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18B1 -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 Google Patents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18B1
KR100775318B1 KR1020010066704A KR20010066704A KR100775318B1 KR 100775318 B1 KR100775318 B1 KR 100775318B1 KR 1020010066704 A KR1020010066704 A KR 1020010066704A KR 20010066704 A KR20010066704 A KR 20010066704A KR 100775318 B1 KR100775318 B1 KR 10077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fall
boom
unloa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897A (ko
Inventor
김중곤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고로 연,원료인 석탄 및 철광석을 선박에서 하역시키기 위한 하역설비인 연속식 언로더(UNLOADER)의 붐부(BOOM)상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로 부터의 낙광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래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래퍼 장치(1)는, 언로더 붐부(10)의 벨트 컨베이어(12) 하측에 설치된 낙광방지판(20)상에 무한궤도 이송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체인(30)사이에 복수개가 수직 및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낙광(14)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공간(52)이 형성되어 체인과 일체로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여 낙광방지판 (20)상의 낙광(14)을 슈트(16)에 투입 제거하는 스크래퍼수단(50); 및, 상기 낙광방지판(20)상의 일측에 이동하는 상기 스크래퍼수단(50)이 접촉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을 수직에서 수평상태로 방향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낙광방지판상의 낙광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가적인 낙광없이 슈트로 투입 제거할 수 있고 과다한 낙광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중단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언로더,언로더 붐부,붐부 벨트컨베이어,낙광방지판,낙광제거용 스크래퍼장치

Description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A SCRAPPER OF UNLOADER}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에서의 석탄등을 하역하기 위한 연속식 언로더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종래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낙광이 어느 한곳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b)는 낙광이 다량 발생할 경우에 넘쳐서 붐 외부로 낙광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c)는 수분이 과다 함유된 낙광의 고착발생시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d)는 상기 (a)-(c)에서의 문제로 인한 체인의 텐션불균일로 체인기어에서 탈락되는 문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본 발명인 장치의 체인기어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 수단의 낙광방지판 이격간격을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8은은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크래퍼장치 10.... 언로더 붐부
12.... 벨트 컨베이어 20.... 낙광방지판
30.... 구동체인 50.... 스크래퍼수단
52.... 수용공간 70.... 방향전환수단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고로 연,원료인 석탄 및 철광석을 선박에서 하역시키 기 위한 하역설비인 연속식 언로더(UNLOADER)의 붐부(BOOM)상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로 부터의 낙광을 처리하기 위한 스크래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언로더의 붐부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로 부터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낙광을 처리하기 위하여 스레받기 형상의 스크래퍼장치를 낙광방지판상에 설치하여, 낙광방지판상의 낙광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가적인 낙광없이 슈트로 투입 제거할 수 있어, 낙광방지판에서 부터의 추가적인 낙광을 방지하고, 과다한 낙광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중단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원,연료인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된후, 컨베이어벨트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연,원료의 선박 하역작업시에는 언로더를 통하여 이루어 지게 되고, 이와 같은 선박하역용 연속식 언로더의 작업을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부(110)로서 이동하는 언로도(100)의 붐부(120) 끝에 수직하게 수직 슈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슈트(130)상의 엘리베이터(140)로서 하측의 바켓트(150)로서 선박의 원,연료(160)가 채굴되면, 엘리베이터(140)로서 수직 이송된 원,연료는 붐부(120)에 설치된 컨베이어를 통하여 댐퍼슈트(172)와 이동슈트(170)로서 언로더(100) 하측의 여러 지상용 컨베이어(180)를 통하여 공장까지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붐부(120)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 이, 고공에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연료 특히 원료인 철광석이 낙광하면 해수면에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낙광방지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 2에서는 상기 붐부(120)상의 벨트 컨베이어(200)와 낙광방지판(21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붐부(120)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00)가 댐퍼슈트(172)에 원,연료를 투입시키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200)의 하측에는 상기슈트(172)와 연결되는 낙광방지판(2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벨트 컨베이어(200)에서 낙광되어 낙광방지판(210)에 낙하된 광석(160)들이 쌓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200)의 가동률를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설비의 고착 및 파손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낙광(160')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상기 낙광방지판(210)상에 구동스프로켓 (232)으로 궤도 이송되는 체인(234)에 여러개의 낙광 제거판(230)이 연결되어 상기 체인과 일체로 회전하면 낙광방지판(210)상의 낙광(160')을 슈트(172)측으로 이동 제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낙광제거판을 통한 낙광제거시에는 낙광방지판 (210)에 쌓인 낙광(160')의 양과 낙광제거판(230)의 마모정도 및 체인(234)의 신장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00)의 어느 일지점에 문제가 발생하여 낙광(160')이 낙광방지판(210)의 어느 한곳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면 체인(234)의 특성상 심하게 신장되면서 낙광제거판(230)이 체인(234)과 수직상태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낙광제거의 효율이 급속히 저하되고, 결국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체인(234)을 구동시키는 구동스프로켓(232)을 가동시키는 모터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것이다.
다음,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광(160')이 낙광방지판(210)에 걸쳐서 과도하게 발생되면 낙광(160')이 낙광제거판(230)에서 부터 이탈하여 낙광제거판 (230)의 양측으로 흘러 넘치면서 낙광제거효율을 저하시키고, 결국에는 낙광제거판 (230)의 가동이 어려워 작업자가 투입 수작업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을 과다하게 함유한 다량의 낙광 (160')이 발생하면, 쉽게 낙광방지판(210)상에서 고착되고, 이경우 낙광제거판 (230)의 휨 현상이 손쉽게 발생되어 낙광제거판(230)의 보수를 위한 별도의 시간이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도 3a-3c에서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면, 낙광제거판(230) 자체의 변형이나 이를 이동시키는 체인(234)이 구동 스프로켓(232)에서 그 텐션정도가 다르게 되면서 손쉽게 이탈되고, 이는 낙광제거판 (230)은 물론, 붐부(120)의 벨트 컨베이어(200) 자체의 가동을 중단시키어 원,연료 (160)의 선박 하역작업자체를 지연시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언로더의 붐부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로 부터 연속적으로 발 생하는 낙광을 처리하기 위하여 스레받기 형상의 스크래퍼장치를 낙광방지판상에 설치하여, 낙광방지판상의 낙광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가적인 낙광없이 슈트로 투입 제거할 수 있어, 낙광방지판에서 부터의 추가적인 낙광을 방지하고, 과다한 낙광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중단을 예방하고, 추가적인 작업 및 인원투입이 필요없어 언도더를 통한 원,연료의 하역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고, 특히 추가적인 낙광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시키도록 한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선박에서 원,연료를 하역시키는 연속식 언로더의 붐부 벨트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벨트 컨베이어 하측에 설치된 낙광방지판상에 무한궤도 이송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체인;과.
상기 구동체인사이에 복수개가 수직 및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낙광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체인과 일체로 낙광방지판을 따라 이동하여 낙광방지판상의 낙광을 슈트에 투입 제거하는 스크래퍼수단; 및,
상기 낙광방지판상의 일측에 이동하는 상기 스크래퍼수단이 접촉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 수단을 수직에서 수평상태로 방향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으로 구성된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본 발명인 장치의 체인기어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스크래퍼 수단의 낙광방지판 이격간격을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장치(1)는 크게 구동체인( 30)과 상기 구동체인(30)에 연결되는 스크래퍼 수단(50) 및 상기 스크래퍼 수단 (50)의 방향전환을 위한 방향전환수단(70)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30)(50)(7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붐부(10)에는 선박에서 바케트로서 부출되어 엘리베이터로서 수직 이동한 원,연료를 지상 컨베이어에 투입토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1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본 발명의 스크래퍼장치(1)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12)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낙광(14)이 해수면등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광방지판(20)사이에 설치된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구동체인(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동체인(30)은 벨트 컨베이어(12)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댐퍼슈트 (16)의 개구(16a)에 연결되는 낙광방지판(20)의 좌,우측으로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32)상에 무한궤도 이송토록 체결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 스프로켓(32)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로서 구동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의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구동체인(30)사이에 복수개가 수직 및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낙광(14)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공간(52)이 형성되어 체인과 일체로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여 낙광방지판(20)상의 낙광(14)을 슈트(16)에 투입 제거토록 구성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낙광(14)이 안정적으로 수용되는 수용공간(52)이 형성되는 바닥판(52a)과, 그 전바에 고정된 수직판(52b) 및, 상기 바닥판(52a)과 수직판(52b)에 연결되는 측벽(52c)으로 구성되어 스레기받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낙광방지판(20)상의 낙광(14)을 보다 효율적으로 내측의 수용공간(52)에 담아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단순히 판상의 낙광제거판을 사용하는 경우의 2차적인 낙광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그 만큼 낙광제거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측벽(52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52c')에 연결판(54)이 핀(56)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54)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체인(30)의 연결부(30b)사이의 이음부(30a)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축(58)이 연결됨으로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수직상태로 이동하다가, 다음에 설명하는 방향전환수단(70)을 지나면서 수평상태로 되는데,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핀(56)을 축으로 회전토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바닥판 (52a)의 끝단(52a')이 상기 낙광방지판(20)의 상부에 밀착되는 제 1 스크래퍼(50a) 와, 상기 바닥판 끝단(52a')이 낙광방지판(20)에서 부터 이격되는 제 2 스크래퍼 (50b) 및, 상기 제 2 스크래퍼(50b)보다 바닥판 끝단(52a')이 낙광방지판 (20)에서 더 이격되는 제 3 스크래퍼(50c)를 포함하여 3개의 스크래퍼(50a)(50b) (50c)들이 한 세트로 구동체인(30)을 따라 순환 배치되어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3 스크래퍼(50a)(50b)(50c)의 바닥판 끝단(52a')들은 각각 h1 및 h2의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낙광방지판(20)에 낙광(14)이 쌓이게 되어도 먼저 그 끝단 높이가 h1+h2로 가장 높은 제 3 스크래퍼 (50c)가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순차로 바닥의 높이가 낮은 제 2 및 제 1 스크래퍼(50b)(50a)가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토록 구성되어 낙광(14)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방향전환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수단(70)은 상기 낙광방지판(20)상의 일측에 이동하는 상기 스크래퍼수단(50)이 접촉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을 수직에서 수평상태로 방향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수단(70)은, 상기 낙광방지판 (20)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체인과 일체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수단(50)의 바닥판(52a)이 접촉하여 스크래퍼 수단(50)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방향전환토록 하는 지지롤로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롤(70)은 상기 낙광방지판 (20)의 선단부에 설치된 받침대(72)의 양측으로 수직대(7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에서 원,연료를 하역시키는 언로더의 붐부(10)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12)를 통하여 이송되는 때에, 그 하측의 낙광방지판(20)상에 낙하된 낙광(14)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가적인 낙광을 피하면서 수거 슈트(16)측으로 장입시키어 처리하는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스크래퍼 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벨트 컨베이어(12)로서 이동중에 낙하된 낙광(14)이 그 하측의 낙광방지판(20)상에 낙하하면, 상기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는 스크래퍼 수단(50)상에 얻혀지면서 슈트(16)의 개구(16a)를 통하여 낙광방지판(20)에서 부터 배출 제거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는 스크레퍼 수단(50)들 사 이에는 간격이 나타나지만, 이와 같은 낙광방지판(20)상의 스크래퍼 수단(50)들은 간격없이 배열될 수도 있고, 이경우 벨트 컨베이어(12)에서의 낙광(14)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수단(50)상에 거의 모두 얻혀지면서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의 작동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12)의 하측으로 낙광방지판(20)의 전후측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32)을 구동시키면 이에 체결된 구동체인(30)이 무한궤도형태로 구동되고, 결국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체인(30)에 연결된 스크래퍼 수단(50)은 일체로 구동되는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광방지판(20)을 통과하는 때에는 수평상태로 이동하고, 슈트(16)의 개구(16a)를 지나는 순간 스크래퍼 수단(50)은 수직상태로 되어 얻혀진 낙광(14)들을 슈트(16)에 투입시키고, 계속 수직상태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수단(5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광방지판(20)의 전방측에 설치된 방향전환수단 즉, 지지롤(70)과 접촉하면서 다시 수평상태로 방향이 전환되어 낙광방지판(20)상의 낙광을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판(52a)과, 그 전방에 고정된 수직판(52b) 및, 상기 바닥판(52a)과 수직판(52b)에 연결되는 측벽(52c)으로 구성되어 스레기받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의 수용공간(52)에 낙광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 단순히 판상으로 낙광방지판(20)상의 낙광(14)을 스크래핑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스크래퍼 수단(50)은 수용공간(52)을 갖는 쓰레받이 형상이 므로, 낙광제거시 2차적인 낙광현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측벽 (52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52c')에 연결판(54)이 핀(56)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54)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체인(30)의 연결부(30b)사이의 이음부(30a)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축(58)이 연결됨으로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방향전환시 상기 핀(56)을 축으로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그 바닥판 (52a)의 끝단(52a')이 상기 낙광방지판(20)의 표면에 밀착 또는 이격상태에 따라 제 1-3 스크래퍼(50a)-(50c)가 하세트로서 구동체인(30)에 순환 설치되어 있어, 낙광방지판(20)에 낙광이 다량으로 쌓여있어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수용 이동시키어 슈트(16)측에서 장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스크래퍼 장치(1)는 단순히 판상의 제거판을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는 종래의 스크래퍼보다 보다 다량의 낙광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에 의하면, 언로더의 붐부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로 부터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낙광을 처리하기 위하여 스레받기 형상의 스크래퍼장치를 낙광방지판상에 설치하여, 낙광방지판상의 낙광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가적인 낙광없이 슈트로 투입 제거할 수 있어, 낙광방 지판에서 부터의 추가적인 낙광을 방지하고, 과다한 낙광으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중단을 예방하는 것이다,
결국, 추가적인 작업 및 인원투입이 필요없어 언도더를 통한 원,연료의 하역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고, 특히 추가적인 낙광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선박에서 원,연료를 하역시키는 연속식 언로더의 붐부 벨트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붐부(10)의 벨트 컨베이어(12) 하측에 설치된 낙광방지판(20)상에 무한궤도 이송토록 설치된 한쌍의 구동체인(30);과.
    상기 구동체인(30)사이에 복수개가 수직 및 수평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낙광(14)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공간(52)이 형성되어 체인과 일체로 낙광방지판(20)을 따라 이동하여 낙광방지판(20)상의 낙광(14)을 슈트(16)에 투입 제거하는 스크래퍼수단(50); 및,
    상기 낙광방지판(20)상의 일측에 이동하는 상기 스크래퍼수단(50)이 접촉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을 수직에서 수평상태로 방향 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낙광(1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52)이 형성되는 바닥판(52a)과 그 전바에 고정된 수직판(52b) 및 상기 바닥판(52a)과 수직판(52b)에 연결되는 측벽(52c)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측벽(52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 (52c')에 연결판(54)이 핀(56)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54)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체인(30)의 연결부(30b)사이의 이음부(30a)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축(58)이 연결되어 상기 핀(56)을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수단(50)은,
    상기 바닥판(52a)의 끝단(52a')이 상기 낙광방지판(20)의 상부에 밀착되는 제 1 스크래퍼(50a); 와,
    상기 바닥판 끝단(52a')이 낙광방지판(20)에서 부터 이격되는 제 2 스크래퍼(50b); 및,
    상기 제 2 스크래퍼(50b)보다 바닥판 끝단(52a')이 낙광방지판(20)에서 더 이격되는 제 3 스크래퍼(50c);를 포함하여, 상기 제 1-3 스크래퍼(50)들이 구동체인(30)을 따라 순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70)은, 상기 낙광제거판(20)의 일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체인과 일체로 이동하는 스크래퍼 수단(50)의 바닥판(52a)이 접촉하여 스크래퍼 수단(50)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방향전환토록 하는 지지롤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KR1020010066704A 2001-10-29 2001-10-29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KR10077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04A KR100775318B1 (ko) 2001-10-29 2001-10-29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704A KR100775318B1 (ko) 2001-10-29 2001-10-29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97A KR20030034897A (ko) 2003-05-09
KR100775318B1 true KR100775318B1 (ko) 2007-11-08

Family

ID=2956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704A KR100775318B1 (ko) 2001-10-29 2001-10-29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58B1 (ko) 2008-11-27 2012-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크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고무 건조장치
KR101150191B1 (ko) 2010-03-17 2012-06-12 주식회사 웅비기계 분체이송용 리프트
KR101291542B1 (ko) * 2011-09-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81B1 (ko) * 2011-10-28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638603B1 (ko) * 2014-10-31 2016-07-12 (주)하남스틸써비스 낙탄 회수장치
KR200479221Y1 (ko) * 2015-06-18 2016-01-06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처리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813U (ko) * 1979-09-13 1981-04-21
JPS5964414A (ja) * 1982-09-30 1984-04-12 Ishida Scales Mfg Co Ltd 横排出バケツトコンベア
JPS6289218U (ko) * 1985-11-21 1987-06-08
JPS63116415U (ko) * 1987-01-26 1988-07-27
JPH0361970A (ja) * 1989-07-31 1991-03-18 Canon Inc 現像装置
JPH0539111A (ja) * 1991-08-02 1993-02-19 Maruishi Sangyo:Kk ピポテツドコンベヤの搬送物供給装置
JPH0639830U (ja) * 1992-11-09 1994-05-27 日立金属株式会社 粉粒体回収装置
JPH10310213A (ja) * 1997-05-08 1998-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ベア
JPH1120919A (ja) * 1997-07-01 1999-01-26 Tsubakimoto Baruku Syst:Kk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813U (ko) * 1979-09-13 1981-04-21
JPS5964414A (ja) * 1982-09-30 1984-04-12 Ishida Scales Mfg Co Ltd 横排出バケツトコンベア
JPS6289218U (ko) * 1985-11-21 1987-06-08
JPS63116415U (ko) * 1987-01-26 1988-07-27
JPH0361970A (ja) * 1989-07-31 1991-03-18 Canon Inc 現像装置
JPH0539111A (ja) * 1991-08-02 1993-02-19 Maruishi Sangyo:Kk ピポテツドコンベヤの搬送物供給装置
JPH0639830U (ja) * 1992-11-09 1994-05-27 日立金属株式会社 粉粒体回収装置
JPH10310213A (ja) * 1997-05-08 1998-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ベア
JPH1120919A (ja) * 1997-07-01 1999-01-26 Tsubakimoto Baruku Syst:Kk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58B1 (ko) 2008-11-27 2012-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크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고무 건조장치
KR101150191B1 (ko) 2010-03-17 2012-06-12 주식회사 웅비기계 분체이송용 리프트
KR101291542B1 (ko) * 2011-09-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97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0824A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
KR100775318B1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NL8401329A (nl) Bandtransporteur voor het verticaal of steil transporteren van stortgoed.
US11781194B2 (en) HBI slow cooling system and method
KR100825574B1 (ko)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JP2011519803A (ja) 細粒を回収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関連方法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US3487910A (en) Scraper and conveyor apparatus
CN116022528A (zh) 一种带式输送机返程落料的自动清扫回收系统及方法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JPH0826460A (ja) 荷役機械のブームコンベヤ装置
KR101041526B1 (ko) 낙하물 회수장치
KR200216723Y1 (ko) 철광석 또는 원료탄의 철편 및 고결광 제거장치
KR101266465B1 (ko) 저장빈 상부의 누적광 회수장치
KR102135454B1 (ko) 낙탄회수효율이 개선된 낙탄회수장치
KR20040020390A (ko) 리턴벨트 상부의 낙하물 제거장치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LU502253B1 (en) Hbi slow cooling system and method
KR0135754Y1 (ko) 낙광탄 제거장치
JPH09315588A (ja) 連続式アンローダ
KR20050048840A (ko) 컨베이어에 부설되는 원료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17165B1 (ko) 원형 필터프레임을 이용한 호퍼의 누적광 제거장치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KR101424466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0797962B1 (ko)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