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75B1 -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75B1
KR100910475B1 KR1020020060538A KR20020060538A KR100910475B1 KR 100910475 B1 KR100910475 B1 KR 100910475B1 KR 1020020060538 A KR1020020060538 A KR 1020020060538A KR 20020060538 A KR20020060538 A KR 20020060538A KR 100910475 B1 KR100910475 B1 KR 10091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hute
chute
ore
op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169A (ko
Inventor
김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4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출장비인 리크레이머의 보조 슈트로 적재되는 광석을 보조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개폐 플레이트에 의해 하부 연결슈트에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슈트의 전방 및 후방면에 보조슈트의 선회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지지대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하중을 갖는 웨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보조슈트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주행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결 슈트의 전방에 장착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슈트가 선회될 때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웨이트의 이동을 막아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보조슈트에서부터 개방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60538
불출, 리크레이머, 보조슈트, 컨베이어, 선회

Description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DEVICE FOR EJECTING AN ORE FROM A SUB-CHUTE OF RECLAIMER}
도 1은 종래의 광석(또는 원료) 불출장비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불출장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보조슈트의 채집광에 의한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석 처리장치 작업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석 처리장치의 상세 조립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휠 버케트 3: 선회부
5: 벨트 6: 보조슈트
12: 하부연결 슈트 16: 주행부
18: 이송 슈트 19: 크리너
109: 개폐 플레이트 111: 멈춤롤러
115: 밀폐막 118: 지지대
120: 접촉롤러 121: 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원료 불출작업에 사용되는 리크레이머의 보조슈트 광석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크레이머의 보조 슈트로 적재되는 광석을 보조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개폐 플레이트에 의해 하부 연결슈트에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철산업 및 시멘트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불출장비(또는 리크레이머, reclaimer)는 붐(boom, 2)에 설치된 버켓트 휠(bucket wheel, 1)에 의해 광석을 퍼올리고, 광석은 붐 벨트(boom belt, 5)에 의해 이동되어 지상의 벨트 콘베이어에 이송되어 각각의 사용개소로 보내지게 된다. 리크레이머는 광석의 위치에 따라 휠 버켓트를 옮겨서 광석을 퍼올릴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3)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붐 벨트(5)에서 하부의 주 벨트 컨베이어(13)로 광석을 이동시키는 이송 호퍼가 선회부(3)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트 휠(1)에 의해 퍼올려진 광석은 붐 벨트(5)에서 구동풀리(4)의 회전에 의해 선회부(3)에 장착된 이송슈트(18)로 이송된다. 이때 광석(또는 원료)이 자연낙하되어 하부의 주 벨트 컨베이어(13)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수송되는 광석(또는 원료)의 여분이 벨트에 붙어있어서 크리너(19)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착분은 이송슈트 의 후방에 설치된 보조슈트(6)에 떨어져서 적재된다. 상기 선회부의 회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및 피니언 기어(31,32)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랙기어(31)는 선회부의 선회레일(33)에 일체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32)는 선회부(3)의 몸체에 연결되어 있어서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 주위로 선회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보조슈트(6)의 채집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작업 도중 적당한 량이 채집되면 수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채집된 광석을 제거하여야 하며, 만약 적기에 제거하지 않게 되면 채집되는 광석이 넘치게 되어 불출장비의 선회부 상부에 낙하되어 쌓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낙광(7)은 불출작업 중 선회동작에 영향을 끼치게 되며, 리크레이머 설비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고, 설비가동율을 저하시키게 되며, 설비사고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 인력으로 채집광을 제거시 높은 지역의 협소한 장소에서 제거작업을 하기 때문에 추락사고의 위험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출장비의 보조슈트에 적재되는 광석을 불출작업 중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불출작업시 낙광으로 인한 이상작동을 방지하게 되며, 설비가동율을 향상시키며, 설비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와같이 작업자를 통해 직접 보조슈트의 채집광을 제거하는 대신에 불출장비의 선회작업 중 일정위치에서 자동으로 보조슈트의 하부 플레이트가 개폐되어 채집광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불출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 지 및 설비의 자동화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휠 버켓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버켓으로부터 광석을 전달하는 벨트가 장착되는 붐, 상기 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 전후진 주행하며 상기 붐과 선회부가 장착되는 주행부, 및 이송되는 광석 중 이송호퍼에 투입되지 않은 투입 불량 광석을 적재하는 보조슈트를 포함하는 불출장비의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슈트의 전방 및 후방면에 보조슈트의 선회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지지대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하중을 갖는 웨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보조슈트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주행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결 슈트의 전방에 장착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슈트가 선회될 때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웨이트의 이동을 막아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보조슈트에서부터 개방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석 처리장치 작업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석 처리장치의 상세 조립도이다.
광석이나 원료를 불출하는 불출장비, 즉 리크레이머는 휠 버켓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버켓으로부터 광석을 전달하는 벨트가 장착되는 붐, 상기 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 전후진 주행하며 상기 붐과 선회부가 장착되는 주행부, 및 이송되는 광석 중 이송호퍼에 투입되지 않은 투입 불량 광석을 적재하는 보조슈트를 포함하게 된다.
붐 벨트(5)는 모터에 연결된 구동풀리(4)에 의해 광석을 이송하며, 선회부(3)에 장착되어 있는 이송슈트(18)에 광석을 낙하시킨다. 이송슈트(18)는 하부의 주 벨트 컨베이어(13)와 연결된 호퍼에 광석을 전달하고, 붐 벨트(5) 쪽으로 보조슈트(6)가 장착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붐 벨트(5)에서 이송슈트로 전달되지 않고 보조슈트에 적재되는 투입 불량 광석을 자동으로 주행부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 연결 슈트(12)에 전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보조슈트(6)의 하부에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개폐 플레이트(109)를 포함하게 된다. 개폐 플레이트(109)는 보조슈트(6)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보조슈트의 하부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121)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121)은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곡률을 갖게 되며, 보조슈트(6)의 전방 및 후방측에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21)은 ㄷ자형의 프레임에 긴 슬롯이 형성된 것으로, 슬롯(122)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롤러(114)는 지지대(118)에 의해 상기 개폐 플레이트(109)와 연결되며, 개폐 플레이트(109)의 상측에 적어도 2개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1)은 보조슈트(6)의 선회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개폐 플레이트(109)는 상기 가이드레일(121)과 같은 곡률을 갖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개폐플레이트는 보조슈트(6)의 하부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서 보조슈트의 측방으로 밀려서 개방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개폐 플레이트(109)와 보조 슈트(6)의 사이에는 고무로 형성된 밀폐막(115)이 형성된다. 밀폐막(115)은 보조슈트(6)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는 개폐 플레이트의 작동시 보조슈트 하부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데,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광석이 빠지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의 개방시 광석이 하부로 이동되는 때에 투입구의 주변에 광석이 퍼져서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대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개폐 플레이트(109)의 하부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웨이트(119)가 장착된다. 웨이트(119)는 개폐 플레이트(109)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는 웨이트 박스(110)에 삽입되며, 웨이트의 하중에 의해 플레이트(109)가 정상 상태에서 항상 보조슈트(6)의 하부에 위치하여 밀폐된 상태로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웨이트(119)의 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멈춤 롤러(111)가 장착된다. 멈춤롤러(11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슈트(6)의 진행방향으로 꺽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되어 있다. 즉, 회동가능하게 개폐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나 보조슈트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후방에 젖힘방지 스토퍼(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멈춤롤러(111)의 하부측에는 멈춤롤러(111)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스토퍼는 불출장비의 선회부에 인접한 주행부(16) 상부에 장착되며, 커버(142)의 내부에 스프링(143)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144)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접촉롤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롤러(120)는 멈춤롤러(111)와의 접촉으로 인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접촉롤러(120)가 하부의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측방에는 터치플레이트(145)가 장착되게 된다. 터치 플레이트(145)는 그 하부에 장착되는 선회 일시정지를 위한 감지 스위치(146)에 의해 감지되어 붐의 선회작동을 일시정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는 주행부 상에 형성된 하부 연결 슈트(12)의 전방에 장착되는데, 스토퍼가 멈춤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터치 플레이트(145)가 하부로 움직이게 되면 보조슈트(6)가 상기 하부연결 슈트(12)에 위치하게 된 것이므로, 이때 선회작동을 일정시간 멈추게 되면 개폐 플레이트가 열림과 동시에 일정시간 그에 적재된 광석이 하부로 쏟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슈트의 광석처리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붐(2)의 360도 선회작동에 의해 주행부(16)에 고정설치된 스토퍼 접촉롤러(120)와 개폐 플레이트(109)의 하부에 고정된 멈춤 롤러(111)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보조슈트(6)는 계속 선회회전하고 하부에 가이드레일을 통해 장착된 개폐 플레이트(109)는 계속 전진하지 못하고 스토퍼의 접촉롤러(120)에 의해 멈춰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슈트의 하부 개구부는 점차 열리게 되고, 보조슈트(6)가 하부 연결슈트(1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붐의 선회가 일시 정지하게된다. 이는 접촉 롤러(120)의 측방에 장착된 터치 플레이트(145)가 상기 멈춤롤러(111)의 누름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면 이를 감지 스위치(146)가 감지하여 선회부에 정지신호를 보내게 된다. 하부 연결 슈트(12)의 상부에 위치하게된 보조슈트(6)에서 연결 슈트(12)로 완전히 이송되면 선회부는 다시 선회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보조슈트(6)가 하부 연결슈트(12)로 광석을 배출할때 밀폐막(115)은 광석이 상기 하부 연결슈트(12)의 주위에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멈춤 롤러(111)는 보조슈트의 진행방향으로 꺽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되어 있어서, 붐이 역회전하여 하부 연결 슈트(12)를 지나갈때 스토퍼의 접촉롤러(120)에 의해 개방되지 않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다시 정회전을 통해 개폐 플레이트(109)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슈트(6)에 적재된 광석이 하부연결 슈트(12)를 통해 하부의 주 벨트 컨베이어(13)로 이송되면 이송슈트(18)로부터 이송된 광석과 합쳐져서 필요한 곳으로 운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슈트에 쌓인 광석을 자동으로 하부에 위치한 벨트 컨베이어로 배출하도록 하여 불출장비의 선회작업시 불출작업시 낙광으로 인한 선회부의 이상작동을 방지하게 되며, 설비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같이 작업자를 통해 직접 보조슈트의 채집광을 제거하는 대신에 불출장비의 선회작업 중 일정위치에서 자동으로 보조슈트의 하부 플레이트가 개폐 되어 채집광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불출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불출설비의 완전한 자동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휠 버켓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버켓으로부터 광석을 전달하는 벨트가 장착되는 붐, 상기 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 전후진 주행하며 상기 붐과 선회부가 장착되는 주행부, 및 이송되는 광석 중 이송호퍼에 투입되지 않은 투입 불량 광석을 적재하는 보조슈트를 포함하는 불출장비의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슈트의 전방 및 후방면에 보조슈트의 선회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지지대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일정하중을 갖는 웨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보조슈트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주행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연결 슈트의 전방에 장착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슈트가 선회될 때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웨이트의 이동을 막아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보조슈트에서부터 개방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개폐시에 보조슈트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광석배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같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슈트의 하부 벽면에는 고무로 형성된 밀폐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웨이트의 측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슈트의 진행방향으로 꺽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되어 있는 멈춤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멈춤 롤러는 선회시 상기 접촉 롤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측방에 터치플레이트가 형성된 접촉 롤러 및 탄성수단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롤러는 상기 멈춤롤러와의 접촉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접촉롤러가 하부의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터치 플레이트와 감지 스위치에 의해 감지하여 붐의 선회를 일시 정지하여 보조슈트의 광석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슈트 광석 처리장치.
KR1020020060538A 2002-10-04 2002-10-04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KR10091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538A KR100910475B1 (ko) 2002-10-04 2002-10-04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538A KR100910475B1 (ko) 2002-10-04 2002-10-04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169A KR20040031169A (ko) 2004-04-13
KR100910475B1 true KR100910475B1 (ko) 2009-08-04

Family

ID=3733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538A KR100910475B1 (ko) 2002-10-04 2002-10-04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839B1 (ko) * 2012-04-26 2013-09-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낙광 회수용 리크레이머
CN116750512B (zh) * 2023-08-23 2023-10-27 煤炭工业太原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块煤堆储系统及堆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410A (ja) * 1991-06-08 1993-10-12 Hitachi Kiden Kogyo Ltd 自動除塵機
KR19990013133A (ko) * 1997-07-31 1999-02-25 김종진 되돌이탄 처리호퍼의 상부커버 자동개폐장치
KR20010114085A (ko) * 2000-06-21 2001-12-29 이구택 리크레머의 호퍼장치
KR20020024971A (ko) * 2000-09-27 2002-04-03 이구택 철광석 원료 불출장비의 슈트 막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410A (ja) * 1991-06-08 1993-10-12 Hitachi Kiden Kogyo Ltd 自動除塵機
KR19990013133A (ko) * 1997-07-31 1999-02-25 김종진 되돌이탄 처리호퍼의 상부커버 자동개폐장치
KR20010114085A (ko) * 2000-06-21 2001-12-29 이구택 리크레머의 호퍼장치
KR20020024971A (ko) * 2000-09-27 2002-04-03 이구택 철광석 원료 불출장비의 슈트 막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169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475B1 (ko)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43084B1 (ko)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KR20010063925A (ko)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100520875B1 (ko) 하역기의 가역 벨트 크리너자동조절장치
JP3432785B2 (ja) 傾斜ベルトコンベヤの落荷回収装置
JPH07215433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
CN2298233Y (zh) 斗式升降机
CN219750967U (zh) 提升机及输送系统
JP3574760B2 (ja) 持ち上げ排出型コンベア装置
KR100560813B1 (ko) 언로더의 낙광 자동 회수시스템
CN217866984U (zh) 一种斗轮堆取料机的接料组件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0885959B1 (ko)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CN218230708U (zh) 一种皮带通廊清灰装置及系统
CN215085830U (zh) 高岭土加工车间用除尘器的卸料器
KR20060119419A (ko)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KR101142492B1 (ko)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KR19980063628U (ko) 스택킹 장비의 낙하원료 유도장치
JP2011195298A (ja) ヤード移動機
CN109809156B (zh) 一种带式输送机转运斗
KR101246325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이물질 이송장치
KR101424466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9990018222U (ko) 집진기 체인컨베이어의 탈진 및 급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