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004A - 대형 전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전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004A
KR20170142004A KR1020160075168A KR20160075168A KR20170142004A KR 20170142004 A KR20170142004 A KR 20170142004A KR 1020160075168 A KR1020160075168 A KR 1020160075168A KR 20160075168 A KR20160075168 A KR 20160075168A KR 20170142004 A KR20170142004 A KR 2017014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heating
heating unit
uni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885B1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옹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옹원
Priority to KR102016007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885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대형 전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죽공급부와,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의 일면을 기름에 가열시키면서 회전하는 원형의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상기 대형 전이 뒤집어져서 공급되어 타면을 익히도록 상기 제 1 가열부에 근접 설치되는 원형의 제 2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형 전을 뒤집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세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전류 제조장치{THE EQUIPMENT OF PANCAKE}
본 발명은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煎)의 경우에는 우리 민족의 전통식품으로 널리 확산되어져 있고 재료에 따라 녹두전을 비롯하여 호박전, 부추전, 김치전, 해물파전, 고기전, 감자전, 버섯전‥등이 있으며 그 조리방법은 소재를 일정규격으로 썰어서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면서 이를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이용하여 정량씩 넣고 펼쳐서 전후를 뒤집어서 조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은 조리와 동시에 먹게 되므로 가정에서 이와 같은 전을 조리하는데는 재료의 준비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폐단과 조리가 불편하고 또,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폐단을 동시에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냉동 식품으로 생산되어 대형 마트 등에서 구입을 해서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냉동 식품으로 개발된 전은 미니 부추전 등과 같이 대체적으로 작은 전 등이 유통되고 있다.
즉, 직경이 10cm 이상으로 비교적 큰 대형 전은 원형을 유지한 채 기름을 두른 프라이팬에서 굽기에 자동화 공정이 어려우며, 대량 생산시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59534호(공고일 2015.1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대형 전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의 원형 모양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두께로 부쳐질 수 있도록 한 대형 전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죽공급부와,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의 일면을 기름에 가열시키면서 회전하는 원형의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상기 대형 전이 뒤집어져서 공급되어 타면을 익히도록 상기 제 1 가열부에 근접 설치되는 원형의 제 2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형 전을 뒤집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세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죽공급부는, 고기류, 해산물류, 야채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밀가루, 전분, 소금, 물을 첨가하여 혼합된 반죽을 포함하는 호퍼공급통과, 상기 호퍼공급통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반죽을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2 가열부는, 도우넛 형상으로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으로는 기름이 공급되어 상기 대형 전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열부의 상부측에는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반죽이 상기 대형 전의 원판 모양을 갖추도록 돕는 누르게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누르게수단은, 하강되어 상기 반죽을 내부에 포함시켜서 원판 형태로 모양을 형성시키는 원형틀과, 상기 원형틀의 내측에서 승하강 이동가능하며, 상기 반죽을 기설정 두께로 누르게 되는 누르게와, 상기 누르게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을 돕는 실린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세교환부는,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상기 대형 전을 상기 제 2 가열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이송컨베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측에서 자유 낙하하면서 뒤집혀져서 타면으로 상기 제 2 가열부에 놓여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선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원통형의 몸체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핀이 형성된 회전체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상기 대형 전을 회전하는 상기 다수개의 핀이 걷어 올려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로의 이동을 돕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측에는 막음판이 더 설치되어 상기 대형 전의 자유 낙하 시 이탈을 방지하고,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가열부 상에는 기름상에 부유하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가열부로부터 완성된 상기 대형 전을 이동시켜서 급속 냉동시키는 급속냉동고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전류 제조장치는, 전의 원형 모양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두께로 부쳐질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통해 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조된 대형 전은 전자레인지, 프라이팬, 튀김기, 오븐 등에서 즉석 조리가 가능하여 대체 식품으로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제 1 가열부에 설치된 누르게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자세교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메쉬망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제 1 가열부에 설치된 누르게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자세교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에서 메쉬망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류 제조장치는, 크게 반죽공급부(100)와,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반죽의 일면을 익히는 제 1 가열부(200)와, 제 1 가열부(200)로부터 일면이 익힌 대형 전(1)의 타면을 익힐 수 있는 제 2 가열부(300)와, 제 1 가열부(200)로부터 대형 전(1)을 제 2 가열부(300)로 이동되는 것을 돕는 자세교환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반죽공급부(100)에 공급되는 반죽으로는 주원료에 밀가루, 전분, 소금, 물을 첨가하여 혼합된 것으로서, 주원료는 제조하고자 하는 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전의 종류로는 주원료에 따라 농산물을 활용한 전(농산물 전), 축산물을 활용한 전(축산물 전), 수산물을 활용한 전(수산물 전)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농산물 전의 예로는 감자전, 호박전, 배추전유어, 묵전유어, 풋고추전, 가지전, 파전, 동래파전, 깻잎전, 버섯전, 미나리전, 김치전, 두릅전, 연근전, 두부야채전, 양파전, 청포묵전, 고사리전, 봄쑥전, 오색곡식전, 단호박전, 표고전, 달래전 등을 들 수 있다.
축산물 전의 예로는 간전유어, 등골전유어, 양전유어, 내장전, 완자전, 제육전, 부아전, 알쌈전, 천엽전, 돈전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산물 전의 예로는 조개전, 동태전, 뱅어전, 해삼전, 게전유어, 대하전, 대화전유어, 중하전, 숭어전, 새우오징어전, 홍합대합전, 굴파전, 새우전, 굴전, 낙지전, 북어전, 병어전, 민어전, 패주전, 삼색전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전으로도 화전, 국화전, 옥잠화전, 참꽃화전, 황장미꽃전, 감잎전, 백합꽃전과 같은 꽃과 잎을 활용한 전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원료는 농산물 전, 축산물 전, 수산물 전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일 수 있으나, 상기 언급된 원료 외에 다양한 원료들이 주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김치전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주원료로서 김치 외에도 추가적인 고기류 또는 야채류 등이 주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주원료의 양은 소비자의 기호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반죽의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죽은 도 1에서와 같이, 반죽공급부(100)를 구성하는 호퍼공급통(102)에 담겨지게 되며, 호퍼공급통(102)은 무거운 반죽을 담기 용이하도록 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광하협의 호퍼 형태일 수 있다.
호퍼공급통(102)에는 노즐(104)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노즐(104)은 호스 또는 관 등을 통하여 제 1 가열부(200)의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일렬로 동일 선상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호퍼공급통(102)의 반죽은 컴프레샤 등의 에어흡입기 등을 통해 호스 또는 관을 통해 이동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열부(200)는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반죽 즉, 대형 전(1)의 일면을 기름에 가열하는 것으로서, 원형의 도우넛 형상으로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형의 테두리로는 턱이 형성되어 기름이 담겨질 수 있다.
제 1 가열부(200)에 근접하여 제 2 가열부(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 2 가열부(300)에서는 제 1 가열부(200)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대형 전(1)이 뒤집어져서 공급되어 타면을 익히는 것이다.
제 2 가열부(300) 역시 제 1 가열부(200)와 같이 원형의 도우넛 형상으로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형의 테두리로는 턱이 형성되어 기름이 담겨질 수 있다.
제 1, 2 가열부(200)(300)는 미도시되었지만,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되며, 제 1, 2 가열부(200)(30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 1 가열부(200)의 상부측으로는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반죽을 원판 모양으로 다듬어 주도록 누르게수단(4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누르게수단(400)은 바람직하게 노즐(104)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되며, 원형틀(402)과, 원형틀(402)과 같이 승하강 이동되는 누르게(404)와, 누르게(404)의 승하강 이동을 돕는 실린더부(406)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원형틀(402)은 대형 전(1)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반죽을 원형틀(402)내에 포함시켜서 원판 형태로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형틀(402)은 상, 하방이 개구된 틀 형상으로 상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누르게(404)가 원형틀(402)의 내측에서 승하강 이동은 가능하나 상부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누르게(404)는 원형틀(402)과 같이 승하강 이동되되, 원형틀(40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어 원형틀(402)의 내부에서도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여 하강 시 원형틀(402)의 내부에 포함된 반죽을 일정 두께로 누르게 된다.
상기의 누르게(404)의 승하강 이동을 돕고, 반죽을 기설정 두께로 일정하게 누를 수 있도록 실린더부(406)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부(406)는 공압/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실린더로드의 신장과 수축으로 누르게(404)가 승하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가열부(200)와 제 2 가열부(300)의 사이에 대형 전(1)을 뒤집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세교환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자세교환부(500)는 제 1 가열부(200)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대형 전(1)을 제 2 가열부(300)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익혀지지 않은 대형 전(1)의 타면이 제 2 가열부(300)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가열부(200)의 어느 일측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송컨베이어(502)가 설치되되, 상방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단부측에서는 이송되는 대형 전(1)이 자유 낙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혀져서 익혀지지 않은 타면이 제 2 가열부(300)에 안착 하게 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502)의 단부측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막음판(504)이 더 설치되어 대형 전의 자유 낙하 시 이탈을 방지하고, 기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막음판(504)의 설치 폭은 이송컨베이어(502)와 동일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502)가 시작하는 선단부측에는 직교 방향으로 회전체(51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510)는 원통형상으로 몸체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다수개의 핀(512)이 돌출 설치되어 제 1 가열부(200)로부터 대형 전(1)을 회전하는 핀(512)이 걷어 올려서 이송컨베이어(502)로의 이동을 돕는 것이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제 2 가열부(300) 상에는 기름상에 부유하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31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메쉬망(310)에 걸려지는 튀김 찌꺼기는 주기적으로 제거를 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제 2 가열부(300)로부터 완성된 대형 전(1)은 제 2 가열부(300)와 연결된 컨베이어를 타고 급속냉동고(600)로 이동되어 급속 냉동될 수 있다.
급속냉동고(600)에서는 -35~-40℃ 온도에서 30~45분간 급속 냉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 제조장치의 작용은,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대형 전(1)을 만들기 위한 반죽은 반죽공급부(100)의 호퍼공급통(102)에 담겨지게 되며, 담겨진 반죽은 호스 또는 관을 타고 이동되어 노즐(104)을 통해 일정량이 배출된다.
다수개의 노즐(104)에서 배출된 반죽은 제 1 가열부(200)에 나란히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하는 제 1 가열부(200)에 의하여 이동된 반죽은, 누르게수단(400)의 실린더부(406)의 작동으로 원형틀(402)과 누르게(404)가 하강함으로써, 원형틀(402)내에 포함되어 원형 형태를 갖추게 되고, 이어서 원형틀(402)의 내측에서 누르게(404)의 하강으로 일정 두께로 눌러져서 원판의 대형 전(1)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가열부(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원형틀(402)에서 대형 전(1)을 일정 시간 잡고 있어도 기름의 유막으로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원판의 형태를 갖춘 대형 전(1)은 제 1 가열부(200)상에서 일면이 익혀지면서 회전되고, 회전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502)에 다다르면 대형 전(1)은 회전체(510)의 핀(512)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502)로 옮겨지게 된다.
옮겨진 대형 전(1)은 경사진 이송컨베이어(502)를 따라 이동되면서 단부측에서는 자유 낙하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혀져서 회전하는 제 2 가열부(300)에 안착되어 진다.
이때, 자세교환부(500)를 구성하는 막음판(504)에서는 대형 전(1)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비산되는 기름을 막아주게 된다.
이어서 대형 전(1)의 익혀지지 않은 타면은 회전하는 제 2 가열부(300)상에서 기름에 의하여 익혀 지게 되며, 익힘이 완료된 대형 전(1)은 자세교환부(500)에 설치된 회전체(510)와 같은 구성의 동일 회전체(510)에 의하여 컨베이어로 옮겨져서 급속냉동고(600)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급속냉동고(600)에서 냉동된 대형 전(1)은 포장되어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의 원형 모양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두께로 부쳐질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통해 전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렇게 대량으로 제조되어 포장된 대형 전(1)은 전자레인지, 프라이팬, 튀김기, 오븐 등에서 즉석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대형 전 100 : 반죽 공급부
102 : 호퍼공급통 104 : 노즐
200 : 제 1 가열부 300 : 제 2 가열부
310 : 메쉬망 400 : 누르게수단
402 : 원형틀 404 : 누르게
406 : 실린더부 500 : 자세교환부
502 : 이송컨베이어 504 : 막음판
510 : 회전체 512 : 핀
600 : 급속냉동고

Claims (10)

  1. 반죽공급부와,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의 일면을 기름에 가열시키면서 회전하는 원형의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상기 대형 전이 뒤집어져서 공급되어 타면을 익히도록 상기 제 1 가열부에 근접 설치되는 원형의 제 2 가열부와,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형 전을 뒤집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세교환부,
    를 포함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공급부는,
    고기류, 해산물류, 야채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밀가루, 전분, 소금, 물을 첨가하여 혼합된 반죽을 포함하는 호퍼공급통과,
    상기 호퍼공급통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반죽을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가열부는,
    도우넛 형상으로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으로는 기름이 공급되어 상기 대형 전을 가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부의 상부측에는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반죽이 상기 대형 전의 원판 모양을 갖추도록 돕는 누르게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게수단은,
    하강되어 상기 반죽을 내부에 포함시켜서 원판 형태로 모양을 형성시키는 원형틀과,
    상기 원형틀의 내측에서 승하강 이동가능하며, 상기 반죽을 기설정 두께로 누르게 되는 누르게와,
    상기 누르게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을 돕는 실린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환부는,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일면이 익혀진 상기 대형 전을 상기 제 2 가열부로 이동시키도록 상방으로 경사진 이송컨베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측에서 자유 낙하하면서 뒤집혀져서 타면으로 상기 제 2 가열부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선단부측에 직교 방향으로 원통형의 몸체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핀이 형성된 회전체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열부로부터 상기 대형 전을 회전하는 상기 다수개의 핀이 걷어 올려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로의 이동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측에는 막음판이 더 설치되어 상기 대형 전의 자유 낙하 시 이탈을 방지하고,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부 상에는 기름상에 부유하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부로부터 완성된 상기 대형 전을 이동시켜서 급속 냉동시키는 급속냉동고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1020160075168A 2016-06-16 2016-06-16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10183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68A KR101832885B1 (ko) 2016-06-16 2016-06-16 대형 전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68A KR101832885B1 (ko) 2016-06-16 2016-06-16 대형 전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04A true KR20170142004A (ko) 2017-12-27
KR101832885B1 KR101832885B1 (ko) 2018-02-28

Family

ID=6093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168A KR101832885B1 (ko) 2016-06-16 2016-06-16 대형 전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88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177B1 (ko) * 2018-09-11 2019-12-24 정병춘 만두 조리장치
KR102059178B1 (ko) * 2018-09-11 2019-12-24 정병춘 만두 조리장치
KR202201065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6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7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4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30009146A (ko) * 2021-07-08 2023-01-17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37Y1 (ko) 1999-09-27 2000-03-15 남향식품산업주식회사 전병제조장치
KR101559534B1 (ko) 2015-03-23 2015-10-15 박정규 전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177B1 (ko) * 2018-09-11 2019-12-24 정병춘 만두 조리장치
KR102059178B1 (ko) * 2018-09-11 2019-12-24 정병춘 만두 조리장치
KR2022010651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6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7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4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230009146A (ko) * 2021-07-08 2023-01-17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885B1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885B1 (ko) 대형 전류 제조장치
US63313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r-frying
CN112806542B (zh) 一种鱼肉糜食品生产线
CN110136348A (zh) 一体化自动制面售面机及方法
CN107212311B (zh) 一种酥皮鱼豆腐生产线
KR20030029775A (ko) 건포류 제조 방법 및 가공 시스템
AU744175B2 (en) Process and correspon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ready-cooked and semi-cooked dishes
CN112869060B (zh) 一种鱼豆腐熟化生产线
JP4265433B2 (ja) かき揚げの製造法
KR100368629B1 (ko) 전의 제조장치
KR101641601B1 (ko) 볶음밥 제조용 연속식 혼합장치
RU2297149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ухарных изделий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JP2019076291A (ja) 粒状および麺状食品の調理装置ならびに調理方法
KR101906432B1 (ko) 한입 고추튀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937855B2 (ja) 粒状天ぷらの製造方法
JP6148384B1 (ja) お好み焼きの製造方法
JP3359864B2 (ja) 天ぷらの製造方及びその装置
WO2016108251A2 (en) Fried snack, a method of preparing the fried snack and a system for preparation thereof
CN106306780A (zh) 一种洋葱虾饼及其制作方法
JP2005027526A (ja) 刻みたこ入りたこ焼き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566699A (zh) 指节饼生产工艺及配方
JP6440957B2 (ja) フライ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8113622A (ja) 形成食品、及び、その成形器具
JPS6021983Y2 (ja) 食品の自動粉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