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494U -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94U
KR20140002494U KR2020120009505U KR20120009505U KR20140002494U KR 20140002494 U KR20140002494 U KR 20140002494U KR 2020120009505 U KR2020120009505 U KR 2020120009505U KR 20120009505 U KR20120009505 U KR 20120009505U KR 20140002494 U KR20140002494 U KR 201400024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ensor
bucket elevator
belt
drive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494U/ko
Publication of KR20140002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 드럼과, 구동 드럼과 종동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벨트와, 벨트의 외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버킷 및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구동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정역회전하는 종동 드럼을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로서,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종동 드럼은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소정의 센서 감지부가 외측 일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의 블라스팅 셀에 사용되는 그리트(Grit)를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모터의 과 부화 및 드럼에 권취된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전체적인 조선공정의 연속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Buket elevator having sensor}
본 고안은 버킷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블라스팅 셀에 사용되는 그리트(Grit)를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모터의 과 부화 및 드럼에 권취된 벨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버킷 엘리베이터란 체인 또는 벨트에 버킷을 고정한 형태의 엘리베이터로서, 수직 엔드레스 벨트에 적은 버킷들을 비늘 모양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부하고 벨트를 순환시켜서 각각의 적은 버킷들에 광석, 시멘트 또는 곡물 등을 담아 연속적으로 위쪽으로 운반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즉, 예를 들어 곡물가공장치 등과 같이 하부의 곡물을 상부로 퍼 올린 후 다음 공정으로 공급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 곡물을 상부로 공급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 구동 드럼 및 종동 드럼을 각각 설치한 후, 권취된 벨트에 버킷을 연결하여 상기 버킷이 상승함과 동시에 곡물, 시멘트 또는 광물 등을 퍼담아 다시 아래로 반전하면서 배출통로나 저장탱크로 쏟아 붓게 된다.
한편, 선박의 블라스팅 셀 내에서 이루어지는 블라스팅 작업을 위해서는 대량의 그리트(Grit)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조선소의 지면 하부에는 약 70 내지 120톤 분량의 그리트를 저장하기 위한 초대형의 하부 저장탱크가 설치되는데, 별도의 유입구를 통해 그리트가 지속적으로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그리트를 상술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지면 상측에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버킷 엘리베이터는 그리트가 저장된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의 종동 드럼 및 상기 종동 드럼에 권취된 벨트의 일부분과 상기 벨트에 설치된 버킷들이 상기 하부 저장탱크 내부에 위치하는데, 즉 상기 그리트에 파묻힌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지면 상측에 위치한 구동모터를 처음 기동시키면, 그리트의 무거운 하중으로 인해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 드럼 및 이에 연동 되는 종동 드럼이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된 상태로 구동모터를 계속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 드럼이 벨트 안쪽에서 헛도는 슬립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구동모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린 상태로 운행을 지속하게 되면, 상기 구동 드럼 및 종동 드럼에 권취된 벨트가 정위치에서 무한궤도로 이동하지 못하고, 드럼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벨트가 견딜 수 있는 물리적인 장력을 초과하면, 운행 중 벨트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렇게 상술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더 이상 버킷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없게 되면, 블라스팅 셀 공정이 중단되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조선 공정에 있어서 막대한 공정 차질이 예상되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막대한 시간과 정비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5호(2009년 10월 19일 공고)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264호(2003년 07월 16일 공고)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4105호(2010년 09월 28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과제는, 선박의 블라스팅 셀에 사용되는 그리트(Grit)를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모터의 과 부화 및 드럼에 권취된 벨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 드럼과, 상기 구동 드럼과 하기 종동 드럼에 각각 권취되어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버킷 및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정역회전하는 종동 드럼을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동 드럼은 상기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소정의 센서 감지부가 외측 일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방식의 동작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박의 블라스팅 셀에 사용되는 그리트(Grit)를 이송하는 버킷 엘리베이터 종동 드럼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모터의 과 부화 및 드럼에 권취된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전체적인 조선공정의 연속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는 구동 드럼(110), 종동 드럼(120), 벨트(130) 및 감지센서(14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드럼(110)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M)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정역회전한다.
상기 종동 드럼(120)은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드럼(110)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 되어 상기 구동 드럼(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정역회전한다.
상기 벨트(130)는 상기 구동 드럼(110)과 상기 종동 드럼(120)에 각각 권취되어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데, 하부 저장탱크(T1)에 저장된 그리트(G)를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T2)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벨트(13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버킷(13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버킷 엘리베이터(100)는 상기 종동 드럼(12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0)가 더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동 드럼(120)의 회전축을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종동 드럼(120)의 인근에 상기 감지센서(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드럼(120)에는 상기 감지센서(140)에 감지되는 소정의 센서 감지부(121)가 외측 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감지부(121)는 적외선 방식의 동작감지센서이며, 상기 감지센서(140)에 비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지상에서 구동모터(M)의 스위치를 온(On)하여 구동모터(M)를 처음 기동시키면, 상기 감지센서(140)에서 상기 종동 드럼(120)이 원활히 회전되는지, 즉 종동 드럼(120)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121)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40)에서 약 2 내지 3초 정도 상기 센서 감지부(121)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모터(M)의 전원이 강제 오프(Off) 되어 구동모터(M)의 고장과 벨트(13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40)에 의해 상기 종동 드럼(12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M)의 전원이 강제 오프 되는 것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버킷 엘리베이터 110: 구동 드럼
120: 종동 드럼 121: 센서 감지부
130: 벨트 131: 버킷
140: 감지센서 T1: 하부 저장탱크
T2: 상부 저장탱크 G: 그리트

Claims (3)

  1.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모터(M)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 드럼(110)과, 상기 구동 드럼(110)과 하기 종동 드럼(120)에 각각 권취되어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벨트(130)와, 상기 벨트(130)의 외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버킷(131) 및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드럼(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정역회전하는 종동 드럼(120)을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100)로서,
    상기 종동 드럼(12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동 드럼(120)은 상기 감지센서(140)에 감지되는 소정의 센서 감지부(121)가 외측 일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부(121)는 상기 감지센서(140)에 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40)는 적외선 방식의 동작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KR2020120009505U 2012-10-19 2012-10-19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KR201400024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05U KR20140002494U (ko) 2012-10-19 2012-10-19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05U KR20140002494U (ko) 2012-10-19 2012-10-19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94U true KR20140002494U (ko) 2014-04-29

Family

ID=5244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505U KR20140002494U (ko) 2012-10-19 2012-10-19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49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333A (ko) * 2017-06-14 2018-1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N110451167A (zh) * 2019-08-20 2019-11-15 云南云铝涌鑫铝业有限公司 斗式提升机的控制系统、系统及斗式提升机
RU2734155C1 (ru) * 2019-12-27 2020-10-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АУ) Ковшовый элеватор
CN113232902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有余跨越瓜蒌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瓜蒌子包装用取料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333A (ko) * 2017-06-14 2018-1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N110451167A (zh) * 2019-08-20 2019-11-15 云南云铝涌鑫铝业有限公司 斗式提升机的控制系统、系统及斗式提升机
RU2734155C1 (ru) * 2019-12-27 2020-10-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АУ) Ковшовый элеватор
CN113232902A (zh) * 2021-05-14 2021-08-10 安徽有余跨越瓜蒌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瓜蒌子包装用取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494U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
JP6319046B2 (ja) 搬送装置
CN103482389A (zh) 一种印刷设备上卷筒料输送上卸卷装置
KR101651954B1 (ko) 인버터제어방식 선박동력공급시스템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10196882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08280161A (ja) ベルトコンベヤ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9411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於けるベルトの浮き上がり防止装置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CN102556625B (zh) 用于皮带输送机的皮带撕裂检测装置
KR100431792B1 (ko) 하역기 와이어 권취 드럼의 와이어 유도장치
KR101298761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043084B1 (ko)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277497B1 (ko) 선박용 살수장치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289696B1 (ko) 하역기의 스커트 조절 장치
KR101203636B1 (ko) 연속식 코일 선적기
Gupta Safety measures for reduction of failure in belt conveyor for thermal power plant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WO2014024564A1 (ja) 連続アンロ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