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757A -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757A
KR20230093757A KR1020210182635A KR20210182635A KR20230093757A KR 20230093757 A KR20230093757 A KR 20230093757A KR 1020210182635 A KR1020210182635 A KR 1020210182635A KR 20210182635 A KR20210182635 A KR 20210182635A KR 20230093757 A KR20230093757 A KR 2023009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collection
guiding member
discharge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757A/ko
Publication of KR2023009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1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ails, flange grooves, or the like railway parts, e.g. removing ice from contact rails, removing mud from flang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와, 하역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역기본체와 함께 이동되며 한 쌍의 레일부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부와, 하역기본체가 설정 위치를 지남에 따라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수거부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배출유도부 및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된 이후 수거부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수거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RAIL CLEAN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하역장비가 이동되는 레일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하역장비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하역장비가 이동되는 레일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역기본체와 함께 이동되며 한 쌍의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하역기본체가 설정 위치를 지남에 따라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거부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배출유도부; 및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된 이후 상기 수거부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거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결합되는 수거프레임부; 상기 수거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부; 및 한 쌍의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부재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 사이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수거플레이트; 및 상기 수거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거플레이트로 유입된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수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거부와 함께 이동되는 제1배출유도부재;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수거부에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2배출유도부재;를 포함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배출유도부재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와 접촉 시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자세유지부; 및 상기 자세유지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에 부가된 회전력을 해제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결합되는 복원프레임부; 상기 복원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거부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웨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수거부에 의해 레일부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함에 따라 이물질 누적으로 인한 하역기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 작업으로 인한 비용 및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배출유도부에 의해 수거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의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수거부에 과다한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복원부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된 수거부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어 이물질 수거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출유도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는 하역기본체(100), 수거부(200), 배출유도부(300), 복원부(400)를 포함한다.
하역기본체(100)는 선박(2)이 정박하는 부두(3)에 설치되며,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등의 원료를 선박에서 부두로 하역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기본체(100)는 선박(2)의 저장고로부터 원료를 퍼올리는 버킷(1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굴삭부(110)와, 굴삭부(11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버킷 엘리베이터부(120) 및 버킷 엘리베이터부(120)와 붐으로 연결되는 주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역기본체(100)는 부두(3)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0)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역기본체(100)는 주행부(1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휠(131)을 매개로 레일부(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역기본체(100)는 모터, 엔진 등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휠(131)이 레일부(10)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레일부(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한 쌍의 레일부(10)가 이격되는 간격은 주행부(13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수거부(200)는 하역기본체(100)와 함께 이동되며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여기서 이물질은 원료를 하역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 누적되는 분진, 낙광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수거부(200)는 하역기본체(100)에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거부(200)는 후술하는 배출유도부(300)의 동작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되며 수거된 이물질을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200)는 수거프레임부(210), 회전부(220), 수거부재(230)를 포함한다.
수거프레임부(210)는 하역기본체(10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회전부(220), 수거부재(2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프레임부(210)는 주행부(13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주행부(130)로부터 레일부(10)를 향해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수거프레임부(21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회전부(220), 수거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회전부(220)는 수거프레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술하는 수거부재(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2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의 샤프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20)는 일단부가 수거프레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회전부(220)의 일단부는 베어링(미도시) 등을 매개로 수거프레임부(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부(220)는 길이 방향이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회전부(220)의 중심축은 레일부(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제1방향은 회전부(220)가 중심축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도 2, 도 3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수거부재(230)는 회전부(220)에 연결되고,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수거부재(230)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 시 하역기본체(100)와 함께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내부로 수거한다. 수거부재(230)는 일측이 회전부(22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거부재(230)는 후술하는 배출유도부(300)에 의해 일측이 회전부(220)를 축으로 제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한 쌍의 레일부(10)로부터 이탈되며 내부에 수거된 이물질을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재(230)는 수거플레이트(231), 이탈방지부(232), 결합부(233)를 포함한다.
수거플레이트(231)는 대략 평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수거플레이트(231)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상부면으로 쓸어담는다. 이 경우, 수거플레이트(231)의 전단부는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거플레이트(231)는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상부면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32)는 수거플레이트(231)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거플레이트(231)로 유입된 이물질이 수거플레이트(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232)는 수거부재(230)의 측벽을 이루도록 수거플레이트(2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부(232)는 수거플레이트(231)의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232)는 수거플레이트(231)의 전단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수거플레이트(231)의 나머지 둘레면으로 이물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233)는 이탈방지부(232)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부(22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33)는 이탈방지부(232)의 상단부 일측(도 2, 도 3 기준 좌측 상단부)으로부터 수평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33)는 하측면이 용접 등에 의해 회전부(220)의 외측면과 일체로 결합된다.
배출유도부(300)는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 상에서 설정 위치를 지남에 따라 수거부(200)에 수거된 이물질이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수거부(200)를 일측 즉,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설정 위치는 레일부(10) 상의 임의의 지점으로, 후술하는 제2배출유도부재(320)가 설치되는 위치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도부(300)는 제1배출유도부재(310), 제2배출유도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수거부(200)로부터 연장되고, 수거부(200)와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회전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일단부가 용접 등에 의해 회전부(220)의 외측면과 일체로 결합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타단부가 회전부(220)로부터 레일부(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길이 방향이 레일부(10)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중심축이 회전부(220)의 중심축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회전부(22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후술하는 제2배출유도부재(320)와 간섭 시 수거부재(230)를 제1방향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수거부(200)에 수거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레일부(10)로부터 연장되고,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 상에서 설정 위치를 지남에 따라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간섭되어 수거부(200)에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한다.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한 쌍의 레일부(10) 중 제1배출유도부재(310)가 돌출된 레일부(1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레일부(10)의 측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레일부(1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하역기본체(100)의 이동 과정에서 이물질의 배출 동작이 다수회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출유도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출유도부재(320)는 제1경사부(321), 자세유지부(322), 제2경사부(323)를 포함한다.
제1경사부(321)는 제2배출유도부재(32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경사부(321)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레일부(1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321)의 폭은 제1배출유도부재(31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경사부(321)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 시 경사 각도에 의해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가함으로써 제1배출유도부재(31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경사부(321)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일체로 연결된 수거부재(230)를 회전부(220)를 축으로 제1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거부재(230)에 수거된 이물질이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자세유지부(322)는 제2배출유도부재(320)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유지부(322)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경사부(321)의 일단부(도 2, 도 3 기준 우측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유지부(322)의 폭은 제1경사부(321)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유지부(322)는 제1경사부(321)로부터 이동된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되어 제1배출유도부재(310)를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자세유지부(322)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일체로 연결된 수거부재(230)를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수거부재(230)로 수거된 이물질이 충분한 시간동안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경사부(323)는 제2배출유도부재(32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경사부(323)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자세유지부(322)의 일단부(도 2, 도 3 기준 우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부(323)의 폭은 제1경사부(321) 및 자세유지부(322)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부(323)는 자세유지부(322)로부터 이동된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 시 경사 각도에 의해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부가된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제1경사부(321)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일체로 연결된 수거부재(230)가 후술하는 복원부(400)에 의해 회전부(220)를 축으로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복원부(400)는 배출유도부(300)에 의해 수거부(200)에 수거된 이물질이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 이후, 수거부(200)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수거부(20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400)는 복원프레임부(410), 와이어부(420), 웨이트부(430)를 포함한다.
복원프레임부(410)는 하역기본체(10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와이어부(420) 및 웨이트부(4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프레임부(410)는 주행부(13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주행부(130)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원프레임부(41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와이어부(4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롤러(411)가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원프레임부(41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2,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회전부(220), 수거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와이어부(420)는 복원프레임부(41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420)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우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420)는 중앙부가 가이드롤러(411)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다. 와이어부(420)는 일단부가 제1배출유도부재(310)의 상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웨이트부(430)에 연결된다. 와이어부(420)는 웨이트부(43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장력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1배출유도부재(310)로 전달한다.
웨이트부(430)는 설정 무게를 갖는 무게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와이어부(420)의 타측에 연결된다. 웨이트부(430)는 자중에 의해 와이어부(420)에 장력을 발생시켜 수거부(200)에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상시 부가한다. 이에 따라 웨이트부(430)는 하역기본체(100)의 정상 주행 시에는 수거부재(230)를 레일부(10) 사이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수거부재(230)가 배출유도부(300)에 의해 제1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는 수거부재(23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원료의 하역 작업 시 하역기본체(100)는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는 하역 작업에서 발생되는 분진, 낙광 등의 이물질이 누적된다.
수거부재(230)는 수거플레이트(231)가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역기본체(100)와 함께 이동되며 한 쌍의 레일부(10)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내부로 수거한다.
하역기본체(100)가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하여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220)로부터 레일부(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제2배출유도부재(320)의 제1경사부(321)와 접촉된다.
제1경사부(321)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 시 경사 각도에 의해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가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이러한 회전력에 연동되어 수거부재(230)를 회전부(220)를 축으로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배출유도부재(310)가 회전부(22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수거부재(230)는 지면에 대해 제1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될 수 있다.
수거부재(23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수거부재(230)의 내부로 수거된 이물질은 수거부재(230)의 개구된 상부면을 통해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후,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제1경사부(321)를 지나 자세유지부(322)로 이동된다.
자세유지부(322)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되어 제1배출유도부재(310)를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일체로 연결된 수거부재(230) 또한 제1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내부로 수거된 이물질을 충분한 시간동안 레일부(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후,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자세유지부(322)를 지나 제2경사부(323)로 이동된다.
제2경사부(323)는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접촉 시 경사 각도에 의해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부가된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을 해제한다.
제1배출유도부재(310)에 부가된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1배출유도부재(310)는 웨이트부(430)로부터 와이어부(420)를 통해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도부재(310)와 일체로 연결된 수거부재(230) 또한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다시 한 쌍의 레일부(10)의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2 : 선박
10 : 레일부 100 : 하역기본체
110 : 굴삭부 111 : 버킷
120 : 버킷 엘리베이터부 130 : 주행부
200 : 수거부 210 : 수거프레임부
220 : 회전부 230 : 수거부재
231 : 수거플레이트 232 : 이탈방지부
233 : 결합부 300 : 배출유도부
310 : 제1배출유도부재 320 : 제2배출유도부재
321 : 제1경사부 322 : 자세유지부
323 : 제2경사부 400 : 복원부
410 : 복원프레임부 420 : 와이어부
430 : 웨이트부

Claims (7)

  1.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역기본체와 함께 이동되며 한 쌍의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누적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하역기본체가 설정 위치를 지남에 따라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거부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배출유도부;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이물질이 상기 레일부의 외측으로 배출된 이후 상기 수거부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거부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결합되는 수거프레임부;
    상기 수거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부; 및
    한 쌍의 상기 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한 쌍의 상기 레일부 사이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수거플레이트; 및
    상기 수거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거플레이트로 유입된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수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수거부와 함께 이동되는 제1배출유도부재;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수거부에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2배출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는 상기 레일부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유도부재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와 접촉 시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자세유지부; 및
    상기 자세유지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에 부가된 회전력을 해제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결합되는 복원프레임부;
    상기 복원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제1배출유도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거부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20210182635A 2021-12-20 2021-12-20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20230093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35A KR20230093757A (ko) 2021-12-20 2021-12-20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35A KR20230093757A (ko) 2021-12-20 2021-12-20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57A true KR20230093757A (ko) 2023-06-27

Family

ID=8694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35A KR20230093757A (ko) 2021-12-20 2021-12-20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7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0824A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
KR101897137B1 (ko) 낙탄회수장치
CN110683281A (zh) 一种全滚动摩擦链板托轮给料机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2023009375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EP2090490A2 (en) Railway car for transport particularly for railway car trains downstream ballast cleaner machines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28684B1 (ko) 잔류물 제거 장치
KR100775318B1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US1977147A (en) Endless belt conveyer
KR101424466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101041526B1 (ko) 낙하물 회수장치
RU177255U1 (ru) Скип
KR101167166B1 (ko) 연원료 불출장치
JP2011195298A (ja) ヤード移動機
JP5776557B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100910475B1 (ko)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JP7401759B2 (ja) 搬送設備
KR10258814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32634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22487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레일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543816B1 (ko)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