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081B1 -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081B1
KR101237081B1 KR1020110111018A KR20110111018A KR101237081B1 KR 101237081 B1 KR101237081 B1 KR 101237081B1 KR 1020110111018 A KR1020110111018 A KR 1020110111018A KR 20110111018 A KR20110111018 A KR 20110111018A KR 101237081 B1 KR101237081 B1 KR 10123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conveyor
rotating
opening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는: 쉽로더용 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패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광을 배출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구동부와, 개폐구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회전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개폐구동부와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ALLEN ORE OF BELT CONVEYOR IN SHIP LOADER}
본 발명은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적재된 낙광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고로에서 용선이 출선될 때, 용선과 함께 슬래그(Slag)가 배출된다.
용선과 슬래그는 비중의 차이로 분리되며, 분리된 슬래그에 물을 가해 급랭하면 수재 슬래그로 성형되며, 고로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는, 슬래그를 서랭시켜 치밀한 덩어리 모양으로 형성하여 골재 또는 슬래그 블록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슬래그는 쉽로더(Ship Loader)를 통해 선박으로 선적된다. 이러한 쉽로더는 슬래그와 같은 이송물을 운송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가 붐(Boom)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34543호(2003.05.09 공개, 발명의 명칭: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쉽로더의 붐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적재된 낙광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는: 쉽로더용 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패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광을 배출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구동부와, 개폐구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회전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개폐구동부와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는,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는 지지패널 및 지지패널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낙광의 이동을 구속하는 사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구동부는, 회전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구동부는, 회전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와, 와이어부재를 권선하는 풀리부재 및 풀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수부는,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재와, 분사부재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로 및 연결관로를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로는, 분사부재에 연결되는 제1관로와, 제1관로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로 및 밸브부재에서 연장되어 제2관로에 힌지 연결되는 제3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에 적재되는 낙광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낙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낙광감지부는, 레이저의 조사로 낙광의 적재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는, 회전부에 적재된 낙광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회전부를 회전시키므로, 회전부에 적재된 낙광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소용 쉽로더에 설치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1)는, 쉽로더(10)용 벨트컨베이어(15)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패널(1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광(23)을 배출하는 회전부(30)와, 회전부(30)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부(30)를 회전시키는 개폐구동부(40)와, 개폐구동부(40)와 함께 동작되어 회전부(30)로 세척수(57)를 공급하는 급수부(50) 및 개폐구동부(40)와 급수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제철소에서 발생된 슬래그 등의 이송물(22)을 선박(24)으로 이송하는 쉽로더(10)는, 부두(20)에 설치된 레일부재(21)를 따라 이동된다.
쉽로더(10)는, 레일부재(21)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11)와, 이동부(11)의 상측에 설치되는 몸체부(12) 및 몸체부(12)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붐(14)을 포함한다.
몸체부(12)의 내측으로 이송벨트(13)가 설치되어 이송물(22)을 운반하며, 이러한 이송물(22)은 붐(14)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15)를 따라 이동된다.
벨트컨베이어(15)는 프레임부(16)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붐(14)의 일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출관로(18)가 설치된다.
쉽로더(10)용 벨트컨베이어(15)의 하부에 고정패널(17)이 설치되며, 벨트컨베이어(15)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패널(17)의 일부가 절개되어 낙광(23)을 배출하는 회전부(30)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부(30)는, 고정패널(17)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박(24)을 향한 하측으로 낙광(23)을 배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벨트컨베이어(15)를 따라 설치되는 지지패널(31) 및 지지패널(3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낙광(23)의 이동을 구속하는 사이드부재(32)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부(30)의 단면 형상은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패널(17)에 일측이 힌지 연결된다.
회전부(30)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부(30)를 회전시키는 개폐구동부(40)는, 회전부(30)의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부(30)의 사이드부재(32)에 연결된다.
제어부(6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개폐구동부(40)는, 힌지 연결된 회전부(3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부(30)를 회전시켜 낙광(23)을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구동부(40)는, 회전부(30)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41)와, 와이어부재(41)를 권선하는 풀리부재(42) 및 풀리부재(4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3)는 프레임부(16)의 고정패널(17)에 설치되며, 구동모터(43)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풀리부재(42)에 와이어부재(41)가 권선된다.
풀리부재(42)의 회전으로 와이어부재(41)의 길이가 가변되면, 이에 연결된 회전부(30)가 이동하면서 벨트컨베이어(15)의 하부를 개폐한다.
회전부(30)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낙광(23)을 배출하며, 급수부(50)는 이러한 회전부(30)에 세척수(57)를 공급하여 낙광(23)의 배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급수부(50)는, 개폐구동부(40)와 함께 동작되거나, 단독으로 동작되어 회전부(30)로 세척수(57)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급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50)는, 지지패널(31)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57)를 분사하는 분사부재(51)와, 분사부재(51)로 세척수(57)를 공급하는 연결관로(52) 및 연결관로(52)를 통해 이동되는 세척수(57)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재(56)를 포함한다.
분사부재(51)는, 회전부(30)가 고정패널(17)에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부재(51)는 복수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회전부(3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회전부(30)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된 경우, 회전부(3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세척수(57)를 분사하여 낙광(23)과 함께 세척수(57)가 선박(24)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분사부재(51)에 세척수(57)를 공급하는 연결관로(52)는, 분사부재(51)에 연결되는 제1관로(53)와, 제1관로(53)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로(54) 및 밸브부재(56)에서 연장되어 제2관로(54)에 힌지 연결되는 제3관로(55)를 포함한다.
제1관로(53)와 제2관로(54)가 연결된 부분과, 제2관로(54)와 제3관로(55)가 연결된 부분이 힌지 연결되므로, 회전부(30)와 같이 분사부재(51)가 회전되어도, 연결관로(52)의 힌지 연결된 부분이 회전되어 세척수(57)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개폐구동부(40)와 급수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는 낙광(23)의 적재여부를 측정하는 낙광감지부(70)와 연결된다.
낙광감지부(70)는, 회전부(30)에 적재되는 낙광(23)을 측정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감지부(70)는, 레이저의 조사로 낙광(23)의 적재 여부를 측정하며, 회전부(30)의 지지패널(31)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슬래그 등의 이송물(22)이 이송벨트(13)를 통해 쉽로더(10)의 벨트컨베이어(15)로 전달된다.
붐(14)의 상측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15)를 통해 이동되는 이송물(22)은 배출관로(18)를 통해 낙하되어 선박(24)의 내측에 적재된다.
벨트컨베이어(15)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물(22)의 일부는 하측으로 낙하되어 회전부(30)에 적재된다.
낙광(23)이 설정된 양 이상으로 지지패널(31)에 적재된 경우, 낙광감지부(7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낙광(23)이 지지패널(31)에 적재된 경우, 제어부(60)는 개폐구동부(40)의 구동모터(43)를 동작시킨다.
구동모터(43)가 동작되어 풀리부재(42)를 회전시키면, 회전부(30)에 연결된 와이어부재(41)가 풀리면서 회전부(30)의 타측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회전부(30)의 타측이 하측으로 회전되면, 회전부(30)에 적재된 낙광(23)도 선박(24)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어부(60)는 밸브부재(56)를 동작시켜, 연결관로(52)를 통해 분사부재(51)로 세척수(57)를 공급하므로, 회전부(3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세척수(57)가 분사되어 낙광(23)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낙광(23)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1)는, 회전부(30)에 적재된 낙광(23)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회전부(30)를 회전시키므로, 회전부(30)에 적재된 낙광(23)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유지보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소용 쉽로더에 설치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쉽로더에도 본 발명에 의한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10: 쉽로더 11: 이동부 12: 몸체부 13: 이송벨트 14: 붐 15: 벨트컨베이어 16: 프레임부 17: 고정패널 18: 배출관로
20: 부두 21: 레일부재 22: 이송물 23: 낙광 24: 선박
30: 회전부 31: 지지패널 32: 사이드부재
40: 개폐구동부 41: 와이어부재 42: 풀리부재 43: 구동모터
50: 급수부 51: 분사부재 52: 연결관로 53: 제1관로 54: 제2관로 55: 제3관로 56: 밸브부재 57: 세척수
60: 제어부 70: 낙광감지부

Claims (8)

  1. 쉽로더용 벨트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패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광을 배출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개폐구동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회전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개폐구동부와 상기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는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낙광의 이동을 구속하는 사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와이어부재를 권선하는 풀리부재; 및
    상기 풀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지지패널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재;
    상기 분사부재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세척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는, 상기 분사부재에 연결되는 제1관로;
    상기 제1관로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로; 및
    상기 밸브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관로에 힌지 연결되는 제3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적재되는 상기 낙광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낙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낙광감지부는, 레이저의 조사로 상기 낙광의 적재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20110111018A 2011-10-28 2011-10-28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3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18A KR101237081B1 (ko) 2011-10-28 2011-10-28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18A KR101237081B1 (ko) 2011-10-28 2011-10-28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081B1 true KR101237081B1 (ko) 2013-02-25

Family

ID=4790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018A KR101237081B1 (ko) 2011-10-28 2011-10-28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4907A (zh) * 2013-05-23 2013-08-28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装船机
KR20200081555A (ko)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쉽로더
CN111792277A (zh) * 2020-08-13 2020-10-20 浙江海洋大学 一种砂石输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68Y1 (ko) 2000-06-28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언로더의 벨트컨베이어 낙광제거장치
KR20030034897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68Y1 (ko) 2000-06-28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언로더의 벨트컨베이어 낙광제거장치
KR20030034897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4907A (zh) * 2013-05-23 2013-08-28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装船机
KR20200081555A (ko)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쉽로더
KR102137614B1 (ko) * 2018-12-27 2020-07-27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쉽로더
CN111792277A (zh) * 2020-08-13 2020-10-20 浙江海洋大学 一种砂石输送装置
CN111792277B (zh) * 2020-08-13 2024-05-28 浙江海洋大学 一种砂石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081B1 (ko)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65528B1 (ko) 로드 디텍팅 기능을 갖는 클리닝 댐퍼를 이용한 원료 이송 장치
WO2016139776A1 (ja) 溶湯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56132B2 (en) Surface treatment machine
KR20130069769A (ko) 스태커/리클레이머의 트리퍼 연결/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7391B1 (ko) 카운터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83889A (ja) ショットブラスト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RU25286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лавильную установку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N106403596B (zh) 一种感应电炉自动化操作系统
KR101298761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56214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CN211546580U (zh) 熔渣收送设备及熔渣处理系统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357540B1 (ko) 트리퍼용 슈트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170072324A (ko) 용융 장치 및 용융 방법
KR20110060011A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77582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20000042191A (ko) 분말형 원료의 연속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