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04B1 -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04B1
KR100768304B1 KR1020010060184A KR20010060184A KR100768304B1 KR 100768304 B1 KR100768304 B1 KR 100768304B1 KR 1020010060184 A KR1020010060184 A KR 1020010060184A KR 20010060184 A KR20010060184 A KR 20010060184A KR 100768304 B1 KR100768304 B1 KR 10076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ute
stand
meande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180A (ko
Inventor
김영호
최준기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3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롤(34)에 의해 벨트(B)가 무한궤도 운동되게 지지되고, 슈트(11)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 수송물(C)이 상기 벨트(B)의 상부에 적재되게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에서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슈트(11)의 하부에 벨트(B)의 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동슈트(10)가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31)의 양측이 연결바(20)를 매개로 상기 유동슈트(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바(20)에 사행되는 벨트(B)의 끝단에 접촉하여 공회전되는 사행감지롤(24)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31)의 중앙부에 벨트(B)의 진행 방향쪽으로 볼록하고 벨트(B)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는 형상의 홈(31a)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31)는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된 하부스탠드(33)에 상기 홈(31a)을 통해 끼워지는 지지핀(35)으로 연결됨으로써, 벨트 사행에 대응되게 수송물 공급용 슈트의 수송물 배출 위치를 조정시켜 벨트의 중앙부에 수송물이 배출되게 하여 낙광이 방지됨과 동시에 벨트 사행이 조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벨트, 사행, 슈트, 스탠드

Description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Belt serpentine adjustment apparatus using load material suppling chute}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공급 부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가 구비된 벨트컨베이어 설비가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동슈트 11 : 슈트
13 : 핀 20 : 연결바
21 : 연결구 22 : 지지구
22a, 22b : 홈 24 : 사행감지롤
31 : 스탠드 31a : 홈
33 : 하부스탠드 35 : 지지핀
B : 벨트 C : 수송물
F : 프레임
본 발명은 벨트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사행에 대응되게 수송물 공급용 슈트의 수송물 배출 위치를 조정시켜 벨트의 중앙부에 수송물이 배출되게 하여 낙광이 방지됨과 동시에 벨트 사행이 조정될 수 있도록 된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한궤도 운동토록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에 원료탄 등의 수송물을 실어 소요 개소로 이송시키는 설비에서 벨트가 사행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사행이 감지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수송물 공급 부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로서, 캐리어롤러(91)와 리턴롤러(92)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토록 설치된 벨트(B)와, 상기 벨트(B)의 상부에 수송물을 공급토록 설치된 슈트(93)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캐리어롤러(91)는, 수평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된 수평롤러와,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롤러의 양측에 위치된 경사롤러로 구성됨에 의하여, 벨트(B)의 폭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수송물을 중앙부에 담을 수 있게 하부로 오목한 모양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벨트(B)가 사행된 경우 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수단들이 이미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사행의 조정 수단들은 벨트(B)에 수송물을 공급토록 설치된 슈트(93)의 위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캐리어롤러(91)를 지지하도록 프레임(F)에 설치된 스탠드(94)를 선회시키는 등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을 조정하고 있었는바, 벨트(B)가 사행되었을 때 슈트(93)에서 배출된 수송물이 벨트(B)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공급됨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이 낙광되면서 벨트(B) 및 벨트지지용 롤러 들을 손상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가 사행되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면 수송물의 배출위치도 변화시켜 항상 벨트의 중앙부에 수송물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수송물의 낙광을 방지하고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도록 된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롤에 의해 벨트가 무한궤도 운동되게 지지되고, 슈트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 수송물이 상기 벨트의 상부에 적재되게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에서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하부에 벨트의 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동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의 양측이 연결바를 매개로 상기 유동슈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바에 사행되는 벨트의 끝단에 접촉하여 공회전되는 사행감지롤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의 중앙부에 벨트의 진행 방향쪽으로 볼록하고 벨트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하부스탠드에 상기 홈을 통해 끼워지는 지지핀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가 구비된 벨트컨베이어 설비가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다.
벨트컨베이어 설비를 이루는 슈트(11)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수송물을 벨트(B)의 상부에 자유 낙하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슈트(11)에는 그 하단을 에워싸면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지지판(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2)의 벨트(B) 주행방향에 대한 전, 후방쪽에는 벨트(B)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속된 슬롯형 홈(12a)이 형성된다.
상기 슈트(11)의 하단에 유동슈트(10)가 장착되는바, 상기 유동슈트(10)는 수송물이 낙하되면서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게 사방이 에워싸인 직사각 기둥 형상을 갖고, 이 유동슈트(10)의 상단에는 상기 홈(12a)에 삽입되는 돌출부(10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a)의 길이는 상기 홈(12a)에 비하여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a)의 중앙부에 벨트(B) 주행방향으로 핀(13)이 끼워 장착된다. 물론, 상기 돌출부(10a)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핀(13)의 양단은 상기 지지판(12)의 상부면 에 걸리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는바, 이 핀(13)에 의해 상기 유동슈트(10)가 상기 슈트(12)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그 핀(13)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또한 홈(12a)을 따라 벨트(B)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12)에 얹혀지는 직사각형 판재 형상의 보조구(14)가 더 구비되는바, 상기 보조구(14)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홈(12a)에 대응되는 홈(14a)이 형성되고, 이 보조구(14)의 상당 중앙부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1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동슈트(10)의 돌출부(10a)가 상기 지지판(12)의 홈(12a)과 사익 보조구(14)의 홈(14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한 후 핀(13)을 끼워 장착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유동슈트(10)의 벨트(B) 폭 방향에 대한 양측의 소정 위치에는 연결바(20)의 상단이 각각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이 연결바(20)는 하부로 갈수록 상기 유동슈트(10)의 외표면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다.
상기 연결바(20)의 하단에 클래비스형 연결구(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바(20)에는 상기 연결구(2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그 크기는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2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된 지지구(22)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구(22)에는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홈(22a)이 형성됨으로써 그 홈(22a)을 통해 상기 연결바(20)가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1)와 지지구(22)는 벨트(B)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는 핀(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핀(23)이 삽입되는 상기 지지구(22)의 홈(22b)을 상하로 길게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구(22)에는 사행감지롤(24)이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지지구(22)의 하단은 스탠드(31)의 양단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탠드(31)는 벨트(B)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은 상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절곡부에 상기 지지구(22)의 하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탠드(31)의 중앙부에는 도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홈(31a)이 형성되는바, 이 홈(31a)은 벨트(B)의 진행 방향쪽으로 볼록하고 또한 벨트(B)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게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31)의 상부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스탠드(32)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스탠드(32)에는 벨트(B)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위한 지지롤(34)들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스탠드(32)의 중앙부에는 상기 홈(31a)에 대응되는 홈(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31)의 하부에는 벨트(B) 폭 방향으로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된 하부스탠드(33)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31)와 하부스탠드(33)는 스탠드(31)의 홈(31a)을 통해 끼워지는 볼트 형태의 지지핀(35)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바, 상기 지지핀(35)에는 상기 스탠드(31)의 홈(31a) 상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밀착되는 베어링부재(36)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벨트(B)가 사행되지 않고 정상적인 경로로 진행되는 경우, 슈트(11)와 유동 슈트(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송물(C)이 벨트(B)의 중앙부에 정상적으로 배출되고, 이 상태는 도2와 같다.
도4를 참조하여 벨트(B)가 사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벨트(B)는 도면의 후방 쪽으로 진행되고, 이러한 벨트(B)가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사행되면, 이 벨트(B)의 끝단이 사행감지롤(24)에 접촉되면서 사행감지롤(2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사행감지롤(24)에는 상기 벨트(B)의 사행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가해진다.
상기 사행감지롤(24)에 가해지는 힘은 그에 연결된 유동슈트(10)와 스탠드(31)에 전달되고, 상기 유동슈트(10)는 핀(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또한 동시에 홈(12a)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31)도 좌측으로 약간 이동되어지는바, 상기 스탠드(31)의 중앙부에 구비된 홈(31a)이 벨트(B)의 진행 방향쪽으로 볼록하고 또한 벨트(B)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탠드(31)는 좌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좌측 끝단이 벨트(B)의 진행 방향쪽으로 약간 이동되는 선회운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상기 유동슈트(10)의 회동에 의해 그로부터 배출되는 수송물(C)의 배출위치도 좌측으로 약간 이동되면서 벨트(B)의 중앙부에 수송물(C)이 적재되게 함으로써 수송물(C)이 벨트(B)의 양 끝단을 통해 낙광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그 수송물이 벨트(B)의 중앙부에 적재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벨트(B)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사행 조정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31)가 선회되어짐에 의해 상부스탠드(32)와 지지롤(34)들도 동시에 선회되는바, 이는 상기 지지롤(34)과 벨트(B) 사이에서 벨트(B)의 사행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 마찰력에 의해 벨트(B)의 사행이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에 의하면, 벨트가 사행될 때 수송물을 배출시키는 유동슈트도 벨트 사행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되어 벨트의 중앙부에 수송물이 적재되게 함으로써 수송물의 낙광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벨트의 사행을 조정시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유동슈트와 함께 스탠드도 벨트 사행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벨트의 사행이 효과적으로 조정된다.

Claims (3)

  1.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롤(34)에 의해 벨트(B)가 무한궤도 운동되게 지지되고, 슈트(11)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 수송물(C)이 상기 벨트(B)의 상부에 적재되게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에서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슈트(11)의 하부에 벨트(B)의 폭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동슈트(10)가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31)의 양측이 연결바(20)를 매개로 상기 유동슈트(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바(20)에 사행되는 벨트(B)의 끝단에 접촉하여 공회전되는 사행감지롤(24)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31)의 중앙부에 벨트(B)의 진행 방향쪽으로 볼록하고 벨트(B)의 폭 방향에 대하여 양측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는 형상의 홈(31a)이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31)는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된 하부스탠드(33)에 상기 홈(31a)을 통해 끼워지는 지지핀(35)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슈트(10)는 상기 슈트(11)에 벨트(B) 폭방향으로 형성된 홈(12a)을 따라 회동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0)는 하단에 연결구(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31)의 양단에 지지구(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21)와 지지구(22)가 벨트(B)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핀(23)에 의해 벨트(B)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상대적으로 이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구(21)와 지지구(22)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핀(23)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홈(22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20010060184A 2001-09-27 2001-09-27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76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84A KR100768304B1 (ko) 2001-09-27 2001-09-27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84A KR100768304B1 (ko) 2001-09-27 2001-09-27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80A KR20030028180A (ko) 2003-04-08
KR100768304B1 true KR100768304B1 (ko) 2007-10-17

Family

ID=2956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84A KR100768304B1 (ko) 2001-09-27 2001-09-27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61B1 (ko) 2011-11-29 2013-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825B1 (ko) * 2005-03-21 2006-09-1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75U (ko) * 1996-11-05 1998-08-05 김종진 벨트의 사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스커트 장치
KR19990013570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75U (ko) * 1996-11-05 1998-08-05 김종진 벨트의 사행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스커트 장치
KR19990013570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61B1 (ko) 2011-11-29 2013-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80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473B2 (ja) 分類装置ベルトコンベア
NL1010466C2 (nl)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goederen.
KR100768304B1 (ko) 수송물 공급용 슈트에 의한 벨트 사행 조정장치
JP2009537425A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JPH07133009A (ja) リターンパイプコンベヤ
KR200352833Y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교정장치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100931148B1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JPH10101205A (ja) パイプコンベヤシステムにおけるベルト端部の押さえ装置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200218645Y1 (ko) 벨트사행 조정장치
KR200169337Y1 (ko) 벨트 컨베어 사행 조정장치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200339717Y1 (ko) 상, 하 유동 편차를 이용한 벨트 사행 보정 스탠드 장치
US11691181B2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JP4497334B2 (ja) 搬送装置
KR101835446B1 (ko) 자동 조심 롤러 장치
KR20120121550A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20230156333A (ko)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KR100812158B1 (ko) 벨트 사행에 따른 편적 방지 기능을 갖는 선회슈트장치
KR20020041061A (ko) 양방향 벨트 콘베이어용 사행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