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89B1 -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89B1
KR102360389B1 KR1020200088572A KR20200088572A KR102360389B1 KR 102360389 B1 KR102360389 B1 KR 102360389B1 KR 1020200088572 A KR1020200088572 A KR 1020200088572A KR 20200088572 A KR20200088572 A KR 20200088572A KR 102360389 B1 KR102360389 B1 KR 10236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unit
lubricant
clea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092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02Lubr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는: 연속하역기의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가 고이는 윤활유받이부와, 부두의 지면에 구비되는 윤활유저장부와, 윤활유저장부에 설치되고, 윤활유받이부에 접촉되어 윤활유받이부에 고인 윤활유를 윤활유저장부로 낙하시키는 윤활유크리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LUBRICATING OIL COLLECT DEVICE OF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유가 부두의 지면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인접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선박에서부터 연료와 원료를 지상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는 설비로 연속하역장비를 사용한다. 연속하역장비는 하측에 주행휠이 구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58550호(2003.07.07 공개, 발명의 명칭: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윤활유가 부두의 지면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는: 연속하역기의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가 고이는 윤활유받이부; 부두의 지면에 구비되는 윤활유저장부; 및 상기 윤활유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받이부에 접촉되어 상기 윤활유받이부에 고인 윤활유를 상기 윤활유저장부로 낙하시키는 윤활유크리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활유크리너부는 상기 윤활유저장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활유받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상기 연속하역기의 주행휠부의 이송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윤활유가 고이며, 상기 윤활유크리너부와 접촉되는 윤활유받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활유받이판은, 상기 윤활유가 고이고, 상기 윤활유크리너부와 접촉되는 윤활유받이판본체; 및 상기 윤활유받이판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윤활유막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활유크리너부는, 상기 윤활유받이부와 접촉되는 윤활유크리너; 및 상기 윤활유크리너와 연결되며, 상기 윤활유저장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윤활유저장부 상에서 상기 주행휠부의 이송방향으로 설치되는 래크기어부; 상기 윤활유크리너와 연결되는 이동대; 상기 이동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는 본체부에 설치되는 윤활유받이부에 접촉되는 윤활유크리너부가 윤활유받이부 상에 존재하는 윤활유를 부두의 지면에 구비되는 윤활유저장부에 저장시킴에 따라, 윤활유가 지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가 연속하역기에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윤활유크리너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작동되는 거을 나타낸 다른 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가 연속하역기에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윤활유크리너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의 작동되는 거을 나타낸 다른 예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1)는 윤활유받이부(100), 윤활유저장부(200) 및 윤활유크리너부(300)를 포함한다. 윤활유받이부(100)는 연속하역기(10)의 본체부(11)에 장착되고, 본체부(11)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60)가 고인다. 윤활유받이부(100)는 연속하역기(10)의 주행휠부(17)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부(11)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60)가 고인다.
윤활유저장부(200)는 부두(40)의 지면(41)에 구비된다. 윤활유저장부(200)는 홈부 형상으로 복수개로 지면(41) 상에 주행휠부(17)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정거리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윤활유저장부(200)에 설치되고, 윤활유받이부(100)에 접촉되어 윤활유받이부(100)에 고인 윤활유(60)를 윤활유저장부(200)로 낙하시킨다. 추후, 윤활유저장부(200)에 저장된 윤활유(60)는 흡입관 등의 장치에 외부로 옮겨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부두(40)에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이송물(30)을 적재한 선박(20)이 정박하면, 연속하역기(10)를 이용해 선박에 적재된 이송물(30)을 하역한다. 이러한 연속하역기(10)는 레일(50)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휠부(17)에 의해 부두(40)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11)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붐(12)이 연결되며, 붐(12)의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포스트(13)가 설치된다. 이때, 주행휠부(17)는 복수개로 주행휠모터부(19)와 연결되어 주행휠모터부(1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주행휠모터부(19)는 복수개의 주행휠부(17)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주행휠부(17)는 본체부(11)에 설치되는 주행휠장착부(18)에 장착되어 회동된다. 주행휠장착부(18)는 장착프레임(18a)과 장착축부(18b)를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8a)은 한 쌍으로 본체부(11)에 이격되게 장착된다. 장착축부(18b)는 장착프레임(18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주행휠부(17)가 이격되게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포스트(13)의 하부에 굴삭부(14)가 위치하며, 굴삭부(14)를 따라 이동하는 버켓(15)이 선박의 저장고로 진입하여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이송물(30)을 굴삭하여 붐(12)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미도시)로 전달한다. 이송물(30)은 붐(12)을 통해 본체부(11)의 하측에 구비된 지상벨트컨베이어(16)로 이동되어 야적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1)는 본체부(11)에 설치되는 윤활유받이부(100)에 접촉되는 윤활유크리너부(300)가 윤활유받이부(100) 상에 존재하는 윤활유(60)를 지면(41)에 구비되는 윤활유저장부(200)에 저장시킴에 따라, 윤활유(60)가 지면(41)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윤활유저장부(200)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로 인해,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주행휠부(17)의 작동에 의해 부두(40)의 지면(41)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11)의 주행방향에 따라 윤활유받이부(100)와 접촉되어 윤활유받이부(100)에 고인 윤활유(60)를 윤활유저장부(200)로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일 예로, 본체부(11)가 레일(50)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도 4 내지 도 6 기준) 이동될 때,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윤활유저장부(200)의 우측벽(도 4 내지 도 6 기준)에 접촉된다. 이로써, 본체부(11)로부터 낙하되어 윤활유받이부(100) 상에 존재하는 윤활유(60)가 윤활유크리너부(300)에 의해 윤활유저장부(200)에 쉽게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부(11)가 레일(50)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도 8 내지 도 10 기준) 이동될 때,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윤활유저장부(200)의 좌측벽(도 8 내지 도 10 기준)에 접촉된다. 이로써, 본체부(11)로부터 낙하되어 윤활유받이부(100) 상에 존재하는 윤활유(60)가 윤활유크리너부(300)에 의해 윤활유저장부(200)에 쉽게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윤활유받이부(100)는 장착부(110)와 윤활유받이판(120)을 포함한다. 장착부(110)는 본체부(11)의 하측면에 연속하역기(10)의 이송방향으로 장착된다. 장착부(110)는 본체부(11)의 하측면에 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윤활유받이판(120)은 장착부(110)와 연결되고, 본체부(11)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윤활유(60)가 고이며, 윤활유크리너부(300)와 접촉된다. 윤활유받이판(120)은 장착부(11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측에 본체부(11)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60)가 고인다.
윤활유받이판(120)은 윤활유받이판본체(121)와 윤활유막이판(122)을 포함한다. 윤활유받이판본체(121)는 윤활유(60)가 고이고, 윤활유크리너부(300)와 접촉된다. 윤활유받이판본체(121)는 일측부에 장착부(110)가 연결되고, 타측부에 윤활유막이판(122)이 연결된다.
윤활유막이판(122)은 윤활유받이판본체(121)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윤활유(6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윤활유막이판(122)은 윤활유크리너부(300)의 일측이 접촉된다. 장착부(110)와 윤활유막이판(122) 사이에는 윤활유크리너부(300)의 크리너패널(311)이 삽입된다.
윤활유크리너부(300)는 윤활유크리너(310)와 이동부(320)를 포함한다. 윤활유크리너(310)는 윤활유받이부(100)와 접촉된다. 윤활유크리너(310)는 크리너패널(311)과 지지패널(312)을 포함한다. 크리너패널(311)은 윤활유받이부(100)와 접촉된다. 지지패널(312)은 크리너패널(311)이 결합되고, 후술된 이동부(320)와 결합된다.
이동부(320)는 윤활유크리너(310)와 연결되며, 윤활유저장부(2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32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윤활유저장부(20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부(320)는 래크기어부(321), 이동대(322), 피니언기어부(323) 및 구동부(324)를 포함한다. 래크기어부(321)는 윤활유저장부(200) 상에서 주행휠부(17)의 이송방향으로 설치된다. 래크기어부(321)는 윤활유저장부(200)에 Y축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대(322)는 윤활유크리너(310)와 연결된다. 이동대(322)는 윤활유크리너(310)의 지지패널(312)과 결합된다. 이동대(322)는 막대형태로 윤활유저장부(20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피니언기어부(323)는 이동대(3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래크기어부(321)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이동된다. 피니언기어부(323)는 피니언기어(323a)와 피니언기어축(323b)을 포함한다. 피니언기어(323a)는 래크기어부(321)와 맞물려 회전된다. 피니언기어축(323b)은 피니언기어(323a)와 연결되고, 이동대(3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피니언기어부(323)는 래크기어부(321)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래크기어부(32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구동부(324)는 피니언기어부(323)를 회전시킨다. 구동부(324)는 모터로 피니언기어부(323)를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래크기어부(32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부(324)는 제어부(400)에 의해 연속하역기(10)의 주행방향에 따라 이동된다. 작업자는 제어부(400)를 통해 구동부(32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도 7 참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10 : 연속하역기 11 : 본체부
12 : 붐 13 : 엘리베이터 포스트
14 : 굴삭부 15 : 버켓
16 : 지상벨트컨베이어 17 : 주행휠부
18 : 주행휠장착부 18a : 장착프레임
18b : 장착축부 19 : 주행휠모터부
20 : 선박 30 : 이송물
40 : 부두 31 : 지면
50 : 레일 60 : 윤활유
100 : 윤활유받이부 110 : 장착부
120 : 윤활유받이판 121 : 윤활유받이판본체
122 : 윤활유막이판 200 : 윤활유저장부
300 : 윤활유크리너부 310 : 윤활유크리너
311 : 크리너패널 312 : 지지패널
320 : 이동부 321 : 래크기어부
322 : 이동대 323 : 피니언기어부
323a : 피니언기어 323b : 피니언기어축
324 : 구동부 400 : 제어부

Claims (6)

  1. 연속하역기의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유가 고이는 윤활유받이부;
    부두의 지면에 구비되는 윤활유저장부; 및
    상기 윤활유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받이부에 접촉되어 상기 윤활유받이부에 고인 윤활유를 상기 윤활유저장부로 낙하시키는 윤활유크리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크리너부는 상기 윤활유저장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받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상기 연속하역기의 주행휠부의 이송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윤활유가 고이며, 상기 윤활유크리너부와 접촉되는 윤활유받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받이판은,
    상기 윤활유가 고이고, 상기 윤활유크리너부와 접촉되는 윤활유받이판본체; 및
    상기 윤활유받이판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윤활유막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크리너부는,
    상기 윤활유받이부와 접촉되는 윤활유크리너; 및
    상기 윤활유크리너와 연결되며, 상기 윤활유저장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윤활유저장부 상에서 상기 주행휠부의 이송방향으로 설치되는 래크기어부;
    상기 윤활유크리너와 연결되는 이동대;
    상기 이동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윤활유 수거장치.
KR1020200088572A 2020-07-17 2020-07-17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KR10236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72A KR102360389B1 (ko) 2020-07-17 2020-07-17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72A KR102360389B1 (ko) 2020-07-17 2020-07-17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092A KR20220010092A (ko) 2022-01-25
KR102360389B1 true KR102360389B1 (ko) 2022-02-08

Family

ID=8004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72A KR102360389B1 (ko) 2020-07-17 2020-07-17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77B1 (ko) 2015-08-31 2016-06-14 (주)대진피앤씨 도장설비용 천정 이송장치
KR101938070B1 (ko) 2017-06-14 2019-0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 도유장치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570B2 (ja) * 1993-05-14 1996-07-10 岩谷産業株式会社 鶏舎の鶏糞排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70B1 (ko) 2012-12-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29777B1 (ko) 2015-08-31 2016-06-14 (주)대진피앤씨 도장설비용 천정 이송장치
KR101938070B1 (ko) 2017-06-14 2019-0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 도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092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425C (en) Method and device for renewing a ballast bed
CN110683281A (zh) 一种全滚动摩擦链板托轮给料机
CN103183241A (zh) 链斗式连续卸船机的挖掘取料头
KR102360389B1 (ko) 연속하역기용 윤활유 수거장치
US11325665B2 (en) Idler height adjustment in undercarriage system using displacement of flowable matertal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N101200905B (zh) 矿井水仓清淤机
CN105197615A (zh) 一种门式堆取料机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JP5174767B2 (ja) リクレーマ
KR102250329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101167166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222487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CN219708098U (zh) 一种稳定性好的斗式提升机
JP7253984B2 (ja) リクレーマーの落鉱回収装置
US20240150129A1 (en) Processing plant
CN217200913U (zh) 一种砂石储料库的自动布料装置
KR101159668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22487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레일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3009375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N108798674B (zh) 电铲内孔被磨损支轮的修补装置
KR1013880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JPS60242135A (ja) コンベヤ乗継部サ−ジ調整装置
RU2352708C1 (ru) Машина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балласт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KR101184934B1 (ko) 집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