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162B1 -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162B1
KR101689162B1 KR1020160099313A KR20160099313A KR101689162B1 KR 101689162 B1 KR101689162 B1 KR 101689162B1 KR 1020160099313 A KR1020160099313 A KR 1020160099313A KR 20160099313 A KR20160099313 A KR 20160099313A KR 101689162 B1 KR101689162 B1 KR 10168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ump
lifting
pump
moto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주호
Original Assignee
태진산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산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진산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집수정내 수위 변화량에 따라 수중 모터펌프를 수면 위로 자동 인양하여 운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운전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함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에 인버터 기능을 탑재한 것이고, 이에따라 입형식 원심펌프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중 모터펌프를 사용시 수중에 머무는 시간을 실질 구동시간으로 제한하여 평시에는 수면위에 위치시키면서 수중 모터펌프가 고온에 취약한 단점을 해결하여 집수정내 고온(예; 100℃ 이상)의 유체로부터 펌프내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집수정내 유체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킴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수중 모터펌프의 용량을 낮추면서도 돌발적인 고수위시 모터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유량 배출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신속한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소모품 및 전력 사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Auto salvaging system for submerged motor pump}
본 발명은 발전소 내에서 운전중인 집수정에 설치되는 수중 모터펌프의 인양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정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수중 모터펌프를 수면 위로 자동 인양하여 운전 대기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수중으로 하강시키면서 운전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집수정내의 유체(예; 물)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모터펌프 또는 입형 원심펌프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를 일체화한 것을 수중에 투입하여 유체를 배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수처리장, 배수펌프장, 토목공사 현장이나 농경지, 소수량 양수시설 및 공동시설물(예컨대, 발전소, 아파트, 학교, 병원 등) 등의 집수정내에 설치되어 유체를 배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수중 모터펌프는 항상 집수정내의 수중에 잠겨 있으며, 이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5094호(공개일 2000.03.15),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986호(공개일 2012.08.27), 등록특허공보 제10-1635427호(등록일 2016.06.27)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수중 모터펌프 또는 입형 원심펌프를 발전소의 집수정에 투입시 항상 수중에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운전되므로, 장비의 노후화 및 유지 관리는 물론 유지 보수에 있어서 신속 대응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입형 원심펌프는 장축인 샤프트, 베어링, 부싱, 임펠라, 슬리브 등 부품의 고장이 수시로 발생하게 되면서 그 운전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고, 부품 고장시에는 3∼4명의 정비인력이 투입되어 입형 원심펌프를 별도의 인양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인양하여야 하므로, 수리 기간 및 정비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등 장비의 운전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장축이 적용되는 입형 원심펌프는 샤프트 밴딩 및 진동이 유발되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지면서 잦은 고장이 발생함은 물론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진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장축을 가지는 입형 원심펌프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이를 대체하여 통상의 수중 모터펌프를 발전소의 집수정에 투입하는 경우를 고려한 바 있으나, 이 경우 수중 모터펌프의 기계적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어렵고, 집수정내 유체의 수온이 고온(예; 100℃ 이상)인 까닭에 수중 모터펌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조기에 경화되면서 수중 모터펌프가 유체를 배수시킬 때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중 모터펌프는 돌발적인 고수위에 대응하기 위해 상시 사용 용량에 안전 할증된 용량을 더하여 설치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관계로, 필요 이상의 전력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형 원심펌프와 수중 모터펌프가 가지는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집수정내 수위 변화량에 따라 수중 모터펌프를 수면 위로 자동 인양하여 운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운전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입형식 원심펌프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취약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수중 모터펌프를 사용하되 수중에 머무는 시간을 실질 구동시간으로 제한하여 평시에는 수면위에 위치시키면서 수중 모터펌프가 고온에 취약한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집수정내 고온(예; 100℃ 이상)의 유체로부터 펌프내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집수정내 유체(예; 물)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킴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 모터펌프에 인버터 기능을 탑재하여, 수중 모터펌프의 용량을 낮추면서도 돌발적인 고수위시 모터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유량 배출을 극대화시키고,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신속한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소모품 및 전력 사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쳄을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은, 집수정내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집수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유체의 수위 변화량이 기준수위보다 낮거나 같으면 인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투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집수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내의 수중 모터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인양 또는 상기 집수정으로 투입하도록 구동하는 인양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집수정의 깊이에 따라 고정부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수정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저항값을 가지는 센서 봉; 및, 상기 센서 봉에서 상기 집수정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센서 봉을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 봉은 상기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어부와 유선라인 또는 무선라인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모터;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내의 수중 모터펌프와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인양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권선되거나 또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집수정으로 투입하도록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정의 상단에는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는 이송레일을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중 모터펌프는 교번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에는 각각 상기 인양부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부는, 집수정의 상단에서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며 제 2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회전체; 상기 제 1 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를 따라 승하강되는 제 1 승강이송관체; 상기 제 1 승강이송관체에 결합 고정되며, 레일을 형성한 제 1 승강지지대; 및, 상기 제 1 승강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안착 고정시키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정의 상단에는 고정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고정대에 상기 인양부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인양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제 3 모터; 상기 제 3 모터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 2 회전체;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회전체와 연결풀리로 연결되는 제 3 회전체; 상기 제 2,3 회전체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3 회전체를 따라 승하강되는 복수의 제 2 승강이송관체; 및, 복수의 상기 제 2 승강이송관체에 양단에 결합 고정되고, 수중 모터펌프가 안착 고정되는 제 2 승강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중 모터펌프는 집수정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모터 회전수를 자동을 증감시키는 인버터 기능을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형 원심펌프와 수중 모터펌프가 가지는 단점들을 개선한 본 발명은 집수정내 수위 변화량에 따라 수중 모터펌프를 수면 위로 자동 인양하여 운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수중으로 하강시켜 운전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함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에 인버터 기능을 탑재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입형식 원심펌프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중 모터펌프를 사용시 수중에 머무는 시간을 실질 구동시간으로 제한하여 평시에는 수면위에 위치시키면서 수중 모터펌프가 고온에 취약한 단점을 해결하여 집수정내 고온(예; 100℃ 이상)의 유체로부터 펌프내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집수정내 유체(예; 물)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킴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에 대한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수중 모터펌프의 용량을 낮추면서도 돌발적인 고수위시 모터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유량 배출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신속한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소모품 및 전력 사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인양부가 적용된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동형 인양부가 적용된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형 인양부가 적용된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인양부가 적용된 수중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은, 센서부(10), 제어부(20), 인양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10)는 유체(예; 물)가 채워지는 집수정(100)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부(10a)로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100)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센서 봉(11)과 부력체(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 봉(11)은 상기 집수정(100)내의 일측 벽면에 상기 고정부(10a)를 통해 상하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저항값을 가지면서 상기 집수정(100)의 깊이에 따라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부력체(12)는 상기 센서 봉(11)에서 상기 집수정(100)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에 따라 상기 센서 봉(11)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위 변화량에 따라 상기 부력체(12)가 상기 센서 봉(11)을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부력체(12)와 접촉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서 봉(11)의 저항값이 달라지면서, 상기 집수정(100)내에서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정(100)은 토목공사 현장이나 농경지, 소수량 양수시설 및 공동시설물(예컨대, 발전소, 아파트, 학교, 병원 등)은 물론,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등에서 일정량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상기와 같은 시설물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센서 봉(11)은 상기 제어부(20)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어부(20)와 유선라인 또는 무선라인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며, 일예로, 상기 센서 봉(11)은 유선의 케이블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20)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10)와 통신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유체의 수위 변화량이 기준수위보다 낮거나 같으면 인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투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이다.
상기 인양부(30)는 상기 집수정(100)의 상단 외부측에 마련되는 이송레일(102)에 설치된 고정대(101)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중 모터펌프(200)와 연결 구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상기 집수정(100)으로부터 인양 또는 상기 집수정(100)으로 투입하도록 구동하게 되며, 제 1 모터(31), 회전체(32),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모터(31)는 상기 고정대(101)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체(32)는 상기 고정대(101)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 1 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인양) 또는 역회전(투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인양 와이어(33)는 상기 회전체(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100)내의 수중펌프(20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3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200)를 인양하도록 상기 회전체(32)에 권선되거나 또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집수정(100)으로 투입하도록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정(100)의 상단에는 이송레일(102)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레일(102)에 상기 고정대(101)를 설치 구성하게 되면서, 제 1 모터(31)와 회전체(32) 및 인양 와이어(33)를 포함하는 상기 인양부(30)는 상기 이송레일(10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기 고정대(101)에 의해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집수정(100)내에 투입되는 수중 모터펌프(200)의 교체가 필요시 그 교체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양 시스템의 인양부(30)는 복수 라인으로 구성하게 되며, 복수 라인으로 이루어진 상기 인양부(30)에는 각각 수중 모터펌프(200)를 연결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수중펌프(200)는 상기 이송레일(10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상기 고정대(101)에 의해 교대로 가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버터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이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의 용량을 낮추면서도 돌발적인 고수위시 모터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증가시켜 유량 배출을 극대화시키고,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신속한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수중 모터펌프(200)에 대한 소모품 및 전력 사용을 최대한 절감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집수정(100)내의 유체가 기준수위를 초과하고 이를 센서봉(11)과 부력체(12)로 이루어진 센서부(10)가 감지한 후 제어부(20)에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집수정(100)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부(10a)를 통해 상하단이 고정되는 센서부(10)에 포함되는 센서 봉(11)에는 부력체(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력체(12)는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승하강을 반복하게 되며, 상기 부력체(12)의 승하강으로부터 상기 센서 봉(11)에서는 저항값이 달라지고, 이러한 저항값들은 유선라인 또는 무선라인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에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 봉(11)으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값들로부터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고 있음을 판단한 후 투입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양부(30)에 포함되는 제 1 모터(3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투입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회전체(32)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체(32)의 역회전으로부터 상기 회전체(32)에 권선되어 있던 인양 와이어(33)는 풀리게 되며, 상기 인양 와이어(33)의 풀림 작용으로부터 인버터 기능이 탑재된 수중 모터펌프(200)는 집수정(100)내의 최하단측으로 하강하여,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를 배수시키는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와 같이 수중 모터펌프(200)의 펌핑으로부터 유체가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로 배수되면서,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 수위가 기준수위와 같거나 또는 그 기준수위보다 낮을 경우 그 수위 변화량은 상기 집수정(100)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부(10a)를 통해 상하단이 고정되는 센서부(10)에 포함되는 센서 봉(11)에서 승하강하는 부력체(12)에 의해 감지된 후 유선라인 또는 무선라인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에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 봉(11)으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값들로부터 상기 집수정(100)내의 수위가 기준수위와 같거나 낮은 유체의 수위로부터 인양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인양부(30)에 포함되는 제 1 모터(3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인양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회전체(32)를 정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체(32)의 정회전으로부터 상기 회전체(32)로부터 풀림이 이루어진 인양 와이어(33)를 끌어 올려 권선하게 되며, 상기 인양 와이어(33)의 권선 작용으로부터 수중 모터펌프(200)는 집수정(100)내의 상단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집수정(100)내 유체의 수면 위로 인양되고, 이에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는 수중에 잠기지 않고 부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 수위가 다시 기준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다시 상기 집수정(100)내의 최하단측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집수정(100)내의 유체 수위 변화량에 따라 인양부(30)를 이용하여 수중 모터펌프(200)를 자동 인양하거나 또는 자동 투입하면서,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를 필요한 시점에서만 선택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에 대한 운영은 물론 그 유지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수정(100)에 배치되는 수중 모터펌프(200)에 대한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인양부(30)를 통해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상기 집수정(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대(101)에 인접하게 최대한 인양한 상태에서, 제 1 모터(31)와 회전체(32) 및 인양와이어(33)를 포함하는 상기 인양부(30)를 상기 고정대(101)를 통해 이송레일(102)에서 이동시켜,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 측부로 이동시킨다.
이후, 인양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인양와이어(33)를 통해 집수정(100)의 외부에서 지면으로부터 내리도록 하면,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에 대한 교체작업이 상기 집수정(100)이 아닌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에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집수정(100)에 회전체로 이루어진 이동형의 인양부(30')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인양부(30')는 집수정(100)의 상단에서 상기 집수정(100)내의 바닥면으로 제 2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회전체(32')를 연장 구성하고, 상기 제 1 회전체(32')에는 상기 제 1 회전체(32')를 따라 승하강되는 제 1 승강이송관체(33')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 1 승강이송관체(33')에는 레일(34a')를 형성한 제 1 승강지지대(34')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제 1 승강지지대(34')에는 수중 모터펌프(200)를 안착 고정시키면서 상기 레일(34a')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35')를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수중 모터펌프(200)를 제 1 승강지지대(34')에 장착 고정한 상태에서,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20)는 인양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의 제 2 모터(3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1 회전체(32')의 정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체(32')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이송관체(33')는 물론 이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지지대(34')는 상기 제 1 회전체(32')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 1 승강지지대(34')에 이송플레이트(35')를 통해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는 상기 집수정(100)내에서 수면 위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와 같이 제 1 승강지지대(34')에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가 유체의 수면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제어부(20)는 투입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의 제 2 모터(3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1 회전체(32')의 역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회전체(32')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이송관체(33')는 물론 이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지지대(34')는 상기 제 1 회전체(32')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 1 승강지지대(34')에 이송플레이트(35')를 통해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는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내 수중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펌핑동작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가 장착 고정된 이송플레이트(35')를 옆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상기 이송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승강지지대(34')에 형성되는 레일(34a')을 따라 집수정(100)의 외부 측부로 이송되므로, 인양된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를 내리도록 하여, 상기 수중 모터펌프(200)에 대한 교체작업이 상기 집수정(100)이 아닌 상기 집수정(100)의 외부에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집수정(100)에 고정형의 인양부(30")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인양부(30")는 집수정(100)의 상단에 고정대(101)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고정대(101)에 상기 인양부(30")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인양부(30")는 상기 고정대(101)에 설치되는 제 3 모터(311)와, 상기 제 3 모터(31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100)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 2 회전체(312)와, 상기 고정대(10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100)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회전체(312)와 연결풀리(313a)로 연결되는 제 3 회전체(313)와,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를 따라 승하강되는 복수의 제 2 승강이송관체(314),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제 2 승강이송관체(314)에 양단에 결합 고정되고, 수중펌프(200)가 안착 고정되는 제 2 승강지지대(3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수중 모터펌프(315)를 제 2 승강지지대(315)에 장착 고정한 상태에서,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거나 같으면 제어부(20)는 인양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의 제 3 모터(3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3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2 회전체(312)의 정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2 회전체(312)와 연결풀리(313a)로 연결되는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3 회전체(313)가 정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승강이송관체(314)는 물론 이에 결합되는 제 2 승강지지대(315)는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 2 승강지지대(315)에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는 상기 집수정(100)내에서 수면 위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와 같이 제 2 승강지지대(315)에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가 유체의 수면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제어부(20)는 투입의 제어신호를 인양부(30")의 제 3 모터(3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3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2 회전체(312)의 역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2 회전체(312)와 연결풀리(313a)로 연결되는 이송스크류 타입인 제 3 회전체(313)가 역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승강이송관체(314)는 물론 이에 결합되는 제 2 승강지지대(315)는 상기 제 2,3 회전체(312)(313)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 2 승강지지대(315)에 장착 고정된 수중 모터펌프(200)는 상기 집수정(100)내의 유체내 수중으로 투입되면서, 상기 유체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펌핑동작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센서부 11; 센서봉
11a; 고정부 12; 부력체
20; 제어부 30,30',30"; 인양부
31; 제 1 모터 32; 회전체
33; 인양와이어 31'; 제 2 모터
32'; 제 1 회전체 33'; 제 1 승강이송관체
34' 제 1 승강지지대 34a'; 레일
35'; 이송플레이트 311; 제 3 모터
312; 제 2 회전체 313; 제 3 회전체
313a; 연결풀리 314; 제 2 승강이송관체
315; 제 2 승강지지대 100; 집수정
101; 고정대 102; 이송레일
200; 수중펌프

Claims (10)

  1. 집수정내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집수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유체의 수위 변화량이 기준수위보다 낮거나 같으면 인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투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집수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내의 수중 모터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상기 집수정으로부터 인양 또는 상기 집수정으로 투입하도록 구동하는 인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집수정의 깊이에 따라 고정부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수정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저항값을 가지는 센서 봉; 및, 상기 센서 봉에서 상기 집수정내 유체의 수위 변화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센서 봉을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봉은 상기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어부와 유선라인 또는 무선라인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인양 또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 1 모터;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집수정내의 수중 모터펌프와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인양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권선되거나 또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집수정으로 투입하도록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상단에는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는 이송레일을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모터펌프는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수중 모터펌프에는 각각 상기 인양부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집수정의 상단에서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며 제 2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회전체; 상기 제 1 회전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를 따라 승하강되는 제 1 승강이송관체; 상기 제 1 승강이송관체에 결합 고정되며, 레일을 형성한 제 1 승강지지대; 및, 상기 제 1 승강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수중 모터펌프를 안착 고정시키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상단에는 고정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고정대에 상기 인양부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인양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제 3 모터; 상기 제 3 모터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제 2 회전체; 상기 고정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집수정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회전체와 연결풀리로 연결되는 제 3 회전체; 상기 제 2,3 회전체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2,3 회전체를 따라 승하강되는 복수의 제 2 승강이송관체; 및, 복수의 상기 제 2 승강이송관체에 양단에 결합 고정되고, 수중 모터펌프가 안착 고정되는 제 2 승강지지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모터펌프는 집수정내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모터 회전수를 자동으로 증감시키는 인버터 기능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모터펌프 자동 인양 시스템.
KR1020160099313A 2016-08-04 2016-08-04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KR10168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13A KR101689162B1 (ko) 2016-08-04 2016-08-04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13A KR101689162B1 (ko) 2016-08-04 2016-08-04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62B1 true KR101689162B1 (ko) 2016-12-23

Family

ID=5773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13A KR101689162B1 (ko) 2016-08-04 2016-08-04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19A (ko) 2017-07-06 2019-01-16 김성우 마중물리드관을 갖는 수중펌프
CN111268578A (zh) * 2020-02-14 2020-06-12 中国农业大学 潜水泵智能调控系统
KR102299555B1 (ko) * 2020-03-24 2021-09-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094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수중펌프 이동장치
KR100871162B1 (ko) * 2007-08-07 2008-12-05 주식회사 백상 인양식 수문 자동개폐장치
KR101448435B1 (ko) * 2014-06-10 2014-10-21 송성석 수위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474381B1 (ko) * 2014-05-22 2014-12-18 주식회사 유넥스 부유식 수상구조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094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수중펌프 이동장치
KR100871162B1 (ko) * 2007-08-07 2008-12-05 주식회사 백상 인양식 수문 자동개폐장치
KR101474381B1 (ko) * 2014-05-22 2014-12-18 주식회사 유넥스 부유식 수상구조물 시스템
KR101448435B1 (ko) * 2014-06-10 2014-10-21 송성석 수위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19A (ko) 2017-07-06 2019-01-16 김성우 마중물리드관을 갖는 수중펌프
CN111268578A (zh) * 2020-02-14 2020-06-12 中国农业大学 潜水泵智能调控系统
KR102299555B1 (ko) * 2020-03-24 2021-09-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162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자동 인양 시스템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CN205478495U (zh) 潜水排污泵自耦合安装架
CN105401651B (zh) 一种双筒式一体化泵站
CN215166413U (zh) 电缆井自动抽水装置
KR101516701B1 (ko)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CN207503056U (zh) 一种电缆井自动排水装置
CN219470871U (zh) 新型泵站自清洁装置
CN201246313Y (zh) 泵站排污液位自动化控制装置
CN107514054A (zh) 防涝一体化污水预制泵站
KR101536094B1 (ko) 수위측정용 무전원 구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4533579U (zh) 一种节能型防回流的回流泵
CN109235381A (zh) 一种水利闸门
KR101977596B1 (ko) 응급구조 재난용 수중모터펌프
CN114575418A (zh) 一种取水浮动平台泵站
CN210977903U (zh) 一种耐磨型液下渣浆泵
CN211172341U (zh) 一种大流量承载地埋式提升泵站
CN214936115U (zh) 一种新颖的猪场污水提升中转控制系统
CN207079061U (zh) 一种滗水器
CN206829341U (zh) 一种内筒轴流式一体化预制泵站
CN206571068U (zh) 一种防堵塞屋顶雨水排水装置
CN217761413U (zh) 一种自动调节姿态的潜水排污泵
CN216951015U (zh) 一种适用于泄洪轴流泵的辅助装置
CN220908660U (zh) 一种一体化污水提升泵站
CN205207209U (zh) 一种潜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