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442B1 -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42B1
KR101783442B1 KR1020160064212A KR20160064212A KR101783442B1 KR 101783442 B1 KR101783442 B1 KR 101783442B1 KR 1020160064212 A KR1020160064212 A KR 1020160064212A KR 20160064212 A KR20160064212 A KR 20160064212A KR 101783442 B1 KR101783442 B1 KR 10178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go
slat
moving
convey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한
윤영재
Original Assignee
전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한 filed Critical 전진한
Priority to KR102016006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에서 분류된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을 콤팩트 하게 구성하여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차지하는 설치 면적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SLIDE SHOE TYPE OF CONVEYER SYSTEM}
본 발명은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화물을 슬라이드 슈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분류하고 이를 원하는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물건을 멀리 있는 장소로 배송하는 일은 왕왕 발생하는 일이다. 이전에는 이러한 배송 역할을 우체국에서 전담하였다. 하지만, 요즈음 인터넷 쇼핑이 대중화되면서 그에 따른 배송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우체국만으로는 많아진 배송량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바로 택배 산업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 쇼핑 사업의 성장과 함께 택배라는 말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다. 택배는 우편물이나 짐, 상품 따위를 요구하는 장소까지 직접 배달해 주는 일을 일컬으며, 순 우리말로는 문 앞 배달이나 집 배달이라고 한다. 현재 택배 가능한 물품은 택배가 가능하지 않은 물품을 찾는 것이 더 빠를 정도로 모든 물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배송량은 지금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배송하고자 하는 물건을 상자에 넣어 포장하고 이를 택배 회사에 전달하면, 이렇게 전달된 상자는 원하는 목적지로 바로 배송되는 것이 아니다. 택배 회사는 상자에 싸인 이러한 화물들을 화물 분류 창고로 취합하고 이렇게 취합된 화물들을 지역에 따라 분류한다. 이렇게 분류가 완료된 화물들은 비로소 원하는 장소로 배송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화물 분류 창고에서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화물을 분류하여 이송하는데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고 안전한 장치이다. 따라서, 요즈음에는 이를 더욱 보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참고로,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화물을 분류하기 위한 모든 업종과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때문에,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분류하고자 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기능이나 구성이나 레이아웃 등에서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569호(2011.12.06.)가 있으며, 이 선행기술에는 작은지역으로 구별된 소규모 집하장에 택배화물수집차량으로부터 하역되는 택배화물(10)의 박스(10a)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박스(10a)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표시부(20)와; 상기 바코드표시부(20)가 마킹된 상기 택배화물(10)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3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30)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택배화물(10)의 박스(10a)표면에 광학적으로 표현된 상기 바코드 표시부(20)를 스캔 판독하는 스캐너(40)와; 상기 스캐너(40)로 판독된 상기 택배화물(10)을 분배하여 배송인에 인계하는 분배인계컨베이어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화물분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택배화물분류시스템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택배화물(10)을 구분하고 이를 분류하는 것만을 고려했을 뿐, 컨베이어장치(30)에서 분배인계컨베이어장치(50)로 이송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장치(30)에서 분배인계컨베이어장치(50)로 택배화물(10)이 이동하는데 있어서 손상되거나 파손될 여지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483호(2009.09.17.)가 있으며, 이 선행기술에는 화물이 얹혀져 궤도회전을 하되 외부신호에 따라 진행방향에 대해 횡으로 이동하면서 화물을 가장자리로 밀어 배출하는 슬라이드슈(420)를 가진 슬랫(410)을 포함하는 화물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슈(420)는 상기 슬랫(410)의 중앙에 2열로 배치되어 양쪽 가장자리로 이동함으로써 화물을 양쪽으로 배출하여 분류하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분류 컨베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과 같이 슬라이드슈(420)를 사용하는 화물분류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안전성이 보장된다. 하지만, 이 화물분류 컨베이어는 화물의 무게가 너무 가볍거나 화물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이송하고자 하는 화물이 슬라이드슈(420) 위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화물은 원하는 곳으로 전달될 수 없다.
또한, 이 화물분류 컨베이어는 슬라이드슈(420)의 방향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방향전환부(600)를 피스톤(640)으로 구성하였다. 즉, 직진 방식의 공압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어가 어려우며 반응 속도가 늦고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슈를 사용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본체의 크기가 매우 크며, 그에 대응하게 설치 면적이 매우 넓게 확보되어야 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의 설치 비용에는 본체의 크기와 설치 면적이 포함되며, 그에 따른 비용으로 작게는 몇 십억에서 몇 백억까지 사용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을 줄일 수 있다면 그에 따른 설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569호(2011.12.06.)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483호(2009.09.17.)
본 발명은 전체 외형을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회전체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슈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의 종류에 따라 슬라이드 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 상기 유입 컨베이어 장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에서 분류된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물을 예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서 상기 화물의 진행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화물을 배출구로 밀어주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유닛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슬랫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에 대응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각각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양단를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체인부; 및 상기 체인부를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랫 이송 레일;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를 상기 슬랫 이송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바퀴부; 및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부와 상기 슬랫 이송 레일 사이의 충격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은, 해당 슬랫부와 해당 결합부를 결합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체인부와 상기 바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와 상기 체인부를 상기 해당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퍼링부를 상기 슬랫 이송 레일 방향으로 노출시켜 결합하기 위한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한 단턱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 상기 이동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안내부; 및 상기 이동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의 진행 경로를 설정해주기 위한 단턱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된 상부 면을 가지는 중공의 외부 부재; 상기 외부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재의 상부 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내부 부재; 및 상기 내부 부재의 돌출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단턱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단턱 경로 설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턱 경로 설정부는,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단턱 이송 레일; 상기 이동 유닛의 비스듬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단턱 이송 레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단턱 이송 레일 또는 제2 단턱 이송 레일을 선택하여 상기 안내부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선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선택 부재는, 상기 안내부가 진입하는 진입 레일과 적어도 두 개의 진출 레일이 형성되는 디버트 블록; 상기 디버트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진출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디버트 헤드; 및 상기 디버트 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전자식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를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높이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예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전자식 회전체에 위치에 따라 구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식 회전체가 턴 온 된 상태이고, 상기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식 회전체가 턴 오프 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을 콤팩트 하게 구성하여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차지하는 설치 면적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식 회전체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슈의 진행 방향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화물을 보다 빠르고 정교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슈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배출구까지 밀어줌으로써 화물 분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이송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슬라이딩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단턱부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안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단턱 경로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단턱 경로 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화물(B)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10); 상기 유입 컨베이어 장치(10)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B)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20);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20)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에서 분류된 화물을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배출 컨베이어 장치(30)가 분류 컨베이어 장치(20)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는 화물(B)을 유입시켜 분류 컨베이어 장치(20)까지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는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지에서 이송되어 하차된 화물(B)은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를 통해 후단에 배치된 분류 컨베이어 장치(20)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다양한 종류의 화물(B)을 예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구성이다.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화물(B)을 전달받으며, 전달된 화물(B)을 이송 유닛(220)을 통해 이송시킨다. 이때,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슬라이딩 유닛(230)을 이용하여 화물(B)을 예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예정된 방향으로 미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물(B)은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와 배출 컨베이어 장치(30)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구(BC)로 밀려서 배출된다.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화물(B)이 배출되어야 하는 배출구(BC)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어되며, 이 정보에 따라 슬라이딩 유닛(230)을 동작시켜 화물(B)이 원하는 배출구(BC)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 장치(30)은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에서 분류된 화물(B)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슬라이딩 유닛(230)에 의하여 밀어진 화물(B)은 배출구(BC)를 통해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물품 분류 컨베이어 시스템은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슬라이딩 유닛(230)이 분류 기준에 따라 화물(B)을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로 밀어주며, 이는 곧 슬라이드 슈에 해당하는 슬라이딩 유닛(230)에 의하여 화물(B)이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에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를 통해 유입되어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로 전달된 화물(@B)이 슬라이딩 유닛(@230)에 밀려서 배출구(@BC)로 배출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배출구(@BC)로 배출된 화물(@B)은 배출 컨베이어 장치(@30)을 통해 예정된 장소로 이송된다.
예컨대,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택배 회사의 화물 분류 창고에 이용되는 경우 각지에서 이송된 택배 화물들은 유입 컨베이어 장치(10)를 거쳐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로 이송되고,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에서 각 지역별로 분류되어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를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분류된 택배 화물들은 비로소 원하는 장소로 배송될 준비가 완료된다.
한편,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지지 본체(21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물(B)을 예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220); 및 상기 이송 유닛(220)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유닛(220)의 상부에서 상기 화물(B)의 진행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화물(B)을 배출구(BC)로 밀어주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유닛(220)은 지지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상부에 화물을 얹혀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송 유닛(220)은 슬랫부(221, 도 2 참조)을 다수개 포함하고 있으며,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궤도 회전을 통해 화물(B)을 유입 컨베이어 장치(10)에서 배출 컨베이어 장치(3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송 유닛(220)에 대한 구성은 도 2 에서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은 이송 유닛(220)의 슬랫부(221)가 이동하는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화물(B)을 원하는 배출구(BC)로 밀기 위한 구성이다. 슬라이딩 유닛(230)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 설명은 도 3 내지 도 6 에서 알아보기로 한다.
도 2 는 도 1 의 이송 유닛(220)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우선, 이송 유닛(220)은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화물(B)을 이송하기 위한 슬랫부(221)을 다수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슬랫부(221)을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220)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화물(B)을 이송하기 위한 슬랫부(221); 상기 슬랫부(221)의 양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22); 상기 슬랫부(221)의 하부에 상기 결합부(222)와 연결되며, 상기 슬랫부(221) 양단를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랫부(221)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체인부(223); 및 상기 체인부(223)를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슬랫부(221)는 화물(B) 이송 방향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은 화물(B)이 얹혀져서 이동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평평한 구성의 슬랫부(221)의 상부에는 도 3 에서 설명될 슬라이딩 유닛(230)이 화물(B) 이송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한다. 슬랫부(221)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물(B) 이송 방향으로 동일한 모양의 슬랫부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슬랫부는 해당 슬라이딩 유닛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222)는 슬랫부(221)의 양단에 형성되며, 슬랫부(221), 체인부(223), 바퀴부(224), 및 버퍼링부(225)를 하나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결합부(222)는 슬랫부(221)와 결합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2221)와, 체인부(223)와 바퀴부(224) 사이에 배치되어 이 둘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결합 부재(2222), 및 버퍼링부(225)와 연결하기 위한 제3 결합 부재(22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2221)는 슬랫부(221)와 결합부(222)를 결합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결합 부재(2221)에는 볼트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BT)가 이 볼트 홀(BT)을 가로 질러 슬랫부(221)에 볼트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 결합을 통해 슬랫부(221)와 결합부(222)는 서로 단단히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결합 부재(2222)는 제1 결합 부재(2221)와 연결되며, 체인부(223)와 바퀴부(224) 사이에 형성되어 체인부(223)와 바퀴부(224)를 결합부(222)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결합 부재(2222)에는 중심 축(C)이 관통하여 체인부(223)와 바퀴부(22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중심 축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체인부(223)와 바퀴부(224)는 중심 축(C)으로 연결되어 제2 결합 부재(2222)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체인부(223)는 제2 결합 부재(2222)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며, 바퀴부(224)는 제2 결합 부재(2222)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체인부(223)를 내측에 배치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을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의미에서 바퀴부(224) 역시 체인부(223)와 마찬가지로 제2 결합 부재(2222)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은 그만큼 콤팩트 해 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부(223)와 바퀴부(224)를 내측으로 배치하여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배출 컨베이어 장치(30)는 그만큼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와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차지하는 설치 면적이 그만큼 줄어듦을 의미한다.
상기 제3 결합 부재(2223)은 제1 결합 부재(2221)와 직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결합 부재(2221)에 버퍼링부(225)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3 결합 부재(2223)는 내부에 연결되는 버퍼링부(225)가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슬랫 이송 레일(DR, SR)은 이송 유닛(220)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슬랫부(221)는 슬랫 이송 레일(DR, SR)을 따라 무한 궤도로 움직인다.
제1 내지 제3 결합 부재(2221, 2222, 2223)는 예컨대, 프라스틱 사출물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인부(223)는 슬랫부(221)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부(222)의 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부(222)의 내측은 슬랫부(221)의 양단을 기준으로 그 안쪽을 의미한다. 즉, 체인부(223)는 슬랫부(221)의 양단에 연결된 결합부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체인부(223)는 슬랫부(221)를 예정된 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구성이다. 즉, 체인부(223)는 슬랫부(221)에 연결된 연결부(222)와 이와 인접한 슬랫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서로 연결한다. 즉, 다수의 슬랫부는 체인부(223)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때문에,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체인부(223)가 모터에 의하여 궤도 회전하게 되면 무한 궤도로 연결된 슬랫부(221)를 비롯한 모든 슬랫부 역시 궤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바퀴부(224)는 결합부(222)의 외측에 연결되며, 슬랫 이송 레일(DR, SR)을 따라 슬랫부(221)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슬랫 이송 레일(DR, SR)은 바퀴부(224)와 맞닿아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아랫면(DR)과, 아랫면(DR)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옆면(SR)을 포함한다. 바퀴부(224)는 체인부(223)가 모터에 의하여 당겨짐에 따라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아랫면(DR)에 맞닿아 이동한다. 바퀴부(224)의 이동은 슬랫부(221)의 이동을 의미하며 이는 곧 화물(B)이 바퀴부(224)의 이동 방향으로 이송됨을 의미한다.
상기 버퍼링부(225)는 제3 결합 부재(2223)에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부(222)와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 사이에 배치된다. 버퍼링부(225)는 제3 결합 부재(2223)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어 있으며, 버퍼링부(225)의 이 노출 부분이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버퍼링부(225)는 슬랫부(221)와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이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버퍼링부(225)는 슬랫부(221)가 슬랫 이송 레일(DR, SR)을 따라 이동하는 중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과의 충격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화물(B)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피해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버퍼링부(225)는 슬랫 이송 레일(DR, SR)의 옆면(SR)을 기준으로 슬랫부(221)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은 도 1 의 슬라이딩 유닛(23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유닛(230)은 슬랫부(221) 상부에 얹혀지는 화물(B)을 배출구(BC)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은 상기 이송 유닛(221) 상부에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부(231); 상기 이동부(23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231)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화물(B)을 밀어주기 위한 단턱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232); 및 상기 이동부(231)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231)가 단턱 이송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231)는 슬랫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동부(231)은 슬랫부(221)를 감싸도록 단면 ‘ㅁ’자로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232)는 이동부(231) 상부에 결합되며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단턱부(232)는 이동부(231)의 슬라이딩 이동시 이동부(231)와 함께 슬라이딩하여 화물(B)을 배출구(BC)로 밀어주기 위한 구성이다. 단턱부(232)에 대한 설명은 도 4 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부(233)는 이동부(231)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을 가지며, 단턱 이송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안내부(233)가 이동부(23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233)가 이동한다는 것은 곧 이동부(231)와 그 상부에 연결된 단턱부(232)가 함께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턱 이송 레일에 의한 안내부(233)의 이동과 관련된 설명은 도 5 및 도 6 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는 도 3 의 단턱부(232)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단턱부(232)는 이동부(2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된 상부 면을 가지는 중공의 외부 부재(2321); 상기 외부 부재(232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재(2321)의 상부 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내부 부재(2323); 및 상기 내부 부재(2323)의 돌출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단턱부(2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2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부재(2321)와 내부 부재(2323)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 부재(2323)와 마찬가지로 외부 부재(2321)의 상부 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단턱부(2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중간 부재(232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외부 부재(2321)는 하단부가 이동부(231)와 고정 연결되며, 대략 정방형의 중공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부재(2321)와 이동부(231)는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로 결합되어 외부 부재(2321)와 이동부(231)를 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부재(2321)의 상단부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중간 부재(2322)가 외부 부재(2321)와 서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이탈 방지 턱(D1)을 포함한다. 이 이탈 방지 턱(D1)은 외부 부재(2321)의 상단부에 옆면과 수직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참고로, 외부 부재(2321)의 상부 면에는 이탈 방지 턱(D1)에 의하여 정의되는 천공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 부재(2322)는 외부 부재(2321)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외부 부재(2321)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천공 영역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중간 부재(2322)는 외부 부재(23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부재(2321)와 서로 이탈되지 않기 위한 이탈 방지 턱(D2)을 포함한다. 이 이탈 방지 턱(D2)은 중간 부재(2322)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옆면과 수직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참고로, 중간 부재(2322)의 상부 면에는 이탈 방지 턱(D2)에 의하여 정의되는 천공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부재(2323)는 중간 부재(2322)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중간 부재(2322)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 천공 영역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내부 부재(2323)는 중간 부재(2322)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간 부재(2322)와 서로 이탈되지 않기 위한 이탈 방지 턱(D3)을 포함한다. 이 이탈 방지 턱(D3)은 내부 부재(2323)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옆면과 수직방향 양측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조절 부재(2324)는 중간 부재(2322)와 내부 부재(2323)의 돌출 동작을 조절하여 단턱부(2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조절 부재(2324)는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간 부재(2322)와 내부 부재(2323)는 조절 부재(2324)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A)는 조절 부재(2324)의 길이가 작아졌을 때의 단턱부(232)의 작동 모양이고, (B)는 조절 부재(2324)의 길이가 커졌을 때의 단턱부(232)의 작동 모양이다. (B)에서 볼 수 있듯이, 단턱부(232)의 높이는 대략 외부 부재(2321)와 중간 부재(2322)와 내부 부재(2323)를 모두 합한 높이가 된다.
여기서, 조절 부재(2324)는 상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될 수 있으며, 전류 흐름을 통해 온도를 제어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절 부재(2324)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하여 중간 부재(2322)와 내부 부재(2323)는 외부 부재(2321)의 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단턱부(232)의 높이는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이때, 조절 부재(2324)의 탄성력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외부 부재(2321)의 이탈 방지 턱(D1)과 중간 부재(2322)의 이탈 방지 턱(D2) 그리고, 내부 부재(2323)의 이탈 방지 턱(D3)에 의하여 중간 부재(2322)와 내부 부재(2323)는 돌출 될 수 있는 한계 범위를 가지게 된다.
만약, 조절 부재(2324)로 일반적인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A) 상태에서 (B) 상태로 그리고 다시 (B) 상태에서 (A) 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태 변경이 가능한 고정 부재 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4 에서는 단턱부(232)의 높이가 외부 부재(2221), 중간 부재(2322), 그리고 내부 부재(2323), 3 개를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턱부(232)는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기만 하면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단턱부(232)는 화물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턱부(232)는 화물을 밀어주는 구간에서 (B)와 같이 높이가 높아지도록 조절되고, 그 외 구간에서는 (A)와 같이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된다.
참고로, 단턱부(232)의 높이를 (A)와 같이 낮추는 이유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외형을 콤팩트 하게 하기 위함이고, 단턱부(232)의 높이를 (B)와 같이 높이는 이유는 화물을 밀어주는 구간에서 화물이 단턱부(232)의 밀림에 의하여 진행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만약, 단턱부(232)의 높이를 기본적으로 높게 설계하는 경우 무한 궤도 구조를 가지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20)의 지지 본체(210)의 높이는 그만큼 커져야 한다. 따라서, 지지 본체(210)의 크기를 콤팩트 하게 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밀어주는 구간에서는 (A) 상태를 유지하고 이외 구간에서는 (B) 상태로 리셋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중간 부재(2322)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단턱(D2)과 내부 부재(2323)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단턱(D3)은 단턱부(232)가 거꾸로 위치하는 경우 중간 부재(2322)가 원치 않게 돌출됨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스프링 형상의 조절 부재(2324)는 외부 부재(2321)의 하단부와 내부 부재(232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여기서 단턱부(232)는 외부 부재(2321)와 중간 부재(2322), 그리고 내부 부재(2323)에 모양에 의하여 그 외형이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중간 부재(2322)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단턱(D2)과 내부 부재(2323)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단턱(D3)을 외부 부재(2321)의 외주면 만큼 연장하여 단턱부(232)를 대략 일자 수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를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을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슬라이딩 유닛(230)은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한다. 보다 자세한 이동 동작은 도 5 및 도 6 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230)은 이송 유닛(220) 상부에서 횡단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화물을 밀어주며, 이 밀어주는 구간에서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는 조절된다. 즉, 밀어주는 구간에서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는 (B)와 같이 높아진다. 그리고, 밀어주는 구간이 완료된 이후에는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는 (A)와 같이 리셋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슬라이딩 유닛(230)이 화물의 분류 기준에 따라 슬라이딩 동작 여부가 결정됨을 고려할 때, 그 높이 역시 화물의 분류 기준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물의 높이가 큰 경우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도 높게 제어하여 화물을 안정하게 밀어주고, 이후에는 슬라이딩 유닛(230)의 높이를 리셋하여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콤팩트한 외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는 도 3 의 안내부(233)를 이동시키기 위한 단턱 경로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단턱 경로 설정부(234)는 이동부(231) 하부에 배치되며, 안내부(233)의 진행 경로를 설정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단턱 경로 설정부(234)는 안내부(233)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진행 방향을 설정해준다. 단턱 경로 설정부(234)는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단턱 경로 설정부(234)는 상기 이동 유닛(210, 도1 참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 상기 이동 유닛(210)의 비스듬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 및 상기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 또는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을 선택하여 상기 안내부(233)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선택 부재(23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향 선택 부재(2343)는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선택 부재(2343)는 안내부(233)가 이동하는 실질적인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이다. 방향 선택 부재(2343)는 안내부(233)가 진입하는 진입 레일(JR)과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로 진출하는 제1 진출 레일(GR)과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로 진출하는 제2 진출 레일(HR)이 형성되는 디버트 블록(DB); 상기 디버트 블록(DB)에 연결되며, 제1 진출 레일(GR) 또는 제2 진출 레일(HR)을 선택하기 위한 디버트 헤드(DH); 및 상기 디버트 헤드(DH)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도시되지 않음)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전자식 회전체(SN)를 포함한다.
상기 디버트 블록(DB)은 안내부(233)가 진입하는 진입 레일(JR), 제1 및 제2 진출 레일(GR, HR)을 포함한다. 제1 진출 레일(GR)은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과 연결되고, 제2 진출 레일(HR)은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과 연결된다. 그리고, 진입 레일(JR)은 방향 선택 부재(2343) 전단에 배치된 제1 단턱 이송 레일(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
따라서, 전단에 배치된 제1 단턱 이송 레일을 통해 이동된 안내부(233)는 진입 레일(JR)을 통해 진입하여 디버트 헤드(DH)의 위치에 따라 제1 진출 레일(GR) 또는 제2 진출 레일(HR)로 진출한다. 제1 진출 레일(GR)로 진출한 안내부(233)는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을 따라 직진하여 다음 단의 방향 선택 부재로 전달되며, 제2 진출 레일(HR)로 진출한 안내부(233)는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 단의 방향 선택 부재로 전달된다.
상기 디버트 헤드(DH)는 이동 위치에 따라 안내부(233)의 진행 방향을 선택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디버트 헤드(DH)는 디버트 블록(DB)과 함께 최소한의 구성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진다. 디버트 헤드(DH)의 일단은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디버트 블록(DB)은 디버트 헤드(DH) 타단의 이동에 의하여 제1 진출 레일(GR) 또는 제2 진출 레일(HR)의 진행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식 회전체(SN)는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디버트 헤드(DH)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전자식 회전체(SN)는 전기에 의하여 동작하는 회전식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은 도 5 의 단턱 경로 설정부(23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6 의 (A)는 슬라이딩 유닛(230)이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써, 디버트 헤드(DH)가 도면의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제1 진출 레일(GR)이 확보된 상태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진입 레일(JR)을 통해 진입한 안내부(233)는 디버트 헤드(DH)에 의하여 확보된 제1 진출 레일(GR)을 통해 제1 단턱 이송 레일(2341)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의 (B)는 슬라이딩 유닛(230)이 횡단으로 이동하는 경우로써, 디버트 헤드(DH)가 도면의 위쪽으로 위치하여 제2 진출 레일(HR)이 확보된 상태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진입 레일(JR)을 통해 진입한 안내부(233)는 디버트 헤드(DH)에 의하여 확보된 제2 진출 레일(HR)을 통해 제2 단턱 이송 레일(2342)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디버트 헤드(DH)는 전자식 회전체(SN)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즉, 전자식 회전체(SN)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도 6 의 (A) 상태가 되고,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도 6 의 (B)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전자식 회전체(SN)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턴 오프(turn off) 상태라 하고, 전기식 회전체(SN)에 전기가 인가되어 동작하는 경우를 턴 온(turn on) 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즉, 안내부(233)는 전기식 회전체(SN)의 턴 오프 상태에서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기식 회전체(SN)의 턴 온 상태에서 횡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을 참고하면, 분류 컨베이어 장치(20)는 분류하고자 하는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길어지며, 슬라이딩 유닛(230)은 화물을 미는 구간에서 한번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230)이 직진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전기를 인가하지 않는 도 6 의 (A) 상태로 제어하고 슬라이딩 유닛(230)이 횡단하는 구간에서는 전기를 인가하여 도 6 의 (B) 상태로 제어하게 되면 화물을 이동하는 구간에서만 경로 제어를 위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식 회전체(SN)의 경우 정확도와 반응 속도가 뛰어나며 이는 곧 화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턱 경로 설정부(2343)는 디버트 블록(DB)과 디버트 헤드(DH) 그리고, 전자식 회전체(SN)를 이용하여 콤팩트 하게 구성되며, 안내부(233)를 이동하는 (B) 경우에만 전자식 회전체(SN)에 전기를 인가하기 때문에 소모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식 회전체(SN)의 정확하고 신속한 동작으로 인하여 화물 분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입 컨베이어 장치 20 : 분류 컨베이어 장치
210 : 지지 본체 220 : 이송 유닛
230 : 슬라이딩 유닛 30 : 배출 컨베이어 장치

Claims (12)

  1. 화물이 유입되는 유입 컨베이어 장치;
    상기 유입 컨베이어 장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함과 동시에 분류하는 분류 컨베이어 장치; 및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에서 분류된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물을 예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서 상기 화물의 진행 방향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화물을 배출구로 밀어주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유닛은,
    무한 궤도로 연결되어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슬랫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에 대응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각각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
    상기 다수의 슬랫부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 양단를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슬랫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체인부; 및
    상기 체인부를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 상부에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한 단턱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
    상기 이동부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안내부; 및
    상기 이동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의 진행 경로를 설정해주기 위한 단턱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천공된 상부 면을 가지는 중공의 외부 부재;
    상기 외부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재의 상부 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내부 부재; 및
    상기 내부 부재의 돌출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단턱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랫 이송 레일;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슬랫부를 상기 슬랫 이송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바퀴부; 및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부와 상기 슬랫 이송 레일 사이의 충격을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부 각각은,
    해당 슬랫부와 해당 결합부를 결합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체인부와 상기 바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와 상기 체인부를 상기 해당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퍼링부를 상기 슬랫 이송 레일 방향으로 노출시켜 결합하기 위한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단턱 경로 설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 경로 설정부는,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단턱 이송 레일;
    상기 이동 유닛의 비스듬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단턱 이송 레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단턱 이송 레일 또는 제2 단턱 이송 레일을 선택하여 상기 안내부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선택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선택 부재는,
    상기 안내부가 진입하는 진입 레일과 적어도 두 개의 진출 레일이 형성되는 디버트 블록;
    상기 디버트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진출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디버트 헤드; 및
    상기 디버트 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전자식 회전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9. 청구항1항 내지 제3항 및 청구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진행 경로 정보를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을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높이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예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전자식 회전체에 위치에 따라 구분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식 회전체가 턴 온 된 상태이고, 상기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식 회전체가 턴 오프 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064212A 2016-05-25 2016-05-25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8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12A KR101783442B1 (ko) 2016-05-25 2016-05-25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12A KR101783442B1 (ko) 2016-05-25 2016-05-25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442B1 true KR101783442B1 (ko) 2017-10-10

Family

ID=6019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212A KR101783442B1 (ko) 2016-05-25 2016-05-25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5371A (zh) * 2018-05-09 2018-08-17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分拣系统和分拨装置
KR20220028987A (ko)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KR102381359B1 (ko) 2021-08-13 2022-03-30 장광양 푸싱컨베이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5857B2 (ja) * 2000-06-15 2011-01-0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仕分け装置
JP5290621B2 (ja) * 2008-05-13 2013-09-1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コンベ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5857B2 (ja) * 2000-06-15 2011-01-0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仕分け装置
JP5290621B2 (ja) * 2008-05-13 2013-09-1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コンベ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5371A (zh) * 2018-05-09 2018-08-17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分拣系统和分拨装置
KR20220028987A (ko)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KR102381359B1 (ko) 2021-08-13 2022-03-30 장광양 푸싱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4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throughput sorting
JP7510965B2 (ja) アイテムを仕分ける方法
JP7337210B2 (ja) 運搬車両を有する材料取り扱い装置
KR101783442B1 (ko) 슬라이드 슈 타입의 컨베이어 시스템
US5984078A (en) Automated shuttle sorter for conveyors
JP3782349B2 (ja) 傾斜トレイ仕分装置
JP3142585B2 (ja) 高速自動コグソータ
MX2008014501A (es) Aparatos y metodos de banda transportadora de clasificacion.
KR102010342B1 (ko) 물품의 배출 위치 조절 기능을 갖는 물품 분류 시스템
JPS58193824A (ja) 単個品用の選別機
JP2022525233A (ja) 仕分け設備
US20210198038A1 (en) Flat sorter over at least two levels
JP3142578B2 (ja) コンベヤセルマトリックスを使用して物品を仕分ける方法及び装置
KR102248689B1 (ko) 비정형성 물품 분류장치
CN111717584A (zh) 一种出货装置
KR200484780Y1 (ko) 슬라이드 슈 방식 분류기
JP4816475B2 (ja) 物品搬送設備
JP2013071829A (ja) 仕分け設備
CN213444809U (zh) 转运生产线用安全上料系统
JP5011255B2 (ja) 検体前処理システム
JP2016124675A (ja) 仕分けシステム、仕分け方法及びガイドユニット
KR102447321B1 (ko)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JP2000118689A (ja) 搬送仕分け装置
US11911798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item scanning station
JP2734432B2 (ja) 段ボール箱等の品物の仕分けコンベ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