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620B1 - 각형 바 로딩기 - Google Patents

각형 바 로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620B1
KR102639620B1 KR1020230105201A KR20230105201A KR102639620B1 KR 102639620 B1 KR102639620 B1 KR 102639620B1 KR 1020230105201 A KR1020230105201 A KR 1020230105201A KR 20230105201 A KR20230105201 A KR 20230105201A KR 102639620 B1 KR102639620 B1 KR 10263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transfer unit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까사
Priority to KR102023010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형 바 로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르지 않고, 높은 하중으로 이송이 어려운 대형의 각형 바를 가공 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는,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개의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수용 된 바를 정렬하고, 상기 바의 길이에 수직한 전방 으로 개별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이송부,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개별 이송되는 바를 수신하여 전방을 향해 진행시키며, 전방 단부에서 상기 바의 길이가 형성되는 일방향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 및 제 2 이송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하중에 의해 상부에 안착된 바가 전방을 향해 슬립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는 각형의 바 형상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형 바 로딩기{Loading machine for angular type bar}
본 발명은 각형 바 로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르지 않고, 높은 하중으로 이송이 어려운 대형의 각형 바를 가공 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각형 바는 굴릴 수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측방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고, 이를 최종 가공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각 공정마다 사람이 직접 이송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공정 효율이 낮았고, 이송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막대형 제품 진동 컨베이어의 제품 정렬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27765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27765호 (2023.02.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형의 바 형상을 용이하게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는,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개의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수용 된 바를 정렬하고, 상기 바의 길이에 수직한 전방 으로 개별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이송부,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개별 이송되는 바를 수신하여 전방을 향해 진행시키며, 전방 단부에서 상기 바의 길이가 형성되는 일방향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 및 제 2 이송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는 각형의 바 형상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평면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측면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제 1 이송부의 측면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터부의 상향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터부의 상향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팅거치부의 간격조절에 따라 수용되는 각바의 너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터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터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제 2 이송부의 측면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로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추가 구성된 로딩부의 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의 에스컬레이터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 로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개의 바(P)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수용 된 바(P)를 정렬하고, 상기 바(P)의 길이에 수직한 전방으로 개별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이송부(1),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바(P)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부(1)로부터 개별 이송되는 바(P)를 수신하여 전방을 향해 진행시키며, 전방 단부에서 상기 바(P)의 길이가 형성되는 일방향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이송부(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1) 및 제 2 이송부(2)는, 전방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P)는, 원기둥 형태가 아닌 복수개의 각이 형성되어 굴러갈 수 없는 각형의 바(P)를 의미하며, 본 발명은, 상기 바(P)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P)를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제 1 이송부(1)는,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개의 바(P)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수용 된 바(P)를 정렬하고, 상기 바(P)의 길이에 수직한 전방으로 개별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이송부(1)는 대량의 상기 바(P) 더미가 한번에 투입되며, 투입 된 상기 바(P)가 하기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정렬되며, 순차적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이송부(1)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이송부(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횡프레임부(11), 제 2 횡프레임부(12), 제 1 종프레임부(13), 회동프레임부(14), 에스컬레이터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는, 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는, 상기 바(P)가 정렬되는 방향과 평행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는 하기의 제 2 횡프레임부(12)에 비해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 횡프레임부의 상방으로 역류방지턱부(111) 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턱부(111)는, 지게차 등의 장비를 통해 더미 형태로 투입되는 상기 각형 바(P)가 후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역류방지턱부(111)는, 상기 바(P)가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는, 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는,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P)와 평행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가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바(P)가 하기의 제 1 종프레임부(13)에 더미 형태로 안착된 후,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 및 제 2 횡프레임부(12)의 높이차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 하방을 향해 약간의 응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해당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바(P)가 자연스럽게 슬립되지는 않으나 전방 및 하방을 향해 약간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전방을 향해 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은 너무 급격하여 상기 바(P)의 더미가 구르거나 슬립이 되지 않는 정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는,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 및 제 2 횡프레임부(12) 사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는,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 및 제 2 횡프레임부(12)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 및 제 2 횡프레임부(12)와 평행하게 안착되는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는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프레임부(14)는,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의 사이에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에 연결 형성되어 회전축을 형성하고,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었다가 복귀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회동프레임부(14)는,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후방단부가 상방으로 튕겨지듯이 회동하며, 이로 인해, 더미 형태로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바(P)가 자연스럽게 정렬되며, 경사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프레임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바디부(141), 제 1 유압부(142), 회동지지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에 축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에 거치된 형태로 선택적으로 상방 회동될 수 있는 형태의 바(bar)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는,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와 평행 형성되며,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일단부는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에 회동 가능한 축 형태로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타단부는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의 상부에 걸쳐지는 형태로 안착되고, 하기의 제 1 유압부(142) 회동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는, 하기의 회동지지부(143)와의 선택적인 연결점 변경을 통해, 상방으로 회동되는 높이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유압부(142)는,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방 및 하방으로의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유압부(142)는,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하부 지면에 형성되고, 통상의 유압식 장치로 구성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지지부(143)는,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형태의 회동축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 1 유압부(142)의 단부에 연결된 형태로 회동축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회동지지부(143)는, 일단부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일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유압부(142)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동지지부(143)는 연결된 양단부가 축이되어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후방단부가 회동함에 있어, 일단부가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에 축으로 고정되므로 타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연동되는 상기 회동지지부(143)와 상기 제 1 유압부(142)의 연결 구성이 일정 부분 원호 형태의 회동에 대응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축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143)는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연결되는 지점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지지부(143)의 일단부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일단부 방향에 가깝게 연결될수록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타단부의 회동되는 가동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동지지부(143)의 일단부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타단부 방향에 가깝게 연결될수록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141)의 타단부의 회동되는 가동범위가 줄어들 수 있는 형태의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는,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P)를 개별적으로 상향시킨 후, 상기 제 2 이송부(2)의 후방단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는, 상기 바(P)를 상기 제 1 이송부(1)에서 상기 제 2 이송부(2)로 옮겨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이송부(1)로부터 상기 제 2 이송부(2)가 연속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가 형성되는 이유는, 더미 형태로 상기 제 1 이송부(1)에 안착 후, 보다 효과적인 정렬을 실시하고, 이후 오차 없이, 상기 바(P)를 일정한 형태로 이송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프레임부(14)를 통해, 상기 바(P)를 상기 제 1 이송부(1) 상부에 어느 정도로 펼칠 수 있는 정도의 1차 정렬이 가능하고, 이후,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를 통해 1개씩의 바(P)를 개별로 이송하여, 오차 없이 상기 바(P)를 일정한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프레임부(14)는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개 형성된 회동프레임이 모두 동시 움직임을 형성하여 상기 바(P)를 용이하게 상향 이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 제 2 유압부(152),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는,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되,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는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가 형성되며, 이를 지지하고 있는 기둥에 연결 형성되며, 이를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는 기둥에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는 롤러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는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의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와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유압부(152)는,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 하부에 형성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유압부(152)는,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의 하부 지면에 형성되고, 통상의 유압식 장치로 구성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 상단부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바(P)를 상부에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P) 1개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 만큼 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횡프레임부(12) 및 제 3 횡프레임부(21)를 지지하는 기둥을 통해 전방 이동이 제한되는 상기 바(P)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선택적으로,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바(P)의 너비에 대응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b)와 같이, 상기 바(P)의 너비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바(P)가 정확히 1개 안착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오차 없이, 상기 바(P)를 상기 제 1 이송부(1)로 순차적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상기 바(P)의 너비에 맞춰 용이하게 간격을 제어하고, 상기 바(P)의 슬라이딩 효율을 높이기 위해 후방단부가 다소 높게 위치되어, 전체적인 경사면이 하기의 제 2 종프레임부의 경사보다 급격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에 안착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상기 바(P)가 도착점에 도착 후, 용이하게 흘러내려 하기의 제 2 종프레임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상기 바(P)의 너비에 맞춰 용이하게 간격을 제어하고, 상기 바(P)의 슬라이딩 효율을 선택적으로 높이기 위해, 후방단부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베이스부(1531), 거치수용부(1532), 높이조절수단(1533)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거치베이스부(1531)는, 단면 기준 상부가 개방된 ‘ㄷ’ 형상으로 마련되며, 바닥면은 나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151)의 경사면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수용부(1532)는, 상기 거치베이스부(1531)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전방단부가 상기 거치베이스부(1531)와 힌지 연결되고, 후방단부는 회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수용부(1532)의 상부에 상기 바(P)가 안착될 수 있게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1533)은, 상기 거치수용부(1532)의 전방부 하부에 나사 등의 형태로 상기 거치베이스부(1531)의 바닥면에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의 잠금 및 풀림 형태의 제어를 통해 상기 거치수용부(1532)의 후방단부 높이가 제어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P)를 전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는 바정렬수단(154)이 더 마련될 수 이다.
상기 바정렬수단(15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스컬레이팅거치부(153)에 안착 된 상기 바(P)의 전방 일측을 들어올려 거치한 상태로 상방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바정렬수단(154)에 의해, 전방 일측이 들려진 상태의 상기 바(P)는 도착점에 도착 후, 상기 바정렬수단(154)의 해제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기의 제 2 종프레임부 상부에 안착되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바정렬수단(154)는, 상기 바(P)의 전방 일측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집게 형태로 상기 바(P)의 전방일측을 척킹 후, 들어올릴 수 있는 형태의 집게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이송부(2)는,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바(P)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부(1)로부터 개별 이송되는 바(P)를 수신하여 전방을 향해 진행시키며, 전방 단부에서 상기 바(P)의 길이가 형성되는 일방향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이송부(2)는 상기 제 1 이송부(1)를 통해 정렬되어진 후, 개별 유입되는 상기 바(P)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바(P)를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이송부(2) 역시 상기 제 1 이송부(1)와 마찬가지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이송부(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횡프레임부(21), 제 4 횡프레임부(22), 제 2 종프레임부(23), 컨베이어부(24), 로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송부(1)의 전방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는, 상기 제 1 횡프레임부(11)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P)가 정렬되는 방향과 평행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는 하기의 제 4 횡프레임부(22)에 비해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횡프레임부(22)는,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횡프레임부(22)는,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P)와 평행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종프레임부(23)는,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 및 제 4 횡프레임부(22) 사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 2 종프레임부(23)는,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 및 제 4 횡프레임부(22) 사이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 및 제 4 횡프레임부(22)와 평행하게 안착되는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안착 및 이동될 수 있는 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부(24)는, 상기 제 2 종프레임부(23)의 사이에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해 상기 바(P)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컨베이어부(24)는, 상기 제 2 종프레임부(23)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바(P)를 일정하게 경사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컨베이어부(24)는, 상기 제 3 횡프레임부(21) 및 제 4 횡프레임부(22) 사이에 컨베이어밸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24)는, 컨베이어밸트 및 동력원을 통해, 상기 바(P)를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딩부(25)는, 전방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P)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해 상기 바(P)를 개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로딩부(25)는, 상기 바(P)를 개별 이송 후, 최종적으로 상기 바(P)를 절단 및 가공할 수 있도록 설비에 순차적으로 길이방향 일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부(25)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251), 개별패스부(252), 이송안착부(253), 이송롤러부(254), 간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걸림턱부(251)는, 상기 제 2 이송부(2)의 전방부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P)의 전방 진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부(25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제 2 이송부(2)의 전방측 상부상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전진하는 상기 바(P)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부(251)를 통해 상기 바(P)의 이동을 제한하고, 하기의 개별패스부(252)를 통해 상기 바(P)를 상기 걸림턱부(251) 상부로 넘겨 이송시킨다.
이를 통해, 보다 오차 없이, 상기 바(P)를 1개씩 개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턱부(251)는 상기 제 2 종프레임부(23)의 상부에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개별패스부(252)는, 일단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타단부가 상방 회동하여, 상기 제 2 이송부(2)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바(P)가 개별적으로 상기 걸림턱부(251)를 넘어갈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개별패스부(252)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이송부(2)의 전방부에 축연결되고,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상방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타단부는 상기 걸림턱부(25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바(P) 1개 만큼의 크기 만큼 단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방 회동 시, 상기 바(P) 1개를 들어올릴 수 있게 마련된다.
들어올려진 상기 바(P) 1개는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상부 능선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턱부(251)를 넘어갈 수 있고,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타단부는 다시 하향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타단부를 회동시키기 위해, 제 3 유압부(2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안착부(253)는, 상기 제 2 이송부(2)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별패스부(252)를 통해 이동 된 상기 바(P)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송안착부(253)는 상기 걸림턱부(251)를 넘어간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송안착부(253)는 상기 바(P)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롤러부(254)는, 상기 이송안착부(253)를 따라 복수개의 롤러가 형성되어, 안착 된 상기 바(P)를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송롤러부(254)는 상기 이송안착부(253) 상에 복수의 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바(P)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송롤러부(254)는 상기 바(P)를 양측 및 하부에서 마찰되며 회전하여 상기 바(P)를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부(254)는 상기 바(P)를 용이하게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안착부(253)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간격제어부는 상기 이송안착부(253)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바(P)의 너비에 따라 상기 이송안착부(253)의 간격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이송안착부(253)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바(P) 로딩기는, 지게차 등의 설비를 통해, 대량의 각형의 바(P)를 상기 제 1 이송부(1)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이송부(1)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에 더미 형태로 형성된 상기 바(P)는 상기 회동프레임부(14)의 타단부 회동에 의해, 더미 형태가 무너지며 상기 제 1 종프레임부(13)의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으로 점차 이동한다.
상기 제 1 이송부(1) 상의 최전방 측에 형성된 상기 바(P)는 상기 에스컬레이터부(15)를 통해, 1개의 상기 바(P)가 상향되어, 상기 제 2 이송부(2)의 후방단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 2 이송부(2)에 안착 된 상기 바(P)는 상기 컨베이어부(24)의 가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제 2 이송부(2)의 전방으로 이동 된 상기 바(P)는 상기 걸림턱부(251)를 통해 이동이 제한되어 대기하게 되고, 상기 개별패스부(252)의 타단부 회동을 통해, 상기 걸림턱부(251)를 넘어 상기 이송안착부(253)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이송롤러부(254)의 가동을 통해, 상기 바(P)는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각형 바(bar)
1 : 제 1 이송부
11 : 제 1 횡프레임부
111 : 역류방지턱부
12 : 제 2 횡프레임부
13 : 제 1 종프레임부
14 : 회동프레임부
141 : 회동프레임바디부
142 : 제 1 유압부
143 : 회동지지부
15 : 에스컬레이터부
151 : 에스컬레이팅바디부
152 : 제 2 유압부
153 : 에스컬레이팅거치부
1531 : 거치베이스부
1532 : 거치수용부
1533 : 높이조절수단
154 : 바정렬수단
2 : 제 2 이송부
21 : 제 3 횡프레임부
22 : 제 4 횡프레임부
23 : 제 2 종프레임부
24 : 컨베이어부
25 : 로딩부
251 : 걸림턱부
252 : 개별패스부
253 : 이송안착부
254 : 이송롤러부
255 : 제 3 유압부

Claims (5)

  1.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개의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수용 된 바를 정렬하고, 상기 바의 길이에 수직한 전방 으로 개별 이송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이송부;
    횡축 및 종축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바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개별 이송되는 바를 수신하여 전방을 향해 진행시키며, 전방 단부에서 상기 바의 길이가 형성되는 일방향으로 개별 이송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 및 제 2 이송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송부는,
    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횡프레임부;
    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횡프레임부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 2 횡프레임부;
    상기 제 1 횡프레임부 및 제 2 횡프레임부 사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 1 종프레임부;
    상기 제 1 종프레임부의 사이에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 2 횡프레임부에 연결 형성되어 회전축을 형성하고,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었다가 복귀될 수 있게 마련되는 회동프레임부;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를 개별적으로 상향시킨 후, 상기 제 2 이송부의 후방단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에스컬레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횡프레임부에 축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횡프레임부에 거치된 형태로 선택적으로 상방 회동될 수 있는 형태의 바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동프레임바디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방 및 하방으로의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유압부;
    상기 회동프레임바디부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형태의 회동축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 1 유압부의 단부에 연결된 형태로 회동축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바 로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부는,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되, 상단부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에스컬레이팅바디부;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 하부에 형성되며, 상방 및 하방으로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유압부; 및
    상기 에스컬레이팅바디부 상단부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바를 상부에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에스컬레이팅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바 로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송부의 전방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 3 횡프레임부;
    상기 제 3 횡프레임부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3 횡프레임부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 4 횡프레임부;
    상기 제 3 횡프레임부 및 제 4 횡프레임부 사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 2 종프레임부;
    상기 제 2 종프레임부의 사이에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해 상기 바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컨베이어부;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해 상기 바를 개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되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바 로딩기.
KR1020230105201A 2023-08-10 2023-08-10 각형 바 로딩기 KR10263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01A KR102639620B1 (ko) 2023-08-10 2023-08-10 각형 바 로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01A KR102639620B1 (ko) 2023-08-10 2023-08-10 각형 바 로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620B1 true KR102639620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201A KR102639620B1 (ko) 2023-08-10 2023-08-10 각형 바 로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6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285A (ko) * 2006-04-14 200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20160026222A (ko) * 2014-08-29 2016-03-09 이남수 철근 공급장치
KR101767868B1 (ko) * 2017-01-23 2017-08-14 정운환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KR20170094896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연일 모터 샤프트 이송장치
KR101949262B1 (ko) * 2018-06-28 2019-02-18 주식회사 연후알루미늄 알루미늄 압출용 원자재 이송 장치
CN215515600U (zh) * 2021-08-30 2022-01-14 温州东慧工贸有限公司 一种插针上料装置
KR20230027765A (ko) 2021-08-20 2023-02-28 박정준 막대형 제품 진동 컨베이어의 제품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285A (ko) * 2006-04-14 200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20160026222A (ko) * 2014-08-29 2016-03-09 이남수 철근 공급장치
KR20170094896A (ko) *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연일 모터 샤프트 이송장치
KR101767868B1 (ko) * 2017-01-23 2017-08-14 정운환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KR101949262B1 (ko) * 2018-06-28 2019-02-18 주식회사 연후알루미늄 알루미늄 압출용 원자재 이송 장치
KR20230027765A (ko) 2021-08-20 2023-02-28 박정준 막대형 제품 진동 컨베이어의 제품 정렬장치
CN215515600U (zh) * 2021-08-30 2022-01-14 温州东慧工贸有限公司 一种插针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57643B2 (en) A palletiser
EP0477163B1 (de)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Glastafelzuschnitten
KR101866402B1 (ko) 병렬배치형 이송 컨베어의 디버팅장치
KR20120049690A (ko) 컨베이어 시스템
CN107089525A (zh) 用于袋装物装车机装载码垛主机的分配装置
JPS63330B2 (ko)
CA2168718C (en) Apparatus for gripping and transporting slabs of great dimensions having feeding suckers
FR2625934A1 (fr) Systeme pour l'acheminement de pieces estampees
KR102639620B1 (ko) 각형 바 로딩기
JPH09216731A (ja) 平らな物体の積重ねをパレットに載せるための装置
US66819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objects
WO2005021410A1 (en) Conveyor with two supply conveyors, two discharge coveyors and transfer means therebetween
JP2001039532A (ja) パッケージの中へ積み重ねられた平積み物を回転させる装置
FR2539117A1 (fr) Installation pour l'empilage et le transport de palettes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US5169273A (en) Package transfer apparatus
CN200974702Y (zh) 链板式输料机
JPH1159884A (ja) 鉄筋搬送装置
JPH07267352A (ja) コンベヤ装置
US2918161A (en) Conveyor system
JP4166323B2 (ja) 形鋼材の反転装置
EP118122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flaschen
JPS6036247A (ja) 紙等のシ−ト供給装置
JPS60248560A (ja) 集積束受渡し方法
JPS6212540A (ja) 印刷用給紙部への積重ね用紙搬送方法及び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