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279B1 -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279B1
KR101787279B1 KR1020160106067A KR20160106067A KR101787279B1 KR 101787279 B1 KR101787279 B1 KR 101787279B1 KR 1020160106067 A KR1020160106067 A KR 1020160106067A KR 20160106067 A KR20160106067 A KR 20160106067A KR 101787279 B1 KR101787279 B1 KR 10178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justment
suction
water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수가 저장되는 수조부와, 수조부에 연결되고 저장수에서 슬러지를 회수하는 건조부와, 수조부 또는 건조부에 장착되어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주세척부와, 수조부에 설치되고 저장수를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보조세척부를 포함하여, 주세척부의 불량 발생시 보조세척부를 통해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CLEANING DEVICE OF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하여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하여 하역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저장수가 저장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에서 슬러지를 회수하는 건조부; 상기 수조부 또는 상기 건조부에 장착되어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주세척부; 및 상기 수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보조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세척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저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배출부; 및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조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회전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조절베이스부;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절롤러부; 상기 조절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및 상기 조절롤러부에 감기고,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부에 감기거나 풀려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조절센서부; 및 상기 조절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절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센서부는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고, 하방에 적층된 슬러지와의 거리를 무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센서부는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건조부를 통해 수조부에 저장된 저장수 중에서 슬러지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주세척부를 통해 연속식 하역기 세척이 불가능할 경우, 보조세척부를 통해 수조부에 저장된 저장수를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흡입부의 위치가 조절되어 슬러지와의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혼탁수 흡입시 슬러지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보조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거리센서가 슬러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장력센서가 슬러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연속식 하역기(100)는 부두(101)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02)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붐(103)이 연결되며, 붐(103)의 하측으로 상하이동기(104)가 설치된다. 상하이동기(104)의 하부에는 굴삭부(105)가 위치하며, 굴삭부(105)를 따라 이동하는 버켓(106)이 선박의 저장고로 진입하여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연원료를 굴삭하여 붐(103)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로 전달한다. 붐(103)을 따라 이송되는 연원료는 주행부(102)의 하측에 구비된 지상벨트컨베이어(108)로 이동된 후 야적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버켓(106)에 부착된 원료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수조부(10)와, 건조부(20)와, 주세척부(30)와, 보조세척부(40)를 포함한다.
수조부(10)는 저장수(200)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수조부(10)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굴삭부(105)가 수조부(10)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저장수(200)로는 슬러지(201)와, 혼탁수(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중에 의해 슬러지(201)가 침전될 수 있다.
건조부(20)는 수조부(10)에 연결되고, 저장수(200)에서 슬러지(201)를 회수한다. 일 예로, 건조부(20)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하고, 수조부(10)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포크레인은 수조부(10)에 침전된 슬러지(201)를 퍼 올려 건조부(20)로 이동시키며, 수조부(10)와 건조부(20)를 구획하는 가벽부(11)에 배수홀부(111)가 형성되어 혼탁수(202)를 수조부(10)로 안내할 수 있다.
주세척부(30)는 수조부(10) 또는 건조부(20)에 장착되어 연속식 하역기(100)를 세척한다. 일 예로, 주세척부(3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부(31)와, 세척수저장부(31)에 저장된 세척수를 안내하는 세척수안내부(32)와, 수조부(10) 또는 건조부(20)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세척수안내부(3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굴삭부(105)로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에 의해 수조부(10)의 내부에는 굴삭부(105)에 부착된 원료를 세척할 수 있으며, 수조부(10)에 저장된 저장수(200)에서 침전되는 슬러지(201)에는 재활용 가능한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척부(40)는 수조부(10)에 설치되고, 저장수(200)를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기(200)를 세척한다. 즉, 주세척부(30)를 통해 세척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보조세척부(40)에 의해 수조부(10)에 저장된 혼탁수(202)를 이용하여 굴삭부(105)에 부착된 원료를 세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보조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척부(40)는 고정부(41)와, 회전부(42)와, 흡입부(43)와, 배출부(44)와, 조절부(45)를 포함한다.
고정부(4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고정부(41)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수조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부(42)는 고정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회전부(42)의 하단부는 고정부(41)에 삽입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흡입부(43)는 수조부(10)에 저장되고, 저장수(200)를 흡입한다. 일 예로, 흡입부(43)는 슬러지(201)의 상방에 배치되어 혼탁수(202)를 흡입하는 펌프가 될 수 있다.
배출부(44)는 흡입부(43)와 연결되고, 흡입부(43)에서 공급되는 저장수(200)를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기(100)를 세척한다. 일 예로, 배출부(44)는 흡입부(43)에서 흡입된 혼탁수(202)를 안내하는 배출안내부(441)와, 수조부(10) 또는 건조부(20)에 장착되어 배출안내부(441)에서 공급되는 혼탁수(202)를 굴삭부(105)로 분사하는 배출분사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분사부(442)와 세척분사부(33)가 동일한 구성요소인 경우, 배출안내부(441)는 세척수안내부(32)와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부(44)를 통해 혼탁수(202)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출안내부(441)가 세척수안내부(32)와 연결된 경우, 흡입부(43)를 통해 흡입된 혼탁수(202)가 세척수안내부(32)를 통해 세척분사부(33)에서 분사되어 연속식 하역기(100)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흡입부(43)가 수조부(10)에 설치되는 경우, 흡입부(43) 중 일부는 혼탁수(202)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는 혼탁수(202)로 연속식 하역기(100)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절부(45)는 회전부(42)에 장착되고, 흡입부(43)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굴삭부(105)의 세척을 통해 지속적으로 슬러지(201)의 침적 높이가 달라지며, 조절부(45)는 흡입부(43)가 슬러지(201)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여 혼탁수(202)를 안정적으로 흡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2)는 회전축부(421)와, 회전모터부(422)와, 회전막대부(423)를 포함한다.
회전축부(421)는 고정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고정부(41)는 고정베이스부(411)의 상측으로 고정관부(412)가 연장되어, 회전축부(4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관부(412)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회전축부(421)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회전모터부(422)는 회전축부(42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회전모터부(422)는 고정베이스부(421)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구동부(4221)와, 모터구동부(422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부(4222)와, 모터축부(4222)에 형성되고, 축기어부(421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부(42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막대부(423)는 회전축부(42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조부(10)의 상방에 배치된다. 회전막대부(423)에는 조절부(45)가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5)는 조절베이스부(451)와, 조절롤러부(452)와, 조절구동부(453)와, 조절와이어부(454)를 포함한다.
조절베이스부(451)는 회전부(42)에 장착된다. 일 예로, 조절베이스부(451)는 회전막대부(423)에 장착되고 양단부가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롤러부(452)는 조절베이스부(4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조절롤러부(452)의 양단부가 구부러진 조절베이스부(45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절구동부(453)는 조절롤러부(452)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조절구동부(453)는 조절베이스부(451)에 고정 설치되고, 조절롤러부(452)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조절와이어부(454)는 조절롤러부(452)에 감기고, 흡입부(43)에 연결되며, 조절롤러부(452)에 감기거나 풀려 흡입부(43)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조절와이어부(454)의 감김 또는 풀림 작동에 의해 흡입부(43)는 슬러지(201)의 상방에서 혼탁수(202)를 흡입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5)는 조절센서부(455)와 조절제어부(4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센서부(455)는 흡입부(43)의 높이를 감지하고, 조절제어부(456)는 조절센서부(45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조절구동부(453)를 제어한다. 즉, 조절센서부(455)는 흡입부(43)와 슬러지(201) 사이 간격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조절제어부(456)는 슬러지(201)와 흡입부(43)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슬러지(201)가 흡입부(4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절구동부(45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거리센서가 슬러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절센서부(455)로는 거리센서(461)가 사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461)는 흡입부(43)에 장착되고, 하방에 적층된 슬러지(201)와의 거리를 무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서 장력센서가 슬러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센서부(455)로는 케이블(471)과 장력센서(472)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471)은 흡입부(43)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장력센서(472)는 케이블(471)에 장착되어 케이블(471)의 장력을 감지한다. 케이블(471)의 장력 측정 오류를 억제하기 위해, 케이블(471)의 하단부에는 무게추(47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삭부(105)를 수조부(10)의 상방에 배치시키고, 주세척부(3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굴삭부(105)에 분사함으로써, 버켓(106)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이때, 세척수와 함께 흘러내린 원료는 수조부(10)에 저장되되, 하중이 있는 원료는 가라 앉아 슬러지(201)로 침전되고, 슬러지(201)의 상방에 혼탁수(202)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세척부(30)에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흡입부(43)가 혼탁수(202)를 흡입하고, 배출부(44)가 흡입부(43)에서 공급되는 혼탁수(202)를 굴삭부(105)에 분사하여 버켓(106)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한편, 조절센서부(455)는 흡입부(43)와 슬러지(201) 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조절제어부(456)는 흡입부(43)와 슬러지(201)간의 간격이 좁혀지지 않도록 흡입부(43)를 이동시킨다.
즉, 조절제어부(456)는 조절구동부(453)를 제어하여 조절롤러부(452)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흡입부(43)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외, 조절제어부(456)는 회전모터부(422)를 제어하여 회전막대부(423)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흡입부(4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센서부(455)로 거리센서(461)가 사용되는 경우, 거리센서(461)가 지속적으로 하방에 신호를 보내고, 슬러지(201)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슬러지(201)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조절센서부(455)로 장력센서(472)가 사용되는 경우, 무게추(473)가 슬러지(201)에 접촉되어 케이블(471)의 장력이 저하되면, 장력센서(472)가 이를 인지하여 슬러지(201)와의 거리가 위험 수준임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건조부(20)를 통해 수조부(10)에 저장된 저장수(200) 중에서 슬러지(201)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주세척부(30)를 통해 연속식 하역기(100) 세척이 불가능할 경우, 보조세척부(40)를 통해 수조부(10)에 저장된 저장수(200)를 이용하여 연속식 하역기(100)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흡입부(43)의 위치가 조절되어 슬러지(201)와의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혼탁수(202) 흡입시 슬러지(201)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수조부 20 : 건조부
30 : 주세척부 40 : 보조세척부
41 : 고정부 42 : 회전부
43 : 흡입부 44 : 배출부
45 : 조절부 100 : 연속식 하역기
200 : 저장수 201 : 슬러지
202 : 혼탁수

Claims (7)

  1. 저장수가 저장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에서 슬러지를 회수하는 건조부;
    상기 수조부 또는 상기 건조부에 장착되어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주세척부; 및
    상기 수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보조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척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저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속식 하역기를 세척하는 배출부; 및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조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회전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는 조절베이스부;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절롤러부;
    상기 조절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및
    상기 조절롤러부에 감기고,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부에 감기거나 풀려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흡입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조절센서부; 및
    상기 조절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절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센서부는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고, 하방에 적층된 슬러지와의 거리를 무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거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센서부는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20160106067A 2016-08-22 2016-08-22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78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67A KR101787279B1 (ko) 2016-08-22 2016-08-22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67A KR101787279B1 (ko) 2016-08-22 2016-08-22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279B1 true KR101787279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067A KR101787279B1 (ko) 2016-08-22 2016-08-22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344A (ko) * 2019-03-22 2020-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529B2 (ja) * 1994-09-29 2001-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浮遊物回収装置
JP2009056425A (ja) * 2007-09-03 2009-03-19 Miyazawa:Kk 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529B2 (ja) * 1994-09-29 2001-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浮遊物回収装置
JP2009056425A (ja) * 2007-09-03 2009-03-19 Miyazawa:Kk 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344A (ko) * 2019-03-22 2020-10-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KR102190509B1 (ko) * 2019-03-22 2020-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25B1 (ko) 버켓용 부착광 제거장치
US20130115853A1 (en) Surface treatment machine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WO2014024563A1 (ja) アンローダ
KR20190010171A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20090128930A (ko) 스태커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20140002494U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JP5940412B2 (ja) アンローダ
KR101237081B1 (ko)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938070B1 (ko) 레일 도유장치
KR20130088387A (ko) 페이로더용 살수장치
KR101443096B1 (ko) 침전물 제거장치
KR20000042191A (ko) 분말형 원료의 연속하역장치
KR20150021998A (ko) 연속언로더
KR1013880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229955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277494B1 (ko) 선박용 적하장치
CN219326347U (zh) 一种装船机
KR10129152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JP2000006881A (ja) ばら物運搬船における陸揚げ用コンベヤの位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