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54Y1 - 낙광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낙광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54Y1
KR0135754Y1 KR2019950010942U KR19950010942U KR0135754Y1 KR 0135754 Y1 KR0135754 Y1 KR 0135754Y1 KR 2019950010942 U KR2019950010942 U KR 2019950010942U KR 19950010942 U KR19950010942 U KR 19950010942U KR 0135754 Y1 KR0135754 Y1 KR 0135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al
shuttle
shaf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70U (ko
Inventor
이창식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5001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54Y1/ko
Publication of KR960037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18Gathering means for material falling from th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누락

Description

낙광탄 제거장치
본 고안은 철광석 및 원료탄을 사용개소에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낙광방지판에 케리어벨트로 부터 이송되어 리턴벨트(케리어벨트의 저부)로 낙광되는 낙광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낙광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셔틀 벨트 콘베이어는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8) 도상을 왕복으로 주행하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벨트 콘베이어로서 이는 전후진하면서 하부에 구비된 두 개의 벨트 콘베이어(31)(32)로 철광석 및 원료탄(29)을 사용개소로 이송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 설비는 이송과정에서 슈트(25)의 막힘에 의한 넘침과 케리어벨트(22)표면에 붙어 있는 잔량이 크리너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므로써 낙광탄 방지판(24)에 낙광탄이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낙광탄 방지판(24)에 쌓인 낙광탄(30)을 적기에 제거하지 못하면 리턴벨트(23)와 접촉되어 케리어벨트(22)의 조기마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셔틀(SHUTTLE) 이동시 셔틀 지지프레임(26)에 과접촉되어 설비사고를 유발하는 등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낙광탄 방지판(24)에 낙광탄(30)이 누적되면 작업인원을 동원시켜 삽으로 제거하였으나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리턴벨트(23) 하부에 쌓인 낙광탄(30)을 삽으로 제거하기에는 회전체의 협착위험이 크게 내포되어 있으므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낙광탄 방지판의 선단지점인 셔틀 지지프레임에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의 후면 저부에는 다수의 스토퍼가 설치된 스토퍼 샤프트를 설치하여 셔틀벨트 콘베이어의 이동과 함께 낙광탄 방지판에 낙광된 낙광탄을 밀판이 밀어내어 벨트 콘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한 낙광탄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 발췌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a)(b)(c)(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과정도.
제5도는 종래의 원료탄 이송장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 11 : 밀판
12 : 밀판 샤프트축 13 : 베어링
14 : 스토퍼 샤프트축 15 : 스토퍼
16 : 고정베이스 17 : 브라켓트
본 고안의 제1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 발췌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 요부 발췌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낙광탄 제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a)(b)(c)(d)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과정도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낙광탄 방지판(24)의 상부양측에 레일(28)을 설치시키고, 상기 낙광탄 방지판(24)의 상부에는 셔틀 지지프레임(26)에 의해 설치된 셔틀 해드플리(21)에 케리어벨트(22)를 권취하며, 상기 양측의 레일(28)에는 셔틀 해드플리(21)를 지지하는 셔틀 지지프레임(26)에 셔틀 차륜(27)을 등간격으로 양측에 다수개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철광석 및 원료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광탄 방지판(24)의 전방 셔틀 지지프레임(26)에는 양측으로 브라켓트(17)를 설치시키고, 이 브라켓트(17)에는 연결구(18)를 이용하여 베어링(13)을 설치하되, 베어링(13)에는 낙광탄 방지판(24)의 폭을 갖는 밀판(11)을 밀판 샤프트축(12)에 용착시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하였으며, 상기 밀판(11)의 후면 저부에는 다수의 스토퍼(15)가 설치된 스토퍼 샤프트축(14)을 고정베이스(16)에 삽입 설치한 후 고정베이스(16)를 상기 브라켓트(17)에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원료야드에 적치되어 있는 철광석 및 원료탄(29)을 케리어벨트(22)를 이용하여 벨트 콘베이어(31)(32)에 선택적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철광석 및 원료탄(29)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철광석 및 원료탄(29)이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리어벨트(22)에 접착되어 벨트 콘베이어(31)에 모두 이송하지 않고 리턴벨트(23)로 잔존하여 기동하게 되면서 낙광탄 방지판(24)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낙광탄 방지판(24)에 떨어진 낙광탄(30)은 계속해서 산적하게 되고, 상기 산적된 낙광탄(30)들은 리턴벨트(23)와 접촉되면서 마찰을 일으켜 리턴벨트(23)를 마모 또는 훼손하게 되는바, 이때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10)가 낙광탄(30)들을 벨트 콘베이어(31)에 이송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장치 (20)는 벨트 콘베이어 (31)(32)로 이송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전후진 하게 되는데 , 이때 낙광탄 방지판(24)에 낙광된 낙광탄(30)은 제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판(11)의 후방부 즉 낙광탄 방지판(24)에 산적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낙광탄(30)이 낙광탄 방지판(24)에 산적되게 되면 제4(b)도와 같이 이송장치(20)를 후방부로 이송시키게 되면 밀판(11)은 밀판 샤프트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밀판(11)이 낙광탄(30)의 상부와 접촉하면서 후방부로 끌려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밀판(11)이 끌려나가 제4(c)도와 같은 지점에 도달하면 밀판(11)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고 이와 동시에 이송장치(2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밀판(11)은 밀판(11)의 후방부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 샤프트축(14)의 스토퍼(15)에 의하여 뒤로 밀리지 않고 낙광탄(30)을 전방으로 밀고 나가면서 제4(d)도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 (31)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장치(20)는 주기적으로 전후진 하기 때문에 낙광탄(30)은 낙광탄 방지판(24)에 누적되지 않고 계속해서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10)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31)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단 밀판 샤프트축(12)의 회전은 베어링(13)에 베어링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의 원활함을 기할 수 있고 밀판(11) 및 스토퍼(15)의 지지는 각각의 샤프트축(12)(14)이 브라켓트(17)에 설치되어 지지하기 때문에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낙광탄 방지판에 낙광된 낙광탄을 낙광탄 제거장치 본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낙광탄 방지판(24)의 상부양측에 레일(28)을 설치시키고, 상기 낙광탄 방지판(24)의 상부에는 셔틀 지지프레임(26)에 의해 설치된 셔틀 해드플리(21)에 케리어벨트(22)를 권취하며, 상기 양측의 레일(28)에는 셔틀 해드플리(21)를 지지하는 셔틀 지지프레임(26)에 셔틀 차륜(27)을 등간격으로 양측에 다수개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철광석 및 원료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광탄 방지판(24)의 전방 셔틀 지지프레임(26)에는 양측으로 브라켓트(17)를 설치시키고, 이 브라켓트(17)에는 연결구(18)를 이용하여 베어링(13)을 설치하되, 베어링(13)에는 낙광탄 방지판(24)의 폭을 갖는 밀판(11)을 밀판 샤프트축(12)에 용착시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하였으며, 상기 밀판(11)의 후면 저부에는 다수의 스토퍼(15)가 설치된 스토퍼 샤프트축(14)을 고정 베이스(16)에 삽입 설치 한 후 고정 베이스(16)를 상기 브라켓트(17)에 설치하여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탄 제거장치.
KR2019950010942U 1995-05-22 1995-05-22 낙광탄 제거장치 KR0135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42U KR0135754Y1 (ko) 1995-05-22 1995-05-22 낙광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42U KR0135754Y1 (ko) 1995-05-22 1995-05-22 낙광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70U KR960037370U (ko) 1996-12-16
KR0135754Y1 true KR0135754Y1 (ko) 1999-03-30

Family

ID=1941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942U KR0135754Y1 (ko) 1995-05-22 1995-05-22 낙광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73B1 (ko) * 2009-05-26 2012-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송물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513B1 (ko) * 1999-11-09 2004-06-16 주식회사 포스코 왕복식 컨베어에 있어서 다단식 낙광처리장치
KR100733340B1 (ko) * 2001-07-16 2007-06-28 주식회사 포스코 트랜스퍼 카에 구비된 낙 코크스 팬의 코크스 누적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73B1 (ko) * 2009-05-26 2012-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송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70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86504A (zh) 一种物料传送装置
KR101897137B1 (ko) 낙탄회수장치
US7055674B2 (en) Self-cleaning enclosed belt conveyor for loose materials
KR0135754Y1 (ko) 낙광탄 제거장치
NL8401329A (nl) Bandtransporteur voor het verticaal of steil transporteren van stortgoed.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0825574B1 (ko)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PL119037B1 (en) Coal-dust conveyor in particular for scraper type chain conveyors konvejjerov
CN112495835A (zh) 矿产分选机
EP0113968B1 (en)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75318B1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CN210285593U (zh) 带式输送机积渣自动清除装置
KR10135046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크리닝 장치
KR20130019651A (ko) 낙광 이송 장치
KR200399271Y1 (ko) 주름혹 컨베이어 벨트의 낙분회수장치
JP4532141B2 (ja) 自掃式落鉱防止ベルト構造
US3469719A (en) Noncylindrical particle storage facility
KR940007147Y1 (ko) 슈트(Chute)의 부착광 제거장치
KR200179920Y1 (ko) 편적 형상에 따라 가변되는 슈트내 이송물 안내장치
KR20020078487A (ko)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
KR102135454B1 (ko) 낙탄회수효율이 개선된 낙탄회수장치
KR200216723Y1 (ko) 철광석 또는 원료탄의 철편 및 고결광 제거장치
US3584748A (en) Bulk material reclaiming apparatus
KR200210290Y1 (ko) 원료장입용 호퍼의 디플렉터 플레이트 부착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