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321B1 -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21B1
KR102447321B1 KR1020200110744A KR20200110744A KR102447321B1 KR 102447321 B1 KR102447321 B1 KR 102447321B1 KR 1020200110744 A KR1020200110744 A KR 1020200110744A KR 20200110744 A KR20200110744 A KR 20200110744A KR 102447321 B1 KR102447321 B1 KR 102447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rgo
shaft pin
slide shoe
s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87A (ko
Inventor
박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1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슈의 이동베어링의 축핀을 광센서로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분기이동유닛을 작동시킴에 따라 분기이동유닛이 안정적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분기타이밍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슬랫의 측단부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지지베어링이 개재됨에 따라 슬랫과 이송컨베이어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는,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장치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여 그 일측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장치로 배출시키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이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화물이송유닛과, 상기 슬랫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화물을 측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출 컨베이어장치로 전달하는 슬라이드슈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드슈를 측방으로 분기이동시키는 분기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상부면에는 제 1 가이드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랫의 하부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슈는 상기 슬랫의 제 1 가이드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슈바디와, 상기 슬랫의 제 2 가이드레일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핀과, 상기 슈바디와 상기 축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축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이동유닛은 상기 축핀이 유입되고 양측에는 상기 축핀의 감지를 위한 광센서가 구비되는 축핀감지가이드와, 축핀감지가이드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전방가이드와, 상기 전방가이드의 하류측에 배열되고 직선로와 경사로로 분기형성되는 분기가이드와, 상기 전방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 사이에서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축핀을 상기 직선로와 경사로 중 하나로 안내하는 회동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의 경사로에 대응되는 X자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Sorting apparatus using slide shoe}
본 발명은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장치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여 배출 컨베이어장치로 배출시키는 화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는 우편물이나 짐, 상품 따위를 요구하는 장소까지 직접 배달해 주는 일을 말한다.
최근 들어 인터넷 쇼핑이 대중화되면서 그에 따른 배송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택배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택배가 가능하지 않은 물품을 찾는 것이 어려울 정도록 정도로 모든 물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배송량은 지금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배송하고자 하는 물건을 상자에 넣어 포장하고 이를 택배 회사에 전달하면, 이렇게 전달된 화물은 원하는 목적지로 바로 배송되는 것이 아니라 화물 분류 창고로 이동되어 취합되고 지역에 따라 분류된 후, 각 지역별 배송창고로 이송되어 배송 준비된다.
이때 화물 분류 창고에서는 화물을 각 지역별로 분류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화물 분류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569호(2011.12.06. 공개)에는 작은 지역으로 구별된 소규모 집하장에 화물수집차량으로부터 하역되는 화물의 박스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박스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표시부와, 상기 바코드표시부가 마킹된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컨베이어장치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화물의 박스 표면에 광학적으로 표현된 상기 바코드표시부를 스캔 판독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로 판독된 상기 화물을 분배하여 배송인에 인계하는 분배인계컨베이어장치로 구성 되는 화물분류시스템이 개시된다.
한편 전술한 화물 분류장치 중 하나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를 들 수 있다.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는 화물을 분류하여 이송하는 데 있어서 가장 신속정확하고 안전한 장치로 알려지면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83442호(2017.10.10. 공고)에는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 상기 유입 컨베이어 장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에서 분류된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물을 예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서 상기 화물의 진행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화물을 배출구로 밀어주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유닛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슬랫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에 대응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각각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양단를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체인부; 및 상기 체인부를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한 단턱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 상기 이동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안내부; 및 상기 이동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의 진행 경로를 설정해주기 위한 단턱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된 상부 면을 가지는 중공의 외부 부재; 상기 외부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재의 상부 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내부 부재; 및 상기 내부 부재의 돌출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단턱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4780(2017.10.25. 공고)에는 장방형에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는 슬랫부 다수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면에 적재된 화물을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슬랫부의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화물을 측방으로 이송하여 분류하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슬랫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랫부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긴장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슬랫부와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한 단턱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 및 상기 이동부 하부에 형성되며, 단턱 이송 레일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슬랫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이동 본체; 및 상기 이동 본체와 상기 슬랫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본체와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슬랫부와는 슬라이드 연결되는 슬라이드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재는 상기 슬라이드 연결체에 끼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연결체와 상기 슬랫부의 슬라이드 공간 사이에서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슈 방식 분류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경우에는 슬랫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슈를 분기이동시키기 위한 분기이동유닛이 공압실린더 또는 서보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바코드 스캔된 특정 화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슬랫의 슬라이드슈를 차례로 분기이동시킴에 있어 분기타이밍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경우에는 슬랫의 측단부가 이송컨베이어에 직접 결합되고 이송컨베이어의 외측에 지지베어링이 직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슬랫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569호(2011.12.06. 공개)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83442호(2017.10.10. 공고)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4780(2017.10.2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드슈의 이동베어링의 축핀을 광센서로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분기이동유닛을 작동시킴에 따라 분기이동유닛이 안정적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분기타이밍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랫의 측단부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지지베어링이 개재됨에 따라 슬랫과 이송컨베이어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장치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여 그 일측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장치로 배출시키는 화물 분류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이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화물이송유닛과, 상기 슬랫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화물을 측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출 컨베이어장치로 전달하는 슬라이드슈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드슈를 측방으로 분기이동시키는 분기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상부면에는 제 1 가이드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랫의 하부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슈는 상기 슬랫의 제 1 가이드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슈바디와, 상기 슬랫의 제 2 가이드레일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핀과, 상기 슈바디와 상기 축핀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축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이동유닛은 상기 축핀이 유입되고 양측에는 상기 축핀의 감지를 위한 광센서가 구비되는 축핀감지가이드와, 축핀감지가이드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전방가이드와, 상기 전방가이드의 하류측에 배열되고 직선로와 경사로로 분기형성되는 분기가이드와, 상기 전방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 사이에서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축핀을 상기 직선로와 경사로 중 하나로 안내하는 회동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의 경사로에 대응되는 X자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상기 화물이송유닛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화물의 진입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화물이송유닛의 이송컨베이어의 회전에 연동되는 엔코더를 통해 상기 화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물감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랫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을 주행하는 지지베어링의 개재하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방가이드에는 상기 축핀감지가이드에 대응되는 직선로와 상기 X자가이드에 대응되는 경사로가 분기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가이드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가이드가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스토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X자가이드에는 상기 슬라이드슈의 이동베어링이 충돌되면서 이동베어링의 이동경로를 전환시키는 전환베어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슈의 이동베어링의 축핀을 광센서로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분기이동유닛을 작동시킴에 따라 분기이동유닛이 안정적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분기타이밍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의하면, 슬랫의 측단부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지지베어링이 개재됨에 따라 슬랫과 이송컨베이어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슬랫의 설치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슈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분류이송유닛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물(3)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장치(100)의 하류에 연결되어 화물이송유닛(20)을 통해 화물(3)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여 슬라이드슈(30)를 통해 그 일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배출 컨베이어장치(20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유입 컨베이어장치(100)는 2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하되 화물(3)의 이송방향으로 볼 때 하류에 위치되는 컨베이어가 더 빠른 속도로 구동됨에 따라 화물(3)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로 유입되기에 앞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 컨베이어장치(100)의 상부에는 화물(3)에 표시된 바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스캐너(110)가 별도 구비된다.
또한 배출 컨베이어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의 측면에 다수개가 연접되게 이격배열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의 슬라이드슈(30)에 의해 분류이송되는 화물(3)이 연계되어 이송배출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슬랫의 설치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슈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에 있어서, 분류이송유닛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화물(3)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21)이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화물(3)을 이송시키는 화물이송유닛(20)과, 슬랫(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화물(3)을 측방으로 이송시켜 배출 컨베이어장치(200)로 전달하는 슬라이드슈(30)와, 지지프레임(10) 상에 배열되고 슬라이드슈(30)를 측방으로 분기이동시키는 분기이동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0)은 화물이송유닛(20)과 슬라이드슈(30) 그리고 분기이동유닛(40) 등을 일정 높이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다수의 다리부재(11)를 포함한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는 화물이송유닛(20)이 구비된다. 화물이송유닛(20)은 유입 컨베이어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화물(3)이 순차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화물(3)의 이송을 위해 화물(3)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21)이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23)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슬랫(21)은 다수개가 연접 배열되어 화물(3)의 하중을 지지하는 일종의 컨베이어용 슬랫벨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랫(21)의 상부면에는 차후에 설명될 슬라이드슈(30)의 슈바디(3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레일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랫(21)의 하부면에는 차후에 설명될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 2 가이드레일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랫(21)은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배열되는 이송컨베이어(23)에 연결되되,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상을 주행하는 지지베어링(25)의 개재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지지베어링(25)은 이송컨베이어(23)의 부재를 연겨하는 연결핀 상에 관통결합되고 이 연결핀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슬랫(21)의 측단부에 고정결합된다. 이 와 같이 슬랫(21)의 측단부와 이송컨베이어(23) 사이에 지지베어링(25)이 개재될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지지베어링(25)에 의해 슬랫(21)과 이송컨베이어(23)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화물이송유닛(20)의 슬랫(21)에는 슬라이드슈(3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슈(30)는 차후에 설명될 분기이동유닛(40)에 의해 슬랫(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화물(3)을 측방으로 이송시켜 특정된 배출 컨베이어장치(200; 도 1 참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슈(3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랫(21)의 제 1 가이드레일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슈바디(31)와, 상단은 슬랫(21)의 제 2 가이드레일홈(2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차후에 설명될 분기이동유닛(40)을 따라 이동되는 축핀(33)과, 슈바디(31)와 축핀(33)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35)와, 축핀(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축핀(33)과 함께 차후에 설명될 분기이동유닛(40)을 따라 주행 안내되는 이동베어링(37)을 포함한다.
슈바디(31)는 실제 화물(3)의 하단 측면을 밀어 화물(3)을 화물이송유닛(20)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화물(3)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내구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슈바디(31)는 연결대(35)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35)는 슬랫(21)의 일측 둘레를 둘러싸되 상측이 슈바디(31)에 결합되고 하단은 축핀(33)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가장자리 측에는 분기이동유닛(40)이 배열된다. 분기이동유닛(40)은 화물이송유닛(20) 상에서 이동되는 화물(3)을 특정 배출 컨베이어장치(200; 도 1 참조)로 분류배출시키기 위해 특정 슬라이드슈(30)를 순차적으로 측방으로 분기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기이동유닛(40)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핀(33)이 유입되고 양측에는 축핀(33)의 감지를 위한 광센서(41')가 구비되는 축핀감지가이드(41)와, 축핀감지가이드(41)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전방가이드(43)와, 전방가이드(43)의 하류측에 배열되고 직선로(45')와 경사로(45")로 분기형성되는 분기가이드(45)와, 전방가이드(43)와 분기가이드(45) 사이에서 솔레노이드(47')에 의해 회동되면서 축핀(33)을 직선로(45')와 경사로(45") 중 하나로 안내하는 회동가이드(47)와, 분기가이드(45)의 경사로(45")에 대응되는 X자가이드(49)를 포함한다.
축핀감지가이드(41) 상의 광센서(41')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특정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의 진입시에 ON 상태에서 OFF로 전환됨에 따라 특정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체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방가이드(43)에는 축핀감지가이드(4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직선로(43')와, X자가이드(49)에 대응되는 경사로(43")가 분기형성된다. 직선로(43')는 축핀감지가이드(41)를 거친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이 차후에 설명될 축핀(33)이 분기가이드(45)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경사로(43")는 X자가이드(49)를 거쳐 이동된 축핀(33)이 반대측의 전방가이드(43)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분기가이드(45)는 직선로(45')와 경사로(45")로 분기형성됨에 따라 회동가이드(47)의 회동여부에 따라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이 직선로(45')를 따라 이동되거나 또는 특정 배출 컨베이어장치(200; 도 1 참조)로의 화물(3)의 분류배출을 위해 경사로(45")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회동가이드(47)는 전방가이드(43)와 분기가이드(45) 사이에서 솔레노이드(47')에 의해 회동되면서 축핀(33)을 분기가이드(45)의 직선로(45')와 경사로(45") 중 하나로 안내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47')는 화물(3)이 분류를 위한 특정 위치에 위치되었음이 감지될 경우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경사로(45") 측으로 회전되고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 원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가이드(47)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전방단부는 슬라이드슈(30)의 축핀(33)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가이드(47)의 양측에는 회동가이드(47)가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스토퍼(4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자가이드(49)는 화물이송유닛(20) 상에서 슬라이드슈(30)가 양방향, 즉 화물이송유닛(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또는 화물이송유닛(2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하는 것으로, 중앙 부위에는 슬라이드슈(30)의 이동베어링(37)이 충돌되면서 이동베어링(37)의 이동경로를 전환시키는 전환베어링(49')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상에서 화물이송유닛(20)의 전방에는 화물감지유닛(50)이 설치될 수 있다. 화물감지유닛(50)은 유입 컨베이어장치(100)로부터 화물(3)이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화물(3)의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슬라이드슈(30)의 분기이동을 위한 분기이동유닛(40)이 대응되게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에 의해 화물(3)의 유무를 검출하는 화물감지센서(미도시)와, 화물이송유닛(20)의 이송컨베이어(2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이송 중인 화물(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엔코더(51)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의 분기이동유닛(40)의 경우에는, 슬라이드슈(30)의 이동베어링(37)의 축핀(33)을 축핀감지가이드(41) 상에서 광센서(41')로 감지한 후 솔레노이드(47')를 구동시켜 회동가이드(47)를 회동작동시킴에 따라 분기이동유닛(40)이 안정적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분기타이밍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1)의 분기이동유닛(40)의 화물이송유닛(20)의 경우에는, 슬랫(21)의 측단부와 이송컨베이어(23) 사이에 지지프레임(10) 상에 지지되는 지지베어링(25)이 개재됨에 따라 화물(21)의 하중 인가에도 불구하고 슬랫(21)과 이송컨베이어(23)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3 : 화물
10 : 지지프레임
11 : 지지다리
20 : 화물이송유닛
21 : 슬랫
21' : 제 1 가이드레일홈
21" : 제 2 가이드레일홈
23 : 이송컨베이어
25 : 지지베어링
30 : 슬라이드슈
31 : 슈바디
33 : 축핀
35 : 연결재
37 : 이동베어링
40 : 분기이동유닛
41 : 축핀감지가이드
41' : 광센서
43 : 전방가이드
43' : 직선로
43" : 경사로
45 : 분기가이드
45' : 직선로
45" : 경사로
47 : 회동가이드
47' : 솔레노이드
47" : 회동스토퍼
49 : X자가이드
49' : 전환베어링
50 : 화물감지유닛
51 : 엔코더
100 : 유입 컨베이어장치
200 : 배출 컨베이어장치

Claims (6)

  1. 화물(3)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장치(100)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3)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여 그 일측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장치(200)로 배출시키는 화물 분류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화물(3)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21)이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상기 화물(3)을 이송시키는 화물이송유닛(20); 상기 슬랫(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화물(3)을 측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출 컨베이어장치(200)로 전달하는 슬라이드슈(3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드슈(30)를 측방으로 분기이동시키는 분기이동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슬랫(21)의 상부면에는 제 1 가이드레일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랫(21)의 하부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슈(30)는 상기 슬랫(21)의 제 1 가이드레일홈(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슈바디(31)와, 상기 슬랫(21)의 제 2 가이드레일홈(2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핀(33)과, 상기 슈바디(31)와 상기 축핀(33)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대(35)와, 상기 축핀(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베어링(37)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이동유닛(40)은 상기 축핀(33)이 유입되고 양측에는 상기 축핀(33)의 감지를 위한 광센서(41')가 구비되는 축핀감지가이드(41)와, 축핀감지가이드(41)의 하류측에 배열되는 전방가이드(43)와, 상기 전방가이드(43)의 하류측에 배열되고 직선로(45')와 경사로(45")로 분기형성되는 분기가이드(45)와, 상기 전방가이드(43)와 상기 분기가이드(45) 사이에서 솔레노이드(47')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축핀(33)을 상기 직선로(45')와 경사로(45") 중 하나로 안내하는 회동가이드(47)와, 상기 분기가이드(45)의 경사로(45")에 대응되는 X자가이드(49)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가이드(43)에는 상기 축핀감지가이드(41)에 대응되는 직선로(43')와 상기 X자가이드(49)에 대응되는 경사로(43")가 분기형성되고,
    상기 회동가이드(47)에는 상기 축핀(33)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서 상기 화물이송유닛(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화물(3)의 진입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화물이송유닛(20)의 이송컨베이어(23)의 회전에 연동되는 엔코더(51)를 통해 상기 화물(3)의 위치를 감지하는 화물감지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랫(21)은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을 주행하는 지지베어링(25)의 개재하에 상기 이송컨베이어(2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47)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가이드(47)가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스토퍼(4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X자가이드(49)에는 상기 슬라이드슈(30)의 이동베어링(37)이 충돌되면서 이동베어링(37)의 이동경로를 전환시키는 전환베어링(4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KR1020200110744A 2020-09-01 2020-09-01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KR102447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44A KR102447321B1 (ko) 2020-09-01 2020-09-01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44A KR102447321B1 (ko) 2020-09-01 2020-09-01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7A KR20220028987A (ko) 2022-03-08
KR102447321B1 true KR102447321B1 (ko) 2022-09-26

Family

ID=8081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44A KR102447321B1 (ko) 2020-09-01 2020-09-01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3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00B1 (ko) * 2010-08-04 2015-07-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의 분류 설비
JP2020070178A (ja) * 2018-11-01 2020-05-07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仕分けコンベヤの切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569A (ko) 2010-05-28 2011-12-06 권영택 택배 화물 분류시스템
KR101783442B1 (ko) 2016-05-25 2017-10-10 전진한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KR200484780Y1 (ko) 2016-09-12 2017-10-25 전진한 슬라이드 슈 방식 분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00B1 (ko) * 2010-08-04 2015-07-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의 분류 설비
JP2020070178A (ja) * 2018-11-01 2020-05-07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仕分けコンベヤの切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7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52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using a matrix of conveyor cells
EP0929485B1 (en) Belt-carried tilt tray sorter
US6015039A (en) High speed tilted belt sorter
JP3142585B2 (ja) 高速自動コグソータ
US8573380B2 (en) Article accumulation table for a conveyor installation
JP4035530B2 (ja) 仕分け機および仕分け方法
US8297430B2 (en) Sor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ieces of luggage
JP3142584B2 (ja) コンベヤ仕分け機用の高速スマートダイバータ
WO1998008759A9 (en) Belt-carried tilt tray sorter
JPH09505264A (ja) デュアルレベル傾斜トレイ荷物分類装置
US6152280A (en) Articulated conveyor
EP0977694B1 (en) Conveyor having a cushioned belt and high speed discharge capabilities
WO2000002802A1 (en) A conveyor
CA221627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using a matrix of conveyor cells
US20080060915A1 (en) Article conveyor, in particular for airline baggage
US6536580B1 (en) Distribution device for piece goods
NL8902586A (nl) Transportinrichting.
KR102447321B1 (ko)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EP0589821B1 (en) Sorting apparatus
KR10227762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물품 분류 방법
US5779026A (en)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JP4984833B2 (ja) 搬送設備
EP0911282A1 (en) Device for conveying and sideways sorting box-like items
KR20230156333A (ko) 물품 분류 방법 및 물품 분류 장치
KR102472804B1 (ko) 에어분사장치를 적용한 자동물품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