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15B1 -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15B1
KR102618215B1 KR1020230097803A KR20230097803A KR102618215B1 KR 102618215 B1 KR102618215 B1 KR 102618215B1 KR 1020230097803 A KR1020230097803 A KR 1020230097803A KR 20230097803 A KR20230097803 A KR 20230097803A KR 102618215 B1 KR102618215 B1 KR 10261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stick
film
kimjaban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영
Original Assignee
대천맛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천맛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천맛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형 김자반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호퍼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이 회전 이동하며 제2호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호퍼로 공급된 김자반을 제2호퍼 하부에서 격벽으로 분리설치된 가로축스크류와, 상기 가로축스크류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다열로 설치된 세로축스크류에 의해 일정량으로 분배하며, 이송된 일정량의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되, 김자반 이송과정에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과 내부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자반의 상품성을 높이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Stick-type laver tray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스틱형 김자반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호퍼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이 회전 이동하며 제2호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호퍼로 공급된 김자반을 제2호퍼 하부에서 격벽으로 분리설치된 가로축스크류와, 상기 가로축스크류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다열로 설치된 세로축스크류에 의해 일정량으로 분배하며, 이송된 일정량의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되, 김자반 이송과정에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과 내부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자반의 상품성을 높이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초인 김을 원료로 하여 얇은 판 형태의 김을 제조하거나,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밥을 비벼먹거나 다양한 요리에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김자반으로 제조하며, 이러한 김자반은 김 원료를 잘게 파쇄하여 건조한 후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와 다양한 식재료를 첨가하여 가열하며 볶아서 조리한다.
종래에는 김을 채취하면 수작업에 의해 선별 및 파쇄하고, 작업자가 직접 조리하여 제조하였으나 최근에는 김자반의 원료인 김을 파쇄하고 선별하여 자동으로 동작되는 조리 장치에 의해 조리되도록 하여 생산수율을 높여 소비자들이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제조 및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원료의 특성상 전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고, 일정량씩 개별 포장하기 위해 작업자가 필요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911호 돌김자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돌김자반은 선별 장치를 통해 금속 이물질을 선별하고, 이를 자동으로 파쇄한 후 비금속 이물질을 작업자가 선별하여 제거하고, 이를 교반 및 혼합한 후 종이상자에 투입하여 저온 숙성하고, 이를 볶아서 조리하고, 완성된 돌김자반을 포장지에 일정량씩 포장하였으나, 공정 사이의 이송 과정에서 모두 작업자가 필요하고 포장 과정에 있어서도 별도의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일정량씩 포장하는 것으로, 작업자 배치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수작업에 의해 정량 설정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틱형 포장제품은 내부에 충진재를 충진하고, 막대 형상, 스틱 형상으로 포장되는 제품으로, 식품이나 약품 등의 알갱이, 분말, 액체 등의 충진재를 포장한다.
스틱형 포장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알루미늄박, 폴리에틸렌(PE)필름 등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재료로 하며, 스틱 포장장치는 필름을 양단이 중첩된 원통형으로 만들고, 중첩된 부위를 융착시킨 후에 그 내부에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방식으로 스틱형 포장제품을 제조한다.
이러한 스틱형 포장제품을 이용해 일회용으로 취식할 수 있는 김자반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이송과정에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과 내부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갓 조리된 김자반의 바삭함이 사라지고 눅눅해져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김자반은 조리 중에 많은 양의 기름이 들어가므로 점성이 생겨서 스틱형 포장제품으로 포장하기 위해서 빠르게 이동시키지 않으면 김자반이 이송되는 도중에 벽면에 붙어 이송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0810911 (등록번호) 2008.02.29. KR 10-1253662 (등록번호) 2013.04.05. KR 10-1970277 (등록번호) 2019.04.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호퍼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이 회전 이동하며 제2호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호퍼로 공급된 김자반을 제2호퍼 하부에 설치된 가로축스크류와, 상기 가로축스크류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다열로 설치된 세로축스크류에 의해 일정량으로 분배공급하며, 이송된 일정량의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되, 김자반 이송과정에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과 내부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자반의 상품성을 높이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급버킷에 붙어 제2호퍼로 낙하되지 못한 김자반 잔여물을 받아내는 낙물받이가 구비되어 제2호퍼로 공급되지 못하며 온도가 내려가고 습기에 노출된 잔여물을 바로 제거하여 바삭한 김자반을 공급할 수 있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2호퍼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벨센서에 의해 제2호퍼에 투입된 김자반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2호퍼 하부에서 가로축스크류를 통해 수평 이송된 김자반을 세로축스크류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세로축스크류가 설치된 제2임시저장공간부의 제2레벨센서에 의해 김자반의 공급량을 확인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세로축스크류 측면에 회전누름바가 설치되어 제2임시저장공간부에서 김자반이 차곡차곡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며 김자반을 공급관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로축스크류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공급관에 스틱포장지 및 기계부품으로 떨어지는 분진을 막기 위한 집진홀이 형성된 노즐이 결합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기계의 내구성을 높이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급버킷에서 이송된 김자반을 제2호퍼로 배출하는 좁은 배출구로 이어지는 공급편과, 상기 제2호퍼의 상단면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여 공급과정에서 외부습기유입과 내부열기배출을 차단해 바삭한 상태의 김자반을 공급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된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1호퍼(110)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120)에 담고, 체인(130)을 따라 이송하며, 상부로 이송된 공급버킷(120)에 담긴 김자반을 하향축소되어 하단에 배출구(141)가 구비되는 공급편(140)으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김자반 공급부(100)와;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김자반이 담기는 제2호퍼(210)와, 상기 제2호퍼(210) 하부에서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와,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세로축스크류(231)가 설치되는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와,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서 세로축스크류(231)에 의해 이송된 김자반이 공급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분배부(200)와; 포장을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유닛(310)과,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서 이송된 필름을 하부로 안내하며 양단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성형롤러(320)와, 상기 성형롤러(320)에서 이송된 필름이 공급관(240)을 감싸며 양단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안내하는 포머가이드(330)와, 상기 포머가이드(330)로 진입된 필름의 중첩된 부위를 융착시키는 수직융착기(340)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융착시켜 스틱포장지를 형성하는 수평융착기(350)와, 상기 수평융착기(350)에서 가로축으로 실링하면서 하부로 끌어당겨진 스틱포장지를 낱개로 절단하는 커팅부(360)와, 상기 커팅부(360) 하부에서 완성된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안내하는 이젝터(370) 및 배출슈트(380)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포장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는 공급버킷(120)에서 공급편(14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김자반 잔여물을 받아내는 낙물받이(150)가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버킷(120)은 낙물받이(150) 상부를 통과할때에 상기 제1호퍼(110)에서 김자반을 공급받을때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낙물받이(150) 상부에는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의 하부면을 타격하고 공급버킷(1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회전바(16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호퍼(210)의 측면에는 김자반 공급량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2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에서 이송된 김자반 공급량을 측정하는 제2레벨센서(233)가 설치되어 추가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는 세로축스크류(231)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회전누름바(232)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축스크류(231)가 관통하는 오목한 홈부(234a)가 형성되는 하우징(234)이 구비되며, 전면의 투시창(235)을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장치(236)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급관(240)은 세로축스크류(231)의 오거스크류(231a)가 삽입되는 오거하우징(241)과 상기 오거하우징(241) 외주면에서 집진홀(242a)이 형성된 노즐(242)이 겹쳐지는 이중관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융착기(350)는 필름의 가로 부분을 접착하는 엔드실링부(350a)와, 가로무늬를 형성하는 무늬부(350b)로 구성되고, 상기 엔드실링부(350a) 하부에는 공기빼기 장치(35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바(160)는 회전중심인 회전축(161)에서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의 하부면까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61)에는 회전후 복귀하는 탄성편(162)이 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는 제1호퍼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이 회전 이동하며 제2호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호퍼로 공급된 김자반을 제2호퍼 하부에 설치된 가로축스크류와, 상기 가로축스크류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다열로 설치된 세로축스크류에 의해 일정량으로 분배공급하며, 이송된 일정량의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되, 김자반 이송과정에서 외부습기가 유입되는 것과 내부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자반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급버킷에 붙어 제2호퍼로 낙하되지 못한 김자반 잔여물을 받아내는 낙물받이가 구비되어 제2호퍼로 공급되지 못하며 온도가 내려가고 습기에 노출된 잔여물을 바로 제거하여 바삭한 김자반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호퍼의 측면에 설치된 제1레벨센서에 의해 제2호퍼에 투입된 김자반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2호퍼 하부에서 가로축스크류를 통해 수평 이송된 김자반을 세로축스크류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세로축스크류가 설치된 제2임시저장공간부의 제2레벨센서에 의해 김자반의 공급량을 확인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로축스크류 측면에 회전누름바가 설치되어 제2임시저장공간부에서 김자반이 차곡차곡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며 김자반을 공급관으로 빠르게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컨트롤과 운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교체나 청소를 위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세로축스크류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공급관에 스틱포장지 및 기계부품으로 떨어지는 분진을 막기 위한 집진홀이 형성된 노즐이 결합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기계의 내구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슈트에서 배출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전 불량이 있는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의 반대방향으로 방출하여 불량품을 미리 제거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버킷에서 이송된 김자반을 제2호퍼로 배출하는 좁은 배출구로 이어지는 공급편과, 상기 제2호퍼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여 공급과정에서 외부습기유입과 내부열기배출을 차단해 바삭한 상태의 김자반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공급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공급부 상부에서 공급버킷이 이동할 때 회전바가 회전하며 공급버킷을 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와 김자반 포장부를 전방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와 김자반 포장부를 전방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와 김자반 포장부를 후방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와 김자반 포장부의 정면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와 김자반 포장부의 후면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제2임시저장공간부와 공급관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공급관과 포머가이드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김자반 분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제2호퍼와 제1임시저장공간부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세로축 스크류에서 공급관으로 이어지고 공급관이 포머가이드에 삽입된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수직융착기의 부분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수평융착기의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서 커팅부와 이젝터와 배출슈트의 부분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열 및 살균처리된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퍼(110)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120)에 일정량을 담고, 체인(130)을 따라 이송하며, 상부로 이송된 공급버킷(120)에 담긴 김자반을 하향축소되어 하단에 배출구(141)가 구비되는 공급편(140)으로 낙하시켜 배출하는 김자반 공급부(100)와,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김자반이 담기는 제2호퍼(210)와, 상기 제2호퍼(210) 하부에서 격벽(221)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으로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와,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세로축스크류(231)가 다열로 설치되는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와,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 하부로 연장설치되고 세로축스크류(231)에 의해 이송된 김자반이 공급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분배부(200)와,
포장을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유닛(310)과,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서 이송된 필름을 하부로 안내하며 양단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성형롤러(320)와, 상기 성형롤러(320)에서 이송된 필름이 공급관(240)을 감싸며 양단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안내하는 포머가이드(330)와, 상기 포머가이드(330)로 진입된 필름의 중첩된 부위를 융착시키는 수직융착기(340)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융착시켜 스틱포장지를 형성하는 수평융착기(350)와, 상기 수평융착기(350)에서 가로축으로 실링하면서 하부로 끌어당겨진 스틱포장지를 낱개로 절단하는 커팅부(360)와, 상기 커팅부(360) 하부에서 완성된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안내하는 이젝터(370) 및 배출슈트(380)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포장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김자반 공급부(100)와 김자반 분배부(200)에서 김자반을 공급하고, 김자반 포장부(300)의 필름공급유닛(310)에서 필름을 공급하며, 김자반 포장부(300)의 수직융착기(340)와 수평융착기(350)에서 필름을 성형하여 스틱포장지로 형성한 후 김자반 분배부(200)의 공급관(240)에서 이송된 김자반을 스틱포장지에 충전하고, 스틱포장지를 상단부를 수평실링하고 커팅하여 완제품인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스틱형 김자반의 제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김자반을 공급하는 김자반 공급부(100)와,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유닛(310)과, 필름을 성형하는 성형롤러(320), 포머가이드(330), 수직융착기(340), 수평융착기(350), 커팅부(360)와, 필름 롤의 양 가장자리에서 나오는 파지를 감아서 제거하는 파지흡입부(미도시)와, 배출컨베이어(400)와,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김자반 분말을 세면이 실링 포장된 스틱포장지에 충전하여 스틱형 김자반으로 제조하며, 모든 작업은 김자반 공급부(100)의 공급부 제어판(170), 프레임(5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510)과 제어판(520)의 기능 스위치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510)은 기기 일측에 설치되고, 운전조작스위치 아이콘을 터치해 필요한 기능을 ON으로 설정한 후 명판에 위치한 운전스위치를 이용해 안전을 확보한 후 기기를 동작하여 스틱형 김자반을 생산한다.
터치스크린에서 아이마크 ON 선택시 필름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마크에 의해 스틱형 김자반의 기장이 결정되는 아이마크 센서 기능이 활성화되고, 히터 ON 선택시 수직융착기(340) 및 수평융착기(350)의 히터 기능이 활성화되며, 세로실바 ON 선택시 수직융착기(340)가 기동하면서 센터 실링이 진행되고, 가로실바 ON 선택시 수평융착기(350)가 기동하면서 엔드 실링이 진행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에서 이음매 체크 ON 선택시 필름 연결을 위해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를 감지하여 그 부위의 앞, 뒤쪽으로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고, 무늬바 ON 선택시 무늬를 찍는 가로무늬 냉각바가 작동하고, 커팅 ON 선택시 커팅부(360)의 엔드커터(361)가 기동하면서 가로 커팅이 진행되며, 커팅 냉각 ON 선택시 실링 부위를 냉각시켜 스틱포장지와 김자반의 흡착을 방지하고 커팅이 용이하도록 에어냉각기능이 작동하고, 이음매 감지정지 ON 선택시 필름 이음매테이프를 감지할 때 기계가 정지하도록 하는 이음매 감지정지 기능이 활성화되며, 노즐집진 ON 선택시 집진 장치가 작동한다. 무늬 냉각 ON 선택시 무늬바 뒤쪽의 무늬냉각기능이 작동하고, 프린트 ON 선택시 프린트 기능이 활성화되며, 호퍼 공급모터 ON 선택시 제2호퍼(210) 공급모터 기능이 작동하고, 호퍼 체크 ON 선택시 제2호퍼(210)에 김자반이 부족할 경우 경보를 울려주는 기능이 작동한다. 또한 호퍼 바이브레터 ON 선택시 내용물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제2호퍼(210)의 바이브레터 기능이 활성화되며, 공포체크 기능이 활성화되는 공포 감지, 김자반 포장부(300) 전면에 설치된 도어(390)의 개폐여부를 알려주는 센서기능이 작동하는 안전도어, 배출컨베이어(400) 기능이 작동하는 배출컨베이어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동작들은 OFF일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작업자는 화면을 통해 현재 제품을 모니터하고 일부 수치들을 리셋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화면을 통해 스크린 안의 각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기기의 각 기능을 수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틱포장지로 형성되기 전 필름의 실링 위치와 커팅 위치 등을 터치스크린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는 제1호퍼(110)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이송부(111)와 공급부(112)를 통해 복수개의 공급버킷(120)에 나눠 담고, 공급버킷(120)이 체인(130)을 따라 이동하며 기기 상부로 올라가서 공급편(140)으로 낙하시켜 제2호퍼(210)로 공급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김자반을 쏟아붓지 않고 양을 적절하게 나눠서 공급한다.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는 공급버킷(120)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체인(130)을 따라 이동하고, 기기 상부로 올라가서 배출구(141)가 구비되는 공급편(140)에 이르면 제3체인기어(133)를 따라 이동하며 공급버킷(120)의 개방된 상부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회전하여 공급버킷(120) 내측에 담긴 김자반을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버킷(120)은 오목한 내측에 일정양의 김자반이 담긴 상태로 이송하되 기름과 엉키지 않도록 빠르게 이송하여 제2호퍼(210)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체인(130)은 복수의 공급버킷(12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체인기어(131), 제2체인기어(132), 제3체인기어(133), 제4체인기어(134), 제5체인기어(135), 제6체인기어(136)를 따라 절곡되며 공급버킷(12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버킷(120)에 담긴 김자반 중 공급편(14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김자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로 돌출된 낙물받이(150)가 구비되며, 공급버킷(120)의 상부면(개방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공급편(140) 측면에 위치한 낙물받이(150)를 지나게 되면, 공급버킷(120)에 있던 김자반 잔여물이 낙물받이(150)로 떨어지게 되고, 공급버킷(120)은 담겨졌던 김자반 잔여물이 제거된 내부가 비워진 상태로 새로운 김자반을 담기 위해 김자반 공급부(100)의 제1호퍼(110)가 있는 하부로 이동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버킷(120)이 김자반 공급부(100) 상부에서 공급편(140) 후단의 낙물받이(150)의 위를 지나갈 때는 공급버킷(120) 내부의 김자반 잔여물을 떨어뜨리고자 공급버킷(120)에 충격을 주기 위해 공급버킷(120)이 이동하는 라인 상부에 회전바(160)가 복수로 설치되어 회전바(160)가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지나가는 공급버킷(120)를 쳐서 공급버킷(120)에 붙어있던 김자반 잔여물이 낙물받이(150)로 떨어지게 한다.
상기 회전바(160)는 상부에 회전축(161)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바(160)에는 스프링 등 탄성편(162)이 설치되어 공급버킷(120)이 통과할때에 회전하며 따라가는 회전바(160)를 원위치로 되돌리며, 연속하여 이동되며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에 강한 타격을 제공한다. 회전바(160)은 탄성편(162)이 설치되는 회전축에서 공급버킷(120)의 하부면(폐쇄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공급버킷(120)의 하부면(폐쇄면)을 따라 어느 정도 이동하다가 하부면의 최하단을 지나며 원위치로 복귀하고, 복귀시에 연속하게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을 타격한다.
여기에서 공급버킷(120)은 개방된 면을 상부면으로, 폐쇄된 면을 하부면으로 표기한다.
상기 낙물받이(150)는 슬라이드식으로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아당겨 탈착할 수 있으며, 상기 낙물받이(150)로 김자반을 유도하는 배출부가 내부의 김자반 잔여물이 한쪽으로 모여 쉽게 제거하도록 공급편(140)처럼 내측면이 중심을 향해 하향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는 공급버킷(120)에서 공급편(14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김자반 잔여물을 받아내는 낙물받이(150)와 공급버킷(120)의 김자반 잔여물을 떨어뜨리는 회전바(160)가 구비되어 온도가 내려가고 습기에 노출된 김자반 잔여물을 제거하고 바삭한 상태의 김자반만을 제2호퍼(210)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공급편(140)은 하향축소되어 그 끝에 배출구(14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41)에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면(미도시)을 더 설치하여 공급버킷(120)에서 공급된 김자반이 외부공기의 노출없이 공급편(140)에서 배출구(141)를 통해 커버면을 따라 제2호퍼(2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제1호퍼(110)에서 공급버킷(120)에 공급된 김자반이 배출구(141)에 도착할때까지 밀폐되어 있으며, 배출구(141)를 지나며 기름 등의 영향으로 낙하하지 못하고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이러한 잔여 김자반은 제1호퍼(110)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낙물받이(150) 상부에서 공급버킷(120)과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김자반 분배부(200)의 상부측에는 제2호퍼(21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호퍼(210)는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제1레벨센서(211)가 설치되어 공급버킷(120)을 통해 제2호퍼(210)로 공급된 김자반 양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제1레벨센서(211)는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제2호퍼(210)에 김자반이 채워지지 않으면 내용물이 부족하다는 알람을 울리도록 하고, 기기를 멈추게 한다. 상기 제1레벨센서(211)는 센싱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센싱파이프가 제2호퍼(210) 측면에서 하부를 향해 관통설치된다. 상기 제1레벨센서(211)는 제2호퍼(210)에 결합시 오일씰이 설치되고, 제2호퍼(210)로부터 고정볼트를 이용해 탈부착가능하여 고정볼트를 풀어 분리시킨 후 청소하고 다시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호퍼(210)는 하부에 결합되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와 고정볼트로 결합되므로 이 또한 분리시킨 후 청소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호퍼(210) 상부에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유입과 내부열기배출을 차단하기 위해 덮개(21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공급편(140)의 배출구(141)를 제2호퍼(210)에 최대한 가까이 배치하고, 상기 덮개(212)로 제2호퍼(210) 상부면 일부를 덮어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구(141)에 결합된 커버면이 들어와 김자반이 바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2호퍼(210) 하부에는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 하부에는 세로축스크류(231)가 설치되는 제2임시저장공간부(230)가 설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는 상부에 제2호퍼(210)가 볼트 결합되고, 중심에 격벽(221)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분리된 공간에 각각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축스크류(222) 일측에는 감속기(222a)가 설치된다. 상기 가로축스크류(222)에서 감속기(222a)가 설치된 반대측에는 가로축스크류(222)로부터 이송된 김자반이 공급되는 제2임시저장공간부(230)가 결합된다.
상기 제2호퍼(210) 아래에 설치된 가로축스크류(222)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로 이송된 김자반을 앞쪽으로 밀어주는 역할로 이송을 빠르고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가로축스크류(222)는 기어드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감속기(222a)를 이용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에 결합되는 가로축스크류(222)가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파이프(220a)는 외측면에서 클램프로 결합되어 제1임시저장공간부(220) 청소시 클램프를 풀고 스크류파이프(220a)를 분리한 후 에어건으로 가로축스크류(222)의 분진을 제거하고 알콜로 청소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는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는 두 개의 스크류파이프(220a)가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파이프(220a)의 끝단이 개방되어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가로축스크류(222)에 의해 김자반이 이송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는 김자반이 공급되어 임시로 저장되는 내부공간으로 세로축스크류(231)와 회전누름바(232)가 설치되고, 전면이 아크릴 커버로 이루어지는 투시창(235)으로 구비되며, 상기 투시장(235)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볼트결합되는 개폐장치(2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 설치되는 세로축스크류(231)는 김자반 공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세로축스크류(23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누름바(232)는 김자반이 차곡차곡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며 김자반을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 상부측에는 세로축스크류(231)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231c)와 회전누름바(232)를 회전시키기 위해 교반모터(232a)가 구비되며, 상기 서보모터(231c)는 제어신호에 의해 부하를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누름바(232)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는 제2레벨센서(233)가 구비되어 김자반 부족시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김자반이 채워지지 않으면 알람을 울리고 기기가 멈추게 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는 전면에 구비된 투시창(235)을 통해 김자반 의 잔존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투시창(235)은 개폐장치(236)를 이용해 개방이 가능하여 내부 청소와 세로축스크류(231) 및 회전누름바(232)의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의 청소시에는 상기 개폐장치(236)를 이용해 투시창(235)을 열고 에어건으로 세로축스크류(231)와 회전누름바(232)는 물론 하부의 하우징(234)에 결합설치된 공급관(240)의 오거하우징(241)에 있는 분진을 제거한다.
상기 세로축스크류(231)는 서보모터(231c)에 의해 구동되며, 충전량은 서보모터(231c) 속도에 의한 세로축스크류(231) 회전량에 따라 달라진다. 도 13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축스크류(231)는 오거스크류(231a)와, 오거스크류(231a) 상부에서 오거스크류(231a) 보다 넓은 날개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오거가변피치(231b)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거가변피치(231b)는 상부에 오거조인트로 서보모터(231c)와 결합되고, 하부에 오거고정브라켓과 체결된 오거스크류(231a)와 결합되며, 오거스크류(231a)가 삽입되는 오거하우징(241)은 오거하우징홀더(241a)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는 하부측에 물결모양처럼 형성되어, 내측으로 모아주는 상기 세로축스크류(231)가 관통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오목한 홈부(234a)가 형성되는 하우징(234)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34)에는 각 홈부(234a)로 오거하우징(241)이 결합설치된다. 상기 오거스크류(231a)는 오거고정브라켓을 체결하고, 오거가변피치(231b)와 오거고정브라켓을 볼트로 체결하며, 오거하우징(241) 안에 오거스크류(231a)를 넣고 상기 오거하우징(241)을 노즐(242) 안으로 밀어넣는다.
상기 공급관(240)은 세로축스크류(231)의 오거스크류(231a)가 삽입되는 오거하우징(241)과 상기 오거하우징(241) 외주면에서 집진홀(242a)이 형성된 노즐(242)이 겹쳐지는 이중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집진홀(242a)이 형성된 노즐(242)은 집진게이트 액츄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오거스크류(231a) 회전시 나오는 분진을 흡입한다. 이에 본 발명은 분진에 의한 기계고장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 외부에서 하단에는 집진트레이(237)가 구비되어 위에서 떨어지는 분진을 받아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김자반 분배부(200)의 제2호퍼(210)의 높이까지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아도 지면에서 가까운 위치의 김자반 공급부(100)의 제1호퍼(110)에 김자반을 투입하면 공급버킷(120)에 의해 정량을 상부로 이송하여 제2호퍼(210)로 배출시켜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 피로도가 감소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작업확인 등 필요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기 위해서 김자반 분배부(200)가 설치된 프레임(500)에 계단(53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및 살균처리된 김자반을 공급하므로 따로 가열 및 살균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포장하는 과정에서 외부습기 유입과 내부열기 배출을 차단하도록 하여 김자반의 상품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충전시스템을 통해 충전량이 정확하도록 설계되고 제2호퍼(210)와,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 각각 레벨센서가 부착되어 내용물 부족시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내용물이 채워지 않으면 알람을 울리고 기계가 멈춘다. 김자반은 제2호퍼(210)에서 제1임시저장공간부(220)로,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에서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로 이송된다. 제2임시저장공간부(230)를 통과한 김자반은 공급관(240)을 통해 공급관(240) 외부를 감싸고 있는 성형된 스틱포장지 안으로 담기게 된다. 이때 스틱포장지 안에 담기는 용량은 터치스크린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오거하우징(241)은 내부에 오거스크류(231a)가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242)로 삽입되고, 상기 노즐(242)은 포머가이드(330)로 삽입되며, 상기 노즐(242)과 포머가이드(330)는 1mm 정도 유격을 갖게 된다. 상기 노즐(242)과 포머가이드(330) 사이로 두 장의 겹친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포머가이드(330)는 필름 양단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노즐(242)은 상부측에서 오목한 형태의 골이 형성된 성형롤러(320)와 접하고 노즐브라켓(243)을 관통하여 포머가이드(330)로 삽입된다.
상기 노즐브라켓(243)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242)이 관통 고정되는 고정부(243a)와, 양단에 파지유지고리(243b)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유지고리(243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나이프도마(314b)에서 잘린 필름의 파지를 잡아주고 파지 흡입롤러(미도시)로 이송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김자반 포장부(300)는 포장을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유닛(310)과,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서 이송된 필름을 하부로 안내하며 양단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성형롤러(320)와, 상기 성형롤러(320)에서 이송된 필름이 공급관(240)을 감싸며 양단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안내하는 포머가이드(330)와, 상기 포머가이드(330)로 진입된 필름의 중첩된 부위를 융착시키는 수직융착기(340)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융착시켜 스틱포장지를 형성하는 수평융착기(350)와, 상기 수평융착기(350)에서 가로축으로 실링하면서 하부로 끌어당겨진 스틱포장지를 낱개로 절단하는 커팅부(360)와, 상기 커팅부(360) 하부에서 완성된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안내하는 이젝터(370) 및 배출슈트(3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필름공급롤러(311)에서 필름롤러(11)가 결합되는 필름 홀더인 에어샤프트(311a)와, 에어샤프트(311a)를 지지하는 브라켓(311b)과, 브라켓(311b)을 고정하는 고정핀(311c)과, 브레이크(미도시)와, 스토퍼(311e)와, 브레이크 휠(311f)과, 접합판(311g) 등으로 이루어지며, 필름공급롤러(311) 상부에 필름텐션장치(312)가 구비된다. 상기 필름롤러(11)를 교체시 새 필름과 기존의 필름을 접합판(311g) 위에 겹치고 자석(311h)으로 고정한 후 커팅홈을 따라 필름을 자르고, 두 필름의 끝을 붙여서 필름을 연결한다.
상기 필름텐션장치(312)는 필름공급롤러(311)에 필름을 쉽게 적재하고 접합판(311g)에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열봉합 가능한 필름이 필름공급롤러(311)에 적재되어 텐션롤러와 아이마크 컨트롤롤러 같은 롤러들 사이로 통과된다. 이때 필름 공급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텐션롤러 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롤러는 기계에 공급된 필름의 텐션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공급되는 필름이 부족하면 텐션롤러는 위로 당겨지게 되고, 이 위치는 필름이송모터 센서의 감지구역을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감지센서는 필름이송모터 드라이브를 가속시키게 되어 필름이송롤러는 필름을 더 공급하기 위해 끌어당기게 되며, 필름이 넉넉히 공급되어 텐션롤러가 아래로 내려가면 텐션롤러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필름이송모터를 정지시킨다. 필름은 포토셀을 통과하면서 필름의 아이마크가 감지되며, 아이마크를 감지함으로써 포토셀은 아이마크 컨트롤 롤러에 신호를 보내 필름의 공급 상태를 조절한다.
필름텐션장치(312)는 필름에 지속적인 후방향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필름을 고정하고 당겨주기 위한 것으로 필름 축은 필름의 쉬운 교체와 중심 위치 유지를 위해 분리할 수 있고, 브레이크 휠(311f)은 필름 텐션에 따라 멈춤과 진행을 반복하며 축의 회전을 조절한다.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은 필름이 전부 고갈되면 부저를 울리며 멈추고, 새 필름으로 교체하도록 한다. 필름롤러(11)의 필름이 고갈되기 전에 필름 감지센서는 기존의 필름롤러를 새 필름롤러과 연결하기 위해 기계를 멈추며, 필름이 완전히 고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서 필름 부족으로 멈추면, 필름 홀더인 에어샤프트(311a)에 기존의 필름과 일치하는 패턴의 새 필름 롤을 적재하고 양단을 접착테이프로 연결한다.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 필름롤러(11)를 교체하고 기계를 테스트한 후 중앙 커팅된 필름 폭이 같지 않은 경우 필름 공급 방향의 좌우 이동을 기계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로 조절한다.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은 폭이 넓은 원단 필름이 권취되는 필름공급롤러(311)와, 필름공급롤러(311)에서 배출되어 이송되는 원단 필름이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와, 지지롤러 중 하나로서 폭 넓은 필름을 일정폭의 단위 필름으로 재단하는 링커터가 구비되는 재단롤러(314)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롤러(314)는 필름이 성형롤러(320)로 이동하기 전에 위한 세로로 절단하는 링커터로 이루어지며, 링커터는 복수개의 링나이프(314a)와, 링나이프(314a) 하부에서 회전하는 링나이프도마(314b)가 구비된다.
상기 재단롤러(314)의 링커터에서 세로로 절단된 필름은 공급관(240)을 감싸며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공급관(240) 후방에서 중심으로 양단이 모아지도록 안내하는 성형롤러(320)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성형롤러(320) 하부에서 공급관(240)이 삽입되는 포머가이드(330)는 포머(331)가 포머베이스(332)의 슬롯에 결합되고, 반원형의 표면이 앞으로 오도록 노즐(242) 위에 포머(331)를 삽입한다. 이때 필름이 진행할 수 있도록 노즐(242)과 포머가이드(330) 사이에 0.5mm 간격을 두고, 상기 포머가이드(330)가 외란없이 움직이도록 노즐(242)과 사이에 1mm 유격을 갖도록 조절하며, 노즐(242)과 포머베이스(332) 사이로 두 장의 겹친 필름을 넣고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포머가이드(330)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수직융착기(340)는 필름의 세로부분을 접착하는 것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실바(341)와 센터실바(341)에 결합되는 히터(342)가 구비되며, 히터(342)는 설정된 온도로 동작된다. 상기 센터실바(341)는 스프링(343)에 의해 탄력적으로 누름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수직융착기(340)의 단자대 박스에 각각의 바디(344)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융착기(340)는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며, 히터(342)와 온도센서가 각각 내재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융착기(340)는 4개의 센터실바(341)가 설치되고, 각각의 센터실바(341)에 대한 온도조절은 터치스크린에서 가능하며, 센터실바(341)는 열과 압력에 의해 필름을 접착한다. 한편, 상기 수직융착기(340)에서 센터실바(341)에 결합된 히터(342)의 고장시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된다.
상기 수평융착기(350)는 필름의 가로부분을 접착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융착기(340) 하부에서 엔드실링부(350a)와 무늬부(350b)가 다단으로 구비되고, 엔드실링부(350a)는 엔드실바(351)와 엔드실바히터(미도시)가 구비되며, 엔드실바히터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엔드실링부(350a)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실바 에어실린더(352)의 작동에 의해 앞뒤로 구동되고 메인모터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상기 엔드실링부(350a)는 필름을 앞뒤로 맞물려 잡은 상태로 끌고 내려와서 놓고 다시 잡아 끌어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며, 엔드실바(351)에는 엔드실바히터와 온도센서도 장착된다. 상기 수평융착기(350)는 열과 압력에 의해 필름 가로방향을 접착하여 스틱포장지를 형성하고, 엔드실바(351) 하부에는 공기빼기 장치(353)가 부착되며, 엔드실바(351)의 온도는 터치스크린에서 설정하고 조절가능하다. 상기 엔드실바(351)는 각 열의 실링 상태를 체크한 후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바 전면의 볼트를 조절하여 각 열의 실링 압력이 균일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엔드실바히터는 엔드실바(351)에 탈착 가능하므로 고장시 교체가 용이하게 구비된다. 상기 공기빼기 장치(353)는 실링할 때 받았던 열을 식혀주는 것으로 좀 더 깔끔한 절단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융착기(350)는 엔드실링부(350a) 하부의 무늬부(350b)에 무늬바(354)가 구비되어 가로무늬를 찍어낼 수 있다. 무늬부(350b)는 엔드실바(351) 밑부분에 동작될 수 있도록 세팅되는데, 엔드실바(351)와 같거나 위에 위치하면 무늬가 나지 않거나 희미해지며 스틱포장지를 씹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커팅부(360)는 수평융착기(350) 하부에 배치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커터(361)와, 냉각파이프(362)와, 엔드커터(361) 하부에서 압력조절 스프링 볼트(363)와, 커팅에어실린더(364)와, 상기 커팅에어실린더(364)에 의해 전후진하는 나이프 마운트(365)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부(360)는 엔드커터(361)가 기동하여 가로 컷팅이 진행되는데, 커팅에어실린더(364) 작동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며, 이때 터치스크린(510)을 이용해 커팅 위치의 상/하를 조정할 수 있다. 엔드커터(361) 하부쪽에는 공팩을 배출시켜주는 이젝터(370)와, 완제품을 배출시켜주는 배출슈트(380)가 장착되며, 이젝터(370)와 배출슈트(380)는 이젝터에어실린더(371)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커팅부(360)에서 커팅의 압력은 앞쪽 칼날의 아랫쪽 압력조절 스프링 볼트(363)로 조절가능하다.
그리고 컨트롤러부에서 컷팅 냉각 선택시 실링 부위를 냉각시켜 스틱형 김자반에 충전된 김자반과 흡착을 방지하고 컷팅이 용이하도록 에어냉각기능이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김자반 포장부(300)는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이송하기 전에 불량이 있는 스틱형 김자반이 유입되면 배출슈트(380) 상부의 이젝터(370)가 신호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하여 불량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의 반대방향으로 방출한다. 그리하여 불량이 있는 공팩은 배출슈트(380) 뒤쪽에 위치한 바이패스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된 후 방출된다.
상기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이송하는 배출슈트(380)에는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스틱형 김자반이 배출컨베이어(400)에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출슈트(380)에 설치된 커버는 포장된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이송시 네 개의 스틱형 김자반이 잘 미끄러져 내려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400)는 터치스크린(510)에서 on/off 선택으로 작동이 조절되고, 운송 중에는 김자반 포장부(300)와 분리되며, 김자반 포장부(300)를 위치시킨 후, 연결하며, 김자반 포장부(300)와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이와 같이 김자반 분배부(200)에서 제2호퍼(210)에 공급된 김자반은 제1임시공간부(220)와 제2임시공간부(23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임시공간부(220)에서 가로축스크류(222)를 통과하고, 제2임시공간부(230)에서 세로축스크류(231)를 통과하며 김자반 포장부(300)에서 성형된 스틱포장지 안으로 담겨 스틱형 김자반으로 완성되어 배출슈트(380)를 따라 배출컨베이어(400)로 이송된다.
100 : 김자반 공급부
110 : 제1호퍼 111 : 이송부
112 : 공급부 120 : 공급버킷
130 : 체인 131 : 제1체인기어
132 : 제2체인기어 133 : 제3체인기어
134 : 제4체인기어 135 : 제5체인기어
136 : 제6체인기어 140 : 공급편
141 : 배출구 150 : 낙물받이
160 : 회전바 161 : 회전축
162 : 탄성편 170 : 공급부 제어판
200 : 김자반 분배부
210 : 제2호퍼 211 : 제1레벨센서
212 : 덮개 220 : 제1임시저장공간부
220a : 스크류파이프 221 : 격벽
222 : 가로축스크류 222a : 감속기
230 : 제2임시저장공간부 231 : 세로축스크류
231a : 오거스크류 231b : 오거가변피치
231c : 서보모터 232 : 회전누름바
232a : 교반모터 233 : 제2레벨센서
234 : 하우징 235 : 투시창
236 : 개폐장치 237 : 집진트레이
240 : 공급관 241 : 오거하우징
241a : 오거하우징홀더 242 : 노즐
242a : 집진홀 243 : 노즐브라켓
243a : 고정부 243b : 파지유지고리
300 : 김자반 포장부
310 : 필름공급유닛 311 : 필름공급롤러
311a : 에어샤프트 311b : 브라켓
311c : 고정핀 311e : 스토퍼
311f : 브레이크 휠 311g : 접합판
311h : 자석 312 : 필름텐션장치
313 : 열전사 프린터 314 : 재단롤러
314a : 링나이프 314b : 링나이프도마
320 : 성형롤러 330 : 포머가이드
331 : 포머 332 : 포머베이스
340 : 수직융착기 341 : 센터실바
342 : 히터 343 : 스프링
344 : 바디 350 : 수평융착기
350a : 엔드실링부 350b : 무늬부
351 : 엔드실바 352 : 엔드실바 에어실린더
353 : 공기빼기 장치 354 : 무늬바
360 : 커팅부 361 : 엔드커터
362 : 냉각파이프 363 : 스프링 볼트
364 : 커팅에어실린더 365 : 나이프 마운트
370 : 이젝터 371 : 이젝터실린더
380 : 배출슈트 390 : 도어
400 : 배출컨베이어 410 : 바이패스 컨베이어
500 : 프레임 510 : 터치스크린
520 : 제어판 530 : 계단

Claims (7)

  1. 가열된 김자반을 스틱형으로 포장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1호퍼(110)에서 공급된 김자반을 복수의 공급버킷(120)에 담고, 체인(130)을 따라 이송하며, 상부로 이송된 공급버킷(120)에 담긴 김자반을 하향축소되어 하단에 배출구(141)가 구비되는 공급편(140)으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김자반 공급부(100)와;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김자반이 담기는 제2호퍼(210)와, 상기 제2호퍼(210) 하부에서 가로축스크류(222)가 설치되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와, 상기 제1임시저장공간부(220)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세로축스크류(231)가 설치되는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와,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서 세로축스크류(231)에 의해 이송된 김자반이 공급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분배부(200)와;
    포장을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유닛(310)과, 상기 필름공급유닛(310)에서 이송된 필름을 하부로 안내하며 양단을 중심으로 모아주는 성형롤러(320)와, 상기 성형롤러(320)에서 이송된 필름이 공급관(240)을 감싸며 양단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안내하는 포머가이드(330)와, 상기 포머가이드(330)로 진입된 필름의 중첩된 부위를 융착시키는 수직융착기(340)와,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융착시켜 스틱포장지를 형성하는 수평융착기(350)와, 상기 수평융착기(350)에서 가로축으로 실링하면서 하부로 끌어당겨진 스틱포장지를 낱개로 절단하는 커팅부(360)와, 상기 커팅부(360) 하부에서 완성된 스틱형 김자반을 배출컨베이어(400)로 안내하는 이젝터(370) 및 배출슈트(380)로 이루어지는 김자반 포장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김자반 공급부(100)는 공급버킷(120)에서 공급편(14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김자반 잔여물을 받아내는 낙물받이(150)가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급버킷(120)은 낙물받이(150) 상부를 통과할때에 상기 제1호퍼(110)에서 김자반을 공급받을때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낙물받이(150) 상부에는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의 하부면을 타격하고 공급버킷(1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회전바(160)이 마련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210)의 측면에는 김자반 공급량을 측정하는 제1레벨센서(2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는 제1임시저장공간부(220)에서 이송된 김자반 공급량을 측정하는 제2레벨센서(233)가 설치되어 추가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시저장공간부(230)에는 세로축스크류(231)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회전누름바(232)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축스크류(231)가 관통하는 오목한 홈부(234a)가 형성되는 하우징(234)이 구비되며,
    전면의 투시창(235)을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장치(236)가 설치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40)은 세로축스크류(231)의 오거스크류(231a)가 삽입되는 오거하우징(241)과 상기 오거하우징(241) 외주면에서 집진홀(242a)이 형성된 노즐(242)이 겹쳐지는 이중관으로 구비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융착기(350)는 필름의 가로 부분을 접착하는 엔드실링부(350a)와, 가로무늬를 형성하는 무늬부(350b)로 구성되고,
    상기 엔드실링부(350a) 하부에는 공기빼기 장치(353)가 구비되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160)는 회전중심인 회전축(161)에서 진입하는 공급버킷(120)의 하부면까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61)에는 회전후 복귀하는 탄성편(162)이 끼워지는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KR1020230097803A 2023-07-26 2023-07-26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KR10261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803A KR102618215B1 (ko) 2023-07-26 2023-07-26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803A KR102618215B1 (ko) 2023-07-26 2023-07-26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215B1 true KR102618215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803A KR102618215B1 (ko) 2023-07-26 2023-07-26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2900A (zh) * 2024-02-28 2024-03-29 成都旻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渗透检测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075A (ko) * 1999-10-05 2001-05-07 장철수 혼합사료 압축장치
KR100810911B1 (ko) 2006-05-25 2008-03-10 김경남 돌김자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돌김자반
KR20110104604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웅비기계 분체이송용 리프트
KR101253662B1 (ko) 2011-06-15 2013-04-11 주식회사서울엔지니어링 초음파 융착기가 구성된 스틱형 제품 포장기
KR101350721B1 (ko) * 2012-10-18 2014-01-13 세진테크 주식회사 오거 분체 충진기 및 자동 포장 기계
KR20170115115A (ko) * 2016-04-01 2017-10-17 채영식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
KR101970277B1 (ko) 2018-06-28 2019-04-17 주식회사 대양식품 자동 포장 및 묶음이 가능한 김자반 제조 장치
KR20210051170A (ko) * 2019-10-30 2021-05-10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김자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075A (ko) * 1999-10-05 2001-05-07 장철수 혼합사료 압축장치
KR100810911B1 (ko) 2006-05-25 2008-03-10 김경남 돌김자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돌김자반
KR20110104604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웅비기계 분체이송용 리프트
KR101253662B1 (ko) 2011-06-15 2013-04-11 주식회사서울엔지니어링 초음파 융착기가 구성된 스틱형 제품 포장기
KR101350721B1 (ko) * 2012-10-18 2014-01-13 세진테크 주식회사 오거 분체 충진기 및 자동 포장 기계
KR20170115115A (ko) * 2016-04-01 2017-10-17 채영식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
KR101970277B1 (ko) 2018-06-28 2019-04-17 주식회사 대양식품 자동 포장 및 묶음이 가능한 김자반 제조 장치
KR20210051170A (ko) * 2019-10-30 2021-05-10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김자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2900A (zh) * 2024-02-28 2024-03-29 成都旻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渗透检测装置
CN117782900B (zh) * 2024-02-28 2024-05-07 成都旻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渗透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215B1 (ko) 스틱형 김자반 제조장치
JP4302821B2 (ja) 計量及び製袋包装システム
US519737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cooked food product
US200400841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gging ice
JP3102367U (ja) スティック包装機
US20060288876A1 (en) Automatic popcorn vending machine
KR20090126267A (ko) 자동 피자 준비 및 벤딩 시스템
KR100566789B1 (ko) 가미 시스템
EP3257766B1 (en) Medicine packing apparatus
EP0438805A1 (e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and packing surimi of fish or shellfish
JP7113413B2 (ja) 薬剤払出し装置、散薬秤量装置及び薬剤分包システム
CN111232284B (zh) 一种面条分装称重系统
WO2001013736A1 (en) Apparatus for coating meat
KR20180001934A (ko) 스틱형 용기 자동 포장장치
EP1894689A1 (en) Glue dispensing apparatus
US20090294336A1 (en) Fines separator and trap
CN218142241U (zh) 一种半自动称量植物提取物的包装机
US3199551A (en) Apparatus for filling packages
KR102332657B1 (ko) 김자반 제조장치
KR102077453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식품 포장비닐용 제대기
EP1894636A2 (en) Glue dispensing apparatus
CN211893788U (zh) 面条分散称重装置
CN211893929U (zh) 自动封装机的封口调节装置
CN218641131U (zh) 中药汤剂自动包装打码机
CN211893787U (zh) 面条分装称重分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