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555B1 -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555B1
KR102299555B1 KR1020200035575A KR20200035575A KR102299555B1 KR 102299555 B1 KR102299555 B1 KR 102299555B1 KR 1020200035575 A KR1020200035575 A KR 1020200035575A KR 20200035575 A KR20200035575 A KR 20200035575A KR 102299555 B1 KR102299555 B1 KR 10229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oyancy
lifting
eleva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이 개방되어 연속식 하역기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수세부와, 수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와, 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와 연결되고, 승강부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작동부와, 승강부에 설치되고, 세척수를 흡입하여 수세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펌프부와, 승강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부력에 의해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WASH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로 인해 펌프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연속식 하역기에 구비된 버켓을 통해 선박에서 부두로 수송되며, 버켓에 고착된 연원료는 수세부 내측에서 물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0501호(2013.10.10 공개, 발명의 명칭: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로 인해 펌프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이 개방되어 연속식 하역기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수세부; 상기 수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수세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승강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부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의 수위감소로 하강하는 상기 부력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부력체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부력체감지부; 및 상기 부력체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부가 하강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와이어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력체감지부의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와이어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출시켜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수세부에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양단부가 각각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 한 쌍의 레일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와 접촉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또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 중 어느 하나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접촉센서부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승강부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와이어권취부의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감지부가 장착되며, 상기 부력체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본체; 상기 승강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본체에서 한 쌍의 레일프레임 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레일프레임에 각각 접촉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부는, 상기 승강부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력체감지부와 접촉되는 이동스틱부; 및 상기 이동스틱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스틱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부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되는 부력체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세부의 하부에 적재되는 슬러지를 감지하는 슬러지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러지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부가 상승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부력체감지부가 상기 부력체부와 미접촉되도록 상기 부력체감지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는 펌프부가 결합된 승강부가 부력체부에 의해 펌프부가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된 상태로 세척수를 흡입할 수 있어, 연속식 하역기의 세척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로 인해 펌프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체감지부를 통해 세척수의 수위감소로 승강부 상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부력체부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부력체감지부의 부력체감지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세척수의 수위감소에 대응되게 승강부가 자동으로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감지부를 통해 부력체부가 수세부의 하부에 적재된 슬러지에 접촉되면, 슬러지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슬러지감지부의 슬러지감지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가 펌프부가 결합된 승강부 및 부력체부가 슬러지로부터 이격되도록 작동부를 작동시키므로, 펌프부에 슬러지가 유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펌프부가 슬러지에 의해 묻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연속식 하역기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력체부, 승강부 및 작동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 승강부 및 작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감지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펌프부의 흡입에 의해 세척수의 수위감소로 부력체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가 부력체감지부와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감지부의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제어부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승강부를 하강하여 승강부를 세척수의 수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에 설치된 슬러지감지부가 슬러지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슬러지감지부의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제어부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승강부를 상승시키고 부력체감지부를 이동시켜 부력체부와 미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승강부가 레일부의 상부에 장착된 스토퍼부에 의해 상승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에 연속식 하역기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력체부, 승강부 및 작동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 승강부 및 작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감지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펌프부의 흡입에 의해 세척수의 수위감소로 부력체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가 부력체감지부와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감지부의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제어부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승강부를 하강하여 승강부를 세척수의 수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부력체부에 설치된 슬러지감지부가 슬러지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슬러지감지부의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제어부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승강부를 상승시키고 부력체감지부를 이동시켜 부력체부와 미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의 승강부가 레일부의 상부에 장착된 스토퍼부에 의해 상승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수세부(100), 레일부(200), 승강부(300), 펌프부(400), 부력체부(500) 및 작동부(600)를 포함한다.
수세부(100)는 세척수(10)를 저장하는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이 개방되어 연속식 하역기(10)의 인입이 이루어진다. 수세부(100)는 연속식 하역기(10)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200)는 수세부(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레일부(200)는 수세부(100)의 내측벽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된다.
승강부(300)는 레일부(200)를 따라 승강된다. 승강부(300)는 레일부(200)에 승강되게 결합되며, 후술된 작동부(400)에 의해 레일부(200)를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작동부(400)는 승강부(300)와 연결되고, 승강부(300)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킨다. 작동부(400)는 수세부(100)에 저장된 세척수(10)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작동되어 승강부(30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펌프부(500)는 승강부(300)에 설치되고, 세척수(10)를 흡입하여 수세부(10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펌프부(500)는 승강부(300)의 승강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펌프부(500)는 펌프파이프(510), 펌프호스(520) 및 펌프필터(530)를 포함한다. 펌프파이프(510)는 승강부(300)에 설치되며, 세척수(10)가 유입된다. 펌프호스(520)는 펌프파이프(510)와 연결되며, 펌프파이프(51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10)가 통과된다. 이때, 펌프호스(520)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펌프필터(530)는 펌프파이프(510)의 세척수(10)가 유입되는 입구 부분에 설치되며, 슬러지(S) 등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펌프부(500)에 슬러지(S)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력체부(600)는 승강부(3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부력에 의해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한다. 부력체부(600)는 승강부(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승강부(300)를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승강부(300)의 상측에 설치된 펌프부(500)가 세척수(10)의 수면 상에 부상될 수 있다.
부력체부(600)는 승강부(3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세척수(10)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부(300) 상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두(30)에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를 적재한 선박이 정박하면, 연속식 하역기(20)를 이용해 선박에 적재된 연원료를 하역한다.
부두(30)에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를 적재한 선박이 정박하면, 연속식 하역기(20)를 이용해 선박에 적재된 연원료를 하역한다. 연속식 하역기(20)는 부두(30)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1)의 상측으로 붐(22)이 설치되며, 붐(22)의 일측에 엘리베이터 포스트(23)가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포스트(23)의 하부에 굴삭부(24)가 위치하며, 굴삭부(24)의 버켓(28)이 선박의 저장고로 진입하여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연원료를 굴삭하여 외측으로 이동하여 벨트컨베이어(29)를 따라 야적장으로 이송한다.
굴삭부(24)는 프레임부(25), 프레임부(2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라켓(26), 스프라켓(26)에 맞물려 회전하는 체인(27) 및 체인(27)에 연결되며, 연원료를 굴삭하는 복수개의 버켓(28)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의 하역 작업을 통하여 굴삭부(24)의 버켓(28)의 외측에는 연원료가 부착되며, 다른 종류의 연원료를 하역하는 경우에는 버켓(28)의 세척작업이 요구된다. 버켓(28)의 세척작업은 세척수(10)가 저장된 수세부(100)의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연속식 하역기(10)는 수세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세부(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버켓(28)이 체인(27)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버켓(28)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버켓(28)은 세척수와 세척솔 등의 세척장치(미도시)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버켓(28)가 세척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세척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 과정에서 버켓(28)으로부터 이탈된 슬러지(S)는 세척수(10)와 함께 혼재되어 수세부(100)의 하부로 가라앉는다.
연속식 하역기(20)를 세척한 후, 작동부(400)를 작동시켜 펌프부(500)가 설치된 승강부(300)가 세척수(10)의 수위에 대응되는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승강부(300)와 연결된 부력체부(600)를 통해 승강부(300)는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되고, 펌프부(500) 역시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된다. 그 결과, 펌프부(500)가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된 상태로 세척수(10)를 흡입함으로써, 펌프부(500)에 슬러지(S)가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후, 펌프부(500)의 흡입으로 세척수(10)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력체부(600)는 세척수(10)의 수위에 따라 승강부(300) 상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부력체부(600)는 세척수(10)의 수면 상에 부상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승강부(300)와의 이격공간이 커진다.
세척수(10)의 수위감소로 작동부(400)가 작동되고, 작동부(400)의 작동으로 승강부(300)가 세척수(10)의 수위에 대응되게 하강하고, 부력체부(600)가 세척수(10)의 수면 상에 부상된 상태로 하강하는 승강부(300)와 접촉하게 된다(도 4, 도 5 참조).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부력체감지부(700) 및 제어부(800)를 더 포함한다. 부력체감지부(700)는 승강부(3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척수(10)의 수위감소로 하강하는 부력체부(600)와 접촉되어 부력체부(600)와의 접촉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부력체부(600)가 세척수(10)의 수위감소로 하방으로 이동되고, 승강부(300)에 설치된 부력체감지부(700)에 접촉하게 된다. 부력체감지부(700)는 승강부(300)의 접촉을 감지하여 부력체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제어부(800)는 부력체감지부(700)로부터 전달받은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부(300)가 하강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800)는 부력체감지부(700)로부터 부력체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작동부(400)를 작동시켜 승강부(300)를 하강시켜 세척수(10)의 수위감소로 하방으로 이동된 부력체부(600)의 상측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때, 승강부(300)가 부력체부(600)의 상측에 놓여지면, 부력체감지부(700)는 부력체부(600)에 미접촉된 상태가 된다(도 6 내지 도 10 참조).
작동부(400)는 와이어(410), 와이어권취부(420) 및 설치대(430)를 포함한다. 와이어(410)는 승강부(300)와 연결된다. 와이어권취부(420)는 와이어(410)를 권취하거나 권출한다. 와이어(410)는 한 쌍으로 승강부(300)와 연결된다. 와이어권취부(420)는 한 쌍의 와이어(410)가 감겨진 드럼부(421)와, 드럼부(421)를 회전시키는 동력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대(430)는 수세부(100)에 장착되며, 와이어권취부(420)가 설치된다. 설치대(430)에는 와이어(410)가 통과되는 와이어통과홀부(431)가 형성된다.
제어부(800)는 부력체감지부(700)의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와이어권취부(420)를 회전시켜 와이어(410)를 권출시켜 승강부(300)를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동력부(42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동력부(422)와 연결된 드럼부(42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410)가 권출된다. 와이어(410)와 연결된 승강부(300)가 하강된다.
레일부(200)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가이드프레임(220) 및 스토퍼부(2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는 수세부(100)에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승강부(300)의 양단부가 각각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은 수세부(100)의 내측벽부에 서로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에는 승강부(300)의 일단부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레일프레임(220) 중 다른 하나에는 승강부(300)의 타단부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220)은 봉 형상으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된다. 가이드프레임(220)은 와이어(41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며, 와이어(4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1)를 구비한다. 가이드부(221)는 한 쌍으로 한 쌍의 와이어(410)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21)는 와이어(41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221a)을 구비하며, 한 쌍의 가이드블록(221a)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4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221)는 한 쌍의 와이어(410)가 와이어권취부(420)의 작동에 권출되거나 권취될 때 와이어(410)가 와이어(4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와이어(410)의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 와이어(410)가 와이어(410)의 이동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와이어(410)가 꼬이는 등의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스토퍼부(230)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승강부(300)와 접촉되어 승강부(300)의 상승 또는 승강부(300)의 하강 중 어느 하나를 제한한다. 스토퍼부(230)는 복수개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승강부(300)가 설정거리 이상 상승되거나 설정거리 이상 하강하는 것을 막는다.
스토퍼부(230)는 승강부(30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접촉센서부(231a)를 구비하고, 제어부(800)는 제1접촉센서부(231)로부터 전달받은 승강부감지정보를 토대로 와이어권취부(420)의 작동을 멈춘다. 이때, 제1접촉센서부(231a)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부(2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230)는 제1스토퍼(231)와 제2스토퍼(2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스토퍼(231)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부(300)의 상승시 승강부(300)의 설정거리 이상 상승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스토퍼(231)는 제1접촉센서부(231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접촉센서부(231a)는 승강부(300)가 접촉되면, 제1접촉센서부(321a)는 승강부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작동을 멈춰 승강부(300)가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와이어권취부(420)가 회전되는 것을 멈춰 작동부(400)의 와이어(410)와 연결된 승강부(300)가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스토퍼(232)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부(300)의 하강시 승강부(300)의 설정거리 이상 하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승강부(300)가 수세부(100)의 바닥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스토퍼(232)는 제2접촉센서부(232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접촉센서부(232a)는 승강부(300)가 접촉되면, 제2접촉센서부(232a)는 승강부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작동시켜 승강부(300)를 상승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와이어권취부(4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부(400)의 와이어(410)가 권취됨에 따라 와이어(410)와 연결된 승강부(300)가 상승된다.
승강부(300)는 승강부본체(310), 한 쌍의 승강프레임(320) 및 복수개의 롤러부(330)를 포함한다. 승강부본체(310)는 펌프부(500)가 설치되고, 부력체감지부(700)가 장착되며, 부력체부(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본체(310)는 판 형태로 상측에 부력체감지부(7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본체(310)에는 부력체부(600)의 이동스틱부(610)에 통과되는 관통홀부(311)가 형성된다. 관통홀부(311)는 복수개로 승강부본체(310) 상에 복수개의 이동스틱부(6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스틱부(610)와 동일한 갯수를 가질 수 있다. 승강부본체(310)에는 펌프부(500)의 펌프파이프(510)가 결합되는 펌프결합부(313)가 구비된다.
한 쌍의 승강프레임(320)은 승강부본체(310)와 연결되고, 승강부본체(310)에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한 쌍의 승강프레임(320)은 승강부본체(310)의 양단부에서 각각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승강프레임(320)은 한 쌍의 제1승강프레임(321)과 한 쌍의 제2승강프레임(3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승강프레임(321)은 승강부본체(310)의 양단부에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한 쌍의 제2승강프레임(322)은 한 쌍의 제1승강프레임(321)와 이격되며, 승강부본체(310)의 양단부에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복수개의 롤러부(330)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3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에 각각 접촉되며, 회전되면서 레일프레임(210)을 따라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롤러부(330)는 제1승강프레임(321)과 제2승강프레임(32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레일프레임(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레일프레임(210)와 접촉되어 레일프레임(210)을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된다.
부력체부(600)는 이동스틱부(610)와 부력체본체(620)를 포함한다. 이동스틱부(610)는 승강부본체(3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으로 이동되어 부력체감지부(700)와 접촉된다. 이동스틱부(610)는 복수개로 승강부본체(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부(311)를 각각 관통하며, 관통홀부(311)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스틱부(610)는 승강부본체(310)에 설치된 부력체감지부(700)와 접촉가능하다.
이동스틱부(610)는 이동스틱(611)과 접촉스틱(612)을 포함한다. 이동스틱(611)은 승강부본체(310)의 관통홀부(311)를 관통하며, 관통홀부(31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접촉스틱(612)은 이동스틱(611)에 교차되게 결합되며, 부력체감지부(700)와 접촉가능하다. 이를 통해, 펌프부(500)에 의해 세척수(10)의 수위가 감소되어 부력체본체(6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접촉스틱(612)은 부력체본체(620)와 연결된 이동스틱(611)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어 부력체감지부(70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부력체감지부(700)로부터 부력감지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부(400)의 와이어권취부(4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작동부(400)의 와이어(410)와 연결된 승강부(300)가 하강하여 세척수(10)의 수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부력체본체(620)는 이동스틱부(610)와 연결되고, 이동스틱부(61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부력에 의해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된다. 부력체본체(620)는 블록 형상으로 이동스틱부(610)의 이동스틱(611)과 연결되며, 세척수(10)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력체본체(620)가 블록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부력체본체(620)가 부력에 의해 세척수(10)의 수면으로 부상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슬러지감지부(900)를 더 포함한다. 슬러지감지부(900)는 부력체부(600)에 설치되며, 수세부(100)의 하부에 적재되는 슬러지(S)를 감지한다. 슬러지감지부(900)는 복수개가 부력체부(600)의 하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펌프부(500)에 의해 수세부(100)에 저장된 세척수(10)가 거의 다 흡수되고, 부력체부(600)가 수세부(100)의 하부에 적재된 슬러지(S)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부력체부(600)의 하측면에 설치된 슬러지감지부(900)가 슬러지(S)와 접촉되어 슬러지감지정보를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제어부(800)는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부(300)가 상승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키고, 부력체감지부(700)가 부력체부(600)와 미접촉되도록 부력체감지부(700)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는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슬러지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와이어권취부(420)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작동부(400)의 와이어(410)와 연결된 승강부(300)가 상승한다. 승강부(300)의 상승으로 부력체부(600)가 슬러지(S)와 이격된다. 이로 인해, 승강부(300)에 설치된 펌프부(500)로 슬러지(S)가 유입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펌프부(500)가 수세부(100)의 하부에 적재된 슬러지(S)에 의해 묻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승강부(300)가 상승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부력체감지부(700)를 이동시켜 승강부(300)와 함께 상승되는 부력체부(600)와 부력체감지부(700)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더불어, 제어부(800)는 펌프부(500)의 작동을 멈춘다. 이에 따라, 승강부(300)의 상승시 부력체감지부(700)와 부력체부(600)가 접촉됨으로써, 제어부(800)가 부력체감지부(700)로부터 전달받은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부(300)가 하강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도 11, 도 12 참조).
부력체감지부(700)는 부력체감지센서부(710)와 센서이동부(720)를 포함한다. 부력체감지센서부(710)는 승강부본체(310)의 이동가이드부(312)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가이드부(310)는 상부가 개방된 홈부 형상일 수 있다. 부력체감지센서부(710)는 한 쌍으로 이동가이드부(312) 역시 승강부본체(310) 상에 부력체감지센서부(710)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10)는 상부가 개방된 홈부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즉, 좌우방향으로(도 6 기준)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부력체감지센서부(71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력체부(600)의 이동스틱부(610)와 접촉되면 부력체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센서이동부(720)는 부력체감지센서부(710)와 연결되며, 승강부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부력체감지센서부(710)를 이동시킨다. 센서이동부(720)는 승강부본체(3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부력체감지센서부(7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이드부(312)를 따라 좌우방향으로(도 6 기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이동부(720)는 한 쌍으로 이동가이드부(31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이동부(720)는 제어부(800)가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슬러지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된다. 센서이동부(720)는 랙기어(721), 모터부(722) 및 피니언기어(723)를 포함한다. 랙기어(721)는 부력체감지센서부(710)에 결합되되, 이동가이드부(312)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도 5 기준) 길게 배치된다. 모터부(722)는 이동가이드부(312)와 연결된 설치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부(800)에 의해 회전되다. 피니언기어(723)는 랙기어(721)와 맞물리고, 모터부(72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랙기어(721)가 이동가이드부(31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도 6 기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부력체감지센서부(710)는 부력체감지센서(711)와 부력체감지센서설치대(712)를 포함한다. 부력체감지센서(711)는 부력체부(600)와 접촉되면 부력체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부력체감지센서설치대(712)는 부력체감지센서(711)가 장착되며, 센서이동부(720)의 랙기어(721)가 결합된다.
제어부(800)는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슬러지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모터부(722)를 작동시켜, 피니언기어(72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기어(723)와 맞물린 랙기어(721) 및 랙기어(721)와 연결된 부력체감지센서부(710)가 부력체부(600)의 이동스틱부(6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이드부(312)를 따라 이동된다. 즉, 부력체감지부(700)가 부력체부(600)와 미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강부(300)가 상승시 부력체감지부(700)와 부력체부(600)가 접촉으로 제어부(800)가 부력체감지부(700)로부터 전달받은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부(300)가 하강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0)는 모터부(722)를 작동시켜, 피니언기어(72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부력체감지센서부(710)가 부력체부(600)와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800)는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슬러지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승강부(300)가 상승되도록 작동부(400)를 작동시킴은 물론, 부력체감지부(700)를 이동시켜 승강부(300)와 함께 상승되는 부력체부(600)와 부력체감지부(700)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3과 같이, 승강부(300)가 작동부(400)에 의해 레일부(200)를 따라 설정거리 이상 상승되면, 승강부(300)는 레일부(200)의 스토퍼(230)에 접촉되고, 레일부(200)의 스토퍼(230)에 의해 승강부(300)가 상승이 제한되는 동시에 작동부(400)의 작동이 멈춰 승강부(300)의 상승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승강부(300)는 레일부(200)를 따라 설정거리 이상 상승되어 한 쌍의 레일프레임(210) 각각의 상부에 장착된 제1스토퍼(231)와 접촉된다. 제1스토퍼(231)의 제1접촉센서부(231a)는 승강부(300)가 접촉되면, 제1접촉센서부(231a)는승강부감지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는 작동부(400)의 작동을 멈춰 승강부(300)가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는 펌프부(500)가 부력체부(600)를 통해 세척수(10)의 수면에 부상된 상태로 세척수(10)를 흡입할 수 있어 펌프부(500)가 슬러지(S)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300) 및 작동부(400)와 더불어, 부력체감지부(700)를 통해 세척수(10)의 수위감소에 대응하여 펌프부(500)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슬러지감지부(900)를 통해 제어부(800)가 슬러지감지부(900)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승강부(300)가 상승되도록 작동부(400)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펌프부(500)가 수세부(100)의 하부에 적재된 슬러지(S)에 의해 묻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잇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1)를 통해 펌프부(500)에 슬러지(S)가 유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펌프부(500)가 수세부(100)의 하부에 적재된 슬러지(S)에 의해 묻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100 : 수세부 S : 슬러지
10 : 세척수 20 : 연속식 하역기
21 : 주행부 22 : 붐
23 : 엘리베이터 포스트 24 : 굴삭부
25 : 프레임부 26 : 스프라켓
27 : 체인 28 : 버켓
29 : 벨트컨베이어 30 : 부두
100 : 수세부 200 : 레일부
210 : 레일프레임 220 : 가이드프레임
221 : 가이드부 221a : 가이드블록
230 : 스토퍼부 231 : 제1스토퍼
231a : 제1접촉센서부 232 : 제2스토퍼
232a : 제2접촉센서부 300 : 승강부
310 : 승강부본체 311 : 관통홀부
312 : 이동가이드부 313 : 펌프결합부
320 : 승강프레임 321 : 제1승강프레임
322 : 제2승강프레임 330 : 롤러부
400 : 작동부 410 : 와이어
420 : 와이어권취부 421 : 드럼부
422 : 동력부 430 : 설치대
431 : 와이어관통홀부 500 : 펌프부
510 : 펌프파이프 520 : 펌프호스
530 : 펌프필터 600 : 부력체부
610 : 이동스틱부 611 : 이동스틱
612 : 접촉스틱 620 : 부력체본체
700 : 부력체감지부 710 : 부력체감지센서부
711 : 부력체감지센서 712 : 부력체감지센서설치대
720 : 센서이동부 721 : 랙기어
722 : 모터부 723 : 피니언기어
800 : 제어부
900 : 슬러지감지부

Claims (8)

  1. 세척수를 저장하는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이 개방되어 연속식 하역기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수세부;
    상기 수세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작동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수세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승강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부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의 수위감소로 하강하는 상기 부력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부력체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부력체감지부; 및
    상기 부력체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부가 하강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와이어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력체감지부의 부력체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와이어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출시켜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수세부에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양단부가 각각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
    한 쌍의 레일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와 접촉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또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 중 어느 하나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접촉센서부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촉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승강부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와이어권취부의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감지부가 장착되며, 상기 부력체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본체;
    상기 승강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본체에서 한 쌍의 레일프레임 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레일프레임에 각각 접촉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부는,
    상기 승강부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력체감지부와 접촉되는 이동스틱부; 및
    상기 이동스틱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스틱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부력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부상되는 부력체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세부의 하부에 적재되는 슬러지를 감지하는 슬러지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러지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승강부가 상승되도록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부력체감지부가 상기 부력체부와 미접촉되도록 상기 부력체감지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펌프 막힘 방지장치.
KR1020200035575A 2020-03-24 2020-03-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229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5A KR102299555B1 (ko) 2020-03-24 2020-03-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75A KR102299555B1 (ko) 2020-03-24 2020-03-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555B1 true KR102299555B1 (ko) 2021-09-07

Family

ID=7779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75A KR102299555B1 (ko) 2020-03-24 2020-03-24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5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792A (ja) * 1993-03-17 1994-09-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上澄水の排出装置
KR20000005094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수중펌프 이동장치
KR101689162B1 (ko) * 2016-08-04 2016-12-23 태진산업기계 주식회사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KR20190010171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792A (ja) * 1993-03-17 1994-09-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上澄水の排出装置
KR20000005094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수중펌프 이동장치
KR101689162B1 (ko) * 2016-08-04 2016-12-23 태진산업기계 주식회사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KR20190010171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256527B1 (ko)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CN106276056B (zh) 多节段组合式土方垂直提升装置
JPH0551734B2 (ko)
KR10229955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N210126941U (zh) 一种适应高水位差作业的悬链式卸船机
KR1021905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US2796180A (en) Unloader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443096B1 (ko) 침전물 제거장치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614178B2 (ja) 魚の搬送設備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17137139A (ja) 連続アンローダの衝突防止装置
JP3538085B2 (ja) 杭材料の搬送システム
US3356232A (en) Barge unloader
CN217920394U (zh) 用于辅助设备上料的提升机
KR101958446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62259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살수장치
JP3305823B2 (ja) 揚土装置
JPH0636049Y2 (ja) 水平ジブクレーン
JP5711418B1 (ja) 除塵設備の塵芥搬出装置
US809633A (en) Submarine mining.
KR100744415B1 (ko) 원료 높이 감지스위치의 상승 및 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