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178B1 - 만두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178B1
KR102059178B1 KR1020180108123A KR20180108123A KR102059178B1 KR 102059178 B1 KR102059178 B1 KR 102059178B1 KR 1020180108123 A KR1020180108123 A KR 1020180108123A KR 20180108123 A KR20180108123 A KR 20180108123A KR 102059178 B1 KR102059178 B1 KR 10205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olding
unit
dumpling
dump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정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춘 filed Critical 정병춘
Priority to KR102018010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만두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만두가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조리되는 쿠킹부와, 쿠킹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쿠킹부에서 조리된 만두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므로, 설비 공간을 축소시키고 대량의 군만두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 조리장치{COOKING DEVICE OF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를 다량으로 조리하여 시각적 효과 외에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고, 그 속에 고기, 두부, 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이다.
이러한 만두제조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계적으로 만두를 성형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밀가루반죽과 만두소를 각각 별도의 반죽호퍼와 만두소호퍼에 공급하면 반죽은 자동으로 반죽 이동스크루에 의하여 노즐 쪽으로 압출되어 노즐을 통하여 성형롤러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만두소는 만두소 이동장치에 의해 노즐 끝부분까지 이어진 이동 파이프 속으로 이동되어 노즐을 통해 나오는 반죽 튜브의 만두피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죽튜브 내부에 속이 꽉 찬 상태로 성형롤러 쪽으로 연속 공급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죽튜브는 성형롤러에 의해 빚어져 만두를 생산하게 된다.
종래에는 대량으로 생산된 만두를 익히거나 급냉시켜 제품화하고 있으나, 대량으로 만두를 구워서 군만두를 생산한 다음 이러한 군만두를 제품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0137호(2011.06.24. 공개, 발명의 명칭 : 만두의 조리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만두를 다량으로 조리하여 시각적 효과 외에 식감을 개선할 수 있는 만두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는: 만두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만두가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조리되는 쿠킹부; 상기 쿠킹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쿠킹부에서 조리된 상기 만두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킹부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쿠킹바닥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쿠킹바닥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쿠킹바닥부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만두를 감싸는 쿠킹성형부; 및 상기 쿠킹성형부를 가열하는 쿠킹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킹바닥부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바닥부; 및 상기 제1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를 연결하고 경사를 갖는 제3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킹성형부는 상기 바닥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높이가 가변되는 제1성형부; 상기 제1성형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성형부; 상기 제2성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성형부; 상기 제3성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쿠킹가열부가 내장되며, 한 쌍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만두를 감싸서 조리를 실시하는 제4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성형부는 상기 제3성형부에서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만두를 받쳐주는 제4성형받침부; 및 상기 제4성형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두의 외측을 감싸는 제4성형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성형부는 상기 제4성형덮개부를 커버하여 상기 만두에 문양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4성형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쿠킹부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는 쿠킹부가 회전되는 동안 만두를 조리하므로, 설비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는 쿠킹바닥부를 따라 이동되는 쿠킹성형부가 쿠킹바닥부의 높이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설비 손상 및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는 청소부를 통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성형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성형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1)는 공급부(10)와, 쿠킹부(20)와, 구동부(30)와, 배출부(4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만두(100)를 공급한다. 일 예로, 공급부(10)는 만두(100)를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부(11)와, 공급컨베이어부(11)를 통해 이동되는 만두(100)를 들어 쿠킹부(20)에 안착시키는 공급로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로딩부(12)는 일렬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만두(100)를 한 번에 파지하여 쿠킹부(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쿠킹부(20)는 공급부(10)를 통해 제공되는 만두(100)가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조리된다. 일 예로, 쿠킹부(20)에 안착된 만두(100)는 외피가 구워져 군만두(200)가 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쿠킹부(20)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구동부(30)는 구동판부(31)와, 구동판부(31)를 회전시키는 구동회전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판부(31)는 원판 형상을 할 수 있고, 구동판부(31)에는 복수개의 쿠킹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외, 구동부(30)에는 별도의 바퀴가 장착되어 쿠킹부(20)를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40)는 쿠킹부(20)에서 조리된 군만두(200)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배출부(40)는 일렬로 조리된 군만두(200)를 한 번에 파지하여 쿠킹부(20)에서 이격시키는 배출로딩부(41)와, 배출로딩부(41)에서 낙하된 군만두(200)를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부(20)는 쿠킹바닥부(21)와, 쿠킹성형부(22)와, 쿠킹가열부(23)를 포함한다. 일 예로, 쿠킹부(20)는 구동판부(31)의 중앙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쿠킹바닥부(21)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쿠킹바닥부(2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쿠킹바닥부(21)는 대차 이동을 위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쿠킹성형부(22)는 구동부(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쿠킹바닥부(21)를 따라 이동되며, 쿠킹바닥부(21)의 높이 변화에 따라 작동되어 만두(100)를 감싼다. 일 예로, 쿠킹성형부(22)는 한 쌍이 쿠킹바닥부(21)에 장착되고, 상단부가 벌어져 만두(100)를 안착시키거나 인출시키고, 상단부가 좁혀지면서 만두(100)의 외피를 감쌀 수 있다.
쿠킹가열부(23)는 쿠킹성형부(22)를 가열한다. 일 예로, 쿠킹가열부(23)는 쿠킹성형부(22)에 내장되어 쿠킹성형부(22)를 가열할 수 있다. 쿠킹가열부(2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쿠킹판부(21)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쿠킹가열부(23)는 쿠킹성형부(22)의 온도를 측정하여 쿠킹가열부(23)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설정시간 작동 및 작동 해제를 반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바닥부(21)는 제1바닥부(211)와, 제2바닥부(212)와, 제3바닥부(213)를 포함한다. 이들은 원띠 형상을 하도록 배치되며, 높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제1바닥부(211)와 제2바닥부(212)는 상측면이 수평하되, 제2바닥부(212)는 제1바닥부(2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바닥부(213)는 제1바닥부(211)와 제2바닥부(212)를 연결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한편, 쿠킹성형부(22)가 제2바닥부(212)를 통과하는 시간동안 만두(100)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성형부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성형부(22)는 제1성형부(221)와, 제2성형부(222)와, 제3성형부(223)와, 제4성형부(224)를 포함한다.
제1성형부(221)는 바닥부(21)를 따라 이동되면서 높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제1성형부(221)는 바닥부(21)를 따라 무한반복 회전될 수 있으며, 제1바닥부(211)를 따라 이동되다가 제3바닥부(213)를 통과한 후 제2바닥부(212)를 따라 이동되고, 제2바닥부(212)에서 제3바닥부(213)를 통과한 후 제1바닥부(2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성형부(221)는 제1바닥부(211)와 제2바닥부(212)를 번갈아 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성형부(222)는 제1성형부(221)에 연결된다. 일 예로, 제2성형부(222)는 하단부가 겹쳐져서 제1성형부(221)와 연결되고, 제1성형부(221)와 연동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3성형부(223)는 제2성형부(2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부(30)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제3성형부(223)는 각각의 제2성형부(222)와 링크 연결되고, 구동판부(31)를 관통할 수 있다. 제3성형부(223)는 구동판부(31)와 핀결합되어 구동판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4성형부(224)는 제3성형부(223)의 상단부에서 각각 연장된다. 제4성형부(224)에는 쿠킹가열부(23)가 내장되며, 마주보는 한 쌍의 간격이 조절되어 만두(100)를 감싸서 조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성형부(224)는 제4성형받침부(226)와 제4성형덮개부(227)를 포함한다.
제4성형받침부(226)는 제3성형부(223)에서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만두(100)를 받쳐준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제3성형부(223)에는 3개의 제4성형받침부(226)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제3성형부(223)에는 2개의 제4성형받침부(226)가 돌출되되, 이들이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4성형부(224)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더라도 제4성형받침부(226)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만두(100)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다.
제4성형덮개부(227)는 제4성형받침부(22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만두(100)의 외측을 감싼다. 일 예로, 제4성형덮개부(227)는 만두(100)의 외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할 수 있고, 서로 간의 간격이 줄어들 경우 한 쌍의 제4성형덮개부(227)가 만두(100) 외피를 감싸서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성형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성형부(224)는 제4성형표시부(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성형표시부(228)는 제4성형덮개부(227)를 커버하여 만두(100)에 문양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4성형표시부(228)는 제4성형덮개부(227)에 탈부착 가능하며, 표시될 문양이나 문자 부분이 열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만두(100) 외피에 회사 상호나 상표, 그림이 열에 의해 보다 선명하게 마킹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1)는 청소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60)는 공급부(10)와 배출부(40) 사이에 배치되고, 쿠킹부(20)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일 예로, 청소부(6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청소지지부(61)와,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되고 공급부(10)와 배출부(40) 사이에 배치되는 쿠킹성형부(22)에 공기를 분사하여 쿠킹성형부(22)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는 청소분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만두 조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30)의 구동으로 복수개의 쿠킹성형부(22)는 쿠킹바닥부(21)를 따라 왕복 회전되되, 쿠킹성형부(22)가 제1바닥부(211)에 위치될 때 쿠킹성형부(22)의 상부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공급부(10)를 통해 이송되는 복수개의 만두(100)가 쿠킹성형부(22)의 상부에 안착된다.
만두(100)가 쿠킹성형부(22)에 안착된 후 쿠킹성형부(22)가 제1바닥부(212)를 통과하면, 제1성형부(221)가 상승하고, 제3성형부(223)가 회전되어 제4성형부(224) 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만두(100)를 감싼다.
이때, 제4성형부(224)에 내장된 쿠킹가열부(23)에 의해 제4성형부(224)가 만두(100)를 조리하여 군만두(200)를 제조한다. 설정시간 동안 군만두(200)가 제조되면, 쿠킹성형부(22)가 제1바닥부(211)에 위치되어 쿠킹성형부(22)의 상부가 벌어지고, 제조된 군만두(200)는 배출부(40)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4성형부(224)는 만두(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교차 배치되는 제4성형받침부(226)와, 만두(100)의 외측을 감싸는 제4성형덮개부(2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4성형덮개부(227)에 탈부착 가능한 제4성형표시부(228)가 만두(100)의 외피에 직접 접촉되어 원하는 글자나 모양을 마킹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40)와 공급부(10) 사이에서 이동되는 쿠킹성형부(22)는 청소부(60)의 고압 유체에 의해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1)는 쿠킹부(20)가 회전되는 동안 만두(100)를 조리하므로, 설비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1)는 쿠킹바닥부(21)를 따라 이동되는 쿠킹성형부(22)가 쿠킹바닥부(21)의 높이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설비 손상 및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조리장치(1)는 청소부(60)를 통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20 : 쿠킹부
21 : 쿠킹바닥부 22 : 쿠킹성형부
23 : 쿠킹가열부 30 : 구동부
40 : 배출부 60 : 청소부
100 : 만두 200 : 군만두
211 : 제1바닥부 212 : 제2바닥부
213 : 제3바닥부 221 : 제1성형부
222 : 제2성형부 223 : 제3성형부
224 : 제4성형부 226 : 제4성형받침부
227 : 제4성형덮개부 228 : 제4성형표시부

Claims (7)

  1. 만두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만두가 개별적으로 안착되어 조리되는 쿠킹부;
    상기 쿠킹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쿠킹부에서 조리된 상기 만두를 후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킹부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쿠킹바닥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쿠킹바닥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쿠킹바닥부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만두를 감싸는 쿠킹성형부; 및
    상기 쿠킹성형부를 가열하는 쿠킹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킹바닥부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바닥부; 및
    상기 제1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를 연결하고 경사를 갖는 제3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킹성형부는
    상기 쿠킹바닥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높이가 가변되는 제1성형부;
    상기 제1성형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성형부;
    상기 제2성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성형부;
    상기 제3성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쿠킹가열부가 내장되며, 한 쌍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만두를 감싸서 조리를 실시하는 제4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성형부는
    상기 제3성형부에서 각각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차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만두를 받쳐주는 제4성형받침부; 및
    상기 제4성형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두의 외측을 감싸는 제4성형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조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성형부는
    상기 제4성형덮개부를 커버하여 상기 만두에 문양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4성형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조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쿠킹부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조리장치.
KR1020180108123A 2018-09-11 2018-09-11 만두 조리장치 KR10205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23A KR102059178B1 (ko) 2018-09-11 2018-09-11 만두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23A KR102059178B1 (ko) 2018-09-11 2018-09-11 만두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178B1 true KR102059178B1 (ko) 2019-12-24

Family

ID=6902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23A KR102059178B1 (ko) 2018-09-11 2018-09-11 만두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1421A (zh) * 2019-12-27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饺子制作贩卖设备
CN111011420A (zh) * 2019-12-27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饺子制作贩卖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799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제조장치
KR20160099801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KR20170142004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사옹원 대형 전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799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제조장치
KR20160099801A (ko) * 2015-02-12 2016-08-23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KR20170142004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사옹원 대형 전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1421A (zh) * 2019-12-27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饺子制作贩卖设备
CN111011420A (zh) * 2019-12-27 2020-04-1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饺子制作贩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178B1 (ko) 만두 조리장치
KR20110111990A (ko) 도넛츠 제조장치
JPH02503386A (ja) ピザを焼く方法及びオーブン
AU2015211116A1 (en) Cooking appliance with baking plate having embedded heating element
KR102059177B1 (ko) 만두 조리장치
KR101239530B1 (ko) 전병 자동화 제조기
KR101573284B1 (ko)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1934351B1 (ko) 또띠아 제조장치
KR101448930B1 (ko)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101573291B1 (ko) 누룽지 제조 장치
KR20160015103A (ko) 밥 버거 성형장치
KR20210131087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가열장치
US11576388B2 (en) Process for preparing pizza
KR102626694B1 (ko) 피자 구이용 화덕 시스템
KR102254460B1 (ko)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JP2018201766A (ja) ハイブリッドオーブン
KR20100045786A (ko) 어묵제조장치
WO2020026773A1 (ja) 食品生地焼成装置及び食品生地の焼成方法
KR20100054043A (ko) 제빵기계용 기름도포장치
JP7018874B2 (ja) パニガッチ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4030365A (ja) 食品焼成装置
CN211353790U (zh) 一种熟面机
KR200366792Y1 (ko) 전병 제조장치
KR102486375B1 (ko) 열 경화에 의한 피자 도우 제조용 자동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1746486U (zh) 一种旋转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