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959B1 -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959B1
KR100885959B1 KR1020020068415A KR20020068415A KR100885959B1 KR 100885959 B1 KR100885959 B1 KR 100885959B1 KR 1020020068415 A KR1020020068415 A KR 1020020068415A KR 20020068415 A KR20020068415 A KR 20020068415A KR 100885959 B1 KR100885959 B1 KR 10088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fixed
belt conveyor
ov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090A (ko
Inventor
김동익
김대현
박원석
오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9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09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석과 같은 연원료를 호퍼(Hopper)에서 벨트컨베이어(Belt-Conveyor)로 적출할 때 다량의 광석이 벨트컨베이어 상부에 적출되어 벨트컨베이어에 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양이 벨트컨베이어로 적출이 되게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역기 호퍼(1)의 호퍼게이트(2)를 관통하는 유선형 컷게이트(11)와, 이의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하향 확장된 제1와이어로프(19)를 하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호퍼게이트(2)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킷형 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과; 상기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버킷형 플레이트(14)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어 확장되는 제2와이어로프(28)를 상부 중앙에 고정하면서 하역기 낙광방지판(4) 배출구에 설치되는 낙광제어판(22)과, 이의 후면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압축스프링(26b)를 삽입하여 고정지지대(26c)에 관통 고정되는 전후진 샤프트(26a)로 이루어지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68415
낙광제어판, 컷게이트, 호퍼게이트, 낙광방지판, 벨트컨베이어

Description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RES FROM BEING OVERLOADING ON THE BELT-CONVEYOR}
도 1은 하역기의 호퍼 및 낙광방지판으로부터 연원료가 불출되는 상황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하역기 호퍼로부터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하역기 호퍼가 비어있을 때 연원료가 투입되어 과불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종래의 하역기 호퍼 및 낙광방지판으로 연원료가 불출되어 오버로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의 구성을 사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가 종래의 하역기 호퍼 및 낙광방지판에 장차된 상태를 사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호퍼 2:호퍼 게이트 3:벨트켄베이어 4:낙광방지판
5:스카트 6:피더 7:피더 틸팅 11:켓 게이트 12:와이어 클립
13a, 13b:가이드롤러 14:바켓트형 플레이트 20. 롤러 고정대
21a:지지대 22:낙광제어판 24a:샤프트 27a:래일
29:피더 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홀드(Hold)에서 하역기의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광석을 하역하여 저장한 호퍼(Hopper)에서 벨트컨베이어(Belt-Conveyor)를 통해서 적출할 때 다량의 광석이 벨트컨베이어 상부에 적출되어 벨트컨베이어에 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양이 벨트컨베이어로 적출이 되게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연원료의 하역작 업은 하역 크레인(Crane)인 언로더(Unloader; 원료하역기)의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호퍼(1)에 연원료를 적재하여 피더(6)에 의해 기내 벨트컨베이어(3)를 통하여 각각의 안벽 벨트컨베이어(미도시)로 연원료와 같은 수송물을 중개하여 야드에 적치된다.
상기한 이송과정에서 교대 후 첫 작업 및 브랜드 변경시 호퍼게이트(2) 작동상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호퍼(1)에 호퍼게이트(2)를 많이 열어 놓고, 하역기의 버킷으로부터 연원료가 공급되면, 도 3의 (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꺼번에 많은 양이 벨트컨베이어(3)로 적출되면서 과부하가 발생되며, 이와 같은 순간적으로 다량의 광석이 벨트컨베이어(3) 상부에 불출되면 벨트컨베이어(3)에 오버로드(Overload)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박에서 하역기의 호퍼(10)로 버킷이 이동 중에 버킷의 마모정도와 연원료(100)의 성질 및 운전원의 실수와 장비 트러블로 버킷에서 다량의 낙광이 발생되는데, 이것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낙광방지판(4)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연원료 정량으로 적출 중에 낙광방지판(4)에서 벨트컨베이어(6)로 떨어진 양과 피더(11)에서 떨어지는 양이 합쳐져서 스커트(Skirt; 5) 등에 걸려서 벨트컨베이어(3)에 오버로드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벨트컨베이어 오버로드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호퍼(1)일 경우(가)에 호퍼게이트(2)를 닫고 호퍼(1)에 버킷의 연원료를 부어 호퍼(1)에 일정 이상의 양이 있을 때 점진적으로 호퍼게 이트(2)를 열어 일정하게 적출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의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 정상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사람인 운전자의 순간적인 방심 및 부주의로 오버로드가 발생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벨트컨베이어(3)가 구동모터의 과부하로 인하여 정지하는 경우 오버로드를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원이 필요하고, 무리한 벨트컨베이어(3)의 가동시 구동모터의 소손이 다시 발생될 수도 있어 하역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상기와 같은 오버로드 복구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낙광으로 인하여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이송물의 원가상승에도 영향을 주어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역기의 하역작업 중에 낙광방지판에 떨어지는 다량의 낙광과 연원료의 특성상 한꺼번에 다량의 연원료가 적출시 다량의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에 쌓여져 발생되는 오버로드를 방지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역기 호퍼의 호퍼게이트를 관통하는 유선형 컷게이트와, 이의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하향 확장된 제1와이어로프를 하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호퍼게이트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킷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과; 상기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을 구성하 는 버킷형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어 확장되는 제2와이어로프를 상부 중앙에 고정하면서 하역기 낙광방지판 배출구에 설치되는 낙광제어판과, 이의 후면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압축스프링를 삽입하여 고정지지대에 관통 고정되는 전후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낙광 불출방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선형 컷게이트가 상기 호퍼게이트를 관통하여 호퍼게이트에 회전가능하도록 내장된 가이드 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낙광제어판이 이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와, 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안내되는 구동휠에 의하여 전후진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불출방지수단 및 낙광 불출방지수단을 이어주는 제2와이어로프가 중앙 상부에 호퍼에 고정된 텐션지지대에 텐션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텐션지지대와, 이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쉬브에 의하여 텐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의 구성을 사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 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가 종래의 하역기 호퍼 및 낙광방지판에 장차된 상태를 사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벨트컨베이어(3)에 무리한 부하를 줄 정도의 다량의 연원료를 호퍼(Hopper; 1)의 피더(Feeder; 6)로부터 방지하는 유선형 컷게이트(Cut Gate; 11)가 주구성 요소인 호퍼 과불출방지수단과; 호퍼(1)의 후측부에 설치된 낙광방지판(4)으로 유입된 낙광을 감지하여 불출을 제어하는 낙광제어판(22)가 주구성 요소인 낙광 불출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은 종래의 호퍼게이트(2) 일측면에 관통홀을 내어 유선형 컷게이트(11)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유선형 컷게이트(11)는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호터게이트(2)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 롤(13a)이 설치되어 호퍼게이트(2) 일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 설치되는 유선형 컷게이트(11)의 일측에는 제1와이어로프(19)와 연결 가능하도록 와이어클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19)는 다수의 쉬브(20a-1, 20a-4)를 거쳐 버킷형 플레이트(14)의 일측의 와이어클립(18)에 연결된다.
상기 버킷형 플레이트(14)의 일측면에는 불출되는 연원료를 수용하도록 버킷(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버킷형 플레이트(14)의 타측면에는 한 쌍의 베어링블록(16a, 16b)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블록(16a, 16b)을 관통하는 고정 샤프트(15)에 의하여 버킷형 플레이트(14)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샤프트(15)의 양측은 스커트 플레이트(5)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버킷형 플레이트(14)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와이어클립(17)에는 후술하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을 구성하는 낙광제어판(22)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와이어클립(23)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프(28)가 연결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와이어로프(28)에 의하여 상기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의 버킷형 플레이트(14)와 동시에 동작하도록 동력 연결된다.
상기 제2와이어로프(28)는 중앙부에는 와이어로프(28)의 텐션(Tension)을 유지하도록 별도의 텐션장치(21)가 설치된다.
즉, 호퍼(1)의 측면부에 고정된 고정대(21b)를 텐션지지대(21a)가 텐션스프링(21c)를 삽입하여 고정되며,
상기 텐션지지대(21a)의 하단부에는 와이어쉬브(21d)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2와이어로프(28)를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줌으로써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의 낙광제어판(22)의 일측면에는 고정샤프트(24a,25a)가 용접고정된 고정 지지대(24c,25c)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고정샤프트(24a,25a)의 양측에는 구동휠(24b,25b)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구동휠(24b,25b)은 스커트 플레이트(5) 일측면에 각각 3개의 가이드 레일(27a, 27b, 27c)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이드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7a, 27b, 27c)은 스커트 플레이트(5)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최하부의 가이드레일(27a) 일측면에는 피더 제어용 리미트스튀치(29)가 고정된다.
또한, 낙광제어판(22) 일측면에는 전후진샤프트(26a)의 일측단부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이에 압축스프링(26b)이 삽입되어 타측이 샤프트 고정지지대(26c)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압축스프링(26b)은 상기 전후진샤프트(26a)에 삽입되어 낙광제어판(22)을 항시 낙광방지판(4) 쪽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병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작업조건은 상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로 분류가 된다.
첫 번째 작업조건은, 도 8에 도시된 같이, 호퍼(1)가 비어있는 경우로서, 호퍼게이트(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컷게이트(11)가 피더(6)면으로부터 상부 약10cm 공간까지 다운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유지된 상태에서 호퍼(1)로 연원료가 투입되면 컷게이트(11)에 의해 불출되는 연원료가 제어되고, 피더(6)가 가동되면 연원료(8)가 아주 작은 양이 적출되면서 버킷형 플레이트(14)의 버킷(14a)에 원료가 적재되어 (나)도와 같이 무게중심에 의해서 버킷형 플레이트(14)가 샤프트(15)를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반회전 되면서 제1와이어로프(19)를 당기게 된다.
상기 당겨진 제1와이어로프(19)는 다수의 쉬브(20b-4, 20b-2, 20b-1)가 회전되면서 상기 컷게이트(11)가 상부로 열려 연원료가 정상적으로 적출되는 것이다.
이때 낙광제어판(22)와 연결된 제2와이어로프(28)가 당겨지면 와이어텐션장치(21)의 텐션스프링(21c)이 상부로 작동하므로 낙광제어판(22)은 전혀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이다.
두 번째 작업조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피더(6)에서 정상적으로 작업 중에 다량의 낙광된 연원료가 낙광방지판(4a)으로 유입되면 보조낙광방지판(4b) 하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낙광 불출제어수단이 작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낙광 불출제어수단을 구성하는 낙광제어판(22)이 낙광탄에 의해서 벨트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나)도에서와 같이, 제한된 양을 불출함과 동시에 피더 제어용 리미트스위치(29)가 구동휠(25b)의 작동으로 터치하면 피더(6)는 정지되어 적출 중단된다.
이때 제2와이어로프(28) 당기는 힘에 의해서 버킷형 플레이트(14)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자동으로 제1와이어로프(19)가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유선형 컷게이트(11)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어 호퍼(1)로부터 불출되는 연원료의 양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낙광탄이 모두 처리되면 반대로 낙광제어(22)가 압축스프링(26b)의 팽창력에 의해서 원위치되면서 다시 리미트스위치(29)를 터치하면 피더(6)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어 연원료를 적출되고,
상기 적출되는 연원료에 의해 다시 버킷형 플레이트(14)가 반회전되면서 유선형 컷게이트(11)를 개방시켜 줌으로써 정상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꺼번에 다량의 연원료가 쏟아져서 벨트 컨베이어(15)의 구동 모터에 부하를 주거나 아웃넷트 슈트 지지대(17)에 걸려 오버로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역 효율 향상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오버로드 발생으로 인한 낙광으로 환경오염 방지와 오버로드 복구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4)

  1. 하역기 호퍼(1)의 호퍼게이트(2)를 관통하는 유선형 컷게이트(11)와, 이의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하향 확장된 제1와이어로프(19)를 하부에 고정하면서 상기 호퍼게이트(2)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버킷형 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호퍼 과불출방지수단과;
    상기 호퍼 과불출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버킷형 플레이트(14)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어 확장되는 제2와이어로프(28)를 상부 중앙에 고정하면서 하역기 낙광방지판(4) 배출구에 설치되는 낙광제어판(22)과, 이의 후면 중앙부에 고정되면서 압축스프링(26b)를 삽입하여 고정지지대(26c)에 관통 고정되는 전후진 샤프트(26a)로 이루어지는 낙광 불출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형 컷게이트(11)는 상기 호퍼게이트(2)를 관통하여 호퍼게이트(2)에 회전가능하도록 내장된 가이드 롤(13a, 13b)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광제어판(22)은 상기 낙광제어판(22)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24a, 25a)와, 상기 낙광제어판(22)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가이드레일(27a, 27b, 27c)에 의하여 안내되는 구동휠(24b, 25b)에 의하여 전후진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과불출방지수단 및 낙광 불출제어수단을 이어주는 제2와이어로프(28)는 중앙 상부에 호퍼(1)에 고정된 텐션지지대(21a)에 텐션스프링(21c)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텐션지지대(21a)와, 상기 텐션지지대(21a)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쉬브(21d)에 의하여 텐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KR1020020068415A 2002-11-06 2002-11-06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KR10088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415A KR100885959B1 (ko) 2002-11-06 2002-11-06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415A KR100885959B1 (ko) 2002-11-06 2002-11-06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90A KR20040040090A (ko) 2004-05-12
KR100885959B1 true KR100885959B1 (ko) 2009-02-26

Family

ID=3733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415A KR100885959B1 (ko) 2002-11-06 2002-11-06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62B1 (ko) * 2012-02-28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CN109896252A (zh) * 2019-04-18 2019-06-18 山东临港有色金属有限公司 镍铁矿自动上料装置
CN110562709B (zh) * 2019-10-10 2021-01-15 王国林 一种工业石料运输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326A (en) * 1975-05-15 1981-12-08 Frito-La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multiple layered bed of pieces into a thinner layer
JPH06183529A (ja) * 1992-12-22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粉体の散布装置
KR20000014672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KR20010063925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20020002041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피더의 광석과불출 제어장치
KR20020047890A (ko) * 2000-12-14 2002-06-22 이구택 하역기의 원료 오적치시 불출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326A (en) * 1975-05-15 1981-12-08 Frito-La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ing a multiple layered bed of pieces into a thinner layer
JPH06183529A (ja) * 1992-12-22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粉体の散布装置
KR20000014672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KR20010063925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20020002041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피더의 광석과불출 제어장치
KR20020047890A (ko) * 2000-12-14 2002-06-22 이구택 하역기의 원료 오적치시 불출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90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92830U (zh) 一种袋装物料投放装置
KR100885959B1 (ko)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JP2007144255A (ja) 破砕機
US4599951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cineration residues from furnaces, particularly refuse incinerators
KR20010063925A (ko) 벨트 콘베이어 과부하 방지장치
KR101298761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0224717Y1 (ko) 제철원료내의 철편제거 및 괴광파쇄 장치
KR100560813B1 (ko) 언로더의 낙광 자동 회수시스템
JPH0826460A (ja) 荷役機械のブームコンベヤ装置
CN219971212U (zh) 一种料斗活动格栅
KR20020047890A (ko) 하역기의 원료 오적치시 불출제어장치
CN218560256U (zh) 一种碎矿石输送带装置
CN212798735U (zh) 一种主井辅助提升设备
KR20040043797A (ko)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AU2015286228B2 (en) Open pit mining
KR200265064Y1 (ko) 언로우더 피더의 과불출 차단장치
KR200337038Y1 (ko) 고로원료 수송라인의 철편 제거장치
JP3443092B2 (ja) ダンプカーの後方バタ板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CN210557631U (zh) 一种卸料车移动分料装置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CN215665734U (zh) 一种用于皮带输送机的溜槽导向装置
JPH0234251Y2 (ko)
GB2340771A (e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