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222B1 -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 Google Patents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222B1
KR0166222B1 KR1019950002591A KR19950002591A KR0166222B1 KR 0166222 B1 KR0166222 B1 KR 0166222B1 KR 1019950002591 A KR1019950002591 A KR 1019950002591A KR 19950002591 A KR19950002591 A KR 19950002591A KR 0166222 B1 KR0166222 B1 KR 016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conveyor
angl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에모노토
Original Assignee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다이후쿠 filed Critical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그 치수에 관계없이 항상 만족하게 분기나 합류를 행할 수 있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롤러축(19)이 이송경로(9)와 직교할 때 이송하기 위한 물품(60)은 분류없이 가동롤러(16)에 의해 하류로 이송된다. 물품(60)을 분류할 필요가 있을 때는 경사각이 상류구역에서는 작고 점차 증가하도록 각도 변경장치(30)가 가동롤러(16)의 경사각을 개별적으로 변경시킨다. 물품의 분기는 작은 각도로부터 큰 각도로 점차 그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반면에 적은 양으로부터 많은 양으로 점차 한쪽으로 이동됨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한 물품(60)은 분기작용을 빠르게(급격하게 )받지 않고 충분한 분기작용을 받게 되므로 치수에 관계없이 항상 만족하게 분기가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작동 시킴에 의해 항상 만족하게 합류가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분기작용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2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직송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3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회전부여장치 부분의 평면도.
제5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중앙부분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주요부 단면 정면도.
제7도는 제1도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주요부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a)∼(b)는 각각 분기합류 콘베이어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분기작용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주요부 단면 정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의 주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콘베이어 9 : 이송경로
9A : 중앙부분 9B : 중간부분
9C : 끝부분 10 : 주콘베이어
11 : 기계프레임 12 : 콘베이어프레임
15 : 정지롤러 16 : 가동롤러
18 : 롤러프레임 19 : 롤러축
22 : 세로축 23 : 원통체
24 : 세로핀 결합구멍 30 : 각도변경장치
32 : 중앙연결부재 34 : 중간연결부재
36 : 끝연결부재 40 : 요동부여장치
44 : 크랭크아암 46 : 크랭크링크
50 : 회전부여장치 58 : 벨트
60 : 물품 61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행선지에 따라서 모아진 다수의 물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집하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설비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특개평 4-28071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분기장치가 제공되어 왔다. 상기한 종래의 분기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분기콘베이어가 주콘베이어의 바깥 옆쪽에 설치되고 주콘베이어는 프레임과 복수의 롤러를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롤러는 이송방향에서 보아서 양끝에 위치하고 프레임에 부착된 이송롤러와 이송방향에서 보아서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한쌍의 행거베이스에 부착된 유도롤러로 구성된다.
상기한 행거베이스는 구동수단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고 이 이동에 의해 유도롤러의 축이 이송롤러의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며 이에 의해 물품을 분기콘베이어로 분기하지 않고 직송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송롤러의 축에 대하여 유도롤러의 축을 경시시킴에 의해 물품을 분기콘베이어로 분기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유도롤러가 같은 각도로 경사지기 때문에 여러치수의 물품이 원활하게 분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즉 경사각과 이송속도가 큰 치수의 물품에 맞게 설정되면 작은 치수의 물품은 빠르게(급격하게) 분기작용을 받게 되고 과도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그 향하는 방향이 과도하게 변하거나 분기콘베이어와 충돌하게 된다. 또 경사각과 이송속도가 작은 치수의 물품에 맞게 설정되면 큰 치수의 물품은 분기작용을 충분히 받지 못하기 때문에 분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경사각과 이송속도가 중간치수의 물품에 맞게 설정되면 큰 치수가 작은 치수의 물품 모두 불완전한 분기를 하게 된다. 또한 짧은 이송롤러나 유도롤러를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끝부분의 유도롤러 바깥쪽에 설치하면 길이가 다른 여러 롤러의 사용으로 제조와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에 관계없이 이송되는 물품의 분기가 합류를 항상 만족하게 행할 수 있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는 롤러축이 이송경로의 방향과 직교되는 제1위치와 롤러축이 이송경로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2위치 사이를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계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와, 롤러의 경사각과 개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각도변경장치와, 롤러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기계프레임에 설치된 회전부여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부여장치로 롤러를 강제회전시킴에 의해 이송경로를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롤러의 롤러축이 이송경로방향과 직교하는 중립위치에 있어서는 물품을 분류하지 않고 롤러에 의해 하류로 직송할 수 있다.
물품의 분류가 필요할 때에는 각도변경장치가 분기명령에 의해 작동되고 이에 의해 룰러의 경사각이 개별적으로 변경된다. 즉 경사각이 상류쪽에서는 작고 점차로 증가한다.
이 방식으로 롤러를 경사시킨 결과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온 물품은 이송거리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그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고 적은 양으로 한쪽으로 점차 이동되도록 작은 경사각의 롤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중간 경사각의 롤러가 물품을 이송거리에 비해 약간 큰 각도로 그 향하는 방향을 점차 변경시키고 약간 많은 양으로 한쪽으로 점차 움직이도록 한다. 더욱이, 큰 경사각의 롤러가 물품을 이송거리에 비해 큰 각도로 그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고 많은 양으로 한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물품은 빠르게(급격하게 ) 분기작용을 받는 것보다 더 충분히 분기작용을 받고 따라서 물품을 치수에 관계없이 항상 만족하게 분기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류쪽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중계를 위한 짧은 롤러가 필요없고 제조와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반대로 각도변경장치가 같은 방식이지만 반대방향으로 롤러를 경사시킬 수 있고 따라서 물품을 분류를 위하여 다른쪽의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사한 배치에 있어서 이송방향을 회전부여장치의 역작동에 의해 변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물품을 치수에 관계없이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쪽의 바깥으로부터 항상 만족하게 합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분기합류용 부콘베이어가 경사가능한 롤러로 구성된 주콘베이어의 바깥 옆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롤러는 부콘베이어가 접근함에 따라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된다.
본 제1실시예에 의하면 경사각이 상류쪽에서는 작고 부콘베이어가 접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상기한 롤러를 경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온 주 콘베이어의 물품은 작은 경사각의 롤러에 의해 그 향하는 방향이 점차 변경되어 점차 옆쪽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상기한 물품은 그 향하는 방향이 점차 변경되는 동안에 큰 경사각의 롤러에 의해 많은 양으로 옆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의 분기와 합류가 주콘베이어와 주콘베이어의 바깥옆쪽에 위치한 부콘베이어의 사이에서 치수에 관계없이 항상 만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롤러가 복수의 구역으로 연합된 군으로나누어지고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구역의 롤러군을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로 경사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롤러군의 그 향하는 방향을 간단한 장치와 작동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롤러와 복수의 구역으로 연합된 군으로 나누어지고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롤러군을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로 경사시킬 수 있는 반면에, 나머지구역의 롤러군을 부콘베이어가 접근함에 따라 경사각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고 경사각의 변경은 개별적으로 행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의하면 나머지구역 롤러군의 점차 증가하는 경사각에 의해 상류로부터 이송되어 온 물품의 그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고 점차 증가하는 양으로 한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구역 롤러군의 큰 경사각에 의해 상기한 물품의 그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고 많은 양으로 한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롤러가 롤러축을 가로방향으로 해서 각각 롤러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롤러프레임은 각각 세로축을 통하여 기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의하면 각도 변경장치의 작동이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세로축을 통하여 롤러프레임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롤러의 경사가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기계프레임에 롤러프레임의 끝부분 하부표면 아래로부터 대향하는 지지부재를 실시한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의하면 물품의 지지이송을 행하지 않을 때나 물품을 분류하지 않고 이송경로에서 하류를 지지하고 이송할 때에, 롤러나 롤러프레임에 편하중이 걸리지 않고 롤러프레임이 지지부재와 작은 간격를 두고 대향한다. 물품이 부콘베이어에 의해 분류될 때에 중앙부에서 한점지지된 세로축 주위에 형성된 간격(틈)또는 물품의 중량이 롤러프레임을 분류쪽에 연결된 끝부분이 낮은 위치로 되도록 변경시키거나 경사시키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끝부분이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변형이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콘베이어로부터 부콘베이어로의 분류이동을 물품의 중량이나 다른 요인에 관계없이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도변경장치를 롤러프레임에 서로 요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프레임과 연동되게 연결된 요동부여장치로 구성한다.
상기한 제6실시예에 의하면 각도변경장치의 요도부여장치의 작동이 세로축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롤러프레임를 회전시키고 상기한 롤러프레임의 회전이 연결부재를 통하여 다른 롤러프레임에 전달되며 이에 의해 이들 롤러프레임이 세로축을 통하여 같은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연결부재의 설치와 배열을 고려하면 롤러의 경사각은 개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경사각이 상류쪽에서는, 작고, 부콘베이어가 접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롤러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재의 연결위치를 롤러축의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7실시예에 의하면 롤러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재의 연결위치를 롤러축의 방향으로 변경시킴에 의해 롤러가 부착된 롤러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조립할 때의 선택의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10)은 주콘베이어를 표시하고 주콘베이어(10)의 상류에는 반입콘베이어(1)가 설치되고 하류에는 반출콘베이어(2)가 설치되며 또 중간부의 바깥 양쪽에는 각각 분기를 위한 부콘베이어(3)가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구동롤러콘베이어형식이 반입콘베이어(1)와 반출콘베이어(2)와 부콘베이어(3)에 적용되었다. 제2도∼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콘베이어(10)의 기계프레임(11)은 한쌍의 콘베이어프레임(12)과, 두 콘베이어프레임(12)의 아래부분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부재(13)와, 적당한 가로부재(13)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다리부재(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송경로(9)방향으로 두 콘베이어프레임(12)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군은 이송경로(9)의 상류와 하류에서 두 콘베이어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정치롤러(15)군과 중간의 가동롤러(16)군으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가동롤러(16)는 룰러축(17)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롤러축(17)이 롤러프레임(18)에 각각 지지됨에 의해 가동롤러(16)는 롤러축(19)를 가로방향으로 하여 각각 롤러프레임(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롤러프레임(18)은 바닥판(18A)과, 바닥판(18A)의 왼쪽과 오늘쪽의 끝으로부터 위로 이어서 연장되는 옆판(18B)과, 바닥판(18A)의 앞과 뒤의 끝으로부터 위로 이어서 연장되는 앞뒤판(18C)에 의해 형성되고 롤러축(17)이 상기한 옆판(18B)의 사이에 지지된다. 그리고 폭방향에서 보아 콘베이어의 중간구역에 있어서는 위로 오목한 오목부(20)가 이 오목부(20)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가동롤러(16)의 아래부분이 노출되도록 바닥판(18A)으로부터 앞뒤판(18C)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가동롤러(16)는 롤러축(19)이 이송경로(9)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1위치와, 롤러축(19)이 이송경로(9)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2위치 사이를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폭방향에서 보아 콘베이어의 중앙구역 및 정지롤러(15)군과 가동롤러(16)군의 아래에 있어서는 세로부재(21)가 가로부재(13)의 위쪽 사이에 이송경로(9)의 전길이에 결쳐서 설치된다. 그리고 세로축(22)이 이송경로(9)의 방향으로 소정피치(P)의 간격으로 위치한 세로부재(21) 위의 복수위치에 세워 설치된다. 상기한 세로축(2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원통체(23)는 상기한 롤러프레임(18)의 바닥판(18A) 윗부분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롤러프레임(18)은 세로축(22)을 통하여 기계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한 이송경로(9)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9개)의 가동롤러(16)에 의해 이송경로방향에 있어서 중앙구역에 형성되는 중앙부분(9A)과, 복수(본 실시예에서 3개)의 가동롤러(16)에 의해 중앙부분(9A)의 상류와 하류에 형성되는 중간부분(9B)과,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가동롤러(16)에 의해 중간부분(9B)의 상류와 하류에 형성되는 끝부분(9C)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부콘베이어(3)는 중앙부분(9A)의 바깥 옆쪽에 설치된다.
각도변경장치(30)는 상기한 가동롤러(16)의 경사각을 개별적으로 변경시키도록 설치된다. 즉, 각도변경장치(30)는 인접한 롤러프레임(18)을 상대적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프레임(18)과 연동되게 연결되는 요동부여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부재는 링크형식이고 세로핀(31)에 의해 중앙부분(9A)의 롤러프레임(18) 바닥면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연결부재(32)와, 세로핀(33)에 의해 중앙부분(9A)의 한쪽 끝과 각각의 중간부분(9B)에서 롤러프레임(18)의 바닥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중간연결부재(34)와, 세로핀(35)에 의해 각각의 중간부분(9B)한쪽 끝과 각각의 끝부분(9C)에서 롤러프레임(18)의 바닥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끝연결부재(36)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롤러(16)의 롤러축(19)이 이송경로(9)의 방향과 직교할 때 긴 치수이고 공용화된 중앙연결부재(32)는 이송경로(9)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더욱이, 중간연결부재(34)는 세 개가 사용되고 세로핀(33)은 상류나 하류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며 직선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끝연결부재(36)는 세개가 사용되고 세로핀(35)은 각각 안과 바깥쪽에 위치하며 서로 정렬되고 상류나 하류보다 바깥쪽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중앙연결부재(32)와 중간연결부재(34)와 끝연결부재(36) 및 세로핀(31),(33),(35)의 배열과 설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프레임(18)이 요동부여장치에 의해 세로핀(22)의 주위로 경사지거나 회전될 때 부콘베이어(3)에 근접한 위치한 가동롤러(16), 예를 들면 중앙부분(9A)의 가동롤러(16)는 큰각으로 경사지거나 회전된다.
더욱이, 롤러프레임(18)의 바닥판(18A)에는 롤러축(19)의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세로핀결합구멍(24)이 형성되고, 따라서 롤러프레임(18)에 대한 중앙연결부재(32)와 중간연결부재(34)와 끝연결부재(36)의 연결위치는 롤러축(19)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롤러(16)가 부착된 롤러프레임(18)은 중앙부분(9A)과 중간부분(9B)과 끝부분(9C)의 어느 위치에도 위치시킬 수 있고 조립할 때에 소정위치의 선택이 필요없다.
그리고 상기한 중앙구역의 가로부재(13) 사이에 베이스프레임(25)이 설치되고 이 베이스프레임(25)에 요동부여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한, 요동부여장치(40)는 크랭크형식이고 베이스프레임(25)위에 장착된 정역구동이 가능한 구동부(41)(모터 등)와, 구동부(41)와 연동되게 연결된 감속기(42)와, 감속기(4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출력축(43)과, 출력축(43)에 부착된 크랭크아암(44)과, 크랭크아암(44)의 자유단과 중앙부분(9A)에 있는 하나의 롤러프레임(18)과의 사이에 세로핀(45)으로 연결된 프랭크링크(46)로 구성된다. 더욱이, 크랭크아암(44)의 자유단에 피검출부(44a)가 설치되고 이 피검출부(44a)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기, 예를 들면, 중립검출기(47)와 한쪽의 제1경사검출기(48)와 다른쪽의 제2경사검출기(49)가 설치된다.
기계프레임(11)의 옆에는 롤러(15,(16)와 연동되게 연결된 회전부여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세로부재(21)의 양 끝에 종동휠(5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한 종동휠(51)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휠(52)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또, 상기한 베이스프레임(25)에 한쌍의 가이드휠(53)과 장력휠(54)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25)에 장착된 정역구동이 가능한 구동부(55)(감속기를 갖춘모터)로부터 출력축(56)에 구동휠(57)이 부착된다.
또한 가로축이 축 부위를 회전하는 각 휠(51),(52),(53),(54),(57)사이에 벨트(58)가 걸려있다. 종동휠(51)사이의 위쪽 구역에 위치하는 벨트(58)의 일부분은 지지휠(52)에 의해서 아래로부터 지지되고 오목부(20)을 통하여 롤러(15),(16)의 아래부분에 눌리어 접하게 된다. 상기한(51)∼(58)는 회전부여장치(50)의 일예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작동에 있어서 회전부여장치(50)의 구동부(55)가 출력축(56)을 통하여 구동휠(57)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각 휠(51),(52),(53),(54)을 통하여 이송경로(9)를 따라 벨트(58)가 회전한다. 상기한 벨트(58)의 회전력은 롤러(15),(16)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롤러(15),(16)가 강제로 회전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롤러(16)의 롤러축(19)이 이송경로 (9)의 방향과 직교하는 중립사태에 있어서 반입콘베이어(1)로부터 주콘베이어(10)로 이송되어온 물품(60)은 구동된 정지롤러(15)에 의해 먼저 지지되고 이송된다. 상기한 물품(60)은 라인으로 투입될 때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거나 물품이 주콘베이어로 이송되기 전후에 바코드를 읽는 것에 의해 분류할 것인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즉, 분류하지 않을 때는 분기명령이 없으므로 가동롤러(16)는 중립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상류쪽에서 이송되어 온 물품(60)은 가동롤러(16)으로부터 하류의 정지롤러(15)로 지지되며 직송되고 반출콘베이어(2)로 반출된다.
그리고 물품(60)을 부콘베이어(3)의 어느 한쪽으로 분류할 때에는 분기명령에 의해 각도변경장치(30)가 정 또는 역으로 작동한다. 즉, 요동부여장치(40)의 구동부(41)가 정 또는 역으로 작동하여 프랭크암을 90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크랭크링크(46)가 하류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 크랭크링크(46)에 연결된 하나의 롤러프레임(18)이 세로축(22)을 통하여 회전된다.
상기한 하나의 롤러프레임(18)의 회전운동은 중앙연결부재(32)를 통하여 중앙부분(9A)에 있는 각 롤러프레임(18)에 전달되고 이를 롤러프레임(18)은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축(22)을 통하여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중앙부분(9A)의 가동롤러(16)가 큰 각도를 갖도록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로 경사진다.
그리고 중앙부분(9A)의 양 끝에 위치한 롤러프레임(18)의 경사회전은 중간연결부재(34)를 통하여 중간부분(9B)에 있는 롤러프레임(1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이들 롤러프레임(18)이 세로축(22)을 통하여 회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간연결부재(34)는 더 상류나 하류쪽에 위치한 세로핀(33)이 더 바깥쪽으로 위치하는 직선형상으로 위치하므로 세로핀(33)과 중간연결부재(34)의 배치와 배열에 의해 롤러프레임(18), 즉 가동롤러(16)는 중앙부분(9A)보다 더 작은 각도로 경사지고 끝부분(9C)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진다. 더욱이, 중간부분(9B)에서의 경사각도 중앙부분(9A)의 경사각보다 작다.
또한 중간부분(9B)의 양 끝에 위치한 롤러프레임(18)의 경사회전은 끝연결부재(36)를 통하여 끝부분(9C)에 있는 롤러프레임(1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이들 롤러프레임(18)의 세로축(22)을 통하여 회전된다. 이경우에 있어서 끝연결부재 (36)는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한 세로핀(35)이 각각 서로 정렬되고 더 상류나 하류쪽에 위치한 세로핀(35)이 더 바깥쪽으로 위치하므로 세로핀(35)과 끝연결부재(36)의 배치와 배열에 의해 롤러프레임(18), 즉 가동롤러(16)는 중간부분(9B)보다 더 작은 각도로 경사지고 끝쪽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진다. 더욱이 끝부분(9C)에서의 경사각은 중간부분(9B)의 경사각보다 작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동롤러(16)를 경사시킴으로 먼저 상류쪽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물품(60)은 끝부분(9C)에 있는 작은 각도로 경사진 가동롤러(16)에 의해 그 향하는 방향이 이송거리에 비해 작은 각도로 점차 변경되고 한쪽으로 적은 양으로 점차이동된다. 그리고 상기한 물품(60)은 중간부분(9B)에있는 중간각도로 경사진 가동롤러(16)에 의해 그 향하는 방향이 이송거리에 비해 약간 큰 각도로 점차 변경되고 한쪽으로 약간 많은 양으로 점차 이동된다.
더욱이 상기한 물품(60)은 중앙부분(9A)에 있는 큰 각도로 경사진 가동롤러(16)에 의해 그 향하는 방향이 이송거리에 비해 큰 각도로 점차 변경되고 한쪽으로 많은 양으로 점차 이동되므로 제1도에서 실선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60)이 한쪽옆에 설치된 부콘베이어(3)로 분류되고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한 방식의 역으로 각도변경장치(30)를 작동시켜서 유사한 방식으로 가동롤러(16)을 반대방향으로 경사시킬 수 있음에 의해 제1도에서 이점쇄선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에 설치된 부콘베이어(3)로 이송하기 위하여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경사상태로부터 중립상태로의 복귀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콘베이어(10)로부터 왼쪽과 오른쪽의 부콘베이어(3)로 분기(분류)를 행하는 작동을 설명했지만 같은 배치에 있어서 제8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콘베이어(10)의 이송방향을 변경하는 것과 구동부(55)를 역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물품(60)을 왼쪽과 오른쪽의 부콘베이어(3)으로부터 주콘베이어(10)로 합류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콘베이어(3)를 주콘베이어(10)의 바깥쪽으로 양쪽에 설치했지만 제8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콘베이어(3)을 단지 한쪽에 설치된 형식으로 해도 좋다. 또 제8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향하는 방향이 다른 부콘베이어(3)를 양쪽에 설치된 형식으로 해도 좋고 제8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향하는 방향이 다른 부콘베이어(3)를 이송경로(9)의 방향으로 엇갈리게 설치하는 형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지롤러(15)를 가동롤러(16)의 상류와 하류양쪽에 설치했지만 모든 롤러를 가동롤러(16)로 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부여장치(50)로 정역구동형식을 사용하고 가동롤러(16)를 중앙부분(9A)의 상류와 하류의 중간부분(9B)과 끝부분(9C) 사이에 나누어 설치했지만 회전부여장치(50)를 1방향 구동형식을 사용하고 하류쪽에 설치한 중간부분(9B)이나 끝부분(9C)을 생략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앙연결부재(32)와 중간연결부재(34)와 끝 연결부재(36)를 각도변경장치(30)로 사용했지만 본 발명은 원통체(23)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등의 다른 형식을 사용해도 좋다. 또 회전부여장치(50)로 벨트(58)를 사용했지만 체인 등을 사용하는 형식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세로핀결합구멍(24)을 롤러프레임(18)에 형성하여 결합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변경할 수 없는 형식이나 미끄럼수단에 의해 결합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한 형식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입콘베이어(1)와 반출콘베이어(2)와 부콘베이어(3)각각에 구동롤러콘베이어형식을 사용했지만 벨트콘베이어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구동형식의 부콘베이어(3)를 주콘베이어(10)의 바깥양쪽에 설치했지만 비구동형식의 부콘베이어(3)를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부콘베이어(3)를 자동활송장치로 대체한 형식을 사용해도 좋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9도∼제10도에 나타내었다. 롤러프레임(18)의 끝부분 아래로부터 대향하는 지지부재(61)가 기계프레임에 설치되었다. 상기한 지지부재(61)는 예를 들면 수지(또는 금속)제의 판레일 형상이고 롤러프레임(18)의 양끝 사이에 아래로부터 대향하여 이송경로(9)를 따라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 복수의 앵글형상 브래킷(62)의 한쌍의 콘베이어프레임(12)의 안쪽 옆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부착된다. 브래킷(62)의 부착은 콘베이어프레임(12)에 형성된 열장이음흠(63)에 너트(64)를 위치시키고 브래킷(62)의 세로판 안쪽으로부터 볼트(65)을 삽입하여 너트(64)와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브래킷(62)의 가로판은 상부에서 안쪽을 향하고 상기한 지지부재(61)는 가로판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한 지지부재(61)의 위로부터 삽입된 접시머리나사(66)는 가로판에 형성된 나사구멍(67)에 나사결합되고 이에 의해 지지부재(61)는 브래킷(62)을 통하여 콘베이어프레임(12)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재(61)는 롤러프레임(18)의 바닥판(18A)끝부분 아래면에 대해서 그 윗면에 충분히 접근되어 (작은 간격를 두고)설치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60)이 지지되고 이송되지 않을때나 또는 분류없이 이송경로(9)에서 하류로 지지되고 이송될 때에 가동롤러(16)와 롤러프레임(18)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프레임(18)의 바닥판(18A)끝부분 아래면은 지지부재(61)에 대해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물품(60)이 어느 한쪽의 부콘베이어(3)로 이송되기 위하여 분류될 때 중앙에서 한점 지지하는 세로축(22)과 원통체(23)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틈)이나 물품(60)의 중량등에 의해 분류이송중의 하중이 이동됨에 따라 롤러프레임(18)은 분류쪽의 끝부분이 낮은 위치로 되도록 변형 및 경사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0도에 이점쇄선(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18A)의 끝부분 아래면이 지지부재(61)의 윗면에 맞닿아서 그 이상의 변형 및 경사가 방지된다. 그러므로, 주콘베이어(10)로부터 부콘베이어(3)로의 분류이동을 물품(60)의 중량등에 의한 롤러프레임(18)의 더 이상의 변형이나 경사없이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모든 롤러프레임(18)에 대향하는 긴 판레일 형상의 부재를 지지부재(61)로 사용했지만 각 지지부재는(61)는 이송경로(9)의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어도 좋고 각 부분이 하나의 롤러프레임(18)이나 복수의 롤러프레임(18)에 대향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부재(61)를 브래킷(61)을 생략하고 직접 콘베이어프레임(12)에 부착해도 좋다.

Claims (3)

  1. 이송경로를 규정하는 주콘베이어, 상기 주콘베이어의 바깥쪽 측면으로 설치된 부콘베이어, 기계프레임, 롤러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롤러, 상기한 각 롤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변경장치, 각 롤러의 중앙부분에 아래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에 배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각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여장치, 그리고 이송경로를 따라 기계프레임에 배치되어 각 롤러에 대하여 롤러프레임의 끝부분 하부표면 아래로부터 대향하는 판레일 형상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롤러가 롤러축이 이송경로의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와 롤러축이 이송경로의 방향에 관해 경사시는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의 기계프레임에 관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롤러가 복수의 부분에 연합한 군으로 나누어져,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중앙부분의 롤러군을 같은 방향의 같은 각도로 경사시키고 부콘베이어에 접근함에 따라 나머지 중앙부분 끝부분의 각 롤러군을 그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시키며 상기한 각 롤러프레임은 바닥판과 앞뒤판을 보유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의 바닥판으로부터 앞뒤판으로 연장되는 위로 오목한 오목부가 롤러프레임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각 롤러는 롤러축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롤러프레임은 수직축을 통해 기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그리고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벨트는 위로 오목한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롤러 하부표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2. 이송경로는 규정하는 주콘베이어, 상기 주콘베이어의 바깥쪽 측면으로 설치된 부콘베이어, 기계프레임, 롤러프레임 지지되는 복수개의 롤러, 상기한 각 롤러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변경장치, 각 롤러의 중앙부분에 아래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고 기계프레임에 배치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각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여장치 그리고 이송경로를 따라 기계프레임에 배치되어 각 롤러에 대하여 롤러프레임의 끝부분 하부표면 아래로부터 대향하는 판레일 형상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롤러가 롤러축이 이송경로의 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와 롤러축이 이송경로의 방향에 관해 경사지는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의 기계프레임에 관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롤러가 복수의 부분에 연합한 군으로 나누어져, 부콘베이어에 인접한 중앙부분의 롤러군을 같은 방향의 같은 각도로 경사시키고 부콘베이어에 접근함에 따라 나머지 중앙부분과 끝부분의 각 롤러군을 그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시키며 인접한 롤러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위치를 롤러축 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으며 프랭크링크를 가지는 요동부여장치와 하나 이상의 롤러프레임이 요동부여장치의 크랭크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롤러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위치를 롤러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크랭크링크를 가지는 요동부여장치와 하나 이상의 롤러프레임이 요동부여장치의 크랭크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치.
KR1019950002591A 1994-03-24 1995-02-13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KR0166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36594 1994-03-24
JP94-52365 1994-03-24
JP24988594A JP3163916B2 (ja) 1994-03-24 1994-10-17 分岐合流用コンベヤ設備
JP94-249885 1994-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6222B1 true KR0166222B1 (ko) 1998-12-01

Family

ID=2639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591A KR0166222B1 (ko) 1994-03-24 1995-02-13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53325A (ko)
EP (1) EP0673861B1 (ko)
JP (1) JP3163916B2 (ko)
KR (1) KR0166222B1 (ko)
CN (1) CN1054348C (ko)
AU (1) AU674266B2 (ko)
CA (1) CA2141077C (ko)
DE (1) DE69505441T2 (ko)
ES (1) ES2122349T3 (ko)
MY (1) MY1140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6660B1 (en) * 1997-09-16 2001-09-11 Key Handling Systems, Inc. Roller conveyor and roller shaft support bracket
DE29721767U1 (de) * 1997-12-10 1999-04-15 Hermann Schmidt Maschinenfabrik, 44536 Lünen Vorrichtung zum Übergeben von auf Rollenbahnen, Förderbändern o.dgl. zugeführten Stückgütern
US6401936B1 (en) 1999-04-30 2002-06-11 Siemens Electrocom, L.P. Divert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
US6471044B1 (en) 1999-04-30 2002-10-29 Siemens Electrocom, L.P. Hold and release singulator
CA2581227C (en) * 2004-09-28 2011-04-26 Laitram,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 speed conveyor switching
US7422098B2 (en) * 2004-10-22 2008-09-09 Hytrol Conveyor Company, Inc. Saw toothed merging conveyor and method
US7591366B2 (en) * 2005-06-07 2009-09-22 Hytrol Conveyor Company, Inc.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accumulating packages of varying lengths
DE102009003475A1 (de) * 2009-02-12 2010-08-19 Krones Ag Förderer und Verfahren zum Beschicken einer Weiterverarbeitungseinheit
US8733534B2 (en) * 2010-06-28 2014-05-27 Pteris Global Limited Belt conveyor system
CN102658889B (zh) * 2012-05-03 2013-08-21 刘丙炎 安瓿瓶自动输送装置
CA2878328C (en) * 2012-07-04 2017-07-11 Daifuku Co., Ltd. Transport conveyer and transport facility
CN102992014A (zh) * 2012-10-12 2013-03-27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一种输送机滚筒结构
US9051122B2 (en) 2012-11-30 2015-06-09 Raymond Edward Poehlein Idler roller conveyor system
CN103043363A (zh) * 2012-12-25 2013-04-17 湖北弘毅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兼用于波纹钢板和平直钢板的输送辊道
CN103171888A (zh) * 2013-03-29 2013-06-26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瓶子传输装置
CN104229368A (zh) * 2014-08-21 2014-12-24 朱新成 一种物流运输系统
CN104477639A (zh) * 2014-12-15 2015-04-01 苏州互强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分流线
JP6837734B2 (ja) * 2015-02-13 2021-03-03 株式会社石野製作所 飲食物搬送装置
CN104891157B (zh) * 2015-05-22 2017-04-19 云南昆船设计研究院 一种物料动态合流方法和系统
CN104986523B (zh) * 2015-06-26 2017-03-01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 一种双货位回转输送机
CN105035718A (zh) * 2015-06-30 2015-11-11 伯曼机械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节约穿越空间的箱体输送合流系统
CN105000215A (zh) * 2015-07-21 2015-10-28 登封市启明轩程控设备有限公司 挂面包装机分机布料装置
CN105293045B (zh) * 2015-08-14 2018-06-12 江苏力维智能装备有限公司 自动化合流包装分拣系统及其使用方法
DE102016205304A1 (de) * 2016-03-31 2017-10-05 Krones Ag Niederdruck-Speichervorrichtung und/oder Verteileinheit für Behälter
CN105905582B (zh) * 2016-06-28 2019-03-12 佛山市冠哲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吊扇叶的收集装置
CN106429358B (zh) * 2016-11-23 2019-07-26 中邮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体靠边输送装置及方法
CA3054597A1 (en) 2017-03-08 2018-09-13 Robert D. Lundahl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10532894B2 (en) 2017-03-10 2020-01-1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transfer units, systems, and methods
JP7018071B2 (ja) * 2017-05-05 2022-02-09 フィブ・イントラロジスティ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物品の分類及び仕分けシステム
CN107265039A (zh) * 2017-08-08 2017-10-20 上海煤气第管线工程有限公司 地下管廊内专用的大型管道输送平台
AU2018372168A1 (en) 2017-11-22 2020-06-0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sortation units, systems, and methods
JP6895127B2 (ja) * 2018-06-11 2021-06-3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の分岐合流装置
WO2020147851A1 (zh) * 2019-01-20 2020-07-23 苏州苏相机器人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传送装置
CN109850491A (zh) * 2019-01-25 2019-06-07 佛山市西菱欧科技有限公司 一种主传送装置、送料装置及数控磨边加工中心
JP7127627B2 (ja) * 2019-09-06 2022-08-30 株式会社ダイフク 分岐設備
CN110980218B (zh) * 2019-12-30 2021-02-09 合肥海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商的五口直线分拣装置
JP7400526B2 (ja) * 2020-02-19 2023-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CN111687472A (zh) * 2020-07-03 2020-09-22 北京京诚之星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剪切线的辊道和剪切生产线
CN111891722B (zh) * 2020-08-10 2022-02-25 中国烟草总公司重庆市公司涪陵分公司 一种条烟包装分拣入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6267A (en) * 1935-07-30 1938-11-08 Lamson Co Conveyer mechanism
DE944480C (de) * 1954-03-05 1956-06-14 Heinrich Schaefer Dipl Ing Rollenbahnweiche
US2794529A (en) * 1954-09-24 1957-06-04 Mechanical Handling Sys Inc Roller conveyor switch
GB1060170A (en) * 1964-11-23 1967-03-01 Bagshawe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junction devices for gravity conveyors
SE301769B (ko) * 1965-03-15 1968-06-17 Electrolux Ab
US4111412A (en) * 1977-04-04 1978-09-05 Ppg Industries, Inc. Conveyor for separating and aligning glass sheets
FR2407150A1 (fr) * 1977-10-28 1979-05-25 Berthelat Et Fils Ets Aiguillage a rouleaux entraines pour systeme de convoyage continu
DE3044136C2 (de) * 1980-11-24 1983-03-31 Maschinen- und Stahlbau Julius Lippert GmbH & Co, 8487 Pressath Rollenbahnweiche
US4815588A (en) * 1987-04-23 1989-03-28 Daifuku Co., Ltd. Roller conveyor
FR2663311B1 (fr) * 1990-06-14 1992-10-09 Bourges Inst Univers Technolog Trieur pour convoyeur.
JPH04280711A (ja) * 1991-03-07 1992-10-06 Okura Yusoki Co Ltd ダイバ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1077A1 (en) 1995-09-25
EP0673861B1 (en) 1998-10-21
DE69505441T2 (de) 1999-05-12
DE69505441D1 (de) 1998-11-26
CN1054348C (zh) 2000-07-12
EP0673861A1 (en) 1995-09-27
AU1131995A (en) 1995-10-05
CN1117012A (zh) 1996-02-21
ES2122349T3 (es) 1998-12-16
MY114083A (en) 2002-08-30
AU674266B2 (en) 1996-12-12
US5653325A (en) 1997-08-05
CA2141077C (en) 1999-02-16
JPH07309413A (ja) 1995-11-28
JP3163916B2 (ja)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KR101335779B1 (ko)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JP5140601B2 (ja) コンベヤ切換器
US5535874A (en) Carrier for transport and delivery of an article to a destination
US6899217B1 (en) Off-set block tilt tray sorter with gap detector
KR101725337B1 (ko) 분기방향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분기형 피봇 휠 소터
US20100006393A1 (en) Diverter Assembly
US6854584B2 (en) Linear belt sorter and methods of using linear belt sorter
JP6836747B2 (ja) 搬送仕分け装置
US5960938A (en) Conveyor for cantilevered loads
JP3160362B2 (ja) 搬送装置
CN111824712B (zh) 分拣机
KR102607958B1 (ko) 물류 자동 분류장치
KR102588540B1 (ko)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JPS6048420B2 (ja) 仕分装置
JP3791392B2 (ja) 転換設備
JPH0640171Y2 (ja) 物品の振分け装置
JP3139724B2 (ja) 搬送振分装置
KR102681532B1 (ko) 반송 분류 장치
CN217820926U (zh) 一种安检系统
KR20230156333A (ko)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CN216154645U (zh) 鸟钩式输送单元、鸟钩式闭环安装轨道以及货物仓储系统
JP2990938B2 (ja) ハンガーコンベアシステム
JPS6164613A (ja) パレツト搬送装置における水平リタ−ン装置
CN115724095A (zh) 鸟钩式输送单元、鸟钩式闭环安装轨道以及货物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