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94A - 동력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94A
KR20180002494A KR1020170065887A KR20170065887A KR20180002494A KR 20180002494 A KR20180002494 A KR 20180002494A KR 1020170065887 A KR1020170065887 A KR 1020170065887A KR 20170065887 A KR20170065887 A KR 20170065887A KR 20180002494 A KR20180002494 A KR 2018000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mechanism
gear
pow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683B1 (ko
Inventor
세이지 노리타
마나부 모리
사토시 니시다
유우 후지타
츠바사 가와조에
마미 후지이
유키후미 야마나카
고오이치 가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9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6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29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4861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0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16H2047/025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the fluid gear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pump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utility vehicles, e.g. tractors or agricultural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이 높고,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하여, 콤팩트한 동력 전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이 높고,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걸 수 있는, 콤팩트한 동력 전동 장치를 제공한다.
동력 전동 장치(7)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동 가능한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와, 제1 무단 변속 기구(10)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30)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40)와,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70)가 구비되고, 전동 케이스(70)의 좌우 일방측에 제1 무단 변속 기구(10)가 설치되고, 전동 케이스(70)의 좌우 타방측에 제2 무단 변속 기구(20)가 설치되고,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독립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계 기어(33G)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크축(51)과, 로크축(51)과 중계 기어(33G)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50)와, 브레이크 페달(3P)의 조작에 따라, 로크축(51)을 제동 상태 또는 비제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 기구(60)가 구비되고, 주차 브레이크 기구(60)에 구비된 브레이크 클러치(63)의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50)에 구비된 클러치 시프터(52)가 작동하고, 클러치 기구(50)에 구비된 로크 클러치(53)에 의해 로크축(51)과 중계 기어(33G)가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로크축(51)이 비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동력 전동 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와,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와,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구비된 동력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작업기, 구체적으로는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엔진 등의 동력 발생 장치와, HST 등의 무단 변속 기구와 감속기를 구비한 동력 전동 장치와, 콤바인의 기체 좌우에 구비된 한 쌍의 무한궤도식의 주행 장치 등을 갖고 있으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은 동력 전동 장치에 의해 분배되어 좌우의 주행 장치의 각각에 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1672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 전동 장치에 의해 분배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의 각각에 전동하는 구성은, 선회 조작 시의 동력 전동 손실이 크고 선회가 매끄럽지 않았다.
그래서, 콤바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 전동 장치에 의해 분배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의 각각에 전동하는 구성 대신에,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2개의 동력 전동 장치를 통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의 각각에 전동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의해 콤바인은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자탈식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조예취(line cutting) 시, 즉 직진 조작 시에 높은 직진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독립식의 동력 전동 장치는, 콤바인을 직진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즉 좌우의 주행 장치가 동일한 회전수일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우의 동력 전동 장치의 개체차나, 동력의 전동 손실의 차나, 좌우의 주행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한 오일 누설 등에 기인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에 회전수차가 발생하여 콤바인에 선회 동작이 발생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이 높고,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하며, 콤팩트한 동력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차 시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의도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주행 장치까지의 사이에, 예를 들어 동력 전동 장치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주차 브레이크 기구는, 동력 전동 장치에 구비된 동력 전동 경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기어의 회전을 불가능으로 전환함으로써, 주행 장치의 구동을 제동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그러나, 동력 전동 장치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 동력 전동 장치가 좌우 독립식이면, 좌우의 동력 전동 장치의 각각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동력 전동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이 높고,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하고, 또한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걸 수 있는, 콤팩트한 동력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의 특징은,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동 가능한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와,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와,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일방측에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타방측에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독립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개별로 설치하는 것이라면,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기어군이나 그들의 회전축 및 베어링 등의 각 부품을, 개별의 전동 케이스에 각각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부품 개수가 증가할수록, 치수 공차 등에 기인하여 제1 전동 기구에 의한 동력의 전동 효율과 제2 전동 기구에 의한 동력의 전동 효율에 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동력의 전동 효율의 차는, 좌우의 주행 장치의 회전수의 차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당해 동력 전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기의 직진성을 악화시켜버린다.
이에 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하는 구성이면,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기어군을 지지하는 축 및 베어링을 어느 정도 겸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제1 전동 기구에 의한 동력의 전동 효율과 제2 전동 기구에 의한 동력의 전동 효율의 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직진성이 담보된다.
또한, 좌우의 주행 장치의 한쪽에 걸리는 중량과 다른 쪽에 걸리는 중량이 상이하면, 예를 들어 당해 동력 전동 장치가 탑재된 작업기가 주행할 때에 지면에 대한 그립력에 차이가 발생하거나 하여, 작업기의 직진성에 악영향을 준다.
이에 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의 좌우 일방측에 제1 무단 변속 기구를 설치하고, 전동 케이스의 좌우 타방측에 제2 무단 변속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이면, 전동 케이스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좋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동력 전동 장치를 작업기의 좌우의 주행 장치의 중간 부근에 탑재했을 때에, 좌우의 주행 장치에 걸리는 중량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직진성에 대하여 끼치는 영향이 적다.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하면서도,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를 통하여 각각 독립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기 때문에,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한 것에 의해,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개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력 전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입력하는 동력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좌우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동력 입력부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1 입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동력 입력부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2 입력축이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동력 입력부에서의 동력은, 전동 케이스의 내부에서 분배되고, 제1 입력축을 통하여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전동됨과 함께, 제2 입력축을 통하여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전동된다. 이렇게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의 동력의 전동과,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의 동력의 전동을, 하나의 동력 입력부에 의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의 동력의 전동을 행하는 동력 입력부와,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의 동력의 전동을 행하는 동력 입력부를 개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력 전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동력 입력부에, 동력 입력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축에, 상기 동력 입력 기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제1 입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력축에, 상기 제1 입력 기어에만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제2 입력 기어가 연결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상기 동력 입력 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2 입력 기어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기어에 직접적으로 전동할 수 있고, 상기 동력 입력 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1 입력 기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제2 입력 기어에 전동할 수 있다. 동력 입력 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제2 입력 기어에 전동하는 기어를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동력 입력 기어로부터 제1 입력 기어에 동력을 전동 하기만 하면, 제1 입력 기어를 통하여 제2 입력 기어에도 동력이 전동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동력 전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1 입력축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상기 좌우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동력을 전동하는 제1 출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출력축에, 제1 출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2 입력축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동력을 전동하는 제2 출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출력축에, 제2 출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 기어 및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동일한 회전 축심 상에 있어서 각각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분기되어서,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각각 전동되어서 변속된 동력을, 동일한 회전 축심 상에 있어서 각각 독립하여 회전 가능한 제1 출력 기어 및 제2 출력 기어로부터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에 전동할 수 있다. 제1 출력 기어로부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까지의 동력의 전동 경로 길이와, 제2 출력 기어로부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까지의 동력의 전동 경로 길이가 동일하면,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의 동력의 전동 효율에 차가 발생되기 어려우므로,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는,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1 입력축으로서의 제1 펌프축이 설치된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출력축으로서의 제1 모터축이 설치된 제1 유압 모터와, 상기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왕래시키는 제1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2 입력축으로서의 제2 펌프축이 설치된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제2 출력축으로서의 제2 모터축이 설치된 제2 유압 모터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제2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왕래시키는 제2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압 펌프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1 펌프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펌프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이며, 상기 제2 유압 펌프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2 펌프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펌프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이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가 구비하는 각 경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방향이 전환된다. 그 결과로서 제1 모터축 및 제2 모터축의 회전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모두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이기 때문에, 양산 효과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인 것에 의해,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가 구비하는 각 경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 예를 들어 유압 기구나 그 제어 기구를 용이하게 공통화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통의 전동 케이스의 좌우에 할당된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모두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이기 때문에, 전동 케이스의 좌우 중량 균형을 잡는 것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유압 모터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1 모터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모터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이며, 상기 제2 유압 모터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2 모터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모터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이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를 주변속 기구로서 기능시키고, 제1 유압 모터 및 제2 유압 모터를 부변속 기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1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2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하는 로크축과,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구에 의해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로 하면,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동일한 회전수 또한 회전 방향에 의해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클러치 기구에 의해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를 비연결 상태로 하면,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상이한 회전수 내지 회전 방향에 의해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할 수 있기 때문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축은, 일단부측이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부측이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 기어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중계 기어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일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가능한 다판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클러치 기구에 대향하는 개소에 점검구가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구에 구비된 다판 클러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 및 교환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이면, 전동 케이스에 구비된 점검구를 통한 다판 클러치의 점검 및 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복수의 중계축에 걸쳐서 설치된 복수의 기어를 갖는 제1 기어군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복수의 중계축에 걸쳐서 설치된 복수의 기어를 갖는 제2 기어군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군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와, 상기 제2 기어군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제1 기어군 및 제2 기어군의 각각의 동력의 전동 효율을 설계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 전동되는 동력과,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이 동일한 크기일 경우에는, 좌우의 주행 장치에는 동일한 크기의 동력이 전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상기 제1 기어군을 구성하는 하나의 기어를 지지하는 제1 중계축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일단에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저부를 갖고, 상기 제2 기어군 중 상기 제1 기어군의 상기 기어의 회전 축심과 동일한 축심 둘레에서 회전하는 기어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중계축의 일단부는,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된 제1 베어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축의 타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중계축 사이에 설치된 중간 베어링에 의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제1 중계축 사이에 설치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의해, 상기 제1 중계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외주면은,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된 제2 베어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축에, 상기 일단부에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구비된 제1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제1 축상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1 회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상기 저부에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구비된 제2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제2 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제2 축상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2 회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제1 기어군 및 제2 기어군에 있어서 다른 중계축에 설치된 기어끼리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비교함으로써,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의 동력 전동의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면, 적어도 어느 한쪽 검출 결과에 변속비의 차를 환산하기 위해서, 또한 회전 센서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동 경로의 경로 길이차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의 전동 손실을 고려하기 위해서, 복잡한 연산(계산이나 필터 처리 등)이 필요해지게 된다.
상기 구성이면, 동일한 회전수가 되도록 설정된 기어의 회전수끼리를 각각 검출하고, 비교할 수 있으므로,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의 동력 전동의 모습을, 상기 여분의 연산을 하지 않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좌우 일방측과,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전동 케이스에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를 설치한 상태 그대로 전동 케이스를 분할할 수 있으므로,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유지 보수 등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의 특징 구성은,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와,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와,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구비된 동력 전동 장치이며,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1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2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크축과,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와,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크축을 제동 상태 또는 비제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에, 상기 로크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제1 중계 기어 사이에 설치된 로크 클러치와, 상기 로크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조작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기구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전동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크 클러치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브레이크 시프터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의 상기 비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클러치 시프터가 작동하고, 상기 로크 클러치에 의해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가 상기 비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로크축이 상기 비제동 상태로부터 상기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점에 있다.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독립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에 의해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로 함으로써,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동일한 회전수 및 회전 방향에 의해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개별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기어군이나 그들의 회전축 및 베어링 등의 각 부재를 각각 별도의 전동 케이스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각 부재의 점수가 증가할수록 치수 공차 등에 기인하여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의 동력의 전동 효율에 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동력의 전동 효율의 차는, 좌우의 주행 장치의 회전수의 차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당해 동력 전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기의 직진성을 악화시켜버린다.
이에 비해,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함으로써,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각각에 구비된 기어군을 지지하는 축 및 베어링을 어느 정도 공통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의 동력의 전동 효율의 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직진성이 담보된다.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하면서도, 클러치 기구에 의해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를 비연결 상태로 함으로써,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상이한 회전수 내지 회전 방향에 의해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를 통하여 각각 독립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공통화한 것에 의해, 제1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와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개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력 전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이면,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조작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가 조작됨으로써, 로크축이 제동 상태로 되어,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가 동시에 제동된다. 동력 전동 장치는,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의 각각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동력 전동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 클러치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측에 구비된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중계 기어측에 구비된 제1 내측 마찰판이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측에 구비된 제2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전동 케이스측에 구비된 제2 외측 마찰판이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클러치 기구에 의한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의 연결 상태와 비연결 상태의 전환에, 제1 내측 마찰판과 제1 외측 마찰판의 미끄럼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 및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에 있어서의 충격 등의 발생이 적어, 원활한 전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 시프터에, 상기 로크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상부와, 상기 통상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외측 마찰판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 내측 마찰판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부측의 면에, 상기 제1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제1 외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가압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부측의 면에, 상기 제2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제2 외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수압면이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클러치 시프터를 구성하는 통상부의 내주면에 로크 클러치를 배치함과 함께, 통상부의 외주면에 브레이크 클러치를 배치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조작에 따라서 클러치 시프터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로크 클러치 및 브레이크 클러치의 상태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통상부를 구성하는 주위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클러치 기구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로크축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콤팩트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에,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내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에, 상기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내측 마찰판을 이격시키는 압박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구는,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는, 제1 내측 마찰판과 제1 외측 마찰판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압접력을 필요로 한다. 이 큰 압접력을, 가령 압축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얻고자 하면, 로크축과 제1 중계 기어의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나 비연결 상태의 유지를 위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강한 압박력을 극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압 기구에 요구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버린다. 따라서, 가압 기구 및 압박 기구가 대형화되어버린다.
이에 비해, 상기 구성이라면, 클러치 기구는, 제1 내측 마찰판과 제1 외측 마찰판의 압접에 가압 기구의 가압력을 이용하고, 제1 내측 마찰판과 제1 외측 마찰판의 이격에 압박 기구의 압박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기구 및 압박 기구에 요구되는 가압력 및 압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기구 및 압박 기구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 케이스에 점검구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에, 점검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크 클러치 및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는 일체적으로 어셈블리화되고, 또한, 상기 점검 커버에 내장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이면, 점검 커버를 전동 케이스부터 제거할 때에, 어셈블리화된 클러치 기구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일괄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 작업이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동력 전동 장치의 전체도.
도 3은 각 축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4는 각 기어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5는 동력 전동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클러치 기구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설명도.
도 7은 클러치 기구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설명도.
도 8은 클러치 기구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설명도.
도 9는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주요부 설명도.
도 10은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주요부 설명도.
도 11은 주차 브레이크 기구의 주요부 설명도.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가 탑재된 작업기의 일례인 수확기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이하, 콤바인(100)이라 한다.)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콤바인(100)은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1(1L, 1R))에 의해 주행하는 본체의 전단부에 예취부(2)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과 함께, 주행 장치(1)의 전방부 상방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3)가 구비되고, 운전부(3)의 측방에 예취부(2)로부터 공급된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4)와, 탈곡 장치(4)의 후방에 탈곡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장치(1(1L, 1R))는, 구동륜(1W(1LW, 1RW)), 전동륜 및 그들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가 구비된, 소위 무한궤도이다.
운전부(3)의 하부 위치에는 동력 발생 장치로서의 엔진(6)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장치(1)의 전방부 위치에 있어서 콤바인(100)의 전진 방향과 수직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는 엔진(6)의 동력을 주행 장치(1)의 구동륜(1W)에 전동하는 동력 전동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3)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스텝과,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의 전방 위치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 조작구로서의 조향 레버(3S)가 구비되고, 운전 좌석의 측부 위치에는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변속 레버(3T) 및 부변속 레버(3C)가 구비되고, 스텝에는 후술하는 주차 브레이크 기구(60)를 조작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3P)이 구비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3P)을 제동 위치까지 답입 조작함으로써, 동력 전동 장치(7)에 구비된 주차 브레이크 기구(60)가 작동하여 주행 장치(1)는 제동된다. 브레이크 페달(3P)의 전방부 위치에는, 브레이크 페달(3P)이 제동 위치를 초과하는 영역까지 답입된 경우에, 이 답입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페달 로크(3R)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 전동 장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동 장치(7)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장치(1(1L, 1R))의 각각에 전동하기 위한 기구이며,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출력하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와, 제1 무단 변속 기구(10)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장치(1L)에 전동하는 제1 전동 기구(30)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장치(1R)에 전동하는 제2 전동 기구(40)와,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가 수용되는 전동 케이스(7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는 전동 케이스(70)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분되어 전동 케이스(70)의 외부에 지지된다. 또한, 좌측 또는 우측이란 각 도면 중에 있어서의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는, 전동 케이스(70)의 좌측에 제1 무단 변속 기구(10)가 설치되고, 전동 케이스(70)의 우측에 제2 무단 변속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는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구별하여 설명한다.
제1 무단 변속 기구(10)에는, 제1 변속 케이스(14)의 내부에, 제1 유압 펌프(11)와, 제1 유압 모터(12)와, 제1 유압 펌프(11)와 제1 유압 모터(1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제1 유로(13)가 구비되어 있다.
제2 무단 변속 기구(20)에는, 제2 변속 케이스(24)의 내부에, 제2 유압 펌프(21)와, 제2 유압 모터(22)와, 제2 유압 펌프(21)와 제2 유압 모터(2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제2 유로(23)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펌프〕
제1 유압 펌프(11) 및 제2 유압 펌프(21)는 각각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액셜 플런저형이면서 용량 가변형의 유압 펌프이다.
제1 유압 펌프(11)에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1 입력축으로서의 제1 펌프축(11S)이 구비되어 있다. 제1 펌프축(11S)에, 당해 제1 펌프축(11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펌프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유압 펌프(21)에는,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2 입력축으로서의 제2 펌프축(21S)이 구비되어 있다. 제2 펌프축(21S)에, 당해 제2 펌프축(21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펌프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펌프 경사판 및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은, 제1 펌프축(11S)의 축심 또는 제2 펌프축(21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운전부(3)의 조향 레버(3S) 및 주변속 레버(3T)에 연계된 조향 장치 및 유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독립하여 중립 정지 위치,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무단계로 변경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펌프 경사판의 상기 경사 각도에 따라, 제1 펌프축(11S)의 축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의 피스톤량이 변경되어, 제1 펌프축(11S)의 일정한 회전당의 작동유의 토출량이 변화된다.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의 상기 경사 각도에 따라, 제2 펌프축(21S)의 축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의 피스톤량이 변경되어, 제2 펌프축(21S)의 일정한 회전당의 작동유의 토출량이 변화된다.
제1 유압 펌프(11)나 제2 유압 펌프(21)는 상기 제1 펌프 경사판 및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의 경사판 각도가 제1 펌프축(11S)의 축심 및 제2 펌프축(21S)의 축심에 대하여 작아질수록 작동유의 토출량이 많아지고, 상기 각 경사판 각도가 상기 각 축심에 대하여 커질수록, 작동유의 토출량이 적어진다. 또한, 상기 각 경사 각도가 상기 각 축심과 90도일 때는 작동유는 토출되지 않는다.
〔유압 모터〕
제1 유압 모터(12) 및 제2 유압 모터(22)는 각각 제1 유압 펌프(11) 및 제2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는 액셜 플런저형이면서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이다.
제1 유압 모터(12)에, 제1 펌프축(11S)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제1 전동 기구(30)로 동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축으로서의 제1 모터축(12S)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모터축(12S)에, 당해 제1 모터축(12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모터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유압 모터(22)에, 제2 펌프축(21S)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제2 전동 기구(40)에 동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축으로서의 제2 모터축(22S)이 구비되어 있다. 제2 모터축(22S)에, 당해 제2 모터축(22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모터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모터 경사판 및 상기 제2 모터 경사판은, 제1 모터축(12S)의 축심 또는 제2 모터축(22S)의 축심에 대한 경사 각도가, 운전부(3)의 부변속 레버(3C)에 연계된 조향 장치 및 유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최소 경사 상태로부터 최대 경사 상태까지 무단계로 변경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모터 경사판의 상기 경사 각도에 따라, 제1 모터축(12S)의 축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의 피스톤량이 변경되어, 일정한 작동유당의 제1 모터축(12S)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 경사판의 상기 경사 각도에 따라, 제2 모터축(22S)의 축심 둘레에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의 피스톤량이 변경되어, 일정한 작동유당의 제2 모터축(22S)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유압 모터(12) 및 제2 유압 모터(22)는 상기 제1 모터 경사판 및 상기 제2 모터 경사판의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질수록,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을 일정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작동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의 회전수는 저하된다. 반대로, 상기 각 경사 각도가 작아질수록,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을 일정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작동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의 회전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유압 펌프(11) 및 제2 유압 펌프(21)를 주변속 기구로서 기능시키고, 제1 유압 모터(12) 및 제2 유압 모터(22)를 부변속 기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전동 케이스〕
전동 케이스(70)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가 지지되는 일방측의 분할 케이스(70L)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가 지지되는 타방측의 분할 케이스(70R)로 구성된다. 분할 케이스(70L)와 분할 케이스(70R)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전동 케이스(70)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을 해제하면, 전동 케이스(70)에 제1 무단 변속 기구(10)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를 설치한 채 분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케이스(70)의 내부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다.
도 2부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70)에,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동 케이스(70)에 입력하기 위한 동력 입력부(8)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 입력부(8)에,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8R)과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롤러 베어링(8L)에 축지지된 동력 입력축부(8S)와, 동력 입력축부(8S)에 일체 형성된 동력 입력 기어(8G)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 입력축부(8S)에, 분할 케이스(70R)를 관통하여 분할 케이스(70R)의 외부로 연장 돌출되고 그 단부에 풀리(8P)가 구비되어 있다. 풀리(8P)와, 엔진(6)의 출력축(6S)에 설치된 풀리(6P) 사이에는 벨트(6V)가 권회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엔진(6)으로부터의 동력이 벨트(6V)를 통하여 동력 입력축부(8S), 즉 동력 입력 기어(8G)에 전동된다.
전동 케이스(70)에, 동력 입력부(8)에 의해 입력된 동력을 제1 무단 변속 기구(10)에 전동하기 위한 입력 중계부(9)가 구비되어 있다. 입력 중계부(9)는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롤러 베어링(9L)과,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롤러 베어링(9R)과, 롤러 베어링(9L) 및 롤러 베어링(9R)에 축지지된 입력 중계축부(9S)와, 입력 중계축부(9S)에 일체 형성된 입력 중계 기어(9G)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 중계부(9)는 동력 전동 장치(7)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할 케이스(70R) 중 동력 입력축부(8S)가 수용되는 부분과, 제2 무단 변속 기구(20)의 제2 변속 케이스(24)의 물리적 거리를 확보하고,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도 참조).
제1 펌프축(11S)은, 도 2 중 좌측으로부터 분할 케이스(70L)에 삽입되어 있다. 제1 펌프축(11S)에, 제1 입력 기어(11G)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제1 입력 기어(11G)는,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11L)과,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11R)에 축지지되어 있다.
제2 펌프축(21S)은, 도 2 중 우측으로부터 분할 케이스(70R)에 삽입되어 있다. 제2 펌프축(21S)에, 제2 입력 기어(21G)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제2 입력 기어(21G)는,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21R)과,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21L)에 축지지되어 있다.
도 2부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중계 기어(9G)와 제1 입력 기어(11G)가 맞물리고, 제1 입력 기어(11G)와 제2 입력 기어(21G)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동력 입력 기어(8G)로부터의 동력은, 입력 중계 기어(9G)를 통하여 제1 입력 기어(11G)에 전동되고, 또한, 제1 입력 기어(11G)를 통하여 제2 입력 기어(21G)에 전동된다. 즉, 동력 입력 기어(8G)로부터의 동력은 제2 입력 기어(21G)를 통하지 않고 제1 입력 기어(11G)에 전동된다.
제1 모터축(12S)은, 도 2 중 좌측으로부터 분할 케이스(70L)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모터축(12S)에, 제1 출력 기어(12G)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제1 출력 기어(12G)는, 좌측 단부가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12L)에 축지지되고, 축형으로 구성된 우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2 출력 기어(22G)에 형성된 중공부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또한, 상기 우측 단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 설치된 니들 베어링(12M)에 축지지되어 있다.
제2 모터축(22S)은, 도 2 중 우측으로부터 분할 케이스(70L)에 삽입되어 있다. 제2 모터축(22S)에, 제2 출력 기어(22G)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제2 출력 기어(22G)는, 우측 단부가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22R)에 축지지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제1 출력 기어(12G)의 상기 우측 단부가 느슨하게 끼워지고, 또한, 니들 베어링(12M)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출력 기어(12G)와 제2 출력 기어(22G)는 동일한 회전 축심 상에 있어서 각각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점검 커버〕
도 2 및 도 6부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케이스(70L)에는 점검구(70H)가 구비되어 있다. 점검구(70H)에, 점검 커버(75)가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점검 커버(75)는 점검구(70H)를 덮는 덮개부(751)와, 덮개부(751)의 주연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되는 원통부(752)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752)의 외주 둘레에 플랜지부(75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점검 커버(75)를 원통부(752)가 점검구(70H)에 삽입되어 이형 끼워 맞춤(마개 끼워 맞춤)되는 형태에 의해 점검구(70H)에 설치했을 때에, 플랜지부(753)가 점검구(70H)의 주연에 맞닿아서 점검구(70H)는 밀폐된다.
〔제1 전동 기구 및 제2 전동 기구〕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동 기구(30)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로부터 주행 장치(1L)에 이르기까지 복수단의 제1 기어군(중계 기어(31G 내지 36G))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전동 기구(40)는 제2 무단 변속 기구(20)부터 주행 장치(1R)에 이르기까지 복수단의 제2 기어군(중계 기어(41G 내지 46G))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기어군(중계 기어(31G 내지 36G))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와, 제2 기어군(중계 기어(41G 내지 46G))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중계 기어(31G)는, 좌측 단부측이 분할 케이스(70L)의 내벽에 지지되고, 우측 단부측이 분할 케이스(70R)의 내벽에 지지된 중계축(31S)에, 롤러 베어링(31L)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함께, 제1 출력 기어(12G) 및 중계 기어(32G)와 맞물리고, 제1 출력 기어(12G)의 회전을 중계 기어(32G)에 전동한다.
중계 기어(41G)는, 중계축(31S)에 롤러 베어링(41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함께, 제2 출력 기어(22G) 및 중계 기어(42G)와 맞물리고, 제2 출력 기어(22G)의 회전을 중계 기어(42G)에 전동한다.
중계 기어(32G)는, 중계축(42S)에 니들 베어링(33L) 및 니들 베어링(33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중계 기어(33G)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32G)와 중계 기어(33G)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중계 기어(32G)는 중계 기어(31G)와 맞물리고, 중계 기어(33G)는 중계 기어(34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31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32G) 및 중계 기어(33G)를 통하여 중계 기어(34G)에 전동된다.
중계 기어(42G)는, 분할 케이스(70L)(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 커버(75))에 설치된 볼 베어링(42L)과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42R)에 축지지된 중계축(42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중계 기어(43G)는, 중계 기어(42G)에 우측에 인접하여 중계축(42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42G)와 중계 기어(43G)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중계 기어(42G)는 중계 기어(41G)와 맞물리고, 중계 기어(43G)는 중계 기어(44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41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42G) 및 중계 기어(43G)를 통하여 중계 기어(44G)에 전동된다.
중계 기어(34G)는, 중계축(34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중계 기어(35G)는, 중계 기어(34G)의 우측에 인접하여 중계축(34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중계축(34S)은, 좌측 단부가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34L)에 축지지되고, 우측 단부가, 상기 각 도면 중 좌측에 개구부(45O)를 갖고 상기 각 도면 중 우측에 저부(45B)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의 개구부(45O)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또한, 중계축(34S)과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 사이에 설치된 중간 베어링으로서의 니들 베어링(34M) 및 니들 베어링(34R)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34G)와 중계 기어(35G)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중계 기어(34G)는 중계 기어(33G)와 맞물리고, 중계 기어(35G)는 중계 기어(36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33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34G) 및 중계 기어(35G)를 통하여 중계 기어(36G)에 전동된다.
중계 기어(45G)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다. 중계 기어(44G)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는 그 내주면이 개구부(45O)에 삽입된 중계축(34S)에 니들 베어링(34M) 및 니들 베어링(34R)을 통하여 축지지되고, 외주면이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45R)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44G)와 중계 기어(45G)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중계 기어(44G)는 중계 기어(43G)와 맞물리고, 중계 기어(45G)는 중계 기어(46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43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44G) 및 중계 기어(45G)를 통하여 중계 기어(46G)에 전동된다.
중계 기어(36G)는, 그 보스부(36B)가 주행 장치(1L)의 차축(1L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차축(1LS)은,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1LR)에 축지지되어 있다. 중계 기어(36G)의 보스부(36B)는 분할 케이스(70L)에 설치된 볼 베어링(36L)에 축지지되어 있다. 중계 기어(36G)는, 중계 기어(35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35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36G)를 통하여 차축(1LS)에 전동된다. 차축(1LS)의 선단부에는 구동륜(1LW)이 구비되어 있고, 차축(1LS)이 회전함으로써 구동륜(1LW)이 회전하고, 구동륜(1LW)에 권회되어 있는 크롤러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한다.
중계 기어(46G)는, 그 보스부(46B)가 주행 장치(1)의 차축(1RS)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차축(1RS)은,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1RL)에 축지지되어 있다. 중계 기어(46G)의 보스부(46B)는 그 외주부가 분할 케이스(70R)에 설치된 볼 베어링(46R)에 축지지되고, 그 내주부가 차축(1LS)과의 사이에 설치된 볼 베어링(46L)에 축지지되어 있다. 중계 기어(36G)와 볼 베어링(46L) 사이에는, 컬러(36C)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어(46G)는, 중계 기어(45G)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중계 기어(45G)로부터의 동력은, 중계 기어(46G)를 통하여 차축(1RS)에 전동된다. 차축(1RS)의 선단부에는 구동륜(1RW)이 구비되어 있고, 차축(1RS)이 회전함으로써 구동륜(1RW)이 회전하고, 구동륜(1RW)에 권회되어 있는 크롤러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한다.
종래의 콤바인 동력 전동 장치에 있어서는, 좌우의 최종단의 중계 기어(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계 기어(36G) 및 중계 기어(46G)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는 각각의 차축(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축(1LS) 및 차축(1RS)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차축)에 외팔보 지지되는 구성이다.
그로 인해, 외팔보 지지된 중계 기어에 큰 부하가 걸렸을 경우에, 당해 중계 기어에 기울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가령 당해 중계 기어에 기울기가 발생하면, 그 전단의 중계 기어와의 맞물림이 악화되어, 동력의 전동 손실이 커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크라우닝 가공 등 이 부딪힘을 개선하기 위한 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7)에 있어서는, 차축(1LS)의 우측 단부와 차축(1RS)의 좌측 단부는,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하중을 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 기어(36G) 및 중계 기어(46G)에 기울기가 발생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팔보 지지되는 구성의 경우에 행하여지는 이 부딪힘의 개선을 위한 가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회전 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동 장치(7)에 있어서는, 제1 전동 기구(30)에 의한 동력의 전동 상태와 제2 전동 기구(40)에 의한 동력의 전동 상태를 각각 개별로 감시하기 위하여 분할 케이스(70L)에 제1 회전 센서(71)가 구비되고, 분할 케이스(70R)에 제2 회전 센서(72)가 구비되어 있다. 제1 회전 센서(71) 및 제2 회전 센서(72)로서는, 리졸버 타입의 회전 센서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중계축(34S)의 좌측 단부에, 분할 케이스(70L)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73)을 관통하는 제1 축상부(34N)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제1 회전 센서(71)는 제1 축상부(34N)의 회전을 검지한다.
바닥이 있는 원통체(45C)의 저부(45B)에, 분할 케이스(70R)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74)을 관통하는 제2 축상부(45N)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제2 회전 센서(72)는 제2 축상부(45N)의 회전을 검지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독립하여 주행 장치(1L, 1R)에 전동 가능하고, 운전부(3)의 조향 레버(3S)를 조작함으로써 콤바인(100)은 직진, 선회, 정지 등이 자재이다.
조향 레버(3S)가 직진(전진·후진) 조작되면, 상기 조향 장치는, 제1 유압 펌프(11)의 상기 제1 펌프 경사판과 제2 유압 펌프(21)의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을, 각각 제1 펌프축(11S) 및 제2 펌프축(21S)과 이루는 각도의 절댓값이 동일하고, 제1 유압 모터(12)의 제1 모터축(12S)의 회전 방향과 제2 유압 모터(22)의 제2 모터축(22S)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틸팅시킨다. 또한, 제1 모터축(12S)의 회전 방향과 제2 모터축(22S)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란, 제1 출력 기어(12G)가 제1 모터축(12S)측에서 보아서 시계 방향일 때에, 제2 출력 기어(22G)가 제2 모터축(22S)측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인, 또는 제1 출력 기어(12G)가 제1 모터축(12S)측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일 때에, 제2 출력 기어(22G)가 제2 모터축(22S)측에서 보아서 시계 방향인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를 통하여 주행 장치(1L, 1R)에 전동되고, 주행 장치(1L, 1R)가 동일한 속도로, 양쪽 모두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구동하여, 콤바인(100)은 직진(전진·후진)한다.
또한, 예를 들어 콤바인(100)이 직진 주행하고 있을 때에, 조향 레버(3S)가 선회(좌선회·우선회) 조작되면, 상기 조향 장치는, 제1 유압 펌프(11)의 상기 제1 펌프 경사판 또는 제2 유압 펌프(21)의 상기 제2 펌프 경사판 중 어느 한쪽이 현재의 경사 각도를 유지한 채, 다른 쪽이 토출량이 적어지도록 틸팅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유압 모터(12) 또는 제2 유압 모터(22) 중 어느 한쪽의 회전수가 저하되고, 그 결과 콤바인(100)은 선회한다. 또한, 제1 유압 펌프(11)의 상기 제1 펌프 경사판이 제1 펌프축(11S)과 이루는 각도 또는 제2 유압 펌프(21)의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이 제2 펌프축(21S)과 이루는 각도 중 어느 한쪽만을 0도로 함으로써, 대응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의 토출량은 0이 되고, 대응하는 유압 모터로부터의 동력의 출력이 정지하고, 따라서 대응하는 주행 장치(1)가 정지하고, 당해 정지되어 있는 주행 장치(1)를 중심으로 하여 콤바인(100)은 편측 고정 선회한다.
조향 레버(3S)가 제자리 선회(좌선회·우선회) 조작되면, 상기 조향 장치는, 제1 유압 펌프(11)의 상기 제1 펌프 경사판과 제2 유압 펌프(21)의 상기 제2 펌프 경사판을, 각각 제1 펌프축(11S) 및 제2 펌프축(21S)과 이루는 각도의 절댓값이 동일하고, 제1 유압 모터(12)의 제1 모터축(12S)의 회전 방향과 제2 유압 모터(22)의 제2 모터축(22S)의 회전 방향이 역의 방향이 되도록 틸팅시킨다. 또한, 제1 모터축(12S)의 회전 방향과 제2 모터축(22S)의 회전 방향이 역의 방향이란, 제1 출력 기어(12G)가 제1 모터축(12S)측에서 보아서 시계 방향일 때에, 제2 출력 기어(22G)가 제2 모터축(22S)측에서 보아서 시계 방향인, 또는 제1 출력 기어(12G)가 제1 모터축(12S)측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일 때에, 제2 출력 기어(22G)가 제2 모터축(22S)측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인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제1 모터축(12S) 및 제2 모터축(22S)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를 통하여 주행 장치(1L, 1R)에 전동되고, 주행 장치(1L, 1R)는 동일한 속도로, 한쪽은 전진 방향으로 구동하고, 다른쪽(타면)은 후진 방향으로 구동하여, 콤바인(100)은 그 자리에서 제자리 선회한다.
그런데, 제1 기어군(중계 기어(31G 내지 36G))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와, 제2 기어군(중계 기어(41G 내지 46G))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향 레버(3S)가 직진 조작되었을 때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는 동일한 엔진(6)으로부터 전동 입력되는 동일한 크기의 동력을, 설계상 동일하게 변속한 뒤에, 동일한 크기로 좌우의 주행 장치(1)에 출력하고, 차축(1LS)과 차축(1RS)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 무단 변속 기구(10)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의 개체차나, 제1 무단 변속 기구(10)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20)에 있어서의 오일 누설이나, 제1 전동 기구(30)에 의한 동력의 전동 손실과 제2 전동 기구(40)에 의한 동력의 전동 손실의 차 등에 기인하여 차축(1LS)과 차축(1RS)에 회전수차가 발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회전수차가 발생하면, 조향 레버(3S)를 직진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콤바인(100)은 직진 주행하지 않고 선회해버린다.
이것을 시정하기 위해서, 동력 전동 장치(7)는 전동 케이스(70)에는 조향 레버(3S)의 직진 조작 시에 있어서의 차축(1LS)과 차축(1RS)의 회전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기구(50)가 구비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5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기어군(중계 기어(31G 내지 36G)) 및 제2 기어군(중계 기어(41G 내지 46G)) 중, 중계 기어(33G)(및 중계 기어(32G))의 회전수와 중계 기어(43G)(및 중계 기어(42G))의 회전수를 일치시킨다.
중계 기어(32G) 및 중계 기어(33G)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중계 기어(42G) 및 중계 기어(43G)를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하는 중계축(42S)이, 클러치 기구(50)가 구비하는 로크축(51)이다. 또한, 로크축(51)은 좌측 단부가 점검구(70H)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고, 그 좌측 단부를 지지하는 볼 베어링(42L)은, 점검 커버(75)의 덮개부(751)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어(33G)(및 중계 기어(32G)) 및 중계 기어(43G)(및 중계 기어(42G))는 제1 기어군(중계 기어(31G 내지 36G)) 및 제2 기어군(중계 기어(41G 내지 46G)) 중에서, 예를 들어 중계 기어(34G) 및 중계 기어(44G) 등에 비하여 고회전이며 저토크이다. 따라서, 중계 기어(34G)의 회전수와 중계 기어(44G)의 회전수를 일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클러치 기구(5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클러치 기구(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부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0)에, 로크축(51)에,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 시프터(52)와, 로크축(51)과 중계 기어(33G) 사이에 설치된 로크 클러치(53)가 구비되고, 로크축(51)과 중계 기어(33G)는 연결 상태(도 7 참조) 또는 비연결 상태(도 6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시프터(52)에, 로크축(51)에 스플라인 결합의 형태에 따라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52a)와, 지지부(52a)로부터 로크축(5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52b)와, 제1 플랜지부(52b)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중계 기어(33G)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통상부(52c)와, 통상부(52c)의 선단으로부터 로크축(5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52d)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부(52c)는 내주면에 스플라인 결합의 형태에 따라, 후술하는 제1 외측 마찰판(53O)을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의 형태에 따라, 후술하는 제2 내측 마찰판(63I)을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52b)에는, 통상부(52c)측의 면에,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을, 제1 내측 마찰판(53I)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중계 기어(33G)측에 구비된 수압 부재(54)와의 사이에서 압접하기 위한 가압면(52e)이 구비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52d)에는, 통상부(52c)측의 면에, 제2 내측 마찰판(63I)과 후술하는 제2 외측 마찰판(63O)을, 후술하는 브레이크 시프터(62)와의 사이에서 압접하기 위한 수압면(52f)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통상부(52c)를 구성하는 주위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구(50)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60)를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로크축(51)과 클러치 시프터(52) 사이에는, 로크축(5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시프터(52)를 압박하는 압박 기구(55)가 설치되어 있다. 압박 기구(55)는 로크축(51)에 설치된 리테이닝링과 클러치 시프터(52)의 지지부(52a) 사이에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압박 기구(55)에 의해, 클러치 시프터(52)는 리테이닝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로크 클러치(53)는 중계 기어(33G)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내측 마찰판(53I)과 클러치 시프터(52)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외측 마찰판(53O)이, 수압 부재(54)와 가압면(52e)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마찰판〕
제1 내측 마찰판(53I)은, 내측 테두리부에 중계 기어(33G)의 외측 스플라인부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계 기어(33G)에 상대 회전 불가능한, 또한, 중계 기어(33G)의 회전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에 의해 중계 기어(33G)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즉, 제1 내측 마찰판(53I)은 로크축(51)에 상대 회전 가능하다.
〔제1 외측 마찰판〕
제1 외측 마찰판(53O)은, 외측 테두리부에 클러치 시프터(52)의 내측 스플라인부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시프터(5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한, 또한, 클러치 시프터(52)의 회전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에 의해 클러치 시프터(52)에 내부 끼움되어 있다. 즉, 제1 외측 마찰판(53O)은 로크축(51)에 상대 회전 불가능이다.
교대로 설치된 복수의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 사이에는, 인접하는 마찰판끼리의 간극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이 압접되어 있지 않을 때는, 인접하는 마찰판끼리가 이격되어, 그 마모가 억제된다.
분할 케이스(70L)에는, 로크 클러치(53)를 구성하는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이 이격된 상태에서 압접된 상태, 즉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가압 기구(56)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 기구(56)는 분할 케이스(70L),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 커버(75)의 덮개부(751)의 내면에 형성된 실린더(56S)와, 실린더(56S)에 설치된 피스톤(56P)으로 구성된다.
조향 레버(3S)의 조작에 따라, 피스톤(56P)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 회로로부터 실린더(56S)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유압 회로는, 엔진(6)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 펌프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유압 회로에 의해 실린더(56S)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56P)이, 본 발명의 조작 기구이다.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의 연결 상태 및 비연결 상태는, 가압 기구(56)가 발생하는 유압력의 크기와, 압박 기구(55)의 압박력의 크기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유압력을, 압박력보다 크게 하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은 압접되어, 연결 상태로 된다.
가압 기구(56)의 가압력을 조금씩 약화시킴으로써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은 조금씩 미끄러지기 시작하고, 결국 미끄럼이 커져, 제1 내측 마찰판(53I) 및 제1 외측 마찰판(53O)의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
비연결 상태일 때에, 가압 기구(56)의 가압력을 조금씩 강화하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은, 조금씩 미끄럼이 작아지고, 결국 압접되어, 제1 내측 마찰판(53I) 및 제1 외측 마찰판(53O)의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이행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의 전환에,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의 미끄럼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 및 비연결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에 있어서의 충격 등의 발생이 적어, 원활한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기구(50)는 조향 레버(3S)의 직진 조작 시에 있어서,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압접력을 필요로 한다. 이 큰 압접력을, 가령 압축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얻고자 하면, 콤바인(100)의 선회 조작 시에 있어서, 연결 상태로부터 비연결 상태로의 이행 시 및 비연결 상태의 유지를 위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강한 압박력을 극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압 기구(56)에 요구되는 가압력이 증대되어버린다. 따라서, 가압 기구(56) 및 압박 기구(55)가 대형화되어버린다.
이에 비해, 클러치 기구(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향 레버(3S)의 직진 조작 시에 있어서의,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의 압접에, 가압 기구(56)의 가압력을 이용하고, 콤바인(100)의 선회 조작 시에 있어서의,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 이격에, 압박 기구(55)의 압박력을 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가압 기구(56) 및 압박 기구(55)에 요구되는 가압력 및 압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기구(56) 및 압박 기구(55)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향 레버(3S)가 직진(전진·후진) 조작되면, 가압 기구(56)의 실린더(56S)에 압유가 공급되어, 피스톤(56P)이 실린더(56S)로부터 진출하고, 클러치 시프터(52)가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이 압접되어, 중계 기어(33G)와 로크축(51)이 연결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중계 기어(33G)와 중계 기어(43G)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1 무단 변속 기구(10)와 제2 무단 변속 기구(20)의 개체차나, 제1 전동 기구(30)와 제2 전동 기구(40)의 개체차나, 동력의 전동 손실의 차나, 좌우의 주행 장치(1L, 1R)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한 오일 누설 등이 발생했다고 해도, 동력의 전동 경로의 도중에 있어서, 중계 기어(33G)의 회전수와 중계 기어(43G)의 회전수를 강제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콤바인(100)을 직진 조작했을 때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조향 레버(3S)가 선회(좌선회·우선회) 조작되면, 가압 기구(56)의 실린더(56S)에 대한 압유의 공급이 정지되어, 압박 기구(55)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클러치 시프터(52)가 좌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이 이격되고, 로크축(51)과 중계 기어(33G)가 비연결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중계 기어(33G)와 중계 기어(43G)가 각각 개별로 회전한다. 따라서, 선회 조작했을 때에 콤바인(100)은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레버(3S)의 선회 조작량(레버각)과,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을 압접하기 위한 피스톤(56P)의 이동량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2차 곡선적으로 변화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조향 레버(3S)의 선회 조작량이 커짐에 따라서, 피스톤(56P)에 의한 압접력이 약해지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조향 레버(3S)의 선회 조작량(레버각)과 피스톤(56P)의 이동량의 관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주차 브레이크 기구〕
또한, 동력 전동 장치(7)는 점검 커버(75)의 내부에 주행 장치(1)를 제동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주차 브레이크 기구(60)에, 클러치 시프터(52)와 전동 케이스(70)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크 클러치(63)와, 브레이크 클러치(63)를 연결 상태(도 8 참조) 또는 비연결 상태(도 6 참조)로 전환하는 브레이크 시프터(62)와, 브레이크 페달(3P)의 조작에 연동하여 브레이크 시프터(62)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작동부(61)가 구비되고, 로크축(51)을 간접적으로 제동 상태(도 8 참조) 또는 비제동 상태(도 6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러치(63)는 클러치 시프터(52)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내측 마찰판(63I)과, 분할 케이스(70L)측,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점검 커버(75)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외측 마찰판(63O)이, 브레이크 시프터(62)측에 설치된 환상의 가압 부재(65)와 클러치 시프터(52)의 수압면(52f)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내측 마찰판〕
제2 내측 마찰판(63I)은, 내측 테두리부에 클러치 시프터(52)의 외측 스플라인부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시프터(5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한, 또한, 클러치 시프터(52)의 회전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에 의해 클러치 시프터(52)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즉, 제2 내측 마찰판(63I)은, 로크축(51)에 상대 회전 불가능이다.
〔제2 외측 마찰판〕
제2 외측 마찰판(63O)은, 외측 테두리부에 점검 커버(75)의 원통부(752)의 내측 스플라인부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점검 커버(75)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점검 커버(75)의 원통부(752)의 축심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다. 즉, 제2 외측 마찰판(63O)은 점검 커버(75)에 상대 회전 불능이다.
또한, 교대로 설치된 복수의 제2 내측 마찰판(63I)과 제2 외측 마찰판(63O) 사이에는, 인접하는 마찰판끼리의 간극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2 내측 마찰판(63I)과 제2 외측 마찰판(63O)이 압접되어 있지 않을 때는, 인접하는 마찰판끼리가 이격되어, 그 마모가 억제된다.
브레이크 시프터(62)는 점검 커버(7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로크축(51)의 축심과 동일한 회동 축심 둘레에 회동 가능, 또한 제2 내측 마찰판(63I)과 제2 외측 마찰판(63O)을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이며, 볼 베어링(42L)을 둘러싸는 위치, 또한, 덮개부(751)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반상부(62a)와 반상부(62a)의 주연으로부터 로크축(51)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상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시프터(62)는 제2 내측 마찰판(63I)과 제2 외측 마찰판(63O)을 이격시키기 위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점검 커버(75)의 덮개부(751)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점검 커버(75)에는, 브레이크 시프터(62)를 상기 회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기 위해서, 점검 커버(7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작동 아암(61A)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 아암(61A)의 일단부에는 브레이크 와이어(61W)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3P)에 접속되고, 타단부에는 로크축(51)의 회전 축심과 평행한 요동 축심을 갖고, 점검 커버(7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요동축(61S)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61S)에는, 점검 커버(75)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작동 아암(61A)은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요동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9부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축(61S)의 선단부는 부채꼴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그 한 면에 작동면(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브레이크 시프터(62)에는, 요동축(61S)의 작동면(61c)이 맞닿는 맞닿음면(6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요동축(61S)이 회동하면, 작동면(61c)으로부터의 조작력이 브레이크 시프터(62)의 맞닿음면(62c)에 전달되고, 브레이크 시프터(62)는 요동 축심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또한, 점검 커버(75)와 브레이크 시프터(62) 사이에는, 작동 아암(61A)의 점검 커버(75)에 대한 요동 동작을, 브레이크 시프터(62)의 회동 및 직진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볼 캠 기구(64)가 구비되어 있다.
볼 캠 기구(64)는 점검 커버(75)의 덮개부(751)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볼(64B)과, 브레이크 시프터(62)에 형성된 캠 홈(64G)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홈(64G)은, 반상부(62a)의 회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회동 방향을 따라서 아래쪽이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동 아암(61A)의 조작에 수반하여 요동축(61S)이 회동하면 작동면(61c)이 맞닿음면(62c)을 밀어서 브레이크 시프터(62)가 회동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브레이크 시프터(62)가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 점검 커버(75)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면, 캠 홈(64G)의 깊이가 얕아짐에 따라서, 볼(64B)은 브레이크 시프터(62)를 점검 커버(75)로부터 이격시켜, 즉 브레이크 시프터(62)를 회동 축심을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결국, 브레이크 시프터(62)는 가압 부재(65)를 통하여, 클러치 시프터(52)의 수압면(52f)과의 사이에서 제2 내측 마찰판(63I)과 제2 외측 마찰판(63O)을 압접한다.
이것과 동시에 또는 이것에 전후하여, 브레이크 시프터(62)로부터의 가압력은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하여 클러치 시프터(5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클러치 시프터(52)는 가압면(52e)과 수압 부재(54) 사이에서 제1 내측 마찰판(53I)과 제1 외측 마찰판(53O)을 압접한다.
이상과 같이, 브레이크 페달(3P)을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 클러치(63) 및 로크 클러치(53)가 연결 상태로 되고, 그 결과 로크축(51)은 회전 불가능 상태, 즉 제동 상태로 된다.
주차 브레이크 기구(60)에 의해 로크축(51)을 제동 상태로 함으로써,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는 동력의 전동이 불능이 된다. 즉, 주행 장치(1L, 1R)에 주차 브레이크가 걸린다.
브레이크 페달(3P)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시프터(62)가 브레이크 클러치(63)를 연결 상태로 하는 것에 연동하여, 클러치 시프터(52)는 로크 클러치(53)를 연결 상태로 전환하고, 로크축(51)은 회전 불가능 상태, 즉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는 제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기구(60)의 조작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50)가 조작됨으로써, 제1 전동 기구(30) 및 제2 전동 기구(40)가 동시에 제동되기 때문에, 동력 전동 장치(7)는 제1 전동 기구(30)와 제2 전동 기구(40)의 양쪽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6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클러치 기구(50)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60)가 일체적으로 어셈블리화되어, 점검 커버(75)에 내장되는 구성에 의해, 점검 커버(75)를 분할 케이스(70L)로부터 제거할 때에, 어셈블리화된 클러치 기구(50) 및 주차 브레이크 기구(60)를 일괄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 작업이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직진 조작 시의 직진성이 높고, 선회 조작 시에 매끄러운 선회가 가능하고, 콤팩트한 동력 전동 장치(7)가 실현된다.
본 발명은 무한궤도식의 주행 장치를 갖는 작업기의 동력 전동 장치 외에, 차륜식의 주행 장치를 갖는 작업기의 동력 전동 장치나, 무한궤도와 차륜을 조합한 방식의 주행 장치를 갖는 작업기의 동력 전동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의 동력 전동 장치 외에, 보통형 콤바인, 트랙터, 전식기 등의 농업용 작업기의 동력 전동 장치나, 백 호우나 휠 로더 등의 건설용 작업기의 동력 전동 장치에도 이용 가능하다.
100: 콤바인
1: 주행 장치
1L: 주행 장치
1R: 주행 장치
3P: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 조작구)
6: 엔진(동력 발생 장치)
7: 동력 전동 장치
8: 동력 입력부
8G: 동력 입력 기어
10: 제1 무단 변속 기구
11: 제1 유압 펌프
11G: 제1 입력 기어
11S: 제1 펌프축(제1 입력축)
12: 제1 유압 모터
12G: 제1 출력 기어
12S: 제1 모터축(제1 출력축)
13: 제1 유로
20: 제2 무단 변속 기구
21: 제2 유압 펌프
21G: 제2 입력 기어
21S: 제2 펌프축(제2 입력축)
22: 제2 유압 모터
22G: 제2 출력 기어
22S: 제2 모터축(제2 출력축)
23: 제2 유로
30: 제1 전동 기구
31G 내지 36G: 제1 기어군
33G: 중계 기어(제1 중계 기어)
34N: 제1 축상부
34S: 중계축(제1 중계축)
35G: 중계 기어
40: 제2 전동 기구
41G 내지 46G: 제2 기어군
42S: 중계축
43G: 중계 기어(제2 중계 기어)
45B: 저부
45C: 바닥이 있는 원통체
45G: 중계 기어
45N: 제2 축상부
45O: 개구부
50: 클러치 기구
51: 로크축
52: 클러치 시프터
52a: 지지부
52b: 제1 플랜지부
52c: 통상부
52d: 제2 플랜지부
52e: 가압면
52f: 수압면
53: 로크 클러치
53I: 제1 내측 마찰판
53O: 제1 외측 마찰판
55: 압박 기구
56: 가압 기구
56P: 피스톤(조작 기구)
60: 주차 브레이크 기구
62: 브레이크 시프터
63: 브레이크 클러치
63I: 제2 내측 마찰판
63O: 제2 외측 마찰판
70: 전동 케이스
70H: 점검구
71: 제1 회전 센서
72: 제2 회전 센서
73: 제1 관통 구멍
74: 제2 관통 구멍
75: 점검 커버

Claims (18)

  1.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동 가능한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제2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와,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와,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일방측에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의 좌우 타방측에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로부터의 동력을 각각 독립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입력하는 동력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좌우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동력 입력부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1 입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동력 입력부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제2 입력축이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입력부에, 동력 입력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축에, 상기 동력 입력 기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제1 입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력축에, 상기 제1 입력 기어에만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제2 입력 기어가 연결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1 입력축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상기 좌우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동력을 전동하는 제1 출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출력축에, 제1 출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2 입력축과 평행한 축심을 갖고,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전동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동력을 전동하는 제2 출력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출력축에, 제2 출력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 기어 및 상기 제2 출력 기어는, 동일한 회전 축심 상에 있어서 각각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 및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는, 동일한 구성의 무단 변속 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1 입력축으로서의 제1 펌프축이 설치된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출력축으로서의 제1 모터축이 설치된 제1 유압 모터와, 상기 제1 유압 펌프와 상기 제1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왕래시키는 제1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에, 상기 제2 입력축으로서의 제2 펌프축이 설치된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제2 출력축으로서의 제2 모터축이 설치된 제2 유압 모터와, 상기 제2 유압 펌프와 상기 제2 유압 모터 간에 작동유를 왕래시키는 제2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압 펌프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1 펌프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펌프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이며,
    상기 제2 유압 펌프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2 펌프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펌프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인 동력 전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모터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1 모터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1 모터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이며,
    상기 제2 유압 모터는, 액셜 플런저형, 또한, 상기 제2 모터축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인 제2 모터 경사판이 구비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인 동력 전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1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2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하는 로크축과,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축은, 일단부측이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부측이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 기어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중계 기어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로크축의 상기 일단부측에 있어서,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가능한 다판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클러치 기구에 대향하는 개소에 점검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복수의 중계축에 걸쳐서 설치된 복수의 기어를 갖는 제1 기어군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복수의 중계축에 걸쳐서 설치된 복수의 기어를 갖는 제2 기어군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군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와, 상기 제2 기어군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간의 변속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상기 제1 기어군을 구성하는 하나의 기어를 지지하는 제1 중계축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일단에 개구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저부를 갖고, 상기 제2 기어군 중 상기 제1 기어군의 상기 기어의 회전 축심과 동일한 축심 둘레에서 회전하는 기어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중계축의 일단부는,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된 제1 베어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축의 타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중계축 사이에 설치된 중간 베어링에 의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제1 중계축 사이에 설치된 상기 중간 베어링에 의해, 상기 제1 중계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의 외주면은,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설치된 제2 베어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중계축에, 상기 일단부에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구비된 제1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제1 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일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제1 축상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1 회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상기 저부에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구비된 제2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제2 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타방측의 상기 전동 케이스에, 상기 제2 축상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2 회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는, 상기 제1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좌우 일방측과, 상기 제2 무단 변속 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좌우 타방측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2.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한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1 전동 기구와,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다른 쪽 주행 장치에 전동 가능한 제2 전동 기구와, 상기 제1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가 구비된 동력 전동 장치이며,
    상기 제1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1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전동 기구에 설치된 제2 중계 기어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크축과,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와,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크축을 제동 상태 또는 비제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에, 상기 로크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제1 중계 기어 사이에 설치된 로크 클러치와, 상기 로크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조작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차 브레이크 기구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와 상기 전동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크 클러치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를 연결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로 전환 가능한 브레이크 시프터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의 상기 비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클러치 시프터가 작동하고, 상기 로크 클러치에 의해 상기 로크축과 상기 제1 중계 기어가 상기 비연결 상태로부터 상기 연결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로크축이 상기 비제동 상태로부터 상기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력 전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클러치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측에 구비된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중계 기어측에 구비된 제1 내측 마찰판이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에, 상기 클러치 시프터측에 구비된 제2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전동 케이스측에 구비된 제2 외측 마찰판이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시프터에, 상기 로크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상부와, 상기 통상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로크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외측 마찰판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 내측 마찰판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로크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부측의 면에, 상기 제1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제1 외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가압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부측의 면에, 상기 제2 내측 마찰판과 상기 제2 외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수압면이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통상부를 구성하는 주위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에,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내측 마찰판을 압접하는 피스톤이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에, 상기 제1 외측 마찰판과 상기 제1 내측 마찰판을 이격시키는 압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에 점검구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에, 점검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크 클러치 및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는 일체적으로 어셈블리화되고, 또한, 상기 점검 커버에 내장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케이스에 점검구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에, 점검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로크 클러치 및 상기 브레이크 클러치는 일체적으로 어셈블리화되고, 또한, 상기 점검 커버에 내장되어 있는 동력 전동 장치.
KR1020170065887A 2016-06-29 2017-05-29 동력 전동 장치 KR102376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9228A JP6611678B2 (ja) 2016-06-29 2016-06-29 動力伝動装置
JPJP-P-2016-129228 2016-06-29
JP2016129229A JP6548612B2 (ja) 2016-06-29 2016-06-29 動力伝動装置
JPJP-P-2016-129229 201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94A true KR20180002494A (ko) 2018-01-08
KR102376683B1 KR102376683B1 (ko) 2022-03-21

Family

ID=6097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887A KR102376683B1 (ko) 2016-06-29 2017-05-29 동력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6683B1 (ko)
CN (1) CN1075428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835A (zh) * 2019-04-29 2019-07-30 向青茂 一种两输出轴能逆向转动的齿轮变速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9490B (zh) * 2018-07-19 2024-01-1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器用机械集成式液压驻车机构及其驻车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164A (ja) * 1995-11-20 1997-06-03 Seirei Ind Co Ltd 自走式作業車の走行駆動装置
JP2003063266A (ja) * 2001-08-23 2003-03-05 Chikusui Canycom Inc Hstを用いた車両の変速装置
JP2012211672A (ja) 2011-03-31 2012-11-01 Kubota Corp 変速伝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7236B2 (ja) * 1993-04-20 1998-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作業車両の駆動装置
JP3769031B2 (ja) * 1993-09-17 2006-04-19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車輌の走行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1260930A (ja) * 2000-03-14 2001-09-26 Iseki & Co Ltd 移動車両の走行旋回装置
JP2009001233A (ja) * 2007-06-25 2009-01-08 Kubota Corp 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KR101475522B1 (ko) * 2007-06-25 2014-12-2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WO2011114769A1 (ja) * 2010-03-15 2011-09-2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及びその例としてのコンバイン
JP5486444B2 (ja) * 2010-09-16 2014-05-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201941590U (zh) * 2011-02-23 2011-08-24 山东临沂临工汽车桥箱有限公司 水稻收割机驱动桥
JP5384547B2 (ja) * 2011-03-22 2014-01-08 ジヤトコ株式会社 遊星歯車式動力伝達装置
CN108679200B (zh) * 2012-02-23 2019-09-27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辆的变速器及联合收割机的变速器
US9416859B2 (en) * 2012-04-17 2016-08-1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CN202827152U (zh) * 2012-09-18 2013-03-27 洛阳聚翔机械科技有限公司 拖拉机分动箱离合器与行车制动器联动操纵装置
WO2015045437A1 (ja) *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204870559U (zh) * 2015-07-18 2015-12-16 湖南精创农业装备有限公司 用于履带式车辆的双液压行走传动机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164A (ja) * 1995-11-20 1997-06-03 Seirei Ind Co Ltd 自走式作業車の走行駆動装置
JP2003063266A (ja) * 2001-08-23 2003-03-05 Chikusui Canycom Inc Hstを用いた車両の変速装置
JP2012211672A (ja) 2011-03-31 2012-11-01 Kubota Corp 変速伝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835A (zh) * 2019-04-29 2019-07-30 向青茂 一种两输出轴能逆向转动的齿轮变速箱
CN110067835B (zh) * 2019-04-29 2024-02-23 向青茂 一种两输出轴能逆向转动的齿轮变速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42876A (zh) 2018-01-05
CN107542876B (zh) 2022-07-19
KR102376683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062B1 (ko) 변속 전동 장치
KR20180002494A (ko) 동력 전동 장치
WO2015060287A1 (ja) 作業車両の走行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6548612B2 (ja) 動力伝動装置
JP6611678B2 (ja) 動力伝動装置
KR101501877B1 (ko) 콤바인
JP4031572B2 (ja) 車両の操向駆動装置
JP6525834B2 (ja) 農作業機
KR20040011403A (ko) 승용형 수전작업기
JP6944414B2 (ja) 変速装置
JP2007186174A (ja) 走行用油圧式無段変速装置
JPH08310434A (ja) 作業車両の走行装置
JP6494477B2 (ja) 農作業機
JP5823276B2 (ja) 作業機
JP5809039B2 (ja) 作業機
JP5854865B2 (ja) 車軸駆動装置
JP4749588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のブレーキ装置
JP358306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5808941B2 (ja) 田植機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676892B2 (ja) 農作業機の走行駆動装置
JP6268515B2 (ja) 作業車両の車軸駆動装置
JP3542668B2 (ja) 作業車両の走行装置
JP3616575B2 (ja) 作業車両の走行装置
JP3479452B2 (ja) 作業機の操向装置
JP3719256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走行装置の伝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