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504A - 슈트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슈트 커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8504A KR20150138504A KR1020140065189A KR20140065189A KR20150138504A KR 20150138504 A KR20150138504 A KR 20150138504A KR 1020140065189 A KR1020140065189 A KR 1020140065189A KR 20140065189 A KR20140065189 A KR 20140065189A KR 20150138504 A KR20150138504 A KR 201501385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shuttle
- protrusion
- moved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20—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the hoppers or chutes being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슈트 커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슈트 커버장치는: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과, 셔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셔틀과 함께 이동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접촉되어 셔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와, 이동감지부의 측정값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함께 이동되며 슈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슈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설비에 설치되는 슈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슈트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등의 광석과 석탄 및 기타 수송물들은 컨베이어 설비들을 통하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설비에서는 수송물의 이송경로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슈트 및 컨베이어 셔틀을 통해 수송물의 연계수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8803호(2013.09.05공개, 발명의 명칭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슈트의 개방부를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슈트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는: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과, 셔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셔틀과 함께 이동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접촉되어 셔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와, 이동감지부의 측정값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함께 이동되며 슈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부는, 셔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몸체 및 돌출몸체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이동감지부에 접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감지부는, 돌출부의 이동경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부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레일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는, 감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와,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에 걸리는 제1걸림바 및 제1걸림바와 이격되어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부에 걸리는 제2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는, 슈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동몸체 및 구동몸체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커버부에 연결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는, 로드부재에 연결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몸체 및 커버몸체에 장착되어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는, 셔틀의 이동에 연동하는 커버부가 이동되어 슈트의 개방부를 커버하므로, 슈트의 개방부를 통해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가 감지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이동되어 슈트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에서 개방부로 원료가 낙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가 감지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이동되어 슈트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에서 개방부로 원료가 낙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속식 하역기의 하부에 설치된 슈트 커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가 감지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이동되어 슈트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에서 개방부로 원료가 낙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가 회전부재에 가압하여 회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는, 슈트(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20)과, 레일(2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12)로 원료(16)를 운반하는 셔틀(30)과, 셔틀(30)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셔틀(30)과 함께 이동되는 돌출부(40)와, 돌출부(40)에 접촉되어 셔틀(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50)와, 이동감지부(50)의 측정값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부(60)와, 구동부(60)와 함께 이동되며 슈트(12)의 개방부(14)를 개폐하는 커버부(70)를 포함한다.
연속식 하역기의 하측에 프레임(18)이 위치하며, 연속식 하역기와 함께 프레임(18)이 이동된다. 프레임(18)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슈트(12)가 설치되며, 프레임(18)의 상측에는 셔틀(3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20)이 설치된다.
지상벨트컨베이어(10)는 슈트(12)의 하측에 위치하며, 슈트(12)를 통해 낙하된 원료(16)를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슈트(12)는 셔틀(30)에서 낙하된 원료(16)를 지상벨트컨베이어(10)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12)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에는 연료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다. 슈트(12)의 상측에는 커버부(70)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4)가 구비된다.
레일(20)은 셔틀(30)의 이동경로를 따라 슈트(12)의 상부에 설치된다. 레일(20)을 따라 복수 개의 개소에 슈트(12)가 설치되며, 셔틀(30)에서 낙하된 원료(16)가 슈트(1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슈트(12)의 상부에 개방 형성된 복수 개의 개방부(14)가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레일(20)은 셔틀(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셔틀(30)은 레일(2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12)로 원료(16)를 운반한다. 셔틀(30)의 양측에는 하우징부(32)가 위치하며, 하우징부(32)의 내측에 풀리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풀리의 외측에 설치되는 벨트부재(34)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며 연료를 이송시킨다. 셔틀(30)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휠부재(36)가 구비되며, 휠부재(36) 가운데 일부의 휠부재(36)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연속식 하역기의 하부에 구비된 셔틀(30)은 연속식 하역기를 통하여 연료를 공급받아 지상벨트컨베이어(10)로 연료를 공급한다.
돌출부(40)는 셔틀(30)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셔틀(30)과 함께 이동되어 이동감지부(50)에 이동이 감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0)는 돌출몸체(42)와 접촉돌기(44)를 포함한다.
돌출몸체(42)는 셔틀(3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몸체(42)의 일측은 하우징부(32)에 고정되며, 돌출몸체(42)의 타측은 하우징부(32)의 전방(이하 도 1기준 좌측)으로 연장된다. 셔틀(30)에서 연장된 돌출몸체(4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돌출몸체(42)의 타측에 연결된 접촉돌기(44)는 레일(20)의 외측을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접촉돌기(44)는 돌출몸체(42)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이동감지부(50)에 접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4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레일(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감지부(50)의 제1걸림바(56)와 제2걸림바(58)를 밀어서 회전축부재(54)를 회전시킨다.
이동감지부(50)는 돌출부(40)에 접촉되어 셔틀(30)의 이동을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감지부(50)는 회전부재(52)와 감지몸체(59)를 포함한다.
감지몸체(59)는 레일(20)을 지지하는 프레임(18)에 고정되며, 회전부재(52)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몸체(59)는 구동부(60)의 구동몸체(6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감지몸체(59)의 내측에는 회전부재(52)의 회전여부와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제어부(8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을 전달한다.
회전부재(52)는 돌출부(40)의 이동경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부(40)에 밀려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52)는, 감지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54)와, 회전축부재(5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40)에 걸리는 제1걸림바(56)와, 제1걸림바(56)와 이격되어 회전축부재(54)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부(40)에 걸리는 제2걸림바(58)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54)의 일측은 감지몸체(59)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회전축부재(54)의 타측은 레일(20)을 관통하여 레일(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바(56)와 제2걸림바(58)는 레일(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부재(54)에 연결된다. 제1걸림바(56)와 제2걸림바(58)는 대략 90도 내외의 각도로 이격되며, 돌출부(40)에 밀려서 회전되는 제1걸림바(56)와 제2걸림바(58)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부(60)는 이동감지부(50)의 측정값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0)는, 슈트(12)의 상부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동몸체(62)와, 구동몸체(62)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커버부(70)에 연결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로드부재(64)와, 구동몸체(62)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미도시)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몸체(62)는 레일(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개방부(14)의 상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구동몸체(62)의 내측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며, 구동몸체(62)의 내측에서 구동몸체(62)의 외측으로 연장된 로드부재(64)는 공압이나 유압의 공급으로 직선 이동된다.
커버부(70)는 구동부(60)와 함께 이동되며 슈트(12)의 개방부(14)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0)는 커버몸체(72)와 연결부(74)와 롤러부재(76)를 포함한다.
커버몸체(72)는 로드부재(64)에 연결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부(14)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몸체(72)는 격자 형상으로 설치된 철망이나 사각 형상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몸체(72)의 양측에는 로드부재(64)에 연결되는 연결부(74)가 구비되므로, 로드부재(64)는 커버부(70)의 연결부(74)에 연결된다. 커버몸체(72)는 개방부(14)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커버몸체(72)의 양측에는 롤러부재(76)가 설치된다. 롤러부재(76)는 커버몸체(72)에 장착되어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몸체(72)에 롤러부재(7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부재(76)는 프레임(18)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므로 커버몸체(72)의 직선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는 돌출부(40)와 이동감지부(50)가 단수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복수로 돌출부(40)와 이동감지부(50)가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40)가 셔틀(30)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돌출부(40)의 설치 위치 및 그 수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커버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70)가 슈트(12)의 개방부(14)를 커버한 상태에서 셔틀(30)이 일측 방향(도 1 기준 좌측)으로 이동된다. 제1걸림바(56)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셔틀(30)과 함께 이동되는 돌출부(40)의 접촉돌기(4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바(56)의 측면을 밀어서 제1걸림바(56)와 함께 회전축부재(54)를 회전시킨다.
제1걸림바(56)의 회전으로 제2걸림바(58)와 회전축부재(54)도 반시계 방향(도 4기준)으로 회전되며, 감지몸체(59)의 내측에 장착된 센서는 회전축부재(54)의 회전여부와 회전방향을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구동몸체(62)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제어밸브를 동작시켜 로드부재(64)를 이동시킨다. 로드부재(64)의 직선방향 이동으로 로드부재(64)에 연결된 연결부(74)와 커버몸체(72)가 이동되어 슈트(12)의 개방부(14)를 개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30)의 벨트부재(34)가 동작되어 슈트(12)를 향하여 원료(16)를 낙하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셔틀(30)이 일측 방향을 향하여 계속 이동되는 경우, 돌출부(40)의 접촉돌기(44)는 이동감지부(50)의 제1걸림바(56)를 회전시켜 슈트(12)의 개방부(14)를 개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30)이 타측 방향(도 7 기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돌출부(40)가 제2걸림바(58)를 가압하여 제2걸림바(58)를 회전시킨다. 제2걸림바(58)의 회전으로 회전축부재(54)도 회전되며, 감지몸체(59)의 내측에 장착된 센서는 회전축부재(54)의 회전여부와 회전방향을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구동부(60)가 동작되어 로드부재(64)가 구동몸체(62)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로드부재(64)에 연결된 커버부(70)도 개방부(14)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부(14)를 커버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30)의 이동에 연동하는 커버부(70)가 이동되어 슈트(12)의 개방부(14)를 커버하므로, 슈트(12)의 개방부(14)를 통해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연속식 하역기의 하부에 설치된 슈트 커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슈트 커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슈트 커버장치
10: 지상벨트컨베이어
12: 슈트 14: 개방부
16: 원료 18: 프레임
20: 레일 30: 셔틀
32: 하우징부 34: 벨트부재
36: 휠부재 40: 돌출부
42: 돌출몸체 44: 접촉돌기
50: 이동감지부 52: 회전부재
54: 회전축부재 56: 제1걸림바
58: 제2걸림바 59: 감지몸체
60: 구동부 62: 구동몸체
64: 로드부재 70: 커버부
72: 커버몸체 74: 연결부
76: 롤러부재 80: 제어부
12: 슈트 14: 개방부
16: 원료 18: 프레임
20: 레일 30: 셔틀
32: 하우징부 34: 벨트부재
36: 휠부재 40: 돌출부
42: 돌출몸체 44: 접촉돌기
50: 이동감지부 52: 회전부재
54: 회전축부재 56: 제1걸림바
58: 제2걸림바 59: 감지몸체
60: 구동부 62: 구동몸체
64: 로드부재 70: 커버부
72: 커버몸체 74: 연결부
76: 롤러부재 80: 제어부
Claims (6)
- 슈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슈트로 원료를 운반하는 셔틀;
상기 셔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셔틀과 함께 이동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셔틀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이동감지부의 측정값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슈트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셔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감지부에 접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밀려서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감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감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제1걸림바; 및
상기 제1걸림바와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제2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슈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동몸체; 및
상기 구동몸체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 장착되어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커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189A KR101597433B1 (ko) | 2014-05-29 | 2014-05-29 | 슈트 커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189A KR101597433B1 (ko) | 2014-05-29 | 2014-05-29 | 슈트 커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8504A true KR20150138504A (ko) | 2015-12-10 |
KR101597433B1 KR101597433B1 (ko) | 2016-02-25 |
Family
ID=5497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5189A KR101597433B1 (ko) | 2014-05-29 | 2014-05-29 | 슈트 커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43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1974A (ko) * | 2000-10-25 | 2002-05-03 | 이구택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덮개 개폐장치 |
KR20020045313A (ko) * | 2000-12-08 | 2002-06-19 | 이구택 | 하역기의 로워 슈트 덮개의 개폐장치 |
KR20040043797A (ko) * | 2002-11-20 | 2004-05-27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
KR20120064479A (ko) * | 2010-12-09 | 2012-06-19 | 주식회사 포스코 | 컨베이어 샤틀 설비 |
-
2014
- 2014-05-29 KR KR1020140065189A patent/KR101597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1974A (ko) * | 2000-10-25 | 2002-05-03 | 이구택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덮개 개폐장치 |
KR20020045313A (ko) * | 2000-12-08 | 2002-06-19 | 이구택 | 하역기의 로워 슈트 덮개의 개폐장치 |
KR20040043797A (ko) * | 2002-11-20 | 2004-05-27 | 주식회사 포스코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
KR20120064479A (ko) * | 2010-12-09 | 2012-06-19 | 주식회사 포스코 | 컨베이어 샤틀 설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7433B1 (ko) | 2016-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0837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 |
KR101648299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 |
KR920006026A (ko) | 밀폐용기에 저장된 성분들을 혼합하는 장치 | |
CN109466908A (zh) | 供给装置 | |
KR101355518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 |
KR101225784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 |
CN204203128U (zh) | X射线检查装置 | |
KR101121563B1 (ko) |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 |
KR101597433B1 (ko) | 슈트 커버장치 | |
KR20150101272A (ko) | 벨트 이동 방지장치 | |
KR101581543B1 (ko) | 슈트 커버장치 | |
KR101529196B1 (ko) | 연원료 이송장치 | |
KR101167171B1 (ko) | 슈트 개폐장치 | |
KR101818374B1 (ko) | 벨트컨베이어 | |
KR101928171B1 (ko) |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 |
JP2017145068A (ja) | ベルトコンベアにおけるコンベアベルトの片寄り防止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コンベアベルトの片寄り防止方法 | |
KR101543955B1 (ko) |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 |
KR101043084B1 (ko) |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 |
KR101294916B1 (ko) | 운송물 처리장치 | |
KR102133100B1 (ko) |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 |
KR20130013619A (ko) |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 |
KR101477101B1 (ko) | 낙광 방지장치 | |
KR100748836B1 (ko) | 벨트 컨베이어 상의 괴광검출장치 | |
KR20180031315A (ko) |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 |
KR20160126758A (ko) |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