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92B1 -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92B1
KR101142492B1 KR1020040112406A KR20040112406A KR101142492B1 KR 101142492 B1 KR101142492 B1 KR 101142492B1 KR 1020040112406 A KR1020040112406 A KR 1020040112406A KR 20040112406 A KR20040112406 A KR 20040112406A KR 101142492 B1 KR101142492 B1 KR 10114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blocking plate
swivel
pedestal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268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4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slip between driving element and load-carrier,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서 이송되는 각종 광석을 야드에 적치하는 스테커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슈트의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되면서 그 일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스톱퍼, 상기 스톱퍼의 사이공간에 구성되면서 그 양단에 스톱퍼로 삽입되는 가이드롤러가 장착된 회전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슈트의 입구를 개폐하면서 그 양단부에 스톱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이 형성된 막음판 및, 상기 회전대와 상기 막음판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대를 중심으로 막음판을 회전시키는 연결대로 이루어져, 스테커붐의 트러블로 인해 발생하는 광석의 밀림현상이나 벨트컨베이어의 백슬립현상이 봉쇄되므로, 낙광이나 분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상의 잔량이 쉽게 처리되어 잔량처리에 따른 각종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게 한 것이다.
스테커붐, 슈트, 받침대, 스톱퍼, 회전대, 막음판, 연결대

Description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Device for preventing the slip of belt conveyor mounting in stacker boo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슬립상태를 도시한 일실시예,
도 3는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슬립상태를 도시한 타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닫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방방지장치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테커 200 : 스테커붐
210 : 벨트컨베이어 220 : 슈트
10 : 받침대 20 : 스톱퍼
30 : 회전대 31 : 가이드롤러
40 : 막음판 41 : 회전봉
42 : 가이드롤러 43 : 끼움공
50 : 연결대 51 : 회전봉
본 발명은 선박에서 이송되는 각종 광석을 야드에 적치하는 스테커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커붐의 상승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송광석의 밀림현상과 벨트자체의 백슬립현상을 차단하여 손비손상과 환경오염을 예방시킬 수 있도록 된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선박에 의해 수송되는 연,원료를 하역 장비인 언로더를 통해 하역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야드에 적치하는 대용량의 이송장비가 구비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이송장치(100)는, 벨트컨베이어(111)를 이용하여 광석을 이송시키는 스테커(110)와, 이 스테커(110)에서 공급되는 광석을 야드로 이송하여 적치하는 스테커붐(200)이 구성된다.
이때, 스테커붐(200)은 수송물의 조건에 따라 최대한 많은 양의 광석을 야드 양측에 효율적으로 적치하기 위하여 승강되며, 특히 도 2에서와 같은 스테커붐에 구성된 벨트컨베이어(210)는 수송물 입자 특성이나 기상조건 등 작업조건의 변화로인해 커버를 설치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송장치(100)는 우기시에 빗물의 유입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수송광석 자체에 수분이 다량 함유되는 경우 또는 분진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살수하는 경우 또는 펠레트와 같이 둥근입자인 경우 기내설비의 트러블 발생으로 붐 벨트 컨베이어가 정지하는 설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스테커붐(200)의 상승과정에서 벨트컨베이어(210)가 경사지는 경우 수 송광석의 백슬립현상으로 인해 도 2에서와 같이 슈트(220)의 하부측으로 밀려나오면서 낙광사고가 발생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슈트(220)의 내부를 막아 오버로드 현상이 발생되어 이송작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슈트(220)에 공급되는 수송광석의 백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벨트를 신장시킴은 물론 스커트 판의 휨과 스커트 러버의 탈락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낙광과 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대두됨은 물론 슈트(220)내의 잔량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작업하중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테커붐의 상승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송광석의 밀림현상과 벨트자체의 백슬립현상을 차단하여 손비손상과 환경오염을 예방시킬 수 있도록 된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커붐용 슈트의 전방측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되면서 그 일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스톱퍼, 상기 스톱퍼의 사이공간에 구성되면서 그 양단에 스톱퍼로 삽입되는 가이드롤러가 장착된 회전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슈트의 입구를 개폐하면서 그 양단부에 스톱퍼와 힌지식으로 결합된 회전봉이 형성됨은 물론 그 내벽에 광석과 접촉되는 가이드롤러가 부착된 막음판 및, 상기 회전대와 상기 막음판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대를 중심으로 막음판을 회전시키는 연결대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밀림방지장치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선박에 의해 수송된 다음 하역장비인 언로더를 통해 하역되어 스테커(100)의 작동과정에서 이송되는 광석을 슈트(220)로 공급받아 벨트컨베이어(210)를 통해 야드에 적치하는 스테커붐에 있어서, 상기 슈트(220)의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에 고정되면서 그 일측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스톱퍼(20), 상기 스톱퍼(20)의 사이공간에 구성되면서 그 양단에 스톱퍼(20)로 삽입되는 가이드롤러(31)가 장착된 회전대(30), 상기 받침대(10)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슈트(220)의 입구를 개폐하면서 회전봉(41)이 형성된 막음판(40) 및, 상기 회전대(30)와 상기 막음판(40)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막음판(40)을 회전시키는 연결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중 이송장치(100)의 스테커(110)와 스테커붐(200)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스테커붐(200)의 슈트(220)에 밀림방지장치(1)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밀림방지장치(1)는 받침대(10)와 스톱퍼(20)와 회전대(30)와 막힘판(40)과 연결대(5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됨을 첨언한다.
그리고, 받침대(10)는, 슈트(220)의 전방측 즉, 인넷 슈트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외관이 대략 "ㄷ"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수평방향으로 고정시키며, 특히 밀림방지장치의 전체하중을 지탱할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톱퍼(20)는, 받침대(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막음판(40)의 폐쇄상태를 지속시키는 것으로서, 그 일측면에 가이드롤러(31)를 수용하여 이탈을 방지시키는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대(30)는, 스톱퍼(20)의 사이공간에 수평방향을 따라 구성되는 회전체로서, 그 양단부에 스톱퍼(20)로 삽입되거나 또는 받침대(10)의 상면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이드롤러(31)가 장착된다.
그리고, 막음판(40)은, 받침대(10)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슈트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슈트(220)의 입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힌지식으로 결합된 회전봉(41)이 형성되면서, 그 내벽에 이송광석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2)가 형성된다.
또한, 막음판(40)은 그 몸체의 상면이 회전대(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대(50)은, 회전대(30)와 막음판(40)의 사이에 구성되어 막음판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가 회전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에 막음판(40)의 끼움공(43)으로 삽입되는 회전봉(51)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커붐(20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슈트(220)를 통해 공급되는 광석이 상기 막음판(40)의 내벽에 장착된 가이드롤러(42) 와 간섭되므로, 막음판(40)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회전대(30)의 가이드롤러(31)는, 받침대(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스톱퍼(20)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므로, 회전대(30)에 연결대(50)을 통해 연결된 막음판(40)이 개방상태를 지속하는 것이다.
만일, 스테커붐(2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슈트(220)로부터 광석이 공급되지 않거나 벨트컨베이어가 백슬립되는 경우, 막음판(40)의 가이드롤러(42)와 광석이 간섭하지 않아 막음판(40)이 닫히게 된다.
더불어, 회전대(30)의 가이드롤러(31)는 받침대(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톱퍼(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서, 막음판(40)의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광석의 역류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의해, 슈트(220)내에 더이상 광석이 역류되거나 유입되지 않으므로 광석의 밀림현상이나 벨트컨베이어의 백슬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광과 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것이다.
더불어, 스테커붐(200)의 트러블이 해제되어 정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막음판(40)의 가이드롤러(42)가 이송광석과 간섭되므로, 이송광석의 흐름이 유도되어 벨트컨베이어상의 잔량이 쉽게 처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스테커붐의 트러블로 인해 발생하는 광석의 밀림현상이나 벨트컨베이어의 백슬립현상 등이 봉쇄되므로, 낙광이나 분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오염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상의 잔량이 쉽게 처리되어 잔량처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선박에 의해 수송된 다음 하역장비인 언로더를 통해 하역되어 스테커의 작동과정에서 이송되는 광석을 슈트로 공급받아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야드에 적치하는 스테커붐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스톱퍼, 상기 받침대상에서 이동하고 그 양단에 스톱퍼로 삽입되는 가이드롤러가 장착된 회전대, 상기 슈트에 힌지결합되어 슈트의 입구를 개폐하는 막음판, 상기 회전대와 막음판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막음판을 회전시키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와 연결되고 상기 막음판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은 그 내벽면에 광석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롤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그 하단부에 막음판에 형성된 끼움공으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KR1020040112406A 2004-12-24 2004-12-24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KR10114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06A KR101142492B1 (ko) 2004-12-24 2004-12-24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06A KR101142492B1 (ko) 2004-12-24 2004-12-24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68A KR20060073268A (ko) 2006-06-28
KR101142492B1 true KR101142492B1 (ko) 2012-05-07

Family

ID=3716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406A KR101142492B1 (ko) 2004-12-24 2004-12-24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631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82A (ko) * 1999-10-21 2001-05-15 이구택 원료 수송벨트의 슬립 방지장치
KR20050048839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슬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082A (ko) * 1999-10-21 2001-05-15 이구택 원료 수송벨트의 슬립 방지장치
KR20050048839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슬립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631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098B1 (ko) * 2018-11-26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68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977Y1 (ko)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호퍼
WO2012016974A1 (de) Entlademanipulator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entladen von stückgütern
KR20060001881A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KR101965253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KR101142492B1 (ko) 스테커붐용 벨트컨베이어의 밀림 방지 장치
CN106882612A (zh) 对内河散货船进行卸货直接装集装箱的作业方法及平台
KR10134432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US6863324B1 (en) Drop-bottom container
CN204607126U (zh) 环保型可逆配仓带式输送机系统
KR20010063925A (ko)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101099684B1 (ko)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CN213736754U (zh) 集装箱及具有其的运输车
KR200410441Y1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CN206654575U (zh) 对内河散货船进行卸货直接装集装箱的作业平台
KR100511512B1 (ko) 언로더 슈트 방호장치
KR101041529B1 (ko) 낙하물 차단장치
KR100910475B1 (ko) 불출장비 보조 슈트의 광석 처리 장치
CN207511372U (zh) 一种防磕碰接料桶及防磕碰缓冲系统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CN210557631U (zh) 一种卸料车移动分料装置
KR100885959B1 (ko)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KR100723133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장치
KR200184062Y1 (ko) 하역기 바케트용 낙광 방지장치
CN210593818U (zh) 一种铁路货场散堆货物协作运输系统
CN220334212U (zh) 一种用于皮带转接点无动力泄压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