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333A -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333A
KR20230156333A KR1020237030252A KR20237030252A KR20230156333A KR 20230156333 A KR20230156333 A KR 20230156333A KR 1020237030252 A KR1020237030252 A KR 1020237030252A KR 20237030252 A KR20237030252 A KR 20237030252A KR 20230156333 A KR20230156333 A KR 2023015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long
conveyance direction
horizonta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나미카와
마나부 오나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3015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4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pushers transversally movable on the supporting surface, e.g. push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주반송 방향 T로 이동하고 또한 주반송 방향 T에 직교하는 폭 방향 W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4)를 사용하여, 물품(A)을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배분 영역(B)에서 폭 방향 W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해당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물품(A)에 접촉시킨다.

Description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본 발명은,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의 분야에 있어서, 외형이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물품을 혼재시켜 반송(搬送)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물품 분류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물품 분류 장치의 일례가, 일본공개특허 제2016-1392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분류 장치(반송 장치 1)는, 주(主)반송 방향을 따라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지지체(슬랫 2)와,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transverse-pushing body)(물품 압출(押出)용 슈 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물품 분류 장치는, 주반송 방향을 따라 그대로 직진시킬 것인지,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물품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분류 장치에서는,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물품 가로 가압체(물품 압출용 슈 3)를 사용하여 상기 분류를 행하고 있다. 그 때, 물품 가로 가압체는, 경사 안내체(분지 가이드 레일 6)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특허문헌 1의 도 6에 나타내어지는 LM1∼LM2(→H1∼H2) 사이의 영역에서, 분류 대상의 물품에 대하여 최초로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물품 지지체와 함께 주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물품 가로 가압체는, 경사 안내체로부터 반력을 받는 상태에서 물품과 접촉하므로, 해당 접촉 시에, 물품에 대하여 큰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물품이 크게 회전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도(轉倒)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6-13920호 공보
그래서, 주반송 방향을 따라 그대로 직진시킬 것인지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물품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하는 경우에, 물품에 전도나 과대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방법은,
주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되어 오는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분류하는 물품 분류 방법으로서,
상기 주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를 사용하여,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해당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킨다.
또한,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장치는,
주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면에 탑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장치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해당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킨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물품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아직 안내되지 않은, 관성 이동 중의 물품 가로 가압체를 물품에 접촉시키므로, 물품 가로 가압체가 경사 안내체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물품과 물품 가로 가압체가 접촉한다. 그러므로, 최초의 접촉 시에 물품 가로 가압체로부터 물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게 억제되고, 물품에 전도나 과대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기술의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면서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실시형태의 물품 분류 장치의 평면도
[도 2] 물품 분류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3] 물품 분류 장치의 단면도(斷面圖)
[도 4] 물품 지지체와 물품 가로 가압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직진 안내체 및 사행(斜行) 안내체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배분 기구의 기능 설명도
[도 7] 물품과 물품 가로 가압체의 초기 접촉 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중량 물품을 분류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경량 물품을 분류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물품 분류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품 분류 장치(1)는, 예를 들면 물류창고에 있어서, 외형이나 크기, 무게 등이 상이한 복수의 물품(A)을 혼재시켜 반송하고, 분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분류 장치(1)는, 슬라이딩 슈(sliding-shoe)식의 슬랫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분류 장치(1)는 지지대(2)와, 물품 지지체(3)와, 물품 가로 가압체(4)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2)는, 물품(A)을 반송하는 방향인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배치되고,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물품 지지체(3)는, 지지대(2)에 대하여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물품 가로 가압체(4)는 물품 지지체(3)에 대하여, 주반송 방향 T에 직교하는 폭 방향 W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물품 분류 장치(1)의 한쪽 외측에는, 주반송 방향 T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분기 컨베이어(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반송 방향 C는, 주반송 방향 T의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방향이다. 분기 컨베이어(9)는, 복수의 물품(A) 중 분류 대상의 물품(A)인 대상 물품(At)을 반송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2)는, 폭 방향 W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체(21)를 가진다. 상부 프레임체(21)는 왕로를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체(21)에는, 물품 지지체(3)의 주반송 방향 T를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레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부(22)는, 위쪽을 향하는 상향 안내면(22a)과, 안쪽을 향하는 내향 안내면(22b)을 가진다. 상향 안내면(22a) 상을, 물품 지지체(3)의 이동 롤러(36)가 전동(轉動)한다. 또한, 내향 안내면(22b)에 대하여 안쪽으로부터 맞닿으면서, 물품 지지체(3)의 사이드 롤러(37)가 전동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체(21)에는, 물품 지지체(3)의 이동 롤러(36) 및 무단(無端) 체인(38)을 바깥쪽 및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커버(2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지지대(2)는, 상부 프레임체(21)의 아래쪽에, 귀로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체(21)과 하부 프레임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대(2)에는, 물품 지지체(3)의 무단 체인(38)이 감긴 구동 스프로켓(26) 및 종동(從動) 스프로켓(27)(도 2를 참조)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구동 스프로켓(26)은 구동용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종동 스프로켓(27)은 무단 체인(38)을 통하여, 구동 스프로켓(26)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물품 지지체(3)는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판형 지지 부재(31)로서는, 예를 들면 슬랫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31)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주회(周回)하는 무단 체인(38)(도 2를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 지지체(3)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31)는 무단 체인(38)을 통하여, 구동 스프로켓(26)의 회전에 연동하여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주회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판형 지지 부재(31)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는, 주반송 방향 T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체(32)의 상면은 물품(A)이 탑재되는 탑재면(32a)으로 되고 있다.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병렬 배치된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31)의 각 탑재면(32a)의 집합에 의해,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하는 「반송면」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3)는 탑재면(32a)에 탑재된 물품(A)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반송한다.
지지 프레임체(32)에는, 만곡 오목부(33)와 코너 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 오목부(33) 및 코너 홈부(34)는, 지지 프레임체(32)의 길이 방향(물품 분류 장치(1)의 폭 방향 W)으로 볼 때 각각 일률적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폭 방향 W)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에 있어서, 각각의 만곡 오목부(33)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만곡 오목부(33)에 걸쳐,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슬라이딩체(4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에 있어서, 각각의 코너 홈부(34)는, 탑재면(32a) 중 서로 반대측의 코너부(주반송 방향 T의 상류측의 지지 프레임체(32)에 있어서는 상류측의 코너부/주반송 방향 T의 하류측의 지지 프레임체(32)에 있어서는 하류측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코너 홈부(34)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접촉부(41)에 형성된 하방 돌출부(41p)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는 연결체(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체(35)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를 폭 방향 W의 양쪽에서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연결체(35)에는, 폭 방향 W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이동 롤러(36)가 축지지되고 있다. 또한, 연결체(35)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이드 롤러(37)가 축지지되고 있다. 판형 지지 부재(31)가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할 때, 이동 롤러(36)는 안내 레일부(22)의 상향 안내면(22a) 상을 전동하고, 사이드 롤러(37)는 안내 레일부(22)의 내향 안내면(22b)에 대하여 안쪽으로부터 맞닿으면서 전동한다.
또한, 연결체(35)에는, 무단 회동체인 무단 체인(38)이 고정되어 있다. 무단 체인(38)은 이동 롤러(3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물품 가로 가압체(4)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복수 늘어서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물품 지지체(3)에 대하여 주반송 방향 T에 직교하는 폭 방향 W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의 각각이, 대응하는 판형 지지 부재(31)의 각각에 대하여 폭 방향 W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가로 가압체(4)는 접촉부(41)와, 슬라이딩체(42)와, 피안내부(44)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41)는, 복수의 물품(A) 중 분류 대상의 물품(A)인 대상 물품(At)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촉부(41)는 물품 지지체(3)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 W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물품 지지체(3)에 탑재된 대상 물품(At)에 접촉한다. 접촉부(41)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형의 접촉 본체부(41A)와, 접촉 본체부(41A)에 고정된 완충 부재(41B)를 가진다. 접촉 본체부(41A)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 본체부(41A)는, 주반송 방향 T에서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고, 또한, 폭 방향 W에서의 분기 컨베이어(9)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분기 컨베이어(9) 측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상면을 가지고 있다. 완충 부재(41B)는 예를 들면 고무나 우레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충 부재(41B)는 접촉 본체부(41A)에서의 분기 컨베이어(9) 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대상 물품(At)에 최초로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41)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하방 돌출부(41p)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방 돌출부(41p)는, 판형 지지 부재(31)에 형성된 코너 홈부(34)에 위쪽으로부터 진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방 돌출부(41p)는 스크레이퍼로서 기능하고, 대상 물품(At)이 얇은 경우라도 그것을 양호하게 가로로 가압할 수 있다.
슬라이딩체(42)는 접촉부(41)에 연결되어 있고, 해당 접촉부(4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체(42)는, 판형 지지 부재(3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만곡 오목부(33)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체(42)의 표면이, 만곡 오목부(33)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체(42)에서의, 만곡 오목부(33)와의 대향 부분에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슬라이더(43)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43)로서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된 수지 슬라이더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체(42)는, 슬라이더(43)의 볼록부만이 판형 지지 부재(31)(지지 프레임체(3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판형 지지 부재(31)에 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3) 대신에, 슬라이딩체(42)와 만곡 오목부(33)의 대향 부분에, 예를 들면 베어링 등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물품 가로 가압체(4)가 폭 방향 W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피안내부(44)는 슬라이딩체(42)에 연결되어 있고, 해당 슬라이딩체(4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피안내부(44)는, 슬라이딩체(42)를 통하여 접촉부(41)에 고정된 지지축(45)과, 해당 지지축(4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46)를 가진다. 지지축(45)은 롤러(46)를 관통하여 해당 롤러(46)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지지축(45)은, 물품 가로 가압체(4)가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직진 이동할 때, 직진 안내체(5)의 직진 안내면(52a)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지지축(45)은, 물품 가로 가압체(4)가 배분 기구(7)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뀔 때, 배분 기구(7)의 각 안내면(73c, 73d)을 따라 안내된다. 롤러(46)는, 물품 가로 가압체(4)가 물품 지지체(3)에 대하여 폭 방향 W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경사 안내체(6)의 경사 안내면(61a)을 따라 안내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분류 장치(1)는 직진 안내체(5)와, 경사 안내체(6)와, 배분 기구(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직진 안내체(5), 경사 안내체(6), 및 배분 기구(7)는 모두 지지대(2)에 고정되어 있다.
직진 안내체(5)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주반송 방향 T를 따르는 직진 이동을 안내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진 안내체(5)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연장되는 직진 안내면(52a)을 구비하고 있다. 직진 안내체(5)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주반송 방향 T를 따르는 직진 이동을 직진 안내면(52a)에 의해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진 안내체(5)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설치된 직진 안내 레일(5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직진 안내 레일(51)의 상면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의 외경보다 약간 넓은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52)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의 하단부가 진입한다. 그리고, 홈부(52)의 측벽면이 직진 안내면(52a)으로서 기능하고, 직진 안내면(52a)은 지지축(45)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직진 안내면(52a)을 따라 지지축(45)이 이동함으로써, 물품 가로 가압체(4)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직진 이동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직진 안내체(5)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 경로를 「직진 안내 경로(S)」라고 한다.
경사 안내체(6)는, 물품 지지체(3)에 대한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안내체(6)는, 주반송 방향 T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연장되는 경사 안내면(61a)을 구비하고 있고,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슬라이드 이동을 경사 안내면(61a)에 의해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안내체(6)는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연장되는 경사 안내 레일(61)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 안내 레일(61)은 물품 가로 가압체(4)의 롤러(46)와 같은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안내 레일(61)의 분기 컨베이어(9) 측의 측면이 경사 안내면(61a)으로서 기능하고, 경사 안내면(61a)은 롤러(46)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경사 안내체(6)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 경로를 「경사 안내 경로(L)」라고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안내 레일(61)은, 직진 안내 레일(51)(주반송 방향 T)에 대한 경사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안내 레일(61)은 제1 레일부(62), 제2 레일부(63), 제3 레일부(64), 및 제4 레일부(65)의 4개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직진 안내 레일(51)(주반송 방향 T)에 대한 제1 레일부(62)의 경사 각도를 제1 각도 α, 제2 레일부(63)의 경사 각도를 제2 각도 β, 제3 레일부(64)의 경사 각도를 제3 각도 γ, 제4 레일부(65)의 경사 각도를 제4 각도 δ로 하면, 제4 각도 δ보다 제1 각도 α가 크고, 그 제1 각도 α보다 제2 각도 β가 크고, 그 제2 각도 β보다 제3 각도 γ가 더 크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각도 α는 3°∼10° 사이에 설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각도 β는 10°∼15° 사이에 설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3 각도 γ는 15°∼25° 사이에 설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4 각도 δ는 0°∼5° 사이에 설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는, 최하류측의 제4 레일부(65)를 제외하고, 폭 방향 W에서의 분기부(B)에 대응하는 위치(배분 기구(7)가 설치된 측의 직진 안내 레일(51)의 위치)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직진 안내 레일(51)(주반송 방향 T)에 대한 경사 각도가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의 예에 있어서, 폭 방향 W에서의 분기부(B)에 대응하는 위치(배분 기구(7)가 설치된 측의 직진 안내 레일(51)의 위치)를 「기준 위치 P0」로 하고, 폭 방향 W에서의 제1 레일부(62)의 개시 위치를 「제1 위치 P1」로 하고, 마찬가지로, 제2 레일부(63) 및 제3 레일부(64)에 대하여 각각 「제2 위치 P2」 및 「제3 위치 P3」으로 한다. 기준 위치 P0에 가장 가까운 제1 위치 P1을 기점으로 하는 제1 레일부(62)에 비하여, 그보다 먼 제2 위치 P2를 기점으로 하는 제2 레일부(63)의 경사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α<β). 또한, 그 제2 레일부(63)에 비하여, 제2 위치 P2보다 더 먼 제3 위치 P3을 기점으로 하는 제3 레일부(64)의 경사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β<γ).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 안내 레일(61)이 꺾은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경사 반송 방향 C」는 전체적인 방향을 표시하고, 「경사 안내 경로(L)」도 전체적인 경로를 표시한다. 경사 안내 레일(61)은, 최종적으로는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분기 컨베이어(9)로 향하게 하는 경로이므로, 예를 들면 분기 컨베이어(9)의 연장 방향을 경사 반송 방향 C로 간주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분 기구(7)는 직진 안내 경로(S)와 경사 안내 경로(L)의 분기부(B)에 배치되어 있다. 배분 기구(7)는, 물품 가로 가압체(4)를 직진 안내 경로(S)를 향하는 방향과 경사 안내 경로(L)를 향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배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분 기구(7)가 설치된 분기부(B)를 포함하는 영역이 「배분 영역」에 상당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분 기구(7)는 블록체(71)를 구비하고 있다. 블록체(71)의 상면에는, 2단계의 깊이를 가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체(71)의 상면에, 얕은 홈부(7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얕은 홈부(72)의 바닥면에, 깊은 홈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얕은 홈부(72)는, 상류측의 단부(端部)를 제외하고, 물품 가로 가압체(4)의 롤러(46)의 외경보다 약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깊은 홈부(73)는 상류측의 단부를 제외하고,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의 외경보다 약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얕은 홈부(72)를 물품 가로 가압체(4)의 롤러(46)가 통과하고, 또한 깊은 홈부(73)를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이 통과한다.
얕은 홈부(72) 및 깊은 홈부(73)의 상류측의 단부는, 폭이 넓고,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분 기구(7)에 도달한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위치맞춤을 할 수 있다.
또한, 얕은 홈부(72)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형성된 직진 얕은 홈부(72A)와, 이 직진 얕은 홈부(72A)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얕은 홈부(72B)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깊은 홈부(73)는,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형성된 직진 깊은 홈부(73A)와, 이 직진 깊은 홈부(73A)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깊은 홈부(73B)를 가진다. 그리고, 직진 깊은 홈부(73A)에 대한 분기 얕은 홈부(72B)의 경사 각도를 제5 각도 ε으로 하면, 제5 각도 ε은 제1 각도 α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5 각도 ε은 제3 각도 γ와 같은 정도의 크기이면 된다. 제5 각도 ε은 예를 들면, 15°∼30° 사이에 설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이다.
또한, 직진 깊은 홈부(73A)와 분기 깊은 홈부(73B)의 분기 지점에, 요동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74)는 예를 들면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고, 하류측의 단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도 6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부재(74)가 분기 깊은 홈부(73B) 측에 위치하도록 요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직진 깊은 홈부(73A) 내를 진행해 오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은, 그대로, 직진 깊은 홈부(73A) 내를 진행한다. 이 때, 직진 깊은 홈부(73A)의 측벽면은 직진용 안내면(73c)으로서 기능하고, 직진용 안내면(73c)은 지지축(45)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부재(74)가 직진 깊은 홈부(73A) 측에 위치하도록 요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직진 깊은 홈부(73A) 내를 진행해 오는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은, 요동 부재(74)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뀌고, 그 후, 분기 깊은 홈부(73B) 내를 진행한다. 이 때, 분기 깊은 홈부(73B)의 측벽면은 분기용 안내면(73d)으로서 기능하고, 분기용 안내면(73d)은 지지축(45)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분기부(B)에 있어서 물품 가로 가압체(4)는 폭 방향 W로 초속(初速)이 부여된다. 즉, 물품 가로 가압체(4)이 폭 방향 W로 가속화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요동 부재(74)에 의해 진행 방향 변경 시에 물품 가로 가압체(4)를 폭 방향 W에 있어서 가속하고, 분기 깊은 홈부(73B)의 직선 부분에서 물품 가로 가압체(4)를 폭 방향 W에 있어서 등속 이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분 기구(7)는, 요동 부재(74)를 요동시킴으로써 지지축(45)을 직진 깊은 홈부(73A)와 분기 깊은 홈부(73B) 중 어느 하나에 분배하고, 물품 가로 가압체(4)를 직진 안내 경로(S)를 향하는 방향과 경사 안내 경로(L)를 향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분배한다. 물품(A)을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그대로 직진시키는 경우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를 직진 안내 경로(S)에 향하게 한다. 한편, 물품(A)을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를 경사 안내 경로(L)에 향하게 한다. 이 조작을, 1개의 물품(A)에 대하여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가 할당되고, 해당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에 대하여 순차 행한다. 이로써, 물품 분류 장치(1)는, 분기부(B)에 있어서, 물품(A)을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물품(A)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한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분류 장치(1)에 있어서, 직진 안내체(5)는 배분 기구(7)에 대하여 주반송 방향 T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진 안내체(5)를 구성하는 직진 안내 레일(51)이 배분 기구(7)를 구성하는 블록체(71)와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그 때, 직진 안내 레일(51)에 형성된 홈부(52)와, 블록체(71)에 형성된 직진 깊은 홈부(73A)가,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직접 연속되도록, 블록체(71) 및 직진 안내 레일(51)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배분 기구(7)의 직진 깊은 홈부(73A)의 측벽면에 의한 직진용 안내면(73c)와, 직진 안내체(5)의 홈부(52)의 측벽면에 의한 직진 안내면(52a)이 일직선상에 연속하고 있다.
경사 안내체(6)는 배분 기구(7)에 대하여 주반송 방향 T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안내체(6)를 구성하는 경사 안내 레일(61)이 배분 기구(7)를 구성하는 블록체(71)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 경사 안내 레일(61)의 측면에 의한 경사 안내면(61a)이, 블록체(71)에 형성된 분기 깊은 홈부(73B)의 측벽면에 의한 분기용 안내면(73d)에 대하여, 이격 영역(Rs)을 사이에 두고 주반송 방향 T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분 기구(7)와 경사 안내체(6) 사이의 이격 영역(Rs)은, 접촉 개시 영역(Rc)을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접촉 개시 영역(Rc)은, 분류 대상의 물품(A)인 대상 물품(At)에 물품 가로 가압체(4)가 최초로 접촉하는 주반송 방향 T의 영역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분 기구(7)에 의해 폭 방향 W로 가속된 후에 방출된 물품 가로 가압체(4)는, 접촉 개시 영역(Rc)보다 앞의 관성 이동 영역(Ri)에서 분기 깊은 홈부(73B)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성 이동한다. 그리고, 해당 관성 이동 중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이격 영역(Rs)에 있어서, 아직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분류 대상의 물품(A)인 대상 물품(At)에 최초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배분 기구(7)와 경사 안내체(6) 사이의 이격 영역(Rs)에는, 물품(A)(대상 물품(At))을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물품 가로 가압체(4)를 폭 방향 W로 가속화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는 관성 이동 영역(Ri)과, 해당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물품(A)(대상 물품(At))에 접촉시키는 접촉 영역(R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격 영역(Rs) 중 접촉 개시 영역(Rc)을 제외하는 영역이 관성 이동 영역(Ri)이다.
이와 같이, 물품(A)(대상 물품(At))을 경사 반송 방향 C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분기부(B)에서 폭 방향 W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해당 관성 이동 중의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물품(A)(대상 물품(At))에 접촉시켜, 물품(A)(대상 물품(At))의 반송 방향을 주반송 방향 T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다.
물품 가로 가압체(4)는, 그 롤러(46)가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아직 안내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사 안내체(6)로부터 반력을 받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물품 가로 가압체(4)를 대상 물품(At)과 최초로 접촉시킴으로써(이하, 「가이드리스(guideless) 접촉」이라고 함), 경사 안내체(6)로부터의 반력을 받지 않는 만큼, 최초의 접촉 시에 물품 가로 가압체(4)로부터 대상 물품(At)에 작용하는 힘이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대상 물품(At)이 폭 방향 W로 이동한다고 해도, 전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그 가이드리스 접촉에 의해, 대상 물품(At)이 회전한다고 해도, 지나치게 회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물품(A)에는, 경량 물품(Al)과, 경량 물품(Al)보다 무거운 중량 물품(Ah)이 포함된다. 경량 물품(Al)은 규정의 기준중량 이하의 무게의 물품(A)이며, 중량 물품(Ah)은 규정의 기준중량보다 무거운 물품(A)이다. 가이드리스 접촉 시, 경량 물품(Al)은, 폭 방향 W에 있어서 중량 물품(Ah)에 비하여 보다 멀리까지 이동하고, 또한 상하 방향을 축으로서 중량 물품(Ah)에 비하여 보다 크게 회전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가로 가압체(4)가 중량 물품(Ah)에 가이드리스 접촉하면, 중량 물품(Ah)은 폭 방향 W로 약간 이동하고, 또한 상하방향을 축으로서 소정 각도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우에서의 폭 방향 W의 이동량이 폭 방향 W에서의 제1 레일부(62)의 투영 길이 이내로 되고, 또한,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각도가 제1 레일부(62)의 경사 각도(제1 각도 α)에 가까워지도록, 제1 레일부(62)의 설치 상태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 W에서의 제1 레일부(62)의 투영 길이는, 제1 레일부(62)가 폭 방향 W에 있어서 차지하는 영역의 해당 폭 방향 W를 따르는 길이이다(이하 동일).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중량 물품(Ah)은, 폭 방향 W의 위치를 유지한 채, 물품 지지체(3)와 함께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후속의 몇 가지의 물품 가로 가압체(4)와 함께, 접촉부(41)가 중량 물품(Ah)으로부터 이격하면 함께 롤러(46)도 경사 안내 레일(61)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물품 지지체(3)와 함께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한다.
결국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의 각각의 롤러(46)가 경사 안내 레일(61)(여기서는 제1 레일부(62))에 접촉하게 되면, 그 후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는 경사 안내체(6)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중량 물품(Ah)을 폭 방향 W로 밀어 슬라이드시켜 간다. 이 때, 중량 물품(Ah)의 회전 각도는 제1 레일부(62)의 경사 각도(제1 각도 α)에 가까우므로,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상태의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거의 동시에 중량 물품(Ah)에 접촉하여, 면 전체에서 지지하면서 중량 물품(Ah)를 슬라이드시켜 간다. 그러므로,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중량 물품(Ah)과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최초의 접촉 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가로 가압체(4)가 경량 물품(Al)에 가이드리스 접촉하면, 경량 물품(Al)은, 중량 물품(Ah)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멀리까지 폭 방향 W로 이동하고, 또한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보다 큰 각도만큼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우에서의 폭 방향 W의 이동량이 폭 방향 W에서의 제1 레일부(62) 및 제2 레일부(63)를 합한 투영 길이 이내로 되고, 또한,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각도가 제2 레일부(63)의 경사 각도(제2 각도 β)에 가까워지도록, 제2 레일부(63)의 설치 상태가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경량 물품(Al)은 폭 방향 W의 위치를 유지한 채, 물품 지지체(3)와 함께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후속의 몇 가지의 물품 가로 가압체(4)와 함께, 접촉부(41)가 경량 물품(Al)으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롤러(46)도 경사 안내 레일(61)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물품 지지체(3)와 함께 주반송 방향 T를 따라 이동한다.
결국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의 각각의 롤러(46)가 경사 안내 레일(61)(여기서는 제2 레일부(63))에 접촉하게 되면, 그 후에는, 물품 가로 가압체(4)는 경사 안내체(6)로부터 반력을 받으면서 경량 물품(Al)을 폭 방향 W로 밀어 슬라이드시켜 간다. 이 때, 경량 물품(Al)의 회전 각도는 제2 레일부(63)의 경사 각도(제2 각도 β)에 가까우므로,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상태의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거의 동시에 경량 물품(Al)에 접촉하여, 면 전체에서 지지하면서 경량 물품(Al)을 슬라이드시켜 간다. 그러므로,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경량 물품(Al)과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최초의 접촉 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 물품(Ah)의 회전 각도가 제1 레일부(62)의 경사 각도(제1 각도 α)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상태의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동시에 중량 물품(Ah)에 접촉하고, 상이한 경우에는, 중량 물품(Ah)에 순차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경량 물품(Al)의 회전 각도가 제2 레일부(63)의 경사 각도(제2 각도 β)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경사 안내체(6)에 의해 안내된 상태의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4)는 동시에 경량 물품(Al)에 접촉하고, 상이한 경우에는, 경량 물품(Al)에 순차 접촉한다.
[기타의 실시형태]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지지체(3)가 복수의 판형 지지 부재(31)(구체적으로는 슬랫)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지지체(3)가 예를 들면 복수의 관형 지지 부재(파이프)로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물품 지지체(3)가 예를 들면 무단 벨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가로 가압체(4)가, 판형 지지 부재(3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32) 사이에 수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가로 가압체(4)가 판형 지지 부재(31)에 외측에서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는 등, 물품 지지체(3)에 대한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슬라이드 구조는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가, 경사 각도가 서로 상이한 4개의 부분을 가지고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각도가 서로 상이한 부분의 수는 3개 이하라도 되고, 5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가,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레일부(62)로부터 제3 레일부(64)에 걸친 부분)에 호형부 등의 곡선형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A)이 경량 물품(Al)과 중량 물품(Ah)으로 구별되고,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이들 2종의 물품의 거동을 고려하여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의 설치 태양(態樣)이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A)이 그 중량에 따라 3종 이상으로 구별되고, 가이드리스 접촉 후의 상기 3종 이상의 물품의 거동을 고려하여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의 설치 태양이 설정되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의 측면 전체가 경사 안내면(61a)으로 되고 있고,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의 전체가 배분 기구(7)로부터 주반송 방향 T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가 경사 안내면(61a) 이외에, 물품 가로 가압체(4)를 안내하는 일이 없는 비안내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적어도 경사 안내면(61a)과 배분 기구(7)가 주반송 방향 T로 이격하고 있으면, 경사 안내체(6)(경사 안내 레일(61) 자체는 배분 기구(7)에 인접하여(또한 연속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배분 기구(7)와 경사 안내체(6) 사이의 이격 영역(Rs)이 접촉 개시 영역(Rc)을 완전히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가로 가압체(4)와 대상 물품(At)의 최초의 접촉이 가이드리스 접촉으로 되는 한, 이격 영역(Rs)은 접촉 개시 영역(Rc)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7)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배분 기구(7)가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74)를 구비하고,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진행 방향을 기계적으로 배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지지축(45)을 강자성체로 형성하고 또한 배분 기구(7)에 전자석과 영구 자석을 구비시키고, 물품 가로 가압체(4)의 진행 방향을 전자적으로 나누어도 된다.
(8) 전술한 각 실시형태(상기 실시형태 및 기타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상을 정리하면,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 구성을 구비한다.
주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되어 오는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분류하는 물품 분류 방법으로서,
상기 주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를 사용하여,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상기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아직 안내되고 있지 않은,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를 물품에 접촉시키므로, 물품 가로 가압체가 경사 안내체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물품과 물품 가로 가압체가 접촉한다. 그러므로, 최초의 접촉 시에 물품 가로 가압체로 물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게 억제되고, 물품에 전도나 과대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사용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1개의 상기 물품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순차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 가로 가압체에 의해,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해당 물품을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류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배분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는 부분을 가지는 경사 안내체를 사용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에 접촉한 후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르는 진행을 상기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품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품에 비하여,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와 최초로 접촉했을 때, 폭 방향으로 보다 많이 이동하고 상하 방향을 축으로서 보다 크게 회전한다. 이 점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이 경사 안내체를 구성하면, 물품의 무게에 의존하지 않고,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와 물품의 최초의 접촉 후,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안내된 상태의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다시 접촉시킬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 구성을 구비한다.
주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면에 탑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장치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해당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아직 안내되지 않은, 관성 이동 속의 물품 가로 가압체를 물품에 접촉시키므로, 물품 가로 가압체가 경사 안내체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물품과 물품 가로 가압체가 접촉한다. 그러므로, 최초의 접촉 시에 물품 가로 가압체로 물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게 억제되고, 물품에 전도나 과대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르는 직진 이동을 안내하는 직진 안내체와,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체와,
상기 직진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와 상기 경사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의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직진 안내체를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상기 경사 안내체를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를 배분하는 배분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분 기구가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경사 안내체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분 기구에 의해, 물품 가로 가압체를 폭 방향으로 가속시키는 구성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경사 안내체를 배분 기구로부터 주반송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거나, 또는 경사 안내체의 상류측의 경사 각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 등에 의해, 물품 가로 가압체를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는 구성을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는, 전술한 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룰 수 있으면 된다.
1: 물품 분류 장치
3: 물품 지지체
4: 물품 가로 가압체
5: 직진 안내체
6: 경사 안내체
7: 배분 기구
32a: 탑재면(반송면)
51: 직진 안내 레일
61: 경사 안내 레일
62: 제1 레일부
63: 제2 레일부
64: 제3 레일부
65: 제4 레일부
71: 블록체
72: 얕은 홈부
72A: 직진 얕은 홈부
72B: 분기 얕은 홈부
73: 깊은 홈부
73A: 직진 깊은 홈부
73B: 분기 깊은 홈부
74: 요동 부재
A: 물품
Al: 경량 물품
Ah: 중량 물품
B: 분기부(배분 영역)
S: 직진 안내 경로(직진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
L: 경사 안내 경로(경사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
T: 주반송 방향
C: 경사 반송 방향
W: 폭 방향
α: 제1 각도
β: 제2 각도
γ: 제3 각도

Claims (5)

  1. 주반송(主搬送) 방향을 따라 반송되어 오는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분류하는 물품 분류 방법으로서,
    상기 주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transverse-pushing body)를 사용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상기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키는,
    물품 분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사용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1개의 상기 물품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접촉시키는, 물품 분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상기 배분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는 부분을 가지는 경사 안내체를 사용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에 접촉한 후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르는 진행을 상기 경사 안내체에 의해 안내하는, 물품 분류 방법.
  4. 주반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면에 탑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물품 지지체; 및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주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가로 가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을, 규정의 배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진로를 분기시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장치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경사 반송 방향을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배분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고, 상기 관성 이동 중의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물품에 접촉시키는,
    물품 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주반송 방향을 따르는 직진 이동을 안내하는 직진 안내체;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의 상기 주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반송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체; 및
    상기 직진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와 상기 경사 안내체에 의한 안내 경로와의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직진 안내체를 따라 직진시킬 것인지 상기 경사 안내체를 따라 진행시킬 것인지를 배분하는 배분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분 기구가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경사 안내체를 따라 진행시키는 경우에, 상기 물품 가로 가압체를 상기 폭 방향으로 가속시킨 후에 관성 이동시키는, 물품 분류 장치.
KR1020237030252A 2021-03-17 2022-02-25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KR20230156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4055A JP7318673B2 (ja) 2021-03-17 2021-03-17 物品仕分け方法及び物品仕分け装置
JPJP-P-2021-044055 2021-03-17
PCT/JP2022/007993 WO2022196299A1 (ja) 2021-03-17 2022-02-25 物品仕分け方法及び物品仕分け装置(article sorting method and article sorting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333A true KR20230156333A (ko) 2023-11-14

Family

ID=8332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252A KR20230156333A (ko) 2021-03-17 2022-02-25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06452A1 (ko)
JP (1) JP7318673B2 (ko)
KR (1) KR20230156333A (ko)
CN (1) CN117043084A (ko)
TW (1) TW202243980A (ko)
WO (1) WO202219629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3920A (ja) 2014-06-13 2016-01-28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308B2 (en) 2001-11-01 2005-08-02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Conveyor system with diverting track network
CN103863811B (zh) 2003-03-12 2015-07-01 因特利格拉泰德总部有限责任公司 分类输送机和使物品在转向位置转向的方法
JP5290621B2 (ja) 2008-05-13 2013-09-1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コンベア装置
JP5344966B2 (ja) 2009-03-31 2013-11-20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仕分装置
JP6470202B2 (ja) 2016-02-18 2019-02-13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仕分けコンベヤの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3920A (ja) 2014-06-13 2016-01-28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18673B2 (ja) 2023-08-01
EP4306452A1 (en) 2024-01-17
JP2022143515A (ja) 2022-10-03
TW202243980A (zh) 2022-11-16
EP4306452A8 (en) 2024-03-13
CN117043084A (zh) 2023-11-10
WO2022196299A1 (ja)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9B1 (ko)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JP5140601B2 (ja) コンベヤ切換器
KR20090029783A (ko) 물품 회전용 벨트 컨베이어
US20080060915A1 (en) Article conveyor, in particular for airline baggage
JPH0676136B2 (ja) 搬送装置
US10549929B2 (en) Conveying facility
KR20230156333A (ko)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JP7276303B2 (ja) 物品仕分け装置
JP5018562B2 (ja) 搬送設備
JPS6144770B2 (ko)
JP4984833B2 (ja) 搬送設備
US20160159582A1 (en) Conveyor system for transporting items
US20240158180A1 (en) Article Sorting Method and Article Sorting Facility
US20110253507A1 (en) Carousel conveyor and method
KR102447321B1 (ko)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EP3696122B1 (en) A cross-belt sorter
EP362041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products
JP4973394B2 (ja) 搬送設備
JPH10338329A (ja) コンベヤ
JP2002370820A (ja) 搬送仕分け装置
JP4504484B2 (ja) 仕分けコンベヤ
JPH05722A (ja) 物品仕分けコンベヤ装置
JPH085144Y2 (ja) 整列コンベヤ
JPH04107724U (ja) 搬送物仕分け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