)을 개방함으로써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필터부(53)의 제1프레임(5311)과 제2프레임(5313)이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 비해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하우징의 저장공간(5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저장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량 감지부는 저장공간(511) 내부의 이물질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5는 브러쉬 구동부(6)의 작동 시 압축부(55)나 브러쉬(57)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저장공간(51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저장량 감지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량 감지부를 위치감지부(7)로 칭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위치감지부(7)는 압축부(55)나 브러쉬(57)에 구비되는 자력형성수단(71), 상기 자력형성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형성수단(71)이 압축부(55)에 구비된다면 상기 자력감지수단(73, 75)은 배출덕트(43) 내부에 고정되되 저장공간(511)의 바닥면에 구비된 홀(515, 517)을 통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력형성수단(71)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자력감지수단(73, 75)은 자력형성수단이 제공하는 자력에 의해 ON-OFF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미도시)에 전송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hc)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감지수단은 압축부(55)가 기 설정된 초기위치(압축부의 왕복운동 제1한계점 L1)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자력감지수단(73), 이물질의 저장량이 기 설정된 저장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자력감지수단(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는 공기유입홀(5317)을 통해 필터어셈블리(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면 하우징(51)의 어느 위치에나 설정될 수 있는데 도 5는 하우징(51)의 전방면(핸들(513)이 위치하는 하우징의 일면, 또는 공기유입홀(5317)과 핸들(513) 사이의 공간)을 초기위치로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삽입되면 상기 제1자력감지수단(73)과 자력형성수단(71)은 하우징(51)의 바닥면에 구비된 제1홀(515)을 통해 서로 마주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자력감지수단(75)은 하우징(51)에 저장 가능한 이물질의 최대량을 판단 가능한 위치에 구비된다.
하우징(51)에 저장 가능한 최대 이물질의 양은 건조효율이 심각히 저하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는데 압축부(55) 및 브러쉬(57)의 이동이 제2가이드플랜지(5933)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2자력감지수단(75)은 압축부(55)의 왕복운동 제2한계점(L2)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자력감지수단(75)은 공기유입홀(5317)을 향하는 제2가이드플랜지(5933)의 전방 가장자리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미도시)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전 제1자력감지수단(73)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초기위치에 있는지 여부 및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필터어셈블리(5)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0)의 사용으로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적으면 도 5 (b)와 같이 제2자력감지수단(75)은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할 수 있으나 도 5 (c)와 같이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면 제2자력감지수단(75)은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트롤러(미도시)가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알림수단(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5)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시작되는데 의류처리장치에 필터어셈블리(4)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착감지단계(S100),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300),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종료 전(드럼에 공기공급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동안 필터부(53)를 청소하는 최종구동단계(S500, 건조 후 필터청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감지단계(S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초기(건조단계의 개시 전)에 브러쉬(57)의 왕복운동 한계점(L1, L2)에 위치한 자력감지수단(73, 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 및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건조단계(S300)는 드럼(2)에 미가열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단계(S310)의 실행으로 개시되므로 상기 장착감지단계(S100)는 공기공급단계(S310) 이전에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감지단계(S100)는 브러쉬 구동부(6)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브러쉬 구동단계(S110, S130), 상기 브러쉬 구동단계의 진행 중 자력감지수단(73, 75)을 통해 자력형성수단(71)의 위치를 감지하는 브러쉬 감지단계(S120)를 포함한다.
브러쉬 구동단계(S110)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브러쉬 구동부(6)를 제어하여 상기 압축부(55) 및 브러쉬(57)가 일정시간(S130) 동안 왕복운동 한계점(L1, L2) 사이를 왕복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브러쉬 감지단계(S120)는 브러쉬(57)의 왕복운동 한계점(L1, L2)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이 모두 압축부(55)에 고정된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면(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모두 브러쉬(57)의 위치를 감지하면) 컨트롤러(미도시)는 필터어셈블리(5)가 배출덕트(43)에 장착되었고 필터어셈블리의 하우징(51) 내부에 적은 양의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건조단계를 개시(S310)한다.
그러나, 본 발명 제어방법은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이 모두 자력형성수단(71) 감지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5)의 상태를 통지하는 건조 전 알림단계(S123, S124)를 진행한다.
상기 건조 전 알림단계(S123, S124)는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중 어느 하나의 자력감지수단만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한 경우에도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 전 알림단계(S123, S124)는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감지수단이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전 알림단계는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5)가 덕트에 장착되지 않았거나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full-loaded)임을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필터확인 요청단계(S123), 필터확인 요청단계 후 의류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24)로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필터확인 요청단계(S123) 후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은 상업용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일정 금액을 결재해야만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업용으로 사용될 경우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결재하는 금액에 따라 작동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에 필터어셈블리(5)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의 청소가 필요한 상태라면 세탁물을 깨끗하게 건조할 수 없는 문제, 의류처리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세탁물을 깨끗히 건조하지 못하거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고, 의류처리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는 상업용 의류처리장치의 관리자에게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을 발생시키는데 본 발명 제어방법은 브러쉬 감지단계(S120)에서 자력감지수단(73, 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못한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경우 전원공급단계 및 장착감지단계(S100)는 일정 금액의 결재 전에 실행되고, 상기 건조단계(S300)는 사용자가 일정금액을 결재한 이후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만 하면 장착감지단계(S100)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의 장착여부나 이물질의 양을 확인하고, 필터어셈블리(5)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많으면 의류처리장치(1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므로 필터어셈블리(5)의 미장착이나 필터어셈블리(5)에 이물질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전원공급을 차단(S124)하기 전 필터확인 요청단계(S123)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필터어셈블리(5)를 청소하거나 필터어셈블리(5)를 배출덕트(43)에 장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결재할 비용의 증가나 사용자가 결재한 비용의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브러쉬 감지단계(S120)에서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모두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한 경우 일정금액의 결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금액의 결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미도시)는 브러쉬 구동중단(S130) 후 진행되어 일정금액이 결재된 경우 건조단계(S300)를 개시하게 될 것이다.
한편, 장작감지단계(S100)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의 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건조단계(S300)를 진행한다.
상기 건조단계(S300)는 공기공급단계(S310)를 시작함으로써 개시되는데 상기 공기공급단계(S310)는 드럼(2) 내부에 가열공기(열풍)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드럼(2)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공기공급단계(S310)는 히터(33, 가열수단)와 팬(35)을 작동시킴으로써 진행될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S300)는 공기공급단계(S310)의 진행 중 일정한 주기로 브러쉬(57) 및 압축부(55)의 구동과 구동중단을 반복하는 브러쉬 구동단계(S340)를 포함한다. 이는 건조단계(S300)의 진행 중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러쉬 구동단계(S340)에서 상기 브러쉬(57)는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필터부(53)에서 분리시키고, 압축부(55)는 브러쉬(57)에 의해 필터부(53)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하우징(51) 내부에 압축시켜 저장한다.
상기 브러쉬 구동단계(S340)는 공기공급단계의 종료 시까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단계(S360)를 포함한다.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S360)은 측정된 세탁물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건조도 이상인지 여부, 또는 드럼에 공기를 공급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단계(S360)에서 세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됐다고 판단되거나 드럼에 공기를 공급한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를 중단(S380)시킨 후 냉각단계(S390)를 진행하나 건조대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S310)와 브러쉬 구동단계(S340)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 냉각단계(S390)는 히터(33, 가열수단)의 작동은 중단시킨 채 팬(35)만을 작동시키는 단계로 가열된 세탁물을 사용자가 드럼(2)에서 인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냉각단계(S390)는 팬(35)을 일정 시간동안 작동시킨 뒤 팬의 작동을 중단함으로써 완료되며 냉각단계의 완료로 건조단계(S300)가 종료된다.
건조단계(S30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최종구동단계(S500)를 진행한다.
상기 최종구동단계(S500)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이 종료되기 전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사용자가 필터어셈블리를 청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추후 의류처리장치 사용 시 별도의 필터부(53) 청소가 필요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최종구동단계(S500)는 브러쉬 구동부(6)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브러쉬 최종 구동단계(S510), 상기 브러쉬 최종 구동단계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S5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브러쉬 최종 구동단계(S510)는 상기 냉각단계(S390)의 종료 후 개시됨이 바람직하나 브러쉬 최종구동단계(S510)가 상기 냉각단계(S390)의 진행 중 개시된다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브러쉬 최종구동단계(S510)는 브러쉬 구동부(6)를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하우징(51)의 저장공간(511) 내부를 왕복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종료 전 필터부(53)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S520)는 상기 브러쉬 최종구동단계(S510)의 진행 중 자력감지수단(73, 75)이 자력형성수단(7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진행된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S520)는 브러쉬(57)와 압축부(55)의 왕복운동 한계점(L1, L2)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진행된다.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필터어셈블리의 하우징(51)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적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알림단계 없이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중 어느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라도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의 확인을 요청하는 최종알림단계(S530)를 진행한 후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필터부(53)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배출유로(4)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필터부(53)에 이물질이 쌓여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배출유로(4)를 구성하는 연결덕트(41)나 배출덕트(43)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건조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제어방법으로는 배출유로(4)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는 필터부(53)의 막힘(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이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 및 배출유로의 막힘도 감지 가능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역시 장착감지단계(S100), 건조단계(S300) 및 최종구동단계(S500)로 구비되는데 장착감지단계(S100)와 최종구동단계(S500)는 도 6에 도시된 단계들과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건조단계(S300)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건조단계(S300)도 공기공급단계(S310)를 시작으로 개시되는데 본 실시예의 공기공급단계(S310)는 히터(33, 가열수단) 및 팬(35)을 작동시킴으로써 진행된다.
공기공급단계(S310)의 진행 중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가열수단(33)의 작동주기를 측정(S320)한다.
바이메탈(bimetal)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33)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될 경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 측정(S320)은 컨트롤러(미도시)가 가열수단에 전원이 n차 공급된 때로부터 가열수단에 전원이 n+1차 공급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고, 가열수단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뒤 전원이 재공급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 측정(S320)은 도 8에 도시된 형태로도 진행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미도시)가 가열수단(33)의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가열수단의 과열여부를 판단하고, 가열수단의 과열여부에 따라 가열수단(33)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면서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열수단(33)에 전원이 공급(S321)된 뒤 가열수단이 과열(S322)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가열수단에 전원 공급을 차단(S323)하고, 가열수단(33)에 전원공급을 차단시킨 후 과열이 해소(S324)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가열수단(33)에 전원을 재공급(S321)한다.
이 경우, 상기 가열수단 작동주기 측정단계(S320)는 컨트롤러가 전원차단(S323) 후 가열수단이 전원을 재공급(S321) 받는데 걸린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고, 가열수단에 전원이 n차 공급(S321)된 때로부터 가열수단에 전원이 n+1차 공급(S321)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가열수단의 작동주기가 측정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작동주기를 기 설정된 기준주기와 비교한다(S330).
측정된 가열수단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길면(이상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하우징(51) 내부를 왕복운동하여 필터부(53)를 청소하는 브러쉬 구동단계(S340)를 진행한다.
상기 브러쉬 구동단계(S340)는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를 통해 세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다만, 측정된 가열수단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짧으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필터부(53)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배출유로(4)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막힘구분단계(S331, S332, S333, S370)를 진행한다.
상기 막힘구분단계는 브러쉬 구동부(6)를 제어하여 브러쉬(57) 및 압축부(55)를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단계(S331), 브러쉬(57)의 구동 중 브러쉬의 왕복운동 한계점(L1, L2)에 위치한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2)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의 위치를 감지한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덕트의 배출유로(4)의 막힘을 사용자에게 통지(S333, 배출유로 막힘 알림단계)한 후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단계(S360)를 수행한다.
그러나,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제2자력감지수단(75)만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 내부가 이물질에 의해 가득찬 상태임을 통지하는 단계(S370, 필터어셈블리 내부의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를 진행한 후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단계(S360)를 수행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열수단(33)의 과열(overheat)에 따른 문제(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이나 의류의 손상 등)를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미도시)가 가열수단(33)이 기준온도 이상이면 가열수단(33)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가 되도록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한편,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의 양이 많거나 필터부(53)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 또한, 배출유로(4)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에도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든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면 가열장치(33)는 쉽게 과열되므로 가열장치(33)의 작동주기는 짧아지는 경향이 있는다.
따라서, 가열장치(33)의 작동주기 및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면 배출유로(4)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는지, 필터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열장치(33)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짧은데(미만인데)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가 아니라면(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모두 자력형성수단을 감지, 또는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 경우) 배출유로(4)의 막힘으로 볼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가 아님에도 가열장치(33)가 쉽게 가열된다는 것은 배출유로(4)의 막힘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한편, 가열장치(33)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짧은데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가열장치(33)의 작동주기를 단축시킨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상술한 막힘구분단계(S331, S332, S333, S370)는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연결덕트(41)나 배출덕트(43)가 막힌 경우 및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이 많이 저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두 의류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지는 않는데 이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이미 결재한 금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발명 제어방법은 배출유로(4)의 막힘이나 필터부 막힘에 관한 알림을 진행(S333, S370)한 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단계(S371, S372, S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막힘구분단계(S331, S332, S333, S370) 후 필터부(53)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 구동단계(S340)를 진행하지 않고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를 진행하는 것은 배출유로(4) 막힘의 경우 필터부(53)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더라도 건조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이미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이물질이 가득찬 상태이므로 필터부(53)를 브러쉬(57)가 청소하더라도 건조효율의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물의 건조도가 기준건조도에 도달하였거나, 드럼에 공기를 공급한 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공기공급단계의 종료여부 판단단계(S360)에서 건조대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됐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의 종료(S380) 후 냉각단계(S390)를 진행하나 건조대상물이 원하는 수준으로 건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된 단계들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냉각단계(S3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35)의 작동 중단으로 종료되며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S300)가 완료된다.
건조단계(S30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최종구동단계(S500, 건조 후 필터청소단계)를 진행하며 그 내용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 역시 장착감지단계(S100), 건조단계(S300) 및 최종구동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건조단계(S300)의 진행 중 필터어셈블리(5)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는 단계(S350)가 더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S310)의 진행 중 필터부(53)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 구동단계(S340) 및 2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0, 적층량 감지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적층량 감지단계(S350)에서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공기공급단계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
그러나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73, 75) 모두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제2자력감지수단(75)이 자력형성수단(71)을 감지하지 못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5)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S370, 필터확인 알림단계)를 수행한다.
적층량 감지단계(S350)에서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이물질의 양이 많다고 판단됨에도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업용 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결재한 금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실시예 역시 배출유로(4)의 막힘이나 필터부 막힘에 관한 알림을 진행(S333, S370)한 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단계(S371, S372, S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어셈블리(5)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요청(S370) 받거나 배출유로(4)의 막힘을 통지(S333)받은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건조효율 저하의 원인을 해결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방법은 제1자력감지수단(73)은 브러쉬(57)의 최기위치 감지를 위해 구비되고, 제2자력감지수단(75)은 하우징(5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필터어셈블리(5)의 이물질 최대 저장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시킬 필요는 없다.
즉,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하우징(51) 내부의 일정영역을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고, 제1자력감지수단(73)과 제2자력감지수단(75)은 브러쉬(57) 및 압축부(55)가 기 설정된 두 개의 왕복운동 한계점(일정영역의 양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상술한 제어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3: 도어 15: 후방패널 17: 드럼지지부
19: 필터지지패널 191: 필터삽입홀 2: 드럼
21: 드럼구동부 3: 공기공급부 4: 배출유로
41: 연결덕트 43: 배출덕트 5: 필터어셈블리
51: 하우징 511: 저장공간 513: 핸들
53: 필터부 531: 프레임 5311: 제1프레임
5313: 제2프레임 5315: 랙기어 수용부 5317: 공기유입홀
533: 필터 535: 스크래퍼 55: 압축부
57: 브러쉬 59: 랙가이더 6: 브러쉬 구동부
7: 위치감지부(저장량 감지부)

Claims (14)

  1.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덕트,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에 연결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의 일정영역을 왕복운동하게 하는 브러쉬 구동부,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킨 후 상기 위치감지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덕트에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착감지단계;
    상기 위치감지부가 상기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브러쉬에 구비된 자력형성수단 및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왕복운동 한계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으로 구비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필터확인 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필터확인 요청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모두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필터확인 요청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모두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면 상기 드럼에 가열공기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작동시키는 공기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필터청소단계;를 더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는 팬 및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작동하고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작동이 중단되는 가열수단을 통해 상기 드럼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길면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가 기준주기보다 짧은 경우, 상기 필터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상기 연결덕트나 상기 배출덕트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막힘구분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구분단계는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를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시킨 후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모두 상기 자력형성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연결덕트나 상기 배출덕트의 막힘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구분단계는
    상기 두 개의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종료 후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일정시간동안 제거하는 브러쉬 최종구동단계;
    상기 브러쉬 최종구동단계의 진행 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에 저장된 이물질의 제거를 요청하는 최종알림단계;
    상기 최종알림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 중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된 건조대상물의 건조도가 기 설정된 건조도에 도달하였거나 상기 공기공급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냉각단계의 종료 후 상기 브러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일정시간동안 제거하는 브러쉬 최종구동단계;
    상기 브러쉬 최종구동단계의 진행 시 두 개의 상기 자력감지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력감지수단이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어셈블리의 확인을 요청하는 최종알림단계;
    상기 최종알림단계의 종료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41933A 2012-12-07 2012-12-0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33A KR102029241B1 (ko) 2012-12-07 2012-12-0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4/096,174 US9677217B2 (en) 2012-12-07 2013-12-04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FR1362180A FR2999195B1 (fr) 2012-12-07 2013-12-05 Procede pour commander un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ge
DE102013224968.3A DE102013224968A1 (de) 2012-12-07 2013-12-05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GB1321617.1A GB2509608B (en) 2012-12-07 2013-12-06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filter clean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310659428.2A CN103866528B (zh) 2012-12-07 2013-12-09 用于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33A KR102029241B1 (ko) 2012-12-07 2012-12-0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06A true KR20140073906A (ko) 2014-06-17
KR102029241B1 KR102029241B1 (ko) 2019-10-07

Family

ID=500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33A KR102029241B1 (ko) 2012-12-07 2012-12-07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77217B2 (ko)
KR (1) KR102029241B1 (ko)
CN (1) CN103866528B (ko)
DE (1) DE102013224968A1 (ko)
FR (1) FR2999195B1 (ko)
GB (1) GB2509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25B1 (ko) 2012-12-31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4567324A (zh) * 2014-12-11 2015-04-29 赖卫华 一种自动过滤烘干机
US9688196B1 (en) * 2016-09-02 2017-06-27 Antonio Morisset Alarm activated system with snow level sensor
PL3562989T3 (pl) * 2016-12-29 2023-02-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uszarka do prania zawierająca zespół filtra oraz sposób czyszczenia zespołu filtra
WO2018121868A1 (en) * 2016-12-29 2018-07-0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filter assembly and a method to clean a filter assembly
JP6918319B2 (ja) * 2017-09-07 2021-08-1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布類乾燥装置
JP7044525B2 (ja) * 2017-11-24 2022-03-30 三星電子株式会社 衣類乾燥機
WO2019108009A1 (ko) * 2017-12-01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7045873B2 (ja) * 2018-02-05 2022-04-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JP7320774B2 (ja) * 2019-04-04 2023-08-0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乾燥機
DE102019204990A1 (de) 2019-04-08 2020-10-08 BSH Hausgeräte GmbH System zum Reinigen eines Membranelements, insbesondere eines Membranelements eines wasserführenden Haushaltsgeräts, Rakelelement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Membranelements
DE102020206657A1 (de) 2020-05-28 2021-12-02 BSH Hausgeräte GmbH System zum Filtern einer Flüssigkeit,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dem System und Verfahren zum Filtern einer Flüssigkeit
DE102020210389A1 (de) 2020-08-14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Fluidführendes Haushaltsgerät
DE102021205973A1 (de) 2021-06-11 2022-12-15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zur Behandlung von Gegenständen
DE102021207116A1 (de) 2021-07-07 2023-01-12 BSH Hausgeräte GmbH Filtersystem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filterfläche
DE102022207949A1 (de) 2021-08-04 2023-02-09 BSH Hausgeräte GmbH Fluidführendes Haushalts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3056A1 (en) * 2005-11-30 2007-07-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20080029352A (ko) * 2006-09-29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8074581A1 (de) * 2006-12-19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es sowie eine solche vorrichtung enthaltendes hau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0492A (en) * 1986-02-05 1987-10-20 Whirlpool Corporation Air actuated automatic lint screen cleaning system for dryer
CN87208790U (zh) 1987-06-07 1988-09-21 国营万众机器厂 一种全自动洗衣机电脑控制器
US5497563A (en) * 1994-05-05 1996-03-12 Charles D. Johnson Dryer apparatus
KR100314180B1 (ko) 1999-01-19 2001-11-26 윤종용 세탁기의 도어개방안전장치
US6662464B2 (en) * 2002-02-15 2003-12-16 Daniel Mark Treu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dryer lint screens
US7594343B2 (en) * 2006-02-14 2009-09-29 Whirlpool Corporation Drying mode for automatic clothes dryer
CN2885911Y (zh) 2006-04-10 2007-04-04 朱立锋 套缸半自动洗衣机
KR100867475B1 (ko) 2007-04-18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막힘정도 확인방법
CN102257208B (zh) * 2008-12-17 2013-12-11 Lg电子株式会社 烘干机和用于该烘干机的杂质去除设备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3-11-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CN202298256U (zh) 2011-10-28 2012-07-04 乔卫峰 带有抽屉式纤毛收集器的烘干机
CN202380300U (zh) 2011-11-15 2012-08-15 上海凯奥机器有限公司 设有冷凝回收装置的烘干机
CN202380305U (zh) 2011-11-15 2012-08-15 上海凯奥机器有限公司 自清理毛绒烘干机
AU2012372143B2 (en) 2011-12-08 2014-10-30 Lg Electronics Inc. Dr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3056A1 (en) * 2005-11-30 2007-07-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20080029352A (ko) * 2006-09-29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8074581A1 (de) * 2006-12-19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es sowie eine solche vorrichtung enthaltendes hau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09608A (en) 2014-07-09
KR102029241B1 (ko) 2019-10-07
FR2999195B1 (fr) 2017-01-13
US9677217B2 (en) 2017-06-13
US20140157621A1 (en) 2014-06-12
CN103866528A (zh) 2014-06-18
DE102013224968A1 (de) 2014-06-12
GB201321617D0 (en) 2014-01-22
GB2509608B (en) 2016-06-08
CN103866528B (zh) 2017-04-12
FR2999195A1 (fr)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90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28516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1993226B1 (ko) 의류처리장치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WI443242B (zh) 衣服處理裝置及過濾器技術
EP2581490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53179B1 (ko) 건조기
CN102884243B (zh) 具有用于过滤单元的物质去除、收集和压缩单元的衣物处理装置
US8869421B2 (en)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0833865B1 (ko) 스팀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2970B1 (ko) 의류처리장치
EP2397602B1 (en) Industrial laundry drier with filter cleaning device
KR100762332B1 (ko) 필터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99322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12460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7827B1 (ko) 스팀 세탁장치
EP353870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669909B1 (ko) 상업용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KR202100775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5137503A (ja) 衣類乾燥機
KR20120009583A (ko) 세탁장치
RU27892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008653B1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KR101191212B1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