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191B1 - 분체이송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분체이송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191B1
KR101150191B1 KR1020100023577A KR20100023577A KR101150191B1 KR 101150191 B1 KR101150191 B1 KR 101150191B1 KR 1020100023577 A KR1020100023577 A KR 1020100023577A KR 20100023577 A KR20100023577 A KR 20100023577A KR 101150191 B1 KR101150191 B1 KR 10115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ucket
transfer chain
lif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604A (ko
Inventor
진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비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비기계
Priority to KR102010002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1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되는 분체를 임의적인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 위한 인접위치에 이송체인을 통해 원위로 복귀하는 버킷을 진동시켜 버킷 내부의 잔류분체를 떨어낸 후 떨어진 잔류분체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그 몸체의 형상을 따라 이송체인을 연결하고 구동모우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이송되게함과 동시에 그 이송체인에 이송물인 분체를 담을 수 있는 버킷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분체를 목적하는 위치로 퍼올린후 버킷 내부에 담아진 원료를 전도장치에 의해 쏟아내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인접한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도 후 버킷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체인을 진동하기 위한 진동수단과, 상기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되어 버킷에서 떨어진 잔류분체가 실려지며 실려진 잔류분체를 배출구측으로 배출하는 벨트컨베이어 를 갖춘 분체이송용 리프트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이송용 리프트{Lift for transferring powder}
본 발명은 입상의 각종 분체를 버킷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운반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의적인 위치에 분체를 쏟아낸 후 버킷 내부에 잔류된 잔류분체의 회수가 가능함은 물론 분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입구부측으로 유입하는 과정에서 유입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낙하분체의 회수가 가능한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를 원료로 하여 1차 및 2차 가공 생산하는 산업장에서 원료인 분체의 가공을 위해 분체를 이송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는 대체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퍼올리는 수직이송으로서, 그러한 리프트는 통상 버킷을 사용하여 분체를 이송시키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여러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C형이나 Z 및 I형으로 몸체를 이루고 이렇게 구성되는 몸체의 내부에 그 몸체의 형상을 따라 이송체인을 연결하고 구동모우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이송되게함과 동시에 그 이송체인에 이송물인 분체를 담을 수있는 버킷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목적하는 위치로 버킷를 퍼올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킷을 이용한 리프트에서 입구부측에서 분체를 유입하여 버킷에 담겨진 분체를 목적하는 위치로 퍼올린후 버킷내에 담아진 원료를 쏟아내기 위한 전도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전도장치는 리프트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배출구상에 설치되어 분체가 담아져 이송되온 버킷을 배출구상에서 전도시켜 분체를 배출구로 쏟아내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버킷을 이용한 리프트에서 버킷의 전도 후 미배출되어 버킷 내부에 잔류분체가 남아진 상태로 원위치로 복귀되어 리프트의 이송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입구부측을 통헤 분체를 버킷에 담는 과정에서 버킷 외부로 낙하되는 낙하분체의 경우 회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분체를 배출시킨 인접위치에 이송체인에 매달려 원위치로 복귀하는 버킷을 이송체인을 통해 진동시켜 버킷 내부의 잔류분체를 떨어낸 후 떨어진 잔류분체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구부측을 통해 버킷에 담겨지지 않고 버킷 외부로 낙하되는 낙하분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분체이송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그 몸체의 형상을 따라 이송체인을 연결하고 구동모우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이송되게함과 동시에 그 이송체인에 이송물인 분체를 담을 수 있는 버킷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입구부측에서 유입된 분체를 목적하는 위치로 퍼올린후 버킷 내부에 담아진 분체를 전도장치에 의해 쏟아내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인접한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체인을 통해 전도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버킷을 진동하기 위한 진동수단과, 상기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되어 버킷에서 떨어진 잔류분체가 실려지며 실려진 잔류분체를 배출구로 배출하는 벨트컨베이어를 갖춘 분체이송용 리프트를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진동수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휠상에 방사상으로 체결되어 회전휠의 회전에 따라 이송체인에 타력을 가하여 버킷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이송방향으로 리턴지점이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입구부측과 인접한 몸체 내에는 입구부측을 통해 버킷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버킷 외부로 낙하되는 낙하분체를 회수하여 이송하는 회수이송수단에 의해 버킷내에 낙하분체를 재유입하는 회수입구부가 구비된 구성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회수이송수단은 입구부측의 이송체인의 하단으로부터 회수입구부측으로 궤도를 갖도록 설치한 회수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체를 담은 버킷이 전도하여 분체를 배출구로 배출한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지점의 몸체 내부에 복귀되는 버킷을 진동함으로서 자중에 의해 쏟아지지 않은 잔류분체가 떨어져 배출구로 배출시킴으로써, 리프트의 분체 이송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구부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버킷에 담기 않고 버킷 외부로 낙하되는 낙하분체를 회수하여 버킷에 재유입이 가능함으로서, 리프트의 분체 이송효율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체이송용 리프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와 도3은 잔류분체가 배출되는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전도장치가 설치된 분체이송용 리프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분체이송용 리프트는 대체적으로 그 몸체가 여러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들중 Z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프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러한 리프트(100)는 몸체(10)가 사각관체로 하여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Z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측에 분체가 유입되는 입구부(101)가 구비되며, 상부측에는 배출구(10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고, 이의 몸체(10) 내부 전장길이에 걸쳐 별도의 구동모우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괘도상으로 주행하는 이송체인(110)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송체인(110)에 등간격으로 분체가 담아지는 버킷(120)을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분체를 운반시키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100)는 분체 또는 1차가공된 분체가 호퍼(5)를 통해 입구부(101)로 유입되어 버킷(120)에 실어지고, 이렇게 분체가 실어진 버킷(120)은 이송체인(110)을 따라서 리프트(100) 상부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02)상에서 전도되어 버킷(120)내의 분체를 쏟아내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트(100)의 상부측에서 버킷(120)에 실어져 운반된 분체가 전도되어 배출구(102)측으로 쏟아져 배출된 후 전도된 상태로 이송체인(110)에 매달려 원위치로 복귀되는 버킷(120) 내부의 잔류분체를 떨어뜨려 배출구(102)로 배출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배출구(102)의 인접한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도 후 버킷(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송체인(110)을 진동하기 위한 진동수단(200)과, 상기 진동수단(200)에 의해 진동되어 버킷(120)에서 떨어진 잔류분체가 실려지며 실려진 잔류분체를 이송하여 배출구(102)로 배출하는 벨트컨베이어(300)로 이루어진다.
진동수단은(200) 미도시한 구동모터의 회전축(210)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휠(212)과, 회전휠(212)상에 방사상으로 체결되어 회전휠(212)의 회전에 따라 이송체인(110)에 타력을 가하여 버킷(12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구(214)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휠(212)의 회전 방향은 정역회전이 가능하나, 이송체인(110)의 복귀방향인 시계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바람직하며, 진동구(214)는 회전휠(212)상에서 방사상으로 3개소에 원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나, 진동구(214)의 설치수 및 형태는 조절이 가능하다.
벨트컨베이어(300)는 전도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버킷(120) 내부에서 떨어져 낙하는 잔류분체가 실리도록 회전휠(2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송방향으로 리턴지점이 배출구(102)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벨트컨베이어(300)에 실린 잔류분체가 배출구(102)에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입구부(101)측과 인접한 몸체(10) 내에는 입구부(101)측을 통해 버킷(12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버킷(120) 외부로 낙하되는 낙하분체를 회수하여 이송하는 회수이송수단에 의해 버킷(120)내에 낙하분체를 재유입하는 회수입구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이송수단은 입구부(101)측의 이송체인(110)의 하단으로부터 회수입구부(410)측으로 궤도를 갖도록 설치한 회수컨베이어(400)인 것으로서, 이러한 회수컨베이어(400)는 일반적인 이송수단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주변 구조물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 1과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작동을 설명하겠다.
도 2에서 이송체인(110)을 따라 이송되는 분체를 담은 버킷(120)이 이동하여 이송체인이(110) 복귀되는 지점에서 버킷(120)이 회동되어 전도되면서 버킷(120) 내부의 분체가 자중에 쏟아지면서 배출구(102)로 배출되어 1차 버킷 (120)내부의 분체의 이송이 완료된다.
이후 2차 이송은 전도 된 상태로 복구되는 이송체인(110)에 매달려 원위치로 이송되는 버킷(120) 내부의 잔류분체로서, 이는 진동수단(200)과 진동수단(200)에 의해 떨어진 잔류분체를 컨베이어(300)로 이송하여 배출구(102)로 배출하는 단계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휠(212)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회전휠(212) 상의 진동구(214)들이 복귀되는 이송체인(110)에 타격을 가하면서 회전을 하게된다.
이러한 타격을 받은 이송체인(110)은 진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버킷(120)에 진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버킷(120) 내부의 잔류분체가 진동에 의해 떨어지게 되며, 떨어진 잔류분체는 벨트컨베이어(300) 상에 실린 상태가 되어 배출구(102)로 이송 배출하여 잔류분체의 이송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분체 또는 1차가공된 분체가 호퍼(5)를 통해 입구부(101)로 유입되어 버킷(120)에 실어지는 과정에서 버킷(120) 외부로 떨어져 낙하되는 낙하분체는 회수이송수단에 의해 재이송되어 입구부(101)측과 인접한 몸체(10) 내에 구비된 회수입구부(410)측으로 재유입된다.
즉, 낙하분체는 입구부(101)측의 이송체인(110)의 하단으로부터 낙하되면서 회수컨베이어(400)에 실리게 되고, 이러한 회수컨베이어(400)가 회수입구부(410)측으로 궤도를 갖도록 설치됨으로서, 낙하분체가 회수입구부(410)측으로 재유입되며, 재유입된 낙하분체는 리턴되어 복귀되는 버킷(120)내에 실리게 된다.
10 : 몸체 100 : 리프트
102 : 배출구 110 : 이송체인
200 : 진동수단 210 : 회전축
212 : 회전휠 214 : 진동구
300 : 벨트컨베이어 400 : 회수컨베이어
410 : 회수입구부

Claims (5)

  1. 삭제
  2. 몸체(10)의 내부에 그 몸체(10)의 형상을 따라 이송체인을 연결하고 구동모우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이송되게 함과 동시에 그 이송체인에 이송물인 분체를 담을 수 있는 버킷(120)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분체를 목적하는 위치로 퍼올린후 버킷(120) 내부에 담아진 원료를 전도장치에 의해 쏟아내 배출구(102)로 배출시키는 분체이송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2)의 인접한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체인(110)을 통해 전도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버킷(120)을 진동하기 위한 진동수단(200)과, 상기 진동수단(200)에 의한 진동력으로 버킷(120)에서 떨어진 잔류분체가 실려지며 실려진 잔류분체를 배출구(102)로 배출하는 벨트컨베이어(300), 및
    상기 진동수단(200)은 구동모터의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휠(212)상에 방사상으로 체결되어 회전휠(212)의 회전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는 이송체인(110)에 타력을 가하여 버킷(12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구(214)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용 리프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23577A 2010-03-17 2010-03-17 분체이송용 리프트 KR10115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77A KR101150191B1 (ko) 2010-03-17 2010-03-17 분체이송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77A KR101150191B1 (ko) 2010-03-17 2010-03-17 분체이송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04A KR20110104604A (ko) 2011-09-23
KR101150191B1 true KR101150191B1 (ko) 2012-06-12

Family

ID=4541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577A KR101150191B1 (ko) 2010-03-17 2010-03-17 분체이송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215B1 (ko) * 2023-07-26 2023-12-27 대천맛김 주식회사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435A (ja) * 1994-10-26 1996-05-14 Daido Steel Co Ltd バッグ横転装置
JPH08143137A (ja) * 1994-11-18 1996-06-04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落鉱処理方法
KR2004002039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벨트 상부의 낙하물 제거장치
KR100775318B1 (ko) 2001-10-29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435A (ja) * 1994-10-26 1996-05-14 Daido Steel Co Ltd バッグ横転装置
JPH08143137A (ja) * 1994-11-18 1996-06-04 Nippon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ア落鉱処理方法
KR100775318B1 (ko) 2001-10-29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KR2004002039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벨트 상부의 낙하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04A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1911B2 (ja) 付加製造プレートの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CN104334755B (zh) 制铁原料附着粉的除去装置及除去方法
JP2015078069A5 (ko)
JP2007138285A (ja) 連続式部品処理装置
CN201997488U (zh) 抛物分选装置
KR101150191B1 (ko) 분체이송용 리프트
CN110626814B (zh) 一种尾矿处理系统
CN207932037U (zh) 一种中药粉碎封装装置
CN206871493U (zh) 药品回收筛选装置
US548056A (en) Machinery
US3358855A (en) Apparatus for reclaim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pile
CN105966875A (zh) 一种物料的连续输送装置
CN108407302B (zh) 用于3d打印尼龙清粉自动化装置的冷却装置
JP4717652B2 (ja) 弾丸回収装置及び弾丸回収方法
JP6656747B2 (ja) 搬送装置
JP6192592B2 (ja) ヤード積付量の増加装置
CN103008226A (zh) 一种废铜圆筒筛
CN208495703U (zh) 一种双金属管生产用砂循环系统
CN105966935A (zh) 一种物料的连续供给机构
CN219986131U (zh) 一种铸造旧砂中铁渣磁选设备
CN212952660U (zh) 一种倾斜式螺旋提升机
KR20170116752A (ko) 원료 저장조의 고형부착물 제거장치
CN107350878A (zh) 一种轴承加工的进料输送装置
CN204656954U (zh) 一种风筛清选机
CN104492597A (zh) 一种改进型物料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