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70U -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70U
KR19990013570U KR2019970026877U KR19970026877U KR19990013570U KR 19990013570 U KR19990013570 U KR 19990013570U KR 2019970026877 U KR2019970026877 U KR 2019970026877U KR 19970026877 U KR19970026877 U KR 19970026877U KR 19990013570 U KR19990013570 U KR 19990013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verse
belt
meande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근
이연복
배영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26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570U/ko
Publication of KR19990013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70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중 가역벨트의 사행을 자동조절하는 사행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수직프레임(31)이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에 의해 연결되고,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의 중앙부분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의 중앙부에 위치한 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36)이 결합하여 역브이롤러가 장착된 역브이롤러스탠드가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고,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과 역브이롤러스탠드사이의 좌우에 스프링장력조절볼트로 장력이 조절된 스프링을 결합시켜 역브이롤러와 리턴벨트가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프레임상단의 역브이롤러상하작동회전축을 중심으로 역브이롤러스탠드와 연결한 작동연결대(50)를 장착하고, 리턴벨트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의 수직프레임에 고정한 가이드롤러지지대(44)의 끝부분에 가이드롤러작동회전축(40)을 중심점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를 연결고정하고, 작동연결대(48)말단의 와이어로프고정볼트(46)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말단의 와이어로프고정홀(50)을 수직프레임에 결합한 와이어로프로 시브(35)를 거쳐 장력을 주어 연결하고, 상기의 장치는 벨트컨베이어프레임(13)에 연결되어 케리어벨트(11)와 리턴벨트(12)사이에 위치하여, 벨트사행이 발생되면 사행감지가이드롤러가 감지하여 역브이롤러스탠드를 작동시켜 벨트사행을 자동조절하여 설비사고를 예방하고 설비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본 고안은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광석과 원료탄을 수송하는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종류중 가역벨트컨베이어(Reversible Belt Conveyor)의 사행발생을 감지하고 자동조절하여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가 진행하는 중 수송물이 슈트(Chute)에서 낙하하면서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사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그 작동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조절장치(14)는 벨트컨베이어의 리턴벨트(12) 하단에 고정되어 회전축(22)에 의하여 회전이 될 수 있는 브라켓트(21), 자동조심리턴롤러프레임(24)에 연결설치된 리턴롤러(20)와 가이드롤러(23)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조절장치(14)를 벨트컨베이어에 장착한 상태에서 리턴벨트(12)가 정방향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중 벨트에 편적원인으로 사행이 발생하면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벨트(12)가 ㉮방향으로 진행되어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조절장치(14)의 가이드롤러(23)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벨트(12)와 가이드롤러(23)와의 접촉력에 의하여 리턴롤라(20)가 리턴롤러프레임(24)의 회전축에 의해 벨트진행방향인 ㉱방향으로 회전되어 리턴벨트(12)가 정상적인 방향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행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반대로 리턴벨트(12)의 진행방향이 역방향인 ㉲방향으로 바뀌어 진행중인 상태에서 ㉳방향으로 사행이 발생하면 사행조절장치(14)에 장착된 가이드롤러(23)의 설치위치가 리턴벨트의 정방향인 ㉯방향에 관계되므로 사행장치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롤러(23)와의 접촉력만큼 사행이 ㉳방향으로 더 조작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조심리턴롤러사행장치(14)는 한쪽 방향으로만 계속되는 정방향의 벨트컨베이어에는 효과가 있으나 정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진행되는 가역벨트컨베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벨트의 사행을 더욱 조장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벨트절손 및 설비사고의 원인이 되고, 작업자가 사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이드롤러를 해체하여 장치를 수동으로 강제조작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증대되고 설비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역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원료탄을 수송하는 중 벨트에 사행이 발생하면 벨트의 진행방향에 관계없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장치가 작동되어 사행을 조절해주므로 가역벨트컨베이어가 정상적인 수송을 계속할 수 있어 벨트절손에서 오는 대형설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가 사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번거로움도 제거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설비가동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컨베이어사행자동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벨트컨베이어사행자동조절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벨트컨베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2:리턴벨트 13:벨트컨베이어프레임
31:수직프레임 32:스프링장력조절볼트
33: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 34:스프링
35:시브 36: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
37:역브이롤러스탠드 38:역브이롤러
39:사행감지가이드롤러 40:가이드롤러작동회전축
41:와이어로프 43:가이드롤러검지바
44:가이드롤러지지대 46:와이어로프고정볼트
47:역브이롤러상하작동회전축 48:작동연결대
50:와이어로프고정홀
본 고안의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수직프레임(31)이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에 의해 연결되고,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의 중앙부분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의 중앙부에 위치한 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36)이 결합하여 역브이롤러(38)가 장착된 역브이롤러스탠드(37)가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의 하부에 위치한다.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사이의 좌우에 스프링장력조절볼트(32)로 장력이 조절된 스프링(34)을 결합시켜 역브이롤러(38)와 리턴벨트(12)가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프레임(31)상단의 역브이롤러상하작동회전축(47)을 중심으로 역브이롤러스탠드(37)와 연결한 작동연결대(50)를 장착한다.
리턴벨트(12)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의 수직프레임(31)에 고정한 가이드롤러지지대(44)의 끝부분에 가이드롤러작동회전축(40)을 중심점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를 연결고정한다.
작동연결대(48)외측말단의 와이어로프고정볼트(46)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말단의 와이어롤러고정홀(50)을 수직프레임(31)에 결합된 와이어로프(41)로 시브(35)를 거쳐 장력을 주어 연결한다.
상기의 장치는 벨트컨베이어프레임(13)에 연결되어 케리어벨트(11)와 리턴벨트(12)사이에 위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벨트컨베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벨트컨베이어프레임(13)의 양측면에 수직프레임(31)을 설치하고 케리어벨트(11)와 리턴벨트(12)사이에 가로질러 양수직프레임(31)을 연결하는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을 설치하며,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의 중앙부분을 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36)에 결합시켜 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36)과 역브이롤러(38)가 장착된 역브이롤러스탠드(37)가 상하로 유동가능한 중심점위치에 리턴벨트(12)가 밀착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항시 리턴벨트(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사이에 좌우로 스프링장력조절볼트(32)로 장력을 준 스프링(34)을 배치하여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를 연결한다.
리턴벨트(12)에 밀착접촉되도록 배치된 역브이롤러(38)와 역브이롤러스탠드(37)가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31)에 고정된 역브이롤러상하작동회전축(47)을 중심점으로 역브이롤러스탠드(37)와 연결하여 작동연결대(48)를 설치하고, 작동연결대(48) 끝부분에 와이어로프조정볼트(46)를 설치하여 와이어로프(41)에 적절한 장력이 주어지도록 한다.
또한 리턴벨트(12)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의 수직프레임(31)에 가이드롤러지지대(44)를 역브이롤러(38)설치위치의 100mm전면에 용접고정하고, 가이드롤러지지대(44)의 끝부분에 가이드롤러작동회전축(40)을 중심점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를 연결고정하고 가이드롤러검지바(43) 끝부분에 와이어로프(41)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고정홀(50)을 가공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31)에 와이어로프(41)를 결합한 상태에서 굴곡지점에 각각 시브(35)를 장착하고, 와이어로프고정볼트(46)와 와이어로프고정홀(50)을 수직프레임(31)에 결합한 와이어로프(41)로 시브(35)를 거쳐 장력을 주어 연결함으로써 리턴벨트(12)의 사행이 발생되면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가 감지하여 역브이롤러스탠드(37)를 작동시켜 벨트사행을 자동조절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역벨트사행자동조절장치(30)가 작동하는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작동전 도 4a와 같은 상태로 있던 사행자동조절장치(30)는 도 4b와 같이 리턴벨트가 ㉴방향으로 사행하면 도 4c와 같이 리턴벨트에 접촉이 되어 있는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가 ㉮방향으로 밀림과 동시에 가이드롤러검지바(43)가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롤러검지바(43)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역브이롤러상하작동연결대(48)가 ㉰방향으로 상승되고 역브이롤러스탠드(37)의 한측부분이 ㉱방향으로 하향작동하여 사행되는 측의 리턴벨트(12)를 역브이롤러(38)가 눌러 부하를 주어 리턴벨트(12)가 ㉶방향으로 이동한다.
리턴벨트(12)가 ㉶방향으로 이동하면 리턴벨트(12)에 접촉이 되었던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가 정상적인 위치로 오게 되어 ㉳방향의 스프링장력이 복구되므로 스프링장력이 평행을 이루게 되어 사행이 조절된다.
다시 리턴벨트(12)의 사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발생하여도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가 감지하여 상기 작동방법으로 사행자동조절장치(30)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역벨트의 특성에 의하여 정방향으로 진행되다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도 장치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여 사행을 조절한다.
따라서 벨트진행방향에 관계없이 사행자동조절장치(30)가 작동되어 사행을 신속하게 감지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는 원료탄 수송시 수시로 발생되는 리턴벨트의 사행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어 리턴벨트가 항시 정상적인 상태로 진행을 유지하므로 사행발생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사행조절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벨트사행으로 인한 설비사고의 방지로 설비가동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수직프레임(31)이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에 의해 연결되고,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의 중앙부분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의 중앙부에 위치한 역브이롤러중심회전축(36)이 결합하여 역브이롤러(38)가 장착된 역브이롤러스탠드(37)가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의 하부에 위치하고, 역브이롤러고정프레임(33)과 역브이롤러스탠드(37)사이의 좌우에 스프링장력조절볼트(32)로 장력이 조절된 스프링(34)을 결합시켜 역브이롤러(38)와 리턴벨트(12)가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프레임(31)상단의 역브이롤러상하작동회전축(47)을 중심으로 역브이롤러스탠드(37)와 연결한 작동연결대(50)를 장착하고, 리턴벨트(12)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의 수직프레임(31)에 고정한 가이드롤러지지대(44)의 끝부분에 가이드롤러작동회전축(40)을 중심점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를 연결고정하고, 작동연결대(48)말단의 와이어로프고정볼트(46)와 가이드롤러검지바(43)말단의 와이어로프고정홀(50)을 수직프레임(31)에 결합한 와이어로프(41)로 시브(35)를 거쳐 장력을 주어 연결하고, 상기의 장치는 벨트컨베이어프레임(13)에 연결되어 케리어벨트(11)와 리턴벨트(12)사이에 위치하여, 벨트사행이 발생되면 사행감지가이드롤러(39)가 감지하여 역브이롤러스탠드(37)를 작동시켜 벨트사행을 자동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KR2019970026877U 1997-09-27 1997-09-27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KR19990013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877U KR19990013570U (ko) 1997-09-27 1997-09-27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877U KR19990013570U (ko) 1997-09-27 1997-09-27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70U true KR19990013570U (ko) 1999-04-15

Family

ID=6967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877U KR19990013570U (ko) 1997-09-27 1997-09-27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570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29B1 (ko) * 2001-04-30 2007-09-14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밸트의 운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0768304B1 (ko) * 2001-09-27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810610B1 (ko) 2006-10-25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벨트장력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로봇암
KR100815800B1 (ko) * 2001-11-05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856739B1 (ko) * 2001-12-22 2008-09-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용 벨트 콘베이어의 센터 자동조정장치
KR100887144B1 (ko) * 2002-10-09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부상벨트의 사행 추종장치
KR101118295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101129284B1 (ko) * 2010-03-30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29B1 (ko) * 2001-04-30 2007-09-14 주식회사 포스코 리크레이머 밸트의 운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0768304B1 (ko) * 2001-09-27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815800B1 (ko) * 2001-11-05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856739B1 (ko) * 2001-12-22 2008-09-0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용 벨트 콘베이어의 센터 자동조정장치
KR100887144B1 (ko) * 2002-10-09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부상벨트의 사행 추종장치
KR101118295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100810610B1 (ko) 2006-10-25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벨트장력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로봇암
KR101129284B1 (ko) * 2010-03-30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843B2 (en) Trave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ravelator
KR19990013570U (ko)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US6571970B1 (en) Monorail telescopic carrier
KR100870759B1 (ko)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20090002760U (ko) 케이블 터닝 포설 작업용 롤러장치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200237478Y1 (ko) 벨트콘베이어의자동사행방지장치
KR102336762B1 (ko) 선박용 접안장치
KR100931149B1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20000014118A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118295B1 (ko)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100333509B1 (ko)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US37263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s
KR102177874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레일 손상 감지장치
KR0123910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위치 제어장치
KR200260901Y1 (ko) 와이어 장력 자동조절장치
KR19980019891U (ko) 콘베어벨트용 팁크리너 자동 조정장치
KR100226988B1 (ko) 로봇 상하이동 장치
JP3194337B2 (ja) 急傾斜コンベヤ設備
KR19990008774U (ko) 벨트 컨베어의 부상벨트 지지장치
KR101118297B1 (ko) 트리퍼설비의 밸트 교정장치
KR101043083B1 (ko) 컨베이어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305272Y1 (ko) 벨트 컨베이어의 미끄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