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588B1 -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588B1
KR101175588B1 KR1020100133300A KR20100133300A KR101175588B1 KR 101175588 B1 KR101175588 B1 KR 101175588B1 KR 1020100133300 A KR1020100133300 A KR 1020100133300A KR 20100133300 A KR20100133300 A KR 20100133300A KR 101175588 B1 KR101175588 B1 KR 10117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orage bin
transport guide
unit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668A (ko
Inventor
최광석
황인구
최정희
문성권
권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5Lifts, e.g. containing the bucket ele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1Band, bel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종래 장입차를 이용하여 저장빈에 수송물을 입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장입차를 삭제하고 벨트컨베이어에서 저장빈으로 직접 수송물이 유도되어 투입되도록 한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가 소개된다.
상기 장치는 저장빈에 장입될 수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승강수단(120); 상기 승강수단(12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강시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수송물을 각 저장빈 쪽으로 유도하는 수송물유도수단(130);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TRANSPORTING APPARATUS OF RAWMATERIAL FOR BIN}
본 발명은 종래 장입차를 이용하여 저장빈에 수송물을 입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장입차를 삭제하고 벨트컨베이어에서 저장빈으로 직접 수송물이 유도되어 투입되도록 한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처리 공정에서 연, 원료와 같은 수송물(이하, "수송물"이라 함)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빈에 연료나 원료를 장입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입장치가 마련된다.
도1은 일반적인 수송물을 저장빈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여기서 보면 수평하게 진행하다가 상부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진행하는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료나 원료와 같은 수송물이 운반되고, 상기 수송물은 저장빈(1) 상부에 설치된 트리퍼카(2)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면서 저장빈(1)에 장입된다.
상기 트리퍼카(2)는 다수개의 저장빈(1)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2c)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휠(2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빈(1)의 상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고정플레이트(3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그리즐리바(3)가 마련되어 그리즐리바(3)를 통해 수송물이 저장빈(1)으로 장입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장입장치인 트리퍼카를 통해 수송물이 저장빈으로 장입되었는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트리퍼카 상부로 수송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일부 구간에서 벨트컨베이어를 경사 진행시켜야 하는데, 벨트컨베이어가 경사 진행하는 과정에서 낙광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벨트의 뒤집힘이 발생하여 조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또한, 수송물이 트리퍼카의 슈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슈트 내부에 부착광이 발생하여 슈트가 막히게 되고, 결국에는 막힌 슈트에 의하여 수송물이 슈트에서 넘치는 사고를 초래하여 트리퍼카 주변에 낙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송물을 장입하는 트리퍼카에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조업효율이 저하되며 트리퍼카의 정비 및 관리에 따른 작업자의 업무부담이 증가되어 결국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리퍼카를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에서 직접 수송물을 저장빈 쪽으로 유도하는 신개념의 수송물 유도장치를 통해 종래 컨베이어벨트의 뒤집힘 문제나 트리퍼카에서의 슈트 막힘 문제 및 정비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빈에 장입될 수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강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수송물을 각 저장빈 쪽으로 유도하는 수송물유도수단;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내부에 유압(流壓)이 작용하는 실린더부와, 일단은 상기 실린더부에 내장되고 타단은 상기 수송물유도수단과 연결되어 실린더부의 유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부에 배치되면서 1차로 수송물을 저장빈쪽으로 유도하는 1차유도판과, 상기 1차유도판의 후방부에 배치되면서 1차유도판을 통과한 미세한 수송물을 저장빈쪽으로 유도하는 2차유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에 의해 낙하된 수송물이 저장빈으로 직접 투입되지 않을 정도로 수송물유도수단과 저장빈과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과 저장빈을 상호 연결하는 투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의 후방에는 힌지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래킷에는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암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암의 타단은 상기 수송물유도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수송물유도수단이 승강될 때 상기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에는 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와 하부의 각 지점에는 상부리미트센서와 하부리미트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감지부가 상부리미트센서로부터 하부리미트센서까지의 구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을 승강시키는 스위치가 각 저장빈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해당 저장빈에 수송물을 투입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가 수평방향으로만 진행해도 무방하므로 낙광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의 유지 관리가 간편하며, 특히 종래 많은 문제를 야기하던 트리퍼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트리퍼카의 정비/관리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수송물을 저장빈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크게 고정브래킷(110)과 승강수단(120)과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컨트롤패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구성이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저장빈(1)에 장입될 수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이동 경로상에 마련된다.
도면상 자세하게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베이어벨트(1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저장빈(1) 주변을 이동 경로로 하여 배치되는데, 상기 컨베이어벨트(10)의 상부에는 저장빈(1)에 장입되어질 수송물이 놓여져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저장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해당 저장빈에 장입될 수송물이 저장빈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데, 상기 고정브래킷(110) 또한 컨베이어벨트(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해당 저장빈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도면을 간단하게 나타내고자 하나의 저장빈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들을 소개한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컨베이어벨트(10) 주변에 마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벨트(10)가 내부로 지나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구현되었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1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승강력을 후술할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승강수단(120)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바, 상기 승강수단(120)은 다시 몸체부(121)와 실린더부(122) 및 리프터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승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21)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상부측)에 고정 결합되는 요소로서, 승강수단(120) 전체가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상기 실린더부(122)는 상기 몸체부(121)에 마련되어 그 내부에서 유압(流壓)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인바, 여기서의 유압이란 액체, 기체 등을 포함하는 모든 작동 유체(流體)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뜻하는 것으로, 유압(油壓) 뿐만 아니라 공압(空壓)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리프터부(123)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부(122)에 내장되고 타단은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리프터부(123)는 상기 실린더부(122)에서 발생한 유압에 의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122)와 리프터부(123)의 결합구조 및 작용 유압에 의하여 상기 리프터부(123)가 실린더부(122)로부터 돌출되거나 내장되는 원리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항에 속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승강수단(120)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수단(120)의 신축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인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승강수단(120)의 리프터부(123) 끝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수단(120)이 수축될 때는 상부로 이동되고 승강수단(120)이 신장될 때는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하부로 이동되어 컨베이어벨트(10)의 상부면과 거의 접촉할 정도로 내려오면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던 수송물이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걸리면서 수송물유도수단(13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하면서 낙하되어 하부에 있는 저장빈(1)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승하면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던 수송물은 수송물유도수단(130)에 걸리지 않고 통과되어 컨베이어벨트(1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다른 저장빈에 마련되어 있는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해당 저장빈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1차유도판(131)과 2차유도판(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유도판(131)은 컨베이어벨트(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10)를 따라 운반되는 수송물을 1차로 유도하여 저장빈으로 투입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하여 운반되던 수송물은 1차유도판(131)과 먼저 만나게 되는바, 1차유도판(131)에 의해 저장빈 쪽으로 유도된다.
또한 상기 2차유도판(132)은 1차유도판(131)의 후방부에 배치되면서 1차유도판(131)을 통과한 미세한 수송물을 저장빈으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는 수송물에는 입자가 큰 광석도 있지만 파쇄되거나 충돌에 의해 분쇄되어 상기 1차유도판(131)을 통과할 정도로 입자가 작은 미세광도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2차유도판(132)은 1차유도판(131)을 통과한 미세광까지 저장빈(1)에 투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140)은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종의 제어부로서, 상기 컨트롤패널(140)은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킬 수 있도록 수송물유도수단(130) 근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140)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상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그러한 제어신호가 상기 승강수단(120)에 보내져 승강수단(120)이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송물은 해당 저장빈으로 투입되지 못하고 수송물유도수단(130)을 지나 컨베이어벨트(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를 하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승강수단(120)이 신장되어 수송물유도수단(130)이 하강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던 수송물을 가로막게 되는바, 이에 따라 수송물이 해당 저장빈으로 투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육안으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의 위치(높이)를 확인하면서 상기 컨트롤패널(140)을 동작시킬 수도 있으나 부주의하게 되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과다하게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장치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컨베이어벨트(10)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주의하여 컨트롤패널(140)을 잘못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적절한 위치(높이)가 되면 컨트롤패널(140)의 제어신호가 계속해서 들어오더라도 자동으로 승강수단(120)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의 일측에는 감지부(133)가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133)의 이동 경로상에 있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상부와 하부의 각 지점에는 상부리미트센서(111)와 하부리미트센서(112)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133)가 상부리미트센서(111)가 설치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패널(140)으로부터 계속해서 상승에 대한 제어신호가 들어오더라도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감지부(133)가 하부리미트센서(112)가 설치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컨트롤패널(140)로부터 계속해서 하강에 대한 제어신호가 들어오더라도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컨트롤패널(140)을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감지부(133)가 상부리미트센서(111)로부터 하부리미트센서(112)까지의 구간내에 있는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수단(120) 및 컨베이어벨트(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패널(140)에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을 승강시키는 스위치가 각 저장빈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해당 저장빈에 수송물을 투입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1번 저장빈에 수송물이 모두 장입되고 나면 1번 저장빈에 해당하는 스위치는 상승시키고 2번 저장빈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1번 저장빈에 해당하는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승하게 되므로 수송물은 1번 수송물유도수단(130)을 지나 2번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2번 저장빈으로 투입된다.
한편,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는 기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별도의 투입부(150)가 마련된 것과 수송물유도수단(130)이 회동되는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수송물이 장입될 저장빈(1)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하여 낙하되는 수송물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채택하면 되지만,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낙하된 수송물이 저장빈에 직접 투입되지 않을 정도로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저장빈과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저장빈(1)을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투입부(15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부(150)는 그 일단이 수송물유도수단(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낙하하는 수송물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단은 저장빈 쪽으로 연장되어 저장빈(1) 상부에 배치된다. 저장빈 상부에 그리즐리바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리즐리바 상부로 배치되어 수송물이 저장빈으로 투입될 수 있는 구조면 족하다.
또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승강수단(120)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승강수단(120)에만 연결되어 있으면 수송물유도수단(130)이 하강되어 많은 양의 수송물을 저장빈으로 유도할 때 승강수단(120)과의 연결부 또는 승강수단(120) 자체에 부하가 과다해져 승강수단(12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의 후방에는 힌지브래킷(160)이 고정브래킷(110)과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래킷(160)에는 힌지축(161)을 매개로 연결암(162)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암(162)의 타단은 수송물유도수단(130)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연결암(162)을 매개로 힌지브래킷(16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면, 수송물을 유도할 때에는 수송물유도수단(130)에 가해지는 힘이 연결암(162)을 통해 힌지브래킷(160) 쪽으로도 전달되기 때문에 수송물유도수단(130)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120)에 의해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승강될 때 수송물유도수단(130)은 힌지축(16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10 : 고정브래킷 120 : 신장수단
121 : 몸체부 122 : 실린더부
123 : 리프터부 130 : 수송물유도수단
131 : 1차유도판 132 : 2차유도판
140 : 컨트롤패널 150 : 투입부
160 : 힌지브래킷 161 : 힌지축
162 : 연결암

Claims (8)

  1. 저장빈에 장입될 수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10)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의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120);
    상기 승강수단(120)에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강시 컨베이어벨트(10)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수송물을 각 저장빈 쪽으로 유도하는 수송물유도수단(130);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수단(120)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40);을 포함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2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20)은,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에 마련되어 내부에 유압(流壓)이 작용하는 실린더부(122)와, 일단은 상기 실린더부(122)에 내장되고 타단은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연결되어 실린더부(122)의 유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터부(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부에 배치되면서 1차로 수송물을 저장빈쪽으로 유도하는 1차유도판(131)과, 상기 1차유도판(131)의 후방부에 배치되면서 1차유도판(131)을 통과한 미세한 수송물을 저장빈쪽으로 유도하는 2차유도판(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에 의해 낙하된 수송물이 저장빈으로 직접 투입되지 않을 정도로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저장빈과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과 저장빈을 상호 연결하는 투입부(15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의 후방에는 힌지브래킷(160)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래킷(160)에는 힌지축(161)을 매개로 연결암(162)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암(162)의 타단은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과 결합되어 상기 승강수단(120)에 의해 수송물유도수단(130)이 승강될 때 상기 힌지축(161)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에는 감지부(133)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상부와 하부의 각 지점에는 상부리미트센서(111)와 하부리미트센서(112)가 마련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40)을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감지부(133)가 상부리미트센서(111)로부터 하부리미트센서(112)까지의 구간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140)에는 상기 수송물유도수단(130)을 승강시키는 스위치가 각 저장빈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해당 저장빈에 수송물을 투입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KR1020100133300A 2010-12-23 2010-12-23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KR10117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00A KR101175588B1 (ko) 2010-12-23 2010-12-23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00A KR101175588B1 (ko) 2010-12-23 2010-12-23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668A KR20120071668A (ko) 2012-07-03
KR101175588B1 true KR101175588B1 (ko) 2012-08-22

Family

ID=4670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300A KR101175588B1 (ko) 2010-12-23 2010-12-23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7841A (zh) * 2013-05-31 2013-09-11 嘉兴市一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圆形堆取料机出料漏斗装置
CN110405922B (zh) * 2019-09-06 2024-03-12 佛山市东鹏陶瓷有限公司 一种单线快速中试转产的智能钟罩淋釉系统及其淋釉方法
CN112964070A (zh) * 2021-02-01 2021-06-15 中国科学院包头稀土研发中心 可基于h钢轨道运行的移动小车及稀土电解自动加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301A (en) 1976-11-12 1978-08-22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Multiple point fee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301A (en) 1976-11-12 1978-08-22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Multiple point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668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1151B (zh) 翻斗式高位自动上料装置及布料方法
JP5739633B2 (ja) スタッカ・リクレーマのトリッパ連結・分離装置及びその方法
EP1771252B1 (en) A feeder hopper, a method for locking the walls of a feeder hopper and a locking means
CN205346399U (zh) 一种移动式袋包、散料两用装船机
KR101175588B1 (ko)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CN206782903U (zh) 货物装卸平台
CN107583756A (zh) 一种惯性圆锥破碎机自动测料装置
US4712744A (en) Apparatus for charging at least one top-loading crusher
CN208531740U (zh) 码袋装车装置
CN101513878A (zh) 矸石自动卸载线
CN104176442B (zh) 具有称重功能的单斗提升机
CN203682634U (zh) 翻斗式高位自动上料装置
KR1021905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처리장치
CN209080863U (zh) 一种翻转提升机输送机构
KR101277495B1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CN106494905A (zh) 一种多仓格原料车间连续取料的桥式链斗取料机
CN205739513U (zh) 一种履带式转载装置
KR101245320B1 (ko) 살수 장치를 가진 원료 처리용 이동장비의 물 공급 시스템
CN213863964U (zh) 一种自卸料箕斗提升机
KR101076205B1 (ko) 연속식 이송장치
CN220244418U (zh) 一种针对露天矿山开采运输的溜槽装置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CN217576938U (zh) 一种新型多仓式仓储装置
CN113217086B (zh) 用于混合井的粉矿回收装置
KR101365529B1 (ko) 스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