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11B1 -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11B1
KR101238611B1 KR1020110014930A KR20110014930A KR101238611B1 KR 101238611 B1 KR101238611 B1 KR 101238611B1 KR 1020110014930 A KR1020110014930 A KR 1020110014930A KR 20110014930 A KR20110014930 A KR 20110014930A KR 101238611 B1 KR101238611 B1 KR 10123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emoval device
foreign matter
scraping memb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550A (ko
Inventor
이병채
김영태
이민정
오현철
임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켓에 형성되는 이물질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하역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버켓에 발생하는 이물질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발생한 이물질도 하역 과정을 진행하는 도중에 제거할 수 있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별도의 세척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이는 친환경적인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POLLUTER OF BUCKET}
본 발명은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켓에 형성되는 이물질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하역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버켓에 발생하는 이물질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발생한 이물질도 하역 과정을 진행하는 도중에 제거할 수 있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별도의 세척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이는 친환경적인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홀드를 이용하여 수송된 벌크 화물은 부두에서 하역설비를 이용하여 후공정으로 불출하게 된다. 연속식 하역기(CSU; Continuous Ship Unloader)는 항만에서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선적된 여러 종류의 벌크 화물(석탄, 곡물, 시멘트, 광물 등)을 부두로 하역하는 장비를 말한다. 특히, 제철 공장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철광석이나 석탄이 선박에서 운송되어 오면 부두에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엘리베이터형 체인에 버켓을 고정시켜 연속적으로 원료를 하역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연속식 하역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선박의 홀드(120)내에 적재된 벌크 화물(도면 미도시)을 굴삭하기 위하여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130)를 따라 무한 궤도를 가지는 체인(110)에 여러 개의 버켓(100)이 작동하면서 선박의 홀드(120) 내로 진입하여 원료를 굴삭 불출하게 된다.
원료가 철광석이나 석탄 가루 등인 경우에는 선박의 홀드(120) 및 버켓(100)의 내면에는 철광석이나 석탄 가루 등이 묻어서 발생하는 부착광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착광은 설비에 부가적인 하중으로 작용하여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광물의 종류가 바뀌게 되면 광물이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의 제거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공개공보 제2004-0040091호에서는 선박으로 수송되어 오는 원료를 연속식 하역기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선박 홀드 내 부착광을 제거하는 선박 홀드 내 부착광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연속식 하역기를 이용하여 선박 홀드에서 원료를 하역할 때 초기에는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만 일정량을 하역하고 나면, 선박 홀드 내측 벽면에 부착광이 발생하게 되어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이 홀드 벽면에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여 작업이 지연되거나 하역설비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의 문제로,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100)에도 부착광이 발생하게 되는데, 다른 종류의 광물을 하역하거나 부착광이 일정량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는 버켓(100)들을 세척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버켓 세척 작업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버켓 세척을 위해서는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엘리베이터 부분을 수세장(150)으로 이동시키고, 버켓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버켓(100)을 하역작업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시켜 버켓을 세척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진행중인 하역작업이 종료된 후에나 세척 공정이 가능하게 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버켓에 형성된 부착광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수세장에서 세척 후 발생하게 되는 세척수는 다양한 광물로 인해 오염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세척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처리 장치가 필요한 상황으로 비용 및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버켓에 형성된 부착광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하역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버켓에 발생하는 부착광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특히 발생한 부착광도 하역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물질을 다른 세척 작업 없이 제거할 수 있는 있고, 특히 작업 중에 버켓 내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종래에 세척 작업에 들이는 시간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속식 하역기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에 장착되며, 상기 버켓(20)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버켓(20)의 외부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속식 하역기는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30)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동 방향을 교번하면서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두 개 이상의 구동암(30)들을 포함한다.
상기 긁기 부재(10)는,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긁기 부재(10)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가로부(19)와, 상기 가로부(19)들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와, 상기 가로부(19)들을 연결하는 세로부(18)와, 상기 세로부(18)에 연결되어,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작동로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몸체부(37)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버켓(2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제1 로드(38a)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38a)의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14)를 가압하여 상기 작동로드(14)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제2 로드(38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켓(20)의 개구에는 확장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확장부(22)가 상기 제1 로드(38a)와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암(30)은 탄성 부재(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켓(20)과 상기 제1 로드(38a)가 접촉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31)에 의해 상기 구동암(30)은 해제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가로부(19)의 측면에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돌출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켓(20)은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가이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다른 실시예로서,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의 일면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긁기 부재(10)는,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의 일면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긁기 부재(10)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가로부(19)와, 상기 가로부(19)들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와, 상기 가로부(19)들을 연결하는 세로부(18)와, 상기 세로부(18)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긁기 부재(10)에 전달하는 작동로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가로부(19)의 측면에는 상기 긁기 부재(10)의 외측에 존재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돌출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켓(20)에는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는 이탈방지 가이드(1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버켓에 형성된 부착광을 하역 공정 중에 즉시 제거하며, 부착광이 발생하는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인해 높은 작업 효율과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2. 종래와는 달리, 부착광을 세척 공정 등의 후처리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제거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하역 작업에 사용되는 연속식 하역기의 사시도.
도 2는 연속시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세척 공정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에 적용되는 긁기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긁기 부재가 버켓에 장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동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외부 프레임과 구동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철 공장에서 철광석과 같은 연료 하역시 사용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선박에 선적되어 운송된 수송물을 부두에 하역시키는 연속식 하역기에서 엘리베이터 형 버켓이 연속적으로 하역 작업을 하는 과정 중에 상기 버켓에 부착되는 이물질(부착광 혹은 부착가루)을 자동적으로 긁어낼 수 있는 장치로 하역 시에 부착광에 의해 하역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동시에 수작업 없이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에 장착되며, 상기 버켓(20)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버켓(20)의 외부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속식 하역기는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30)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긁기 부재(10)는 선박에 의해 수송된 원자재를 연속식 하역기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으로 이송하는 과정 중에 버켓에 발생하는 이물질(대표적으로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해 버켓 내부에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바닥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작업을 수행하고, 구동암(30)은 긁기 부재(10)를 기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동 방향을 교번하면서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두 개 이상의 구동암(30)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켓에 적용되는 긁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긁기 부재가 버켓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긁기 부재(10)는,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긁기 부재(10)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가로부(19)와, 상기 가로부(19)들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와, 상기 가로부(19)들을 연결하는 세로부(18)와, 상기 세로부(18)에 연결되어,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작동로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부(19)는 긁기 부재(10)가 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며, 세로부(18)는 가로부(19)의 양 끝단 부분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구조이다. 가로부(19)와 세로부(18)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긁기 부재(10)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버켓(20)에 붙는 이물질은 버켓면에 수직방향보다 전단 방향의 하중에 취약하기 때문에, 격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빈 격자 영역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전단 방향으로 동작하며 긁어내게 된다. 이때 격자 부분 중 이동방향으로는 쐐기(11)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물질과 버켓(20) 사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며, 긁기 부재의 상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격자는 체스판처럼 쐐기들을 엇갈리게 배치하여 각 격자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물질이 붙는 면적이 줄어들어 긁기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가로부(19)의 측면에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돌출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버켓의 바닥면(21)의 끝부분은 일반적으로 곡면(21a)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긁기 부재(10)로는 긁기가 어렵다. 이러한 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긁기 부재(10)의 작동로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철(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긁기 부재가 움직이면 요철(13)은 바닥의 곡면부(21a)를 긁게 되어 그 부분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긁기 부재(10)의 양끝에는 작동로드(14)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기계적인 동작으로 밀어줄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원자재를 이송하게 되는 버켓 엘리베이터는 낙광, 분진, 수분 등 가옥한 환경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전자기기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기계적 구동원리를 이용해서 방지할 수 있다.
좌우에 부착되는 작동로드(14)는 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세 부분에 설치하여 구동암(30)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작동로드(14)는 볼트로 조립이 가능토록 하여, 기존에 제작된 버켓(20)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으며, 교체 또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버켓(2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1, 2, 3 홈(15)으로 작동로드가 볼트 체결되고, 각 방향의 3개의 작동로드(14)가 접촉판(16)에 조립되어 구동암(30)과 접촉하게 된다. 긁기 부재(10)가 버켓의 바닥면(21)에서 좌우로 움직이며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장치의 끝부분과 버켓이 닿는 부분에 이탈방지 가이드(17)를 설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동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외부 프레임과 구동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구동암(30)은 연속식 하역기의 버켓 엘리베이터에서 하부 기어(도면 미도시)에 설치되는 외부 누름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암(30)은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어 버켓 엘리베이터에 설치된다.
구동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몸체부(37)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버켓(2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제1 로드(38a)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38a)의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14)를 가압하여 상기 작동로드(14)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제2 로드(38b)를 포함한다.
구동암(30)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암은 복수 개가 서로 방향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제1 구동암(30a)은 하부 기어 끝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낙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구동암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구동암(30a)과 버켓의 하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향이 엇갈리게 제2 구동암(30b)을 설치하여 상부에서 제1 구동암(30a)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이동한 긁기 부재(10)를 원래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원래 위치로 이동되게 되어 반복적인 작동이 가능케 한다.
설치할 하부 기어 부분에 외부 프레임(40)을 결합시키고, 이 외부 프레임에 탄성 부재(31)(바람직하게는 토션 스프링)와 스페이서(32), 그리고 구동암(30)을 구동암 고정 샤프트(33)로 결합시켜 설치한다. 구동암 고정 샤프트는 구동암의 회동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회동축이라 함은 구동암 고정 샤프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버켓(20)의 개구에는 확장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상태에서 확장부(22)가 제1 로드(38a)와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동암(30)의 양쪽 끝, 작동로드의 접촉판(16)과 버켓의 개구에 형성된 확장부(22)가 닿는 부분에는 충격흡수커버를 덮어 충격으로 인한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한다.
구동암(30)은 긁기 부재(10)에 설치된 작동로드(14)에 수직력을 작용시키고, 버켓(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꺾인 시소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제1 로드(38a)에 작동로드(14)가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가공하여 버켓 엘리베이터 장치가 동작하면서 버켓(20)이 구동암(30)을 통과할 시 작동로드(14)는 구동암(3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1 로드(38a)와 확장부(22)가 접촉하면서 구동암의 힌지 부분(35)을 중심으로 회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여야 다음 순서의 버켓(20)에 대해서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35) 부분에 탄성 부재(31)를 설치해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구동암(30)을 복귀시키고 힌지(35)에 이물질이 발생해 기능을 잃는 상황을 방지한다. 즉, 구동암(30)은 탄성 부재(31)를 더 포함하고, 버켓(20)과 제1 로드(38a)가 접촉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31)에 의해 구동암(30)은 해제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상태" 및 "해제상태"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구동상태"라 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로드(38a)와 버켓(20)이 접촉하여 제2 로드(38b)가 작동로드(14)에 가압하는 상태이고, "해제상태"라 함은 제1 로드(38a)와 버켓(20)의 접촉이 해제되어 탄성 부재(3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해제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구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버켓 엘리베이터 장치 내의 각 버켓(20)에는 긁기 부재(10)가 버켓의 바닥면(21)에 설치된다. 버켓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면 버켓의 개구가 지면을 향한 상태로 하부 기어의 외부 프레임(40)에 설치된 제1 구동암(30a)으로 접근한다. 버켓의 확장부(22)에 제1 로드(38a)의 하단 충격 흡수 커버(34a)가 접촉하게 되면 버켓(20)의 하강 힘에 의해 구동암(30)이 구동암 고정 샤프트(33)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단 충격 흡수 커버(34b)가 작동로드(14)에 연결된 접촉판(16)을 밀게 된다.
접촉판(16)이 밀리면서 작동로드(14)를 따라 연결된 긁기 부재(10)는 도 8과 같이 이탈방지 가이드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격자에 부착된 이물질을 쐐기부(11)로 바닥면을 긁어 하부로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측면에 부착된 요철부(13)에 의해 버켓 바닥의 곡면부(21a)에 붙은 이물질 역시 긁어 제거시킨다.
버켓 엘리베이터는 계속 작동되어 버켓(20)은 제1 구동암(30a)을 지나게 되고, 구동암의 하단 충격 흡수 커버(34a)를 누르는 힘이 없으므로, 구동암(30) 내부의 토션 스프링(31)에 의해 원상태(해제 상태)로 회전 복귀하여, 다음 내려오는 버켓(20)에 대해 동작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긁기 부재(10)가 원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작동된 버켓(20)은 제1 구동암(30a)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2 구동암(30b)에 접근하게 되고, 제1 구동암(30a)과 같은 작용으로 긁기 부재(10)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다른 실시예로서,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의 일면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긁기 부재(10)는,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의 일면에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긁기 부재(10)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가로부(19)와, 상기 가로부(19)들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와, 상기 가로부(19)들을 연결하는 세로부(18)와, 상기 세로부(18)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 상기 긁기 부재(10)에 전달하는 작동로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켓 이물질 제거 장치는 버켓에 형성된 부착광을 하역 공정 중에 즉시 제거하며, 부착광이 발생하는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인해 높은 작업 효율과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부착광을 세척 공정 등의 후처리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제거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며, 전기적 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가혹한 환경에서 고장이 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0 : 긁기 부재
11 : 쐐기부
13 : 요철부
20 : 버켓
30 : 구동암
40 : 프레임
200 : 이물질 (예를 들어, 부착광)

Claims (15)

  1.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20)에 장착되며, 상기 버켓(20)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버켓(20)의 외부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몸체부(37)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버켓(2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제1 로드(38a)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38a)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긁기 부재(10)를 가압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제2 로드(38b)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기는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30)은 상기 버켓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제공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3.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암(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몸체부(37)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버켓(2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제1 로드(38a)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38a)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긁기 부재(10)를 가압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제2 로드(38b)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체인과, 상기 체인을 따라 움직이는 버켓(20)과, 상기 체인 및 버켓(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기에 사용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켓(20)의 일면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긁기 부재(10)와,
    상기 외부 프레임(40)에 제공되며, 상기 버켓(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동 방향을 교번하면서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두 개 이상의 구동암(30)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암(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몸체부(37)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버켓(2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제1 로드(38a)와,
    상기 몸체부(37)에 제공되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제1 로드(38a)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긁기 부재(10)를 가압하여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제2 로드(38b)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긁기 부재(10)는,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긁기 부재(10)는,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 개의 가로부(19)와,
    상기 가로부(19)들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일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쐐기부(11)와,
    상기 가로부(19)들을 연결하는 세로부(18)와,
    상기 세로부(18)에 연결되어, 상기 긁기 부재(10)에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작동로드(14)를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7. 삭제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켓(20)의 개구에는 확장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상태에서 상기 확장부(22)가 상기 제1 로드(38a)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30)은 탄성 부재(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켓(20)과 상기 제1 로드(38a)가 접촉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31)에 의해 상기 구동암(30)은 해제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가로부(19)의 측면에는 이물질(200)을 제거하기 위한 돌출부(13)가 더 형성되어 있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1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켓(20)은 상기 긁기 부재(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가이드(17)를 더 포함하는,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14930A 2011-02-21 2011-02-21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3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30A KR101238611B1 (ko) 2011-02-21 2011-02-21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30A KR101238611B1 (ko) 2011-02-21 2011-02-21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50A KR20120095550A (ko) 2012-08-29
KR101238611B1 true KR101238611B1 (ko) 2013-02-28

Family

ID=468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930A KR101238611B1 (ko) 2011-02-21 2011-02-21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43B1 (ko) * 2001-12-24 2004-08-25 박수길 수퍼커패시터용 수용성 고분자 젤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1575220B1 (ko) 2015-03-03 2015-12-07 주식회사 대성기계 강제 배출 버켓 엘리베이터
KR101674674B1 (ko) 2015-08-13 2016-11-10 김광중 원료 하역 장비용 버킷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85B1 (ko) * 2011-10-28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0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재 제거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버켓
KR20100118027A (ko) * 2009-04-27 2010-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0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재 제거기능을 갖는 리크레이머 버켓
KR20100118027A (ko) * 2009-04-27 2010-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43B1 (ko) * 2001-12-24 2004-08-25 박수길 수퍼커패시터용 수용성 고분자 젤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1575220B1 (ko) 2015-03-03 2015-12-07 주식회사 대성기계 강제 배출 버켓 엘리베이터
KR101674674B1 (ko) 2015-08-13 2016-11-10 김광중 원료 하역 장비용 버킷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50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611B1 (ko)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762438B1 (ko) 부착물 자동제거식 버켓 엘리베이터
KR102043554B1 (ko)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KR20110034385A (ko) 연속식 하역장치의 적재물제거장치
KR20090083756A (ko) 컨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41526B1 (ko) 낙하물 회수장치
KR20190001589U (ko) 컨베이어용 부착물 제거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US3487910A (en) Scraper and conveyor apparatus
JP6225036B2 (ja) 連続アンローダの飛散防止カバー構造
JP5434723B2 (ja) ヤード移動機
RU177255U1 (ru) Скип
RU2272768C1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чистки ленты
JP3574760B2 (ja) 持ち上げ排出型コンベア装置
JP6111159B2 (ja) 落鉱回収装置
KR100797954B1 (ko) 하역기 버킷의 부착탄 제거 및 넘침 방지장치
KR10136826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217262825U (zh) 一种制砂中传送带高效清理装置
CN220997917U (zh) 一种水泥窑中固体废弃物输送装置
CN209442292U (zh) 堆取料机横梁清料装置
CN218878398U (zh) 一种自动卸料的链斗输送机
CN219315598U (zh) 用于清扫器底板自动刮料装置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217577041U (zh) 一种斗式提升机
CN217555285U (zh) 一种清扫组件及重型卸料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