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027A - 연속식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027A
KR20100118027A KR1020090036796A KR20090036796A KR20100118027A KR 20100118027 A KR20100118027 A KR 20100118027A KR 1020090036796 A KR1020090036796 A KR 1020090036796A KR 20090036796 A KR20090036796 A KR 20090036796A KR 20100118027 A KR20100118027 A KR 2010011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load
fluid
moving
l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027A/ko
Publication of KR2010011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2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 B65G2812/0223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provided with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버킷; 및 이동부와 적재물이 하역된 버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적제물제거부를 포함하고, 적재물제거부는, 버킷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외부제거장치; 및 이동부와 버킷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내부제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부와 버킷의 내부 및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해줌으로써, 부착된 적재물로 인해 장치에 과다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버킷의 적재량을 증가시켜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역, 버킷, 적재물

Description

연속식 하역장치{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공장 고로 조업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등과 같은 선박 수송물을 하역시키는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원료 또는 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통상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 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이와 같이 선박에서 적재물을 하역시키는 설비를 하역장치(Unloader)라 하며, 특히 버킷(Bucket)이 엘리베이터형으로 연속적으로 적재물을 굴삭하여 하역시키는 형태의 하역장치를 연속식 하역장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하역장치는 부두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붐(Boom)과, 붐 상에 제공된 엘리베이터 포스트(Elevator post) 및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는 다수의 버킷을 포함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설치된 다수의 버킷이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이동되면서 철광석 또는 적재물이 저장된 선박의 홀드 내로 연속적으로 진입하여 적재물을 굴삭 및 적재한다.
이와 같이 불출된 적재물은 붐 상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주행부 상측의 호퍼에 투입되고, 호퍼와 연계된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해당 위치로 불출 처리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수분이 많거나 점성이 높은 적재물을 굴삭, 이송할 경우, 버킷에 적재된 적재물의 일부가 버킷의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처럼 적재물이 버킷에 부착되면,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과다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연속식 하역장치의 고장 발생 위험이 높아질 뿐 아니라, 버킷의 적재량이 감소되어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버킷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버킷; 및 상기 이동부와 적재물이 하역된 상기 버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적제물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물제거부는, 상기 버킷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외부제거장치;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내부제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제거장치는, 이동하는 상기 버킷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버킷의 외부에 접촉되어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제거장치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부재; 및 상기 유체공급부재와 연통되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분사부재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는 고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이동부와 버킷의 내부 및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해줌으로써, 부착된 적재물로 인해 장치에 과다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버킷의 적재량을 증가시켜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 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연속식 하역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이동부(110)와, 버킷(120) 및 적재물제거부(13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부(11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부(140)에 설치되어 이들 회전부(140)에 의해 안내되는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회전부(14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라켓(Sprocket)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동부(110)는 복수의 회전부(140)에 포함되는 스프라켓에 맞물리는 체인(Chai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버킷(120)은 이동부(110)에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며, 일측에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식 하역장치(100)에는 복수의 버킷(120)이 구비되며, 이러한 복수의 버킷(120)은 이동부(11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적재물을 순차적으로 적재한 후 하역한다.
적재물제거부(130)는 이동부(110)와 적재물이 하역된 버킷(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물제거부(130)는 외부제거장치(131)와 내부제거장치(135)를 포함한다.
외부제거장치(131)는 버킷(120)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한다. 외부제거장치(131)는 버킷(120)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부재(132)와, 버킷(120)의 외부에 접촉되어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도록 회전부재(132)에 구비되는 브러시(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제거장치(131)는 버킷(120)의 외부에서 회전하면서 버킷(120)과 접촉됨으로써, 버킷(120)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털어 버킷(120)으로부터 제거한다.
내부제거장치(135)는 이동부(110)와 버킷(120)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내부제거장치(135)는 이동부(110)와 버킷(120)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부호생략)를 포함하며, 이 유체공급부는 유체공급부재(136)와 유체분사부재(137)를 포함한다.
유체공급부재(136)에는 유체가 공급된다. 유체공급부재(136)는 유체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공급부재(136)에 공급되는 유체는 고압수인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유체공급부재(136)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은 고압수 공급용 고압펌프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체분사부재(137)는 유체공급부재(136)와 연통되어 이동부(110)와 버킷(120)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한다. 이러한 유체분사부 재(137)는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호생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제거장치(135)에는 복수의 유체분사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체분사부재(137)는 유체공급부재(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노즐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이동부(110)와 버킷(120)의 내부에 여러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부재(137)를 구비하는 내부제거장치(135)는, 이동부(110)와 버킷의 내부(120) 특히, 버킷(120) 내부의 저면 및 측면 전체에 여러 방향으로 고압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착된 적재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이동부(110) 및 버킷(120)의 내부를 수세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해 이동부(110) 및 복수의 회전부(140)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10)는 복수의 회전부(140)에 의해 이동경로가 안내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10)의 이동에 의해, 복수의 버킷(120)은 이동부(110)와 함께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면서 적재물이 적재된 위치, 예를 들면 선박의 홀드에 적재된 적재물을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상부로 이동된 후, 최상부에 배치된 회전부(14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하며 적재된 적재물을 하역한다.
각각의 버킷(120)은 최상부에 배치된 회전부(140)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하면서 개구부(122)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방향이 변경되며, 이러한 이동 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짐에 따라 적재된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다.
적재물을 하역한 버킷(120)은 적재물제거부(130)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된다. 적재물제거부(130)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된 버킷(120)은, 외부제거장치(131)가 설치된 위치에서 회전부재(132)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시(133)와 접촉되며, 이에 따라 버킷(120)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이 브러시(133)에 의해 털려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제거장치(131)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이 제거된 버킷(120)은, 내부제거장치(135)에 의해 내부가 수세된다.
즉, 적재물을 하역한 버킷(120)은 외부제거장치(131)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이 제거되면서, 개구부(122)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무한궤도를 따라 계속해서 이동되며, 내부제거장치(135)는 버킷(120)의 하부에서 버킷(120)의 내부를 향해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버킷(120)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제거장치(135)에는 복수의 유체분사부재(137)가 유체공급부재(1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각 유체분사부재(137)의 노즐은 버킷(120)의 내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므로, 버킷(120) 내부의 저면 및 측면 전체에 고압수가 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버킷(120)의 내부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내부제거장치(135)는 버킷(120) 내부의 저면 및 측면 전체에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버킷(120)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버킷(120)의 내부를 수세하는 한편, 수세된 버킷(120)이 설치된 이동부(110)에 부착된 적재물 또한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이동부(110)도 함께 수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버킷(120)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외부제거장치(131) 및 버킷(120)의 내부 및 이동부(110)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내부제거장치(131)를 포함하는 적재물제거부(130)를 구비하여 이동부(110)와 버킷(120)의 내부 및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해줌으로써, 부착된 적재물로 인해 장치에 과다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버킷(120)의 적재량을 증가시켜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연속식 하역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속식 하역장치 110 : 이동부
120 : 버킷 130 : 적재물제거부
131 : 외부제거장치 132 : 회전부재
133 : 브러시 135 : 내부제거장치
136 : 유체공급부재 137 : 유체분사부재

Claims (6)

  1.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적재물을 운반하는 버킷; 및
    상기 이동부와 적재물이 하역된 상기 버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적제물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물제거부는, 상기 버킷의 외부에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는 외부제거장치;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에 부착된 적재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내부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거장치는,
    이동하는 상기 버킷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버킷의 외부에 접촉되어 부착된 적재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거장치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부재; 및
    상기 유체공급부재와 연통되어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버킷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재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고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090036796A 2009-04-27 2009-04-27 연속식 하역장치 KR20100118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96A KR20100118027A (ko) 2009-04-27 2009-04-27 연속식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796A KR20100118027A (ko) 2009-04-27 2009-04-27 연속식 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27A true KR20100118027A (ko) 2010-11-04

Family

ID=4340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796A KR20100118027A (ko) 2009-04-27 2009-04-27 연속식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0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11B1 (ko) * 2011-02-21 2013-02-28 한국과학기술원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368937B1 (ko) * 2013-01-31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KR101585900B1 (ko) 2015-06-02 2016-01-15 성문규 플랫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11B1 (ko) * 2011-02-21 2013-02-28 한국과학기술원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368937B1 (ko) * 2013-01-31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KR101585900B1 (ko) 2015-06-02 2016-01-15 성문규 플랫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8027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537196B1 (ko) 연속식 하역기를 이용한 유연탄 하역방법
JP6195751B2 (ja) 無端ベルトコンベアの落下物受板の自動ローラー傾動式水洗浄装置
KR10134432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176005B1 (ko)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9152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204388090U (zh) 除渣系统
KR10115958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130013632A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109494B1 (ko) 하역기용 살수 시스템
KR101167128B1 (ko) 연속식 적재물 하역장치
KR20100118011A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18150129A (ja) 急傾斜ベルトコンベヤ
KR101277497B1 (ko) 선박용 살수장치
KR20140003767A (ko) 연속식 하역기용 부착광 제거장치
KR20110119862A (ko) 컨베이어 세척장치
KR101246226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KR1013880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15723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6893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