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44A -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44A
KR20200112344A KR1020190032657A KR20190032657A KR20200112344A KR 20200112344 A KR20200112344 A KR 20200112344A KR 1020190032657 A KR1020190032657 A KR 1020190032657A KR 20190032657 A KR20190032657 A KR 20190032657A KR 20200112344 A KR20200112344 A KR 2020011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nit
frame
foreign
precip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509B1 (ko
Inventor
이정복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는: 버켓 엘리베이터가 투입되는 수조부; 수조부에 연결되는 이물질 수거부; 버켓 엘리베이터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살수 분사부; 수조부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수조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침전부; 및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이물질 침전부를 승강시키도록 이물질 침전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FOREIGN MATTER PROCESSING APPARATUS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세척된 이물질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세척된 이물질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는: 버켓 엘리베이터가 투입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는 이물질 수거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살수 분사부; 상기 수조부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침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이물질 침전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 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양측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양측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슬라이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슬라이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 윈치부; 및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윈치부에 권취되는 제1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2 윈치부; 및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윈치부에 권취되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가 상기 이물질 수거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가 상기 제1 윈치부와 상기 제2 윈치부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도록 제1 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부보다 낮은 위치에 제2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이물질 침전부를 승강시키므로, 이물질 침전부에 쌓인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부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수조부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포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물질 처리 비용 및 이물질 처리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프레임부가 제2 프레임부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제1 윈치부가 제2 윈치부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윈치부와 제2 윈치부가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를 권취할 때에 이물질 침전부가 이물질 수거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이물질 침전부에 쌓인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부로부터 흘러내려 이물질 수거부에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이물질 침전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버켓 엘리베이터가 수조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세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버켓 엘리베이터가 세척된 후 이물질 침전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이물질 침전부가 상승되는 상태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이물질 침전부가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100)는 수조부(110), 이물질 수거부(120), 살수 분사부(130), 프레임부(140), 이물질 침전부(150) 및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수조부(110)에는 버켓 엘리베이터(10)가 투입된다. 버켓 엘리베이터(10)에는 복수의 버켓부(12)가 체인부(14)에 의해 무한궤도로 운행되도록 설치된다.
수조부(110)는 버켓 엘리베이터(10)의 하측이 투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수조부(110)에는 살수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물과 버켓 엘리베이터(10)에서 떨어진 이물질(20)이 수용된다. 수조부(110)는 버켓 엘리베이터(10)가 투입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거부(120)는 수조부(110)에 연결된다. 이물질 수거부(120)는 차단판(122)에 의해 수조부(110)의 내부와 구획되거나 수조부(11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거부(120)는 수조부(110)에 수용되는 이물질(20)이 이물질 침전부(150)에 의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살수 분사부(130)는 버켓 엘리베이터(10)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살수 분사부(130)는 수조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살수 분사부(130)는 물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살수 분사부(130)에서 물이 분사됨에 따라 버켓 엘리베이터(10)의 버켓부(12)와 체인부(14) 등에 부착된 이물질(20)이 세척된다.
살수 분사부(130)는 수조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세워지거나 수조부(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살수 분사부(130)는 수조부(110)의 양측의 상부에 별도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해 부양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살수 분사부(130)는 지지대부(131)와, 지지대부(131)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33)은 지지대부(131)에 고정되므로, 분사노즐(133)의 높이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때, 분사노즐(133)은 물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각도 변경 가능하게 지지대부(1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버켓 엘리베이터(10)가 세척될 때와, 이물질 침전부(150)에서 이물질(20)이 배출될 때에, 살수 분사부(130)는 높이가 달라지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살수 분사부(130)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실린더부(미도시)와, 실린더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33)의 높이가 조절되거나 각도가 조절되므로, 분사노즐(133)에서 분사되는 물이 수조부(11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임부(140)는 수조부(110)의 둘레부에 설치된다. 프레임부(140)는 수조부(110)에서 이물질 수거부(120)의 반대측에 세워지는 제1 프레임부(141)와, 수조부(110)에서 이물질 수거부(120) 측에 세워지는 제2 프레임부(145)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141)는 수조부(110)의 양측에 세워지는 한 쌍의 제1 칼럼부(142)와, 한 쌍의 제1 칼럼부(142)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1 크로스부(143)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부(145)는 수조부(110)의 양측에 세워지는 한 쌍의 제2 칼럼부(146)와, 한 쌍의 제2 칼럼부(146)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 크로스부(147)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141)와 제2 프레임부(14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41)의 양측에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1 가이드부(142a)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부(145)의 양측에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2 가이드부(146a)가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142a)는 제1 칼럼부(142)의 내측면에 제1 칼럼부(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부이고, 제2 가이드부(146a)는 제2 칼럼부(146)의 내측면에 제2 칼럼부(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부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42a)와 제2 가이드부(146a)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승강시 이물질 침전부(150)를 가이드 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침전부(150)는 수조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버켓 엘리베이터(10)에서 분리된 이물질(20)이 수용된다. 이물질 침전부(150)는 수조부(110)의 바닥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수조부(110)의 바닥면에 적층된다. 이물질 침전부(150)는 수조부(110)의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둘레부에는 이물질(20)이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는 이물질 수거부(120)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부의 이물질 수거부(120)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물질 침전부(150)가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기울어지면, 이물질 침전부(150)에 쌓인 이물질(20)이 이물질 수거부(120)로 배출된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부(14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슬라이더부(151)가 형성되고,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에는 제2 가이드부(146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슬라이더부(153)가 형성된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승강시, 제1 슬라이더부(151)는 제1 가이드부(142a)를 따라 이동되고, 제2 슬라이더부(153)는 제2 가이드부(146a)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이물질 침전부(150)가 승강될 때에 흔들리거나 위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프레임부(140)에 설치되고, 이물질 침전부(150)를 승강시키도록 이물질 침전부(150)에 연결된다. 구동부(160)가 이물질 침전부(150)를 승강시키므로, 이물질 침전부(150)에 쌓인 이물질(20)이 이물질 수거부(120)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부(110)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수조부(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포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물질(20)의 처리 비용 및 처리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구동부(160)는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161)는 제1 프레임부(141)에 설치되고,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구동부(165)는 제2 프레임부(145)에 설치되고,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구동부(161)가 구동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승강되고, 제2 구동부(165)가 구동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이 승강된다.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가 개별적으로 이물질 침전부(150)를 승강시키므로,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과 타측의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61)는 제1 프레임부(141)에 고정되는 제1 윈치부(162)와,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윈치부(162)에 권취되는 제1 와이어부(163)를 포함한다. 제2 구동부(165)는 제2 프레임부(145)에 고정되는 제2 윈치부(166)와,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윈치부(166)에 권취되는 제2 와이어부(167)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부(163)의 단부에는 제1 고리부(163a)가 연결되고, 제1 고리부(163a)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리홀부(155)에 결합된다. 제2 와이어부(167)의 단부에는 제2 고리부(167a)가 연결되고, 제2 고리부(167a)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고리홀부(156)에 결합된다. 제1 윈치부(162)가 제1 와이어부(163)를 권취하거나 풀어줌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승강되고, 제2 윈치부(166)가 제2 와이어부(167)를 권취하거나 풀어줌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이 승강된다.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는 이물질 침전부(150)를 승강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41)는 제2 프레임부(145)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고, 이물질 침전부(150)가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가 제1 윈치부(162)와 제2 윈치부(166)에 권취된다. 이때, 제1 칼럼부(142)의 높이가 제2 칼럼부(14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제1 크로스부(143)가 제2 크로스부(147)보다 높게 설치된다. 제1 프레임부(141)가 제2 프레임부(145)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제1 윈치부(162)가 제2 윈치부(166)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윈치부(162)와 제2 윈치부(166)가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를 권취할 때에 이물질 침전부(150)가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이물질 침전부(150)에 쌓인 이물질이 이물질 수거부(120)로부터 흘러내려 이물질 수거부(120)에 배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41)에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도록 제1 센서부(144)가 설치되고, 제2 프레임부(145)에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고, 제1 센서부(144)보다 낮은 위치에 제2 센서부(148)가 설치된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상승시,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제1 센서부(144)에 접촉되면 제1 윈치부(162)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이 제2 센서부(148)에 접촉되면 제2 윈치부(166)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2 센서부(148)가 제1 센서부(144)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이물질 침전부(150)가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에 의해 상승될 때에 이물질 침전부(150)가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물질 침전부(150)가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에 의해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면, 살수 분사부(130)가 이물질 침전부(150)의 내측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물질 침전부(150)에 쌓인 이물질(20)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흘러내려가므로, 이물질(20)이 이물질 침전부(150)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침전부(150)에서 이물질(20)의 잔류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버켓 엘리베이터가 수조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세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버켓 엘리베이터가 세척된 후 이물질 침전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에서 이물질 침전부가 상승되는 상태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버켓 엘리베이터(10)가 수조부(110)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수조부(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버켓 엘리베이터(10)의 하측은 수조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살수 분사부(130)에서 물이 분사됨에 따라 버켓 엘리베이터(10)의 버켓부(12)와 체인부(14)에 부착된 이물질(20)이 분사되는 물과 함께 수조부(110)의 하측으로 떨어진다(도 4 참조).
버켓 엘리베이터(10)의 세척이 완료되면, 버켓 엘리베이터(10)는 수조부(11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가 구동되면, 제1 윈치부(162)와 제2 윈치부(166)가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를 귄취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가 수조부(110)의 상측으로 상승된다(도 5 참조). 이때, 이물질 침전부(150)는 이물질(2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평된 상태로 상승된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의 제2 슬라이더부(153)가 제2 센서부(148)에 접촉되면, 제2 윈치부(166)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 제1 센서부(144)에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의 제1 슬라이더부(151)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윈치부(162)는 제1 와이어부(163)를 권취하도록 계속적으로 구동된다.
제2 윈치부(166)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1 윈치부(162)가 구동되면, 제1 윈치부(162)에 제1 와이어부(163)가 권취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상승된다. 따라서,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이물질 침전부(150)의 타측보다 높아진다.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상승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제1 슬라이더부(151)가 제1 센서부(144)에 접촉되면, 제1 윈치부(162)가 정지됨에 따라 이물질 침전부(150)의 일측이 상승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 침전부(150)가 이물질 수거부(120) 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물질 침전부(150)에 쌓인 이물질(20)이 이물질 수거부(120)로 흘러내린다.
이때, 살수 분사부(130)가 이물질 침전부(150)의 이물질(20)에 물을 분사하면, 이물질(20)이 물과 함께 이물질 수거부(120)로 배출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이물질 침전부(150)의 이물질(20)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침전부(150)에 잔류되는 이물질(20)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물질 침전부(150)에서 이물질(20)의 배출이 완료되면, 살수 분사부(130)에서 물 분사가 정지된다.
이어,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가 구동되면, 제1 윈치부(162)와 제2 윈치부(166)가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를 풀어주므로, 이물질 침전부(150)가 수조부(110)의 내부로 하강된다. 이물질 침전부(150)가 수조부(110)의 바닥면에 적층되면, 제1 구동부(161)와 제2 구동부(165)가 정지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이물질 침전부(150)의 상승시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를 권취한 만큼, 이물질 침전부(150)의 하강시 제1 와이어부(163)와 제2 와이어부(167)를 풀어주도록 제1 윈치부(162)와 제2 윈치부(166)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버켓 엘리베이터 12: 버켓부
14: 체인부 100: 이물질 처리장치
110: 수조부 120: 이물질 수거부
122: 차단판 130: 살수 분사부
131: 지지대부 133: 분사노즐
140: 프레임부 141: 제1 프레임부
142: 제1 칼럼부 142a: 제1 가이드부
143: 제1 크로스부 144: 제1 센서부
145: 제2 프레임부 146: 제2 칼럼부
146a: 제2 가이드부 147: 제2 크로스부
148: 제2 센서부 150: 이물질 침전부
151: 제1 슬라이더부 153: 제2 슬라이더부
155: 제1 고리홀부 156: 제2 고리홀부
160: 구동부 161: 제1 구동부
162: 제1 윈치부 163: 제1 와이어부
163a: 제1 고리부 165: 제2 구동부
166: 제2 윈치부 167: 제2 와이어부
167a: 제2 고리부

Claims (8)

  1. 버켓 엘리베이터가 투입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연결되는 이물질 수거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에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살수 분사부;
    상기 수조부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침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이물질 침전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 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양측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양측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을 가이드 하도록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슬라이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슬라이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 윈치부; 및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윈치부에 권취되는 제1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2 윈치부; 및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윈치부에 권취되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침전부가 상기 이물질 수거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가 상기 제1 윈치부와 상기 제2 윈치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일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도록 제1 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상기 이물질 침전부의 타측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센서부보다 낮은 위치에 제2 센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KR1020190032657A 2019-03-22 2019-03-22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KR10219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57A KR102190509B1 (ko) 2019-03-22 2019-03-22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57A KR102190509B1 (ko) 2019-03-22 2019-03-22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44A true KR20200112344A (ko) 2020-10-05
KR102190509B1 KR102190509B1 (ko) 2020-12-11

Family

ID=7280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57A KR102190509B1 (ko) 2019-03-22 2019-03-22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0374A (zh) * 2020-10-16 2020-12-22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输送带的移动升降式全自动清洗方法
KR20230042956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살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97B1 (ko) * 2008-04-30 2008-07-31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상수도용 저수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443096B1 (ko) * 2013-01-31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전물 제거장치
KR101508935B1 (ko) * 2014-10-23 2015-04-08 배경봉 슬러지 배출장치
KR101787279B1 (ko) * 2016-08-22 2017-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97B1 (ko) * 2008-04-30 2008-07-31 한국시설기술주식회사 상수도용 저수조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443096B1 (ko) * 2013-01-31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전물 제거장치
KR101508935B1 (ko) * 2014-10-23 2015-04-08 배경봉 슬러지 배출장치
KR101787279B1 (ko) * 2016-08-22 2017-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0374A (zh) * 2020-10-16 2020-12-22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输送带的移动升降式全自动清洗方法
KR20230042956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509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5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US8770380B2 (en) Conveying mechanism with pushing-off device that can be driven counter to the direction of travel
US9533840B1 (en) Stacker-reclaimer apparatus
US9573302B2 (en) Injection molding factor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3415353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elevating and lowering packaging articles
CN205345973U (zh) 一种圆形料场
CN209080863U (zh) 一种翻转提升机输送机构
KR101245320B1 (ko) 살수 장치를 가진 원료 처리용 이동장비의 물 공급 시스템
KR101175588B1 (ko)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CN105501789B (zh) 一种圆形料场
CN205240523U (zh) 提升机
CN105565003A (zh) 一种自动化存取料系统
JP4149063B2 (ja) ごみ投入用クレーンとごみ収集車とのインターロック方法
KR20100118027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768630B1 (ko) 레벨 측정기 클리닝 장치
JP668122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229955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N215286850U (zh) 一种砂石成品骨料堆场控制输送成品含水率的装置
KR102057780B1 (ko) 버켓 이탈 감지장치
KR100797962B1 (ko)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KR10204269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빗물 제거 장치
CN211161090U (zh) 一种清洗装置
KR101159673B1 (ko) 연속식하역기용 차단장치
CN210456218U (zh) 一种六边形全自动升降式防尘罩
SU1694931A1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го склад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