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64Y1 -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964Y1
KR200179964Y1 KR2019990027174U KR19990027174U KR200179964Y1 KR 200179964 Y1 KR200179964 Y1 KR 200179964Y1 KR 2019990027174 U KR2019990027174 U KR 2019990027174U KR 19990027174 U KR19990027174 U KR 19990027174U KR 200179964 Y1 KR200179964 Y1 KR 200179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stand
roller
belt conveyo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일
정양기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료처리 설비에서 슈트(CHUTE) 하부의 벨트콘베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용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스탠드의 롤러 고정브라켓트의 각도 조정으로 임팩트 롤러의 교환이 간편하고, 양측면 롤러 각도를 필요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료처리 설비에서 슈트(CHUTE) 하부의 벨트콘베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용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에 있어서, 벨트콘베어의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대를 갖추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임팩트 롤러를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한 스탠드 지지부; 상기 스탠드 지지부의 양측방 임팩트 롤러를 상하로 경사시켜 각도조정함으로서 임팩트 롤러들이 동축의 일렬로 정돈되어 밸트의 하부로 부터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정부;및, 상기 스탠드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임팩트 롤러들이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등을 구비하는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IMPACT ROLLER STAND FOR CARRIER BELT OF BELT CONVEYOR}
본 고안은 원료처리 설비에서 슈트(CHUTE) 하부의 벨트콘베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용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스탠드의 롤러 고정브라켓트의 각도 조정으로 임팩트 롤러의 교환이 간편하고, 양측면 롤러 각도를 필요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처리 설비에서 수송물(130)을 이송하는 벨트콘베어설비는 일측 벨트콘베어와 타측 벨트콘베어를 서로 슈트로 연결하여 수송물(130)의 이송작업을 하고, 필요 공정으로 수송물(130)을 수송한다.
이러한 수송 과정에서 도 1과 같이 벨트 콘베어(100a)(100b)들을 연결하는 슈트(120)의 높이가 보통 4-20M 로 상부 벨트콘베어(100a)의 슈트(120)에서 하부 벨트 콘베어(100b)로 낙하되는 수송물(130)은 하부 밸트콘베어(100b)에 큰 충격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송물(130)에 의한 고소낙하 충격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슈트(120) 하부에서 하부 밸트콘베어(100b)에 설치하는 캐리어 스탠드(135)의롤러는 일반 롤러가 아닌 수송물(130)의 충격을 견디기 위한 임팩트 롤러(140)를 장착하고, 수송물(130)의 고소낙하 충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송물(130)의 낙하충격 감소작업을 실시하여도 고중량의 수송물(130) 고소낙하충격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스탠드(135)에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됨으로서 캐리어 스탠드(135)의 임팩트 롤러(140)가 파손되고, 파손 롤러(140)에 의한 벨트(150) 및 스탠드(130)의 손상이 발생하며, 수송물(130)의 낙하충격과 무게의 작용으로 임팩트 롤러(140)가 심하게 마모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20)의 하부에 설치된 광석의 낙광예방 및 수송물(130) 흐름유도용 스카트(SKIRT)(162)의 지지판(160) 위치가 캐리어 스탠드(130)의 양측면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의 외측 브라켓트(140a)의 높이보다 내측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스탠드(135)와 캐리어 스탠드(135)와의 설치 거리가 일반 롤러 스탠드보다는 매우 가깝게 되어 있음으로서 임팩트 롤러(140)의 교환이 쉽지 않은 것이다. 즉, 일반 롤러 스탠드는 스탠드사이의 거리가 약 1m 로 스탠드 고정부(37)의 고정볼트를 취외시키고, 캐리어 스탠드(135)를 좌,우로 90도 회전시키면 일반 롤러는 교환이 가능하나, 슈트(120) 하부에 설치된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135)는 인접한 임팩트 스탠드(135)와의 설치거리가 약 0.3m 로 스탠드 고정부(37)의 고정볼트를 제거시켜도 좌,우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
또한, 슈트(120) 하부의 임팩트 롤러(140) 교환시는 슈트(120)로 인하여 벨트(150)를 상부측으로 부상시킬 수 없음으로서, 캐리어 스탠드(135)를 상하로 움직여야 하나 벨트(150)의 장력으로 인하여 이를 들어줄 수가 없기 때문에, 밸트(150)의 상승은 인력으로는 불가능하여 체인 블록(미도시)을 사용하여 작업함으로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의 스카트(162) 지지판(160)의 위치와, 캐리어 스탠드(135)와 캐리어 스탠드(135)간의 간섭 원인으로 캐리어 스탠드를 도 2에서 'A' 또는 'B'측 외부로 취외시킬 수 없음으로 하나의 임팩트 롤러의 교환시, 캐리어 스탠드(135)를 별도로 2-3개 취외시켜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롤러(140)를 교환하여야 한다.
또한, 슈트(120)의 하부에서 벨트 콘베어(100b)의 벨트(150)가 리턴되어 테일풀리(TAIL PULLEY)(미도시)를 돌아서 상부의 캐리어 벨트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일자형 평편한 테일풀리에서 캐리어 스탠드(135)의 양측면 임팩트 롤러(140)의 각도를 형성시킬때까지 경사지는 부분에서는 캐리어 스탠드(135)의 양측면 롤러(140)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또한 설비의 특성상 고정된 슈트(120)에서 장기간 연속된 작업으로 슈트(120) 하부에 설치된 스카트 지지판이 마모하여 밸트(150)와의 사이에서 간격을 형성하면, 직선형 고무로 이루어진 스카트(162)의 조기마모로 밸트 콘베어(100b)로 부터 다량의 낙광(200)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캐리어 스탠드(135)의 양측면 임팩트 롤러(140)의 장착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스커트(162)와의 사이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료처리설비에서 슈트 하부의 하부 벨트콘베어에 설치되는 캐리어 임팩트 롤러의 교환이 간편하고, 양측면 임팩트 롤러의 장착 각도를 필요한 경사진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밸트 콘베이어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캐리어밸트용 롤러 스탠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에서 롤러를 교환하는 경우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어 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프레임 12..... 동체
14.... 중심가이드 플랜지 25..... 지지대
30.... 양방향 스크류 42a,42b... 이동블럭
50.... 링크부재 60..... 롤러 틀
120... 슈트 140.... 임팩트 롤러
150... 밸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료처리 설비에서 슈트(CHUTE) 하부의 벨트콘베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용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에 있어서, 벨트콘베어의 프레임에 연결된 지지대를 갖추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임팩트 롤러를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한 스탠드 지지부; 상기 스탠드 지지부의 양측방 임팩트 롤러를 상하로 경사시켜 각도조정함으로서 임팩트 롤러들이 동축의 일렬로 정돈되어 밸트의 하부로 부터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정부;및, 상기 스탠드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임팩트 롤러들이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1)는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콘베어 프레임(5)에 양측이 고정되고, 그 상부측에는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임팩트 롤러(140)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탠드 지지부(10)를 갖는 바, 상기 스탠드 지지부(10)는 삼각 막대형의 동체(12) 하부의 중심에는 중심 가이드 플랜지(14)와 그 양외측으로 측면가이드 플랜지(16)가 부착되고, 삼각막대형의 동체(12) 상부의 중심에는 중앙 임팩트 롤러(140)를 회전가능하도록 끼워 고정하는 한쌍의 브라켓트(18a)와, 그 양측으로 각각 측방 임팩트 롤러(140)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측방 롤러 고정용 브라켓트(18b)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지지부(10)의 삼각 막대형 동체(12)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동체(12)가 끼워지는 ㄷ형 단면의 지지대(25)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중심가이드 플랜지(14)와, 이와 동일 규격으로 동체(12)의 외측하부에 부착되는 측면 가이드 플랜지(16)에는 각각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양방향 스크류(30)(3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5)는 그 하부면이 프레임(5)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대(25)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동체(12)의 이동을 차단하는 측판(25a)이 고정되고, 지지대(25)의 타측, 즉 도 3에서 좌측단부는 개방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지지부(10)의 양측방 임팩트 롤러(140)를 상하로 경사시켜 각도조정함으로서 임팩트 롤러(140)들이 동축의 일렬로 정돈되어 밸트(120)의 하부로 부터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정부(37)는 상기 중심 가이드 플랜지(14)와 그 양외측의 측면가이드 플랜지(16) 구멍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양방향 스크류(30)를 갖는 바, 상기 양방향 스크류(30)는 중심 가이드 플랜지(14)의 일측에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중심가이드 플랜지(14)의 타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오른 나사와 왼나사에는 각각 이동블럭(42a)(42b)이 나사결합하여 장착된다.
상기 각각의 이동블럭(42a)(42b)은 ㄷ형의 지지대(25) 내측에 위치되어 양방향 스크류(30)의 정역회전으로 상기 스크류(30)를 따라서 전후진이동하는 것으로 그 상부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링크부재(5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50)들 타측은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롤러 틀(6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롤러틀(60)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구조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롤러틀(60)들은 그 단변측에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의 중심축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 지고, 상기 롤러틀(60)의 일측은 동체(12)에서 상부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측방롤러 고정용 브라켓트(18b)에 핀(미도시)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블럭(42a)(42b)에서 상부측으로 연장한 링크부재(50)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은 양방향 스크류(30)부재들이 정,역회전하는 경우, 이에 나사 결합된 이동블럭(42a)(42b)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면, 상기 이동블럭(42a)(42b)에 링크부재(50)들을 통하여 연결된 롤러 틀(60)의 단부가 승하강되어지고, 이러한 롤러 틀(60)의 한쪽의 승하강은 타측의 측방롤러 고정용 브라켓트(18b)를 중심으로 상기 측방 롤러(140)들을 각각 대칭적으로 경사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42a)(42b)의 하부측에는 상기 이동블럭(42a)(42b)이 지지대(25)의 내측면에서 지지대(25)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휠(65)이 고정되고, 상기 양방향 스크류(30) 부재는 일측단부가 지지대(25)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각도 조정바(7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지지부(10)의 내부에서 상기 임팩트 롤러(140)들이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80)을 갖는 바, 상기 고정수단(80)은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 체인(82)등을 통하여 연결된 제 1고정핀(85a)과, 상기 제 1고정핀(85a)이 삽입가능한 구멍(87)이 지지대(25)의 상부측 플랜지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87)에 연통하도록 상기 동체(12)의 일측 측면 가이드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고정핀(85a)은 동체(12)가 지지대(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대(25)의 구멍(87)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가이드 플랜지(16)의 구멍으로 삽입됨으로서 상기 지지대(25)와 동체(12)는 일체로 제 1고정핀(85a)에 의해서 결합되어 동체(12)가 지지대(25)의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80)은 지지대(25)가 장착된 프레임(5)의 일측에 체인(82)을 통하여 연결된 제 2고정핀(85b)을 갖추고, 상기 제 2고정핀(85b)은 각도 조정바(70)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71)을 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2고정핀(85b)은 상기 각도 조정바(70)의 구멍(71)으로 삽입됨으로서 각도 조정바(70)를 프레임(5)에 연결하여 각도 조정바(7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는 양방향 스크류(30)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여 측방 임팩트 롤러(140)의 경사각도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1)는 사용중에 임팩트 롤러(140)의 마모및 파손이 발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 슈트 하부에 설치된 임팩트 롤러(140)의 교환이 필요한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의각도 조정바(70)를 회전시켜서 측방 임팩트 롤러(140)와 중앙 임팩트 롤러(140)가 동축을 이루면서 하나의 직선형 롤러를 유지하도록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을 경사시키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제 2고정핀(85b)을 각도 조정바(70)의 구멍(71)으로 부터 인출하고, 각도 조정바(7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결된 양방향 스크류(30)가 회전되어 이에 나사결합된 이동블럭(42a)(42b)들이 각각 양방향 스크류(30)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42a)(42b)이 양방향 스크류(30)의 중앙측으로 이동되면, 이는 링크부재(50)를 통하여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의 단부를 하향 경사시키고, 그에 따라서, 측방 롤러 고정용 브라켓트(18)를 중심으로 상기 측방 롤러(140)들은 경사된다.
따라서, 양측의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가 중앙 임팩트 롤러(140)와 같은 수평이 되면 각도 조정바(70)의 회전을 중지하고, 제 1 고정핀(85a)을 취외시킨 후, 스탠드 지지부(10)의 동체(12)를 작업자가 도 4의 'A' 방향으로 당기면 동체(12)가 입팩트 롤러(140)들과 함께 지지대(25)의 전방측으로 당겨 인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취외후 마모 혹은 파손된 임팩트 롤러(140)의 교환이 완료되면 다시 역순으로 작동시켜 임팩트 롤러(140)의 장착및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에서 임팩트 롤러(140)의 교환작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10)가 취부된 슈트(120) 하부의 프레임(5)에 부착된 제 1 고정핀(85a)의 취외시키고, 각도 조정바(7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도 조정바(70)에 일단부가 조립된 양방향 스크류(30)가스탠드 지지부(10)에 부착된 중심가이드 플랜지(14)와 양측의 측면 가이드 플랜지(16)에 의해서 지지되어 회전하며, 상기 양방향 스크류(30)의 회전에 따라 오른나사부의 이동블럭(42a)과, 왼나사부의 이동블럭(42b)이 스크류(30)의 중앙으로 이동되며, 이때 휠(65)들이 회전된다.
상기 이동블럭(42a)(42b)들의 이동은 이들의 상부에 부착된 링크부재(50)와 함께 이루어지며, 링크부재(50)의 이동은 측방 임팩트 롤러 고정용 브라켓트(18b)를 중심으로 측방 롤러(140)들을 장착한 롤러틀(60)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며, 이 회전에 의해서 측방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가 도 4 와 같이 수평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수평상태가 되면 측방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의 교환이 가능하나 중앙 임팩트롤러(140)의 교환을 위해서는 스탠드 지지부(10)를 도 4에서 'A' 방향으로 당겨서 스탠드 동체(12)가 지지대(25)로 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환이 필요한 임팩트 롤러(140)를 조치완료하고, 역순으로 작동시켜 취부작업을 하면 된다.
한편, 슈트(120) 하부에 설치하는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는 측방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의 경사각도를 0도(수평상태)로 부터 통상 규격의 각도인 30도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외에도 설비 특성에 따라 임의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앞에서의 임팩트 롤러(140) 교환작업시와 같이 작동시켜 측방 가이드 임팩트 롤러(140)의 경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키면, 양방향 스크류(30)를 위한 각도 조정바(70)의 회전작동을 멈추고 각도 조정바(70)에 프레임(5)에 부착된 제 2고정핀(85b)을 체결하면 임의로 원하는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슈트 하부에 설치된 캐리어 스탠드의 일반 롤러 또는 임팩트 롤러 마모 및 파손시의 문제점을 측방 롤러의 장착각도를 조정함으로서 일반 롤러 및 임팩트 롤러의 교환을 쉽고 간편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설비가동율 향상과 임팩트 롤러의 조기 교환작업으로 교환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측방 가이드 임팩트 롤러의 장착각도를 임의로 조정하는 작업이 가능하여 고무로 이루어진 스카트의 마모시 다량의 낙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원료처리 설비에서 슈트(CHUTE)(120) 하부의 벨트콘베어(100b)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용 캐리어 임팩트 스탠드에 있어서,
    벨트콘베어의 프레임(5)에 연결된 지지대(25)를 갖추고, 상기 지지대(25)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임팩트 롤러(140)를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한 스탠드 지지부(10); 상기 스탠드 지지부(10)의 양측방 임팩트 롤러(140)를 상하로 경사시켜 각도조정함으로서 임팩트 롤러(140)들이 동축의 일렬로 정돈되어 밸트의 하부로 부터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정부(37);및, 상기 스탠드 지지부(10)의 내부에서 상기 임팩트 롤러(140)들이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80);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부(37)는 중심 가이드 플랜지(14)와 그 양외측의 측면가이드 플랜지(16) 구멍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양방향 스크류(30)를 갖고, 상기 양방향 스크류(30)는 중심 가이드 플랜지(14)의 일측에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중심가이드 플랜지(14)의 타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오른 나사와 왼나사에는 각각 이동블럭(42a)(42b)이 나사결합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이동블럭(42a)(42b)의 상부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링크부재(5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50)들 타측은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롤러 틀(6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측방 임팩트 롤러(140)들은 양방향 스크류(30)부재들이 정,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측방 롤러(140)들이 각각 대칭적으로 경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KR2019990027174U 1999-12-06 1999-12-06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KR200179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174U KR200179964Y1 (ko) 1999-12-06 1999-12-06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174U KR200179964Y1 (ko) 1999-12-06 1999-12-06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964Y1 true KR200179964Y1 (ko) 2000-04-15

Family

ID=1959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174U KR200179964Y1 (ko) 1999-12-06 1999-12-06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96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75B1 (ko) 2003-07-04 201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KR101054471B1 (ko) 2004-12-28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캐리어 롤러 교환장치
CN104828511A (zh) * 2015-03-19 2015-08-12 武隆县亚鑫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皮带式运输机
CN109896245A (zh) * 2019-03-12 2019-06-18 安徽省矿业机电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缓冲托辊
KR102356312B1 (ko) * 2020-12-30 2022-02-09 성백남 건설자재용 컨베이어
AU2018200600B2 (en) * 2018-01-24 2023-12-21 Cerend Pty Ltd A support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a support apparatus for a belt of a conveyor system
KR20240048202A (ko) 2022-10-06 2024-04-1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낙광 개선형 충격 흡수용 롤러 컨베이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75B1 (ko) 2003-07-04 2010-08-24 주식회사 포스코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KR101054471B1 (ko) 2004-12-28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캐리어 롤러 교환장치
CN104828511A (zh) * 2015-03-19 2015-08-12 武隆县亚鑫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皮带式运输机
AU2018200600B2 (en) * 2018-01-24 2023-12-21 Cerend Pty Ltd A support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a support apparatus for a belt of a conveyor system
CN109896245A (zh) * 2019-03-12 2019-06-18 安徽省矿业机电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缓冲托辊
KR102356312B1 (ko) * 2020-12-30 2022-02-09 성백남 건설자재용 컨베이어
KR20240048202A (ko) 2022-10-06 2024-04-15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낙광 개선형 충격 흡수용 롤러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1068C (en) Screening apparatus
CN109843758B (zh) 物料处理装置的传送带配置
CZ297191B6 (cs) Pásová rídicí souprava
KR200179964Y1 (ko)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NO178853B (no) Anordning for stabilisering av transportbeltet i en selvjusterende beltestyreenhet
CN206569615U (zh) 一种高度可调的输送机
US6390287B2 (en) Self-adjusting carrying idler assembly
KR20100043930A (ko)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CN110281131A (zh) 一种抛光打磨生产线
CN113443410A (zh) 一种物料下料用皮带传动装置
CN210126859U (zh) 一种带式输送机及其槽角可调过渡托辊组
AU2008203343B2 (en) Steerable conveyor with height adjustable wheels
US5186313A (en) Conveyor belt tracking and drive mechanism
CN216334577U (zh) 一种应用于煤矿皮带运输机的纠偏装置
US5904238A (en) Duel belt conveyor system
CN216763157U (zh) 皮带运输机转弯机构
CN212100555U (zh) 一种板式喂料机的槽板支撑机构
CN208345202U (zh) 一种漏斗式挡煤板
CN215046025U (zh) 一种爬坡皮带机
CN217436960U (zh) 输送机用末端挡板装置
CN219193444U (zh) 一种矿石物料的运输装置
KR20000014118A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N220744379U (zh) 带式输送机
CN218560080U (zh) 一种皮带机卸载滚筒断轴后防断皮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