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797A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797A
KR20040043797A KR1020020072203A KR20020072203A KR20040043797A KR 20040043797 A KR20040043797 A KR 20040043797A KR 1020020072203 A KR1020020072203 A KR 1020020072203A KR 20020072203 A KR20020072203 A KR 20020072203A KR 20040043797 A KR20040043797 A KR 2004004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wer chute
fixed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797A/ko
Publication of KR2004004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하부슈트 중 수송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부슈트의 덮개만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개선된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슈트의 상부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상에서 활주 이동하고 그 양측면에 지지판이 고정된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산형(山形)으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플레이트상 상기 덮개의 양측면에 배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된 제 1,2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가압부재가 상기 배출슈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하부슈트의 덮개만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개폐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덮개의 개폐로 인한 작업지연시간을 줄임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AN AUTOMATIC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LOWER CHUTE COVER OF CONTINUOUS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하부슈트 중 수송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부슈트의 덮개만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개선된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원료는 산적화물(bulk)의 형태로 운송되며, 그 운송은 육상과 해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대개 선박에 의하여 해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의해 산적화물의 형태로 운송된 연,원료등의 수송물(102)은 대개 연속식 언로더(100)에 의해 하역되는데, 상기 연속식 언로더(100)는 버킷 엘리베이터부(110)의 하부에 마련된 굴삭부(130)에 의해 수송물(102)을 굴삭하여 붐(boom)부(150)로 공급하고, 상기 붐부(150)로 공급된 수송물(102)은 상기 붐부(150)에 설치된 붐 컨에이어 벨트(미도시)에 의해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로 이송되어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190)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부(190)로 공급됨으로서 각 공정으로 불출된다.
한편,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는 상기 연속식 언로더(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하며, 그 선단에는 수송물(102)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배출슈트(174)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에 플레이트(17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76)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190)의 프레임(194)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슈트(174)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176)의 하부에는 하부슈트(178)가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슈트(178)는 선회가능한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단에 고정된 배출슈트(174)가 선회하는 경로와 일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76)의 하부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192)로 수송물(102)을 각각 공급하도록 대응되어 있는데, 상기 플레이트(176)는 상기 다수개의 하부슈트(178)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176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를 선회시킴으로서 상기 붐 컨베이어벨트(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수송물(102)을 상기 플레이트(176)의 개구부(176a)와 하부슈트(178)를 통해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192)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17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하부슈트(178) 중 수송물(102)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하부슈트(178)들은 상기 플레이트(176)상에서 행해지는 점검 및 정비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덮개(180)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슈트(178)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상기 하부슈트(178)를 폐쇄시키는 덮개(180)는 그 중량이 상당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덮개(180)로 상기 하부슈트(178)를 개폐시키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하부슈트(178)를 상기 덮개(180)에 의해 개폐하는 경우, 하부슈트(178)내로 작업자가 추락할 우려가 있고,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가 작업자에 의한 점검 및 정비작업이 행해지는 상기 플레이트(176) 상을 선회하므로 충돌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우려가 항상 존재하고 있었으나,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단에 고정된 배출슈트(174)가 상기 하부슈트(178)의 상부에 배치된 플레이트(176)상을 선회하므로 특별한 안전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하역되는 연,원료등 수송물(102)의 종류에 따라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를 선회시켜 상기 플레이트(176)의 하부에 배치된 다수개의하부슈트(178)중 하나의 하부슈트(178) 변경,선택하여 지상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92)로 수송물(102)을 공급할 때,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상기 덮개(180)를 개폐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개의 하부슈트 중 수송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부슈트의 덮개만이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의 휴지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언로더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개략도,
(b)는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덮개가 폐쇄되어 있는 사시도,
(b)는 (a)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사시도,
(b)는 (a)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덮개부12..... 플레이트
14, 16..... 덮개18..... 바퀴
20..... 안내레일12..... 플레이트
30..... 링크부32..... 링크부재
34..... 가이드 롤러50..... 가이드부
52..... 가이드바54,56..... 제 1,2스프링
58..... 고정블럭58..... 고정블럭
72..... 가압부재100..... 연속식 언로더
110..... 버킷 엘리베이터부130..... 굴삭부
150..... 붐부170.....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
172..... 회전축174..... 배출슈트
178..... 하부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슈트를 구비하고 선회가능한 로타리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하부슈트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수송물을 하역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하부슈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슈트와 일치하는 다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상에서 활주 이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그 양측면에 지지판이 고정된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산형(山形)으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의 양측면에 배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지지판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된 제 1,2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가압부재가 상기 배출슈트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서 상기 덮개가 개폐되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덮개가 폐쇄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정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1)는 크게 덮개부(10), 링크부(30), 및 가이드부(50)를 포함하고 있는데 우선 덮개부(1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0)는 벨트 컨베이어부(미도시)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192)로 수송물을 안내하는 하부슈트(178)의 상부에 배치된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상에서 활주 이동하는 한 쌍의 덮개(14,16)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2)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92)상으로 수송물(102)을 안내하는 하부슈트(178)의 상단과 선회가능한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단에 고정된 배출슈트(174) 하단과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슈트(178)는 선회가능한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배출슈트(174)가 선회하는 경로와 일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슈트(178)는 지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벨트(192)상으로 수송물(102)을 각각 공급하도록 대응되어 있는데, 상기 플레이트(12)는 상기 다수개의 하부슈트(178)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개구부(12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구부(12a)의 양측에는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된 안내레일(20)이 배치된다.
한편, 한쌍으로 이루어진 덮개(14,16)는 각각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바퀴(18)를 구비하고 있는 판상(板狀)이며 양측면에는 지지판(14a,16a)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14,16)는 상기 바퀴(18)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20)상을 활주한다.
이때, 상기 덮개(14,16)는 상기 하부슈트(178)를 충분히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데, 활주방향길이는 상기 하부슈트(178)의 길이의 1/2이상이 바람직하며 폭은 상기 하부슈트(178)의 폭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30)는 사다리 형상의 링크부재(32)와 상기 링크부재(32)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롤러(34)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링크부재(32)는 일측이 상기 한쌍의 덮개(14,16)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은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산형(山形)을 이루고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형(山形)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가하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한쌍의 덮개(14,1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짐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2) 하부에 마련된 하부슈트(178)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50)는 가이드바(52)와 상기 가이드바(52)에 삽입된 제 1,2스프링(54,56)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가이드바(52)는 원주(圓柱)형상이며 양끝단 단면의 중심에 암나사부(52a)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블럭(58)이 볼트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52)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고정블럭(58)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이고 중앙에 관통홀(58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58a)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바(52)의 암나사부(52a)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가이드바(52)와 상기 고정블럭(58)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끝단에 고정블럭(58)이 고정된 가이드바(52)는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20)과 평행하도록 상기 안내레일(20)의 외측 플레이트(12)상에 상기 고정블럭(58)이 볼트고정됨으로서 상기 가이드바(52)의 상기 플레이트(12)상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14,16)의 양측면에 고정된 지지판(14a,16a)에는 상기 가이드바(52)의 직경보다 큰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52)가 상기 지지판(14a,16a)에 형성된 안내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52)에는 제 1,2스프링(54,56)이 삽입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프링(54)은 상기 가이드바(52)의 양측에 고정된 고정블럭(58)과 상기 덮개(14,16)의 측면부에 고정된 지지판(14a,16a)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52)에 삽입되며, 제 2스프링(56)은 상기 지지판(14a,16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바(52)에 삽입된다.
도면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가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12)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슈트(178)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2)의 상부에 상기와 같은 구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슈트(174)의 하부에는 가압부재(72)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가압부재(72)는 양끝단이 상방향으로 경사져 절곡된 형태를 갖추어 상기 배출슈트(174)의 선회시 상기 링크부재(32)의 가이드 롤러(34)에 걸리지 않으며 상기 링크부재(32)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72)의 절곡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링크부재(32)의 가이드 롤러(34)를 하방향으로 누르며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슈트(174)의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가능한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단에 고정된 배출슈트(174)는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에 의해 공급된 수송물(102)을 하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수송물(102)을 공급할 하부슈트(178)가 선택되어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가압부재(72)가 하부에 고정된 배출슈트(174)는 상기 선택된 하부슈트(178)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슈트(174) 하부에 고정된 가압부재(72)는 상기 덮개(14,16)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산형(山形)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의 가이드 롤러(34)를 측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72)는 양끝단이 상방향으로 경사져 절곡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상기 가이드 롤러(34)에 걸리지 않으며 상기 링크부재(32)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하는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배출슈트(174) 하부에 고정된 가압부재(72)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32)가 하방향으로 눌려짐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2)는 상기 플레이트(12)상에서 활주가능하도록 구성된 한쌍의 덮개(14,16)를 양방향으로 밀게되므로 상기 덮개(14,16)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이후에 수송물(102)이 하방향으로 공급되어 하부슈트(178)를 통해 지상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92)로 공급되어 각 공정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덮개(14,16)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52)에 삽입된 제 1스프링(54)은 상기 가이드바(52)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럭(58)과 상기 덮개(14,16)의 양측면에 고정된 지지판(14a,16a)에 의해 압축되는데, 수송물(102)의 공급이 종료되거나 다른 하부슈트(178)로 상기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가 선회하게 되면 상기 제 1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4a,16a)이 중앙부로 밀려 이송됨으로서 상기 덮개(14,16)는 폐쇄되고 상기링크부재(32)는 다시 산형(山形)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14,16)가 폐쇄될 때, 상기 제 2스프링(56)은 상기 덮개(14,16)의 과도한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하며 상기 제 1스프링(54)의 탄성력과 평형을 이루어 상기 덮개(14,16)가 적당하게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송물(102)이 하역되도록 선택된 하부슈트(178)의 덮개(14,16)만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개방하고 작업종료 후 로터리 벨트 컨베이어(170)가 선회함에 따라 하부슈트(178)의 덮개(14,16)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덮개(14,16)의 개폐로 인한 작업지연시간을 줄임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배출슈트(174)를 구비하고 선회가능한 로타리 벨트 컨베이어(170)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하부슈트(178)와 컨베이어 벨트(192)를 통해 수송물(102)을 하역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하부슈트(178)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슈트(178)와 일치하는 다수개의 개구부(12a)를 구비한 플레이트(12)와 상기 플레이트(12)상에서 활주 이동하며 상기 개구부(12a)를 개폐하고 그 양측면에 지지판(14a,16a)이 고정된 한쌍의 덮개(14,16)를 포함하는 덮개부(10);
    상기 덮개(14,16)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산형(山形)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와 상기 링크부재(32)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롤러(34)를 포함하는 링크부(30); 및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14,16)의 양측면에 배치된 가이드바(52)와 상기 지지판(14a,16a)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52)에 삽입된 제 1,2스프링(54,56)을 포함하는 가이드부(50);를 포함하고 가압부재(72)가 상기 배출슈트(174)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부재(32)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서 상기 덮개(14,16)가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16)는 그 하부에 다수개의 회전가능한바퀴(18)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12)상에 고정된 안내레일(20)상을 활주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72)는 상기 로타리 벨트 컨베이어(170)의 선회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32)를 하방으로 누를 때, 상기 가이드 롤러(34)에 걸리지 않도록 양끝단이 상방향으로 경사져 절곡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1020020072203A 2002-11-20 2002-11-20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40043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03A KR20040043797A (ko) 2002-11-20 2002-11-20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03A KR20040043797A (ko) 2002-11-20 2002-11-20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97A true KR20040043797A (ko) 2004-05-27

Family

ID=3734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203A KR20040043797A (ko) 2002-11-20 2002-11-20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7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8B1 (ko) 2005-07-28 2006-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셔틀 컨베어 장치를 구비하는 연속식 하역기
KR101246256B1 (ko) 2011-04-27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20150125038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KR20150138504A (ko) * 2014-05-29 2015-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CN112371491A (zh) * 2020-12-03 2021-02-19 禹州市金宇抛光材料有限公司 一种磨料筛分用防撒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8B1 (ko) 2005-07-28 2006-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셔틀 컨베어 장치를 구비하는 연속식 하역기
KR101246256B1 (ko) 2011-04-27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20150125038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KR20150138504A (ko) * 2014-05-29 2015-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CN112371491A (zh) * 2020-12-03 2021-02-19 禹州市金宇抛光材料有限公司 一种磨料筛分用防撒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1607B1 (en) A mobile aggregrate material processing plant
EP3041613B1 (en)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processing plant
US8388070B2 (en) Mining machine, in particular surface miner, as well as method for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of a transport device in a mining machine
US20040251346A1 (en) Mill box for materials grinder
EP3041610B1 (en)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processing plant
EP0712799A1 (de) Verteilförderer für Stückgut
CZ20011400A3 (cs) Zařízení k dobývání minerálních surovin a k testování dobyvatelnosti kritického materiálu
KR20040043797A (ko)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101171155B1 (ko) 무한궤도용 롤러 시험 및 이송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0779648B1 (ko) 과다낙광 조절장치
KR200265064Y1 (ko) 언로우더 피더의 과불출 차단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CN114162573B (zh) 具有卸车摆臂的物料装车装置
KR10221396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KR200164873Y1 (ko) 철근절단용콘베어의철근이송장치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KR10265818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밀림 방지장치
RU2741925C1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9980040269U (ko) 벨트 콘베어 테일부의 낙하코크스 자동제거장치
KR20040040090A (ko)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GB2317375A (en) Pivotable conveyor belt roller support frame
KR20000014118A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