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118A -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118A
KR20000014118A KR1019980033330A KR19980033330A KR20000014118A KR 20000014118 A KR20000014118 A KR 20000014118A KR 1019980033330 A KR1019980033330 A KR 1019980033330A KR 19980033330 A KR19980033330 A KR 19980033330A KR 20000014118 A KR20000014118 A KR 2000001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elt
meandering
belt convey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명
추성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3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118A/ko
Publication of KR2000001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7Other adaptations of sleeves
    • B65G39/071Other adaptations of sleeves for aligning belt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크레머로 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 벨트의 사행을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는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캐리어 롤(100)이 설치된 캐리어 스탠드(101)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수평유지 챈널(110)과 연설된 선회 베이스부(140)가 설치되어 베어링(141)을 통해 선회가능토록 설치되어, 그 일측의 선회 안내대(160)의 손잡이부(190)를 통해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를 선회시키면서 그 양측 단부의 캐리어 스탠드(101)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손쉽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본 발명은 야드에 적치된 철광석 원료를 채집하는 리크레머(Reclaimer)에 있어서, 상기 리크레머로 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 벨트의 사행을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는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손쉽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벨트상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원료의 낙광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파손 및 벨트의 절손을 방지할수 있도록한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집된 원료를 하부호퍼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리크레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퍼(2)로 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지상 벨트 컨베이어(3a)(3b)를 통해 각각의 후공정으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리크레머(1)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일방향으로만 가동되는 벨트 컨베이어(3a)와, 정,역 방향으로 가동되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3b)가 각각 연설된다. 즉 일방향 벨트 컨베이어(3a)는 리크레머(1)에서 원료의 공급을 받아 헤드풀리(4)측으로 이송토록 되며, 가역 컨베이어(3b)는 테일풀리(Tail Pulley)(5)측으로 이송토록 된다.
한편, 상기와같은 리크레머를 통한 벨트 컨베이어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 공급부 구조에 있어서는 도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퍼(2)의 하측으로 벨트(3)에 원료를 공급하는 피더(6)가 연설되고, 상기 벨트(3)는 베이스 챈널(7) 사이에 위치되는 캐리어 스탠드(8)의 캐리어 롤(9) 상측으로 설치되어 이송토록 되며, 상기 베이스 챈널(7) 하측에는 벨트 컨베이어 스탠드(10)가 설치되어 벨트(3)를 리턴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호퍼(2)의 피더(6)를 통해 원료를 공급하는 벨트(3)는, 공급되는 원료가 벨트(3)의 중심으로 정확하게 실리지 않을 경우, 벨트(3)가 사행되면서 그 사이드측으로 상당부분의 원료가 낙광되어 리턴되는 벨트나, 또는 벨트 컨베이어 스탠드(10)와 캐리어 롤에 원료가 유입되어 설비의 마모 및 고착화를 초래하게 됨은 물론, 사행된 벨트(3)의 일측이 캐리어 롤(9)을 타고 넘어 베이스 챈널(7)이나, 다른 구조물과 접촉되어 구조물의 파손은 물론, 벨트(3)자체의 절손을 촉진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은 벨트(3)의 사행을 조정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 챈널(7) 전후방 단부에 체인블럭(11)을 설치하여 벨트(3)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챈널(7)과 벨트 컨베이어 스탠드(1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0)를 풀고, 베이스 챈널(7)에 형성된 장홈(30)을 이용하여 벨트의 사행 반대측 베이스 챈널(7)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의 사행을 조정한후, 재차 고정볼트(20)의 결합 및 체인블럭(11)의 하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벨트(3)의 사행은 정방향 혹은 역방향의 한쪽방향에서만 조정이 완료된 상태인 관계로 가역 벨트(3)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송될 경우에는 상기와같은 벨트(3)의 사행 조정작업을 재차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됨은 물론, 벨트의 조정을 위하여 체인블럭(11)을 이용한 벨트의 잦은 승하강 작업으로 인하여, 벨트의 과다한 장력에 의해 안전사고의 발생이 우려되고, 벨트의 사행조정 작업이 장시간 소요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손쉽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벨트상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원료의 낙광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파손 및 벨트의 절손을 방지하고, 벨트의 사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크레머가 설치된 가역 컨베이어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리크레머를 통한 벨트의 원료 공급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 구조도.
도 4는 종래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행 조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벨트 사행 조정장치의 정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의 작동상태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캐리어 롤 101...캐리어 스탠드
110...수평유지 챈널 111,111'...수평 조정볼트
120...챈널 고정부 121...베이스부
130...수직챈널 140...선회 베이스부
141...베어링 150...하부 지지챈널
160...선회 안내대 161...구름롤러
162...선회 고정볼트 170...호형 구름판
180...상하 유동챈널 190...손잡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캐리어 롤이 설치된 캐리어 스탠드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수평유지 챈널의 양측으로 수평 조정볼트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유지 챈널 하부 양측에는 챈널 고정부가 설치된 베이스부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유지 챈널 양단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수평유지 챈널 하측에는 전후 양측으로 수직챈널을 개재하여 선회 베이스부가 설치되어 수평 유지 채널이 선회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 중앙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하부 지지챈널과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이스부 양측 단부에는 캐리어 롤이 설치되는 캐리어 스탠드의 양단부와 볼트로서 결합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 일측에는 선회 안내대가 입설되는 상태로 착설되어 그 상부 양측으로 구름롤러를 개재하여 선회 고정볼트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 고정볼트 하단이 접촉토록 그 하측에 호형 구름판이 마련된 상하 유동챈널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행 조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캐리어 롤(100)이 설치된 캐리어 스탠드(101)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수평유지 챈널(110)의 양측으로 수평 조정볼트(111)(11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하부 양측에는 챈널 고정부(120)가 설치된 베이스부(121)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양단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하측에는 전후 양측으로 수직챈널(130)을 개재하여 선회 베이스부(140)가 설치되어 수평 유지 채널(110)이 선회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는 그 중앙에는 베어링(141)이 설치되어 하부 지지챈널(150)과 회전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양측 단부에는 캐리어 롤(100)이 설치되는 캐리어 스탠드(101)의 양단부와 볼트(103)로서 결합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일측에는 선회 안내대(160)가 입설되는 상태로 착설되어 그 상부 양측으로 구름롤러(161)를 개재하여 선회 고정볼트(162)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 고정볼트(162) 하단이 접촉토록 그 하측에 호형 구름판(170)이 마련된 상하 유동챈널(180)이 설치된다.
상기 상하 유동 챈널(180) 중앙에는 장홈(181)이 형성되어 결합볼트(182)로서 호형 구름판(170)을 상하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선회 베이스부(140)를 선회시키는 선회 안내대(160) 상측에는 손잡이부(19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3)가 정방향으로 가동되는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벨트(3)가 사행되면, 선회 안내대(160) 상측의 선회 고정볼트(162)를 돌려서 풀어준후, 상기 선회 고정볼트(162)의 하단과 접촉하는 호형 구름판(170)으로 부터 상기 선회 고정볼트(162)가 떠있는 상태로 되어, 선회 안내대(160)의 상측 손잡이부(190)를 손으로 잡고서 화살표 B2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선회 고정볼트(162) 하측의 구름롤러(161)에 의해 호형 구름판(170)이 쉽게 구르면서 선회 안내대(160) 전체가 B2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같이 선회 안내대(160)의 회전에 의해 이와 일측이 결합되는 선회 베이스부(140)가 그 중앙의 베어링(141)을 개재하여 하부 지지챈널(150) 상측에서 B2방향으로 회전토록 되며,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양측 단부에 볼트(103)로서 결합된 캐리어 스탠드(101)가 B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캐리어 스탠드(101)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는 캐리어 롤(100)의 좌측부분이 사행되는 벨트(3)의 진행방향과 맞은편으로 기울어지면서, 벨트와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상기 벨트(3)를 화살표 방향인 A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3)가 천천히 이동하여 중심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잡고있던 손잡이부(190)를 그 자리에 놓고, 선회 안내대(160) 상측의 선회 고정볼트(162)를 조여주어 상기 선호 고정볼트(162)의 하단부가 호형 구름판(170)과 밀착시키는 동작에 의해 선회 안내대(160) 및 이와 결합된 선회 베이스부(140)가 고정되며, 사행이 조정된 벨트(3)는 정상적으로 이동하면서 원료를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벨트(3)의 구동중 상기 벨트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사행될 경우에는, 선회 안내대(160) 상측의 손잡이부(190)를 A2방향으로 당겨주어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벨트가 B방향으로 이동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벨트93)가 역방향으로 가동되는 상태에서 A1측 방향으로 사행이 발생하게 되면, 손잡이부(190)를 B3 방향으로 당겨주어 벨트를 이동시키게 하며, 또한 상기 벨트가 B1 방향으로 사행될 경우 손잡이부(190)를 A3 방향으로 당겨주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시킬수 있게 된다.
다른한편,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가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되어 벨트(30의 사행 조정작업이 어렵게 될 경우에는,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상측으로 위치되는 수평유지 챈널(110)의 양측에 설치된 수평 조정볼트(111)(111')를 도려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하부 양측의 챈널 고정부(120)에 양단이 지지 고정되는 수평유지 챈널(110)은, 상기 챈널 고정부(120)가 설치된 베이스부(121)를 일측 수평 조정볼트(111)가 눌러주게 되어 원하는 상태로 선회 베이스부(140)의 수평유지 작업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여 벨트의 사행을 원활하게 조정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에 의하면,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손쉽고, 용이하게 조정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리크레머로 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 벨트의 사행을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도록 하여, 벨트상에 공급되어 이송되는 원료의 낙광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파손 및 벨트의 절손을 방지하고, 벨트의 사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캐리어 롤(100)이 설치된 캐리어 스탠드(101)의 상측으로 횡설되는 수평유지 챈널(110)의 양측에 수평 조정볼트(111)(11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하부 양측에는 챈널 고정부(120)가 설치된 베이스부(121)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양단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수평유지 챈널(110) 하측에는 전후 양측으로 수직챈널(130)을 개재하여 선회 베이스부(140)가 설치되어 수평 유지 채널(110)이 선회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는 그 중앙에는 베어링(141)이 설치되어 하부 지지챈널(150)과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양측 단부에는 캐리어 롤(100)이 설치되는 캐리어 스탠드(101)의 양단부와 볼트(103)로서 결합되고,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 일측에는 선회 안내대(160)가 입설되는 상태로 착설되어 그 상부 양측으로 구름롤러(161)를 개재하여 선회 고정볼트(162)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 고정볼트(162) 하단이 접촉토록 그 하측에 호형 구름판(170)이 마련된 상하 유동챈널(18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유동 챈널(180) 중앙에는 장홈(181)이 형성되어 결합볼트(182)로서 호형 구름판(170)을 상하 이동 가능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베이스부(140)를 선회시키는 선회 안내대(160) 상측에는 손잡이부(19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9980033330A 1998-08-17 1998-08-17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0001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330A KR20000014118A (ko) 1998-08-17 1998-08-17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330A KR20000014118A (ko) 1998-08-17 1998-08-17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18A true KR20000014118A (ko) 2000-03-06

Family

ID=1954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330A KR20000014118A (ko) 1998-08-17 1998-08-17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1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0617B2 (en) 2003-11-17 2006-07-25 Hyundai Motor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dle stop-and-go system
KR100971980B1 (ko) * 2003-06-19 2010-07-22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벨트의 양방향 사행조정 기능을 갖는 스탠드 장치
KR20180014512A (ko) * 2016-08-01 2018-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동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80B1 (ko) * 2003-06-19 2010-07-22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벨트의 양방향 사행조정 기능을 갖는 스탠드 장치
US7080617B2 (en) 2003-11-17 2006-07-25 Hyundai Motor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dle stop-and-go system
KR20180014512A (ko) * 2016-08-01 2018-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동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4118A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9990013570U (ko)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KR200179964Y1 (ko)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KR20020018857A (ko)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CN115265450A (zh) 一种轴承用具有间歇供料的内外直径检测装置
KR101118295B1 (ko)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KR200237478Y1 (ko) 벨트콘베이어의자동사행방지장치
KR100758456B1 (ko) 양방향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설비의 사행조정장치
KR200164873Y1 (ko) 철근절단용콘베어의철근이송장치
KR19980040269U (ko) 벨트 콘베어 테일부의 낙하코크스 자동제거장치
KR100878626B1 (ko) 벨트사행에 따른 벨트 편중 방지장치
KR101043083B1 (ko)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JP3194337B2 (ja) 急傾斜コンベヤ設備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KR102639620B1 (ko) 각형 바 로딩기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200223553Y1 (ko) 수송 컨베이어의 벨트사행 조정장치
KR200278292Y1 (ko) 벨트콘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_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200290735Y1 (ko) 교량 이송용 롤러장치
KR0123910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위치 제어장치
KR101118297B1 (ko) 트리퍼설비의 밸트 교정장치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