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84B1 - 자동 도넛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넛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84B1
KR101573284B1 KR1020140007723A KR20140007723A KR101573284B1 KR 101573284 B1 KR101573284 B1 KR 101573284B1 KR 1020140007723 A KR1020140007723 A KR 1020140007723A KR 20140007723 A KR20140007723 A KR 20140007723A KR 101573284 B1 KR101573284 B1 KR 101573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ut
unit
water
fry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582A (ko
Inventor
김항진
Original Assignee
김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항진 filed Critical 김항진
Priority to KR102014000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84B1/ko
Priority to CN201410395730.6A priority patent/CN104782696A/zh
Publication of KR2015008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넛의 제조를 일률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공정을 자동화하여 도넛의 품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킴은 물론 도넛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함을 제공하도록,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링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하는 반죽공급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반죽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도넛 반죽물을 적정온도에서 숙성하도록 열풍을 접촉시키는 숙성부와; 상기 숙성부에서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기름이 채워지는 튀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기름으로부터 튀겨지는 도넛 반죽물을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튀김부와; 상기 반죽공급부에서 성형된 도넛 반죽물이 안착되며 양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체반을 구비하고, 상기 체반 상에 안치된 도넛 반죽물을 상기 반죽공급부의 위치에서 상기 숙성부를 거쳐 상기 튀김부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튀김부의 한쪽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튀김부를 향해 도넛 반죽물이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체반을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도넛 제조장치 {Auto Doughnut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도넛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넛의 제조를 일률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공정을 자동화하여 도넛의 품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킴은 물론 도넛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도넛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넛(Doughnut)은 밀가루에 설탕이나 버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식품으로서, 도넛체인매장이나 제과점 등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도넛을 제조함에는 밀가루에 소금, 설탕, 버터, 버터, 이스트(yeast) 등을 배합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로부터 중간에 구멍이 뚫린 링 형상으로 성형하며, 링 형상의 반죽물을 일정온도에서 숙성하여 부풀린 다음 최종적으로 기름에 튀기는 작업과정을 거쳐 도넛을 제조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넛을 제조하기 위한 전반적인 과정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균일한 크기나 형상으로 도넛을 성형하기 어려워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으며, 고온의 기름으로 도넛의 반죽물을 투입하는 작업과정에서 기름이 뛰거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도넛을 제조함에는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인력에 의해 모든 작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작업성이 떨어짐에 따른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도넛체인매장이나 도넛 제조공장과 같이 대량생산을 요하는 경우 많은 인력을 소요되어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66206호(2013.03.28.)에는 도넛 성형수단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도넛 성형수단에서 성형된 도넛을 이송시키는 도넛 성형기에 설치되는 도넛 이송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에 전후 수평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축 결합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에 감겨지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으로 회전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에 결합되는 어테치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회전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좌/우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왕복대 및 상기 왕복대에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얹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물망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그물망체 위로 떨어지는 도넛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여 상기 왕복대를 한 피치씩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도넛을 자동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도넛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성형기에 설치되는 도넛 이송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도넛 이송장치는 성형한 도넛을 작업자의 접촉 없이 이송하여 위생적이지만 단순히 도넛 반죽물의 성형과 성형된 반죽물을 일정하게 배열하기 위한 이송만을 도모할 뿐 결국 이후 공정(숙성공정)으로의 이송 및 남은 작업공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전과 마찬가지로 작업이 번거롭고 낮은 생산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넛을 성형하는 공정부터 도넛을 튀기는 공정까지 도넛을 생산하기 위한 모든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도모하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면서도 완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링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하는 반죽공급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도넛 반죽물이 일정한 숙성시간 동안 머물며 지그재그로 이동될 수 있는 숙성룸을 구비하고, 상기 숙성룸의 한쪽에 구비된 히팅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을 향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열풍기를 구비하는 숙성부와; 상기 숙성부에서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기름이 채워지는 튀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기름으로부터 튀겨지는 도넛 반죽물을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튀김부와; 상기 반죽공급부에서 성형된 도넛 반죽물이 안착되며 양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체반을 구비하고, 상기 체반 상에 안치된 도넛 반죽물을 상기 반죽공급부의 위치에서 상기 숙성부를 거쳐 상기 튀김부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튀김부의 한쪽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튀김부를 향해 도넛 반죽물이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체반을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숙성부에는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상단부에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회수할 수 있게 순환구멍이 형성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부재에는 상기 열풍기를 향해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기와 상기 순환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열풍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열공간에 연통하여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입구 및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공간의 상부 한쪽 측면에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중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로부터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가열하는 물가열부와, 상기 물가열부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장착되고 상기 물가열부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가열공간을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한쪽 외면에 상기 증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숙성실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증기를 공급가능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증기토출공이 형성되는 증기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수단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증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유체가이드판을 구비한다.
상기 물가열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의 물유입구에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급수파이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수위조절센서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물공급 유무를 설정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물가열부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에 연결되고 각각 해당 온도를 검출하여 지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설정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성부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성되는 열기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기배출부는 상기 숙성룸의 벽면에 배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가능하도록 여닫이부재가 구비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숙성룸의 열기를 빼내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송풍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튀김부의 안내수단은 양쪽 측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체인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도넛 반죽물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이 동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축 연결되어 상기 체인부재가 순환구동토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튀김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도넛 반죽물을 180°로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이동경로 상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접촉단과, 상기 회전판부재의 축 한쪽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와, 상기 튀김본체 상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캠부재에 소정의 중량을 가할 수 있도록 접하여 상기 캠부재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게 형성되는 중량체로 구성한다.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은 상기 체반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이송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스프로킷마다 연결 결합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체반이 배치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스프로킷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반전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연결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을 180°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반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전부의 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연결된 구조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하는 한쪽 상단에 완만한 만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에는 상기 브라켓이 소정각도로 회전한 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걸어 고정하는 걸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반전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반전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이 회전될 수 있게 접하는 반전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전가이드부재는 상기 체반의 선단이 접하여 기울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경사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을 거쳐 상기 체반이 회전된 후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수평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반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곡면구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반전수단에는 상기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수단 간에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체반이 결합된 상기 이송수단의 이동궤적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체반이 회전 후 상기 반전가이드부재에 수평상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에 의하면, 도넛의 모든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므로, 제품에 대한 크기 및 형상 등의 품질이 균일하면서도 우수하고 인력을 줄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도넛의 모든 제조공정을 기계화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작업이 안전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숙성공정을 거쳐 공급된 도넛 반죽물을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반전부를 구성하므로, 도넛 제조공정의 완전한 자동화를 도모하고 고온의 기름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반전수단으로부터 체반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반전가이드부재에 수평상태로 접할 수 있는 당김유도부재를 구성하므로, 체반으로부터 도넛 반죽물이 쉽게 떨어져 우수한 작업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작업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물로부터 수증기를 생성시킨 후 열풍과 함께 숙성룸을 향해 송풍하는 열풍기를 구성하므로, 숙성룸 전체에 습도 및 온도가 고르게 적용되어 모든 반죽의 숙성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고 도넛에 대한 완제품의 맛과 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숙성룸 내의 열기를 회수할 수 있는 덕트부재를 구성하므로, 숙성룸의 열기를 열풍기의 열원으로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줄이고 도넛 반죽물에 대한 숙성룸의 습도 및 온도 조절이 용이하며 숙성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숙성룸으로부터 회수되는 열기를 열풍기로 직접 순환공급할 수 있게 연결부재를 구성하므로, 열풍기에 대한 전력소비량을 대폭 줄임은 물론 설비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는 숙성룸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열기배출부를 구성하므로, 숙성룸의 습도 및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숙성환경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풍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풍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기배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튀김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튀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튀김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반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반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반전부의 반전수단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반전부의 당김유도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반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링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하는 반죽공급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도넛 반죽물이 일정한 숙성시간 동안 머물며 지그재그로 이동될 수 있는 숙성룸을 구비하고, 상기 숙성룸의 한쪽에 구비된 히팅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을 향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열풍기를 구비하는 숙성부와; 상기 숙성부에서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기름이 채워지는 튀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기름으로부터 튀겨지는 도넛 반죽물을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튀김부와; 상기 반죽공급부에서 성형된 도넛 반죽물이 안착되며 양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체반을 구비하고, 상기 체반 상에 안치된 도넛 반죽물을 상기 반죽공급부의 위치에서 상기 숙성부를 거쳐 상기 튀김부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튀김부의 한쪽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튀김부를 향해 도넛 반죽물이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체반을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숙성부에는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상단부에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회수할 수 있게 순환구멍이 형성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부재에는 상기 열풍기를 향해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기와 상기 순환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풍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열공간에 연통하여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입구 및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공간의 상부 한쪽 측면에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중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로부터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가열하는 물가열부와, 상기 물가열부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장착되고 상기 물가열부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가열공간을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한쪽 외면에 상기 증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숙성실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증기를 공급가능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증기토출공이 형성되는 증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수단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증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유체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가열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의 물유입구에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급수파이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수위조절센서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물공급 유무를 설정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가열부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에 연결되고 각각 해당 온도를 검출하여 지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설정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부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성되는 열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기배출부는 상기 숙성룸의 벽면에 배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가능하도록 여닫이부재가 구비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숙성룸의 열기를 빼내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송풍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튀김부의 안내수단은 양쪽 측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체인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도넛 반죽물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이 동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축 연결되어 상기 체인부재가 순환구동토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튀김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도넛 반죽물을 180°로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이동경로 상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접촉단과, 상기 회전판부재의 축 한쪽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와, 상기 튀김본체 상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캠부재에 소정의 중량을 가할 수 있도록 접하여 상기 캠부재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게 형성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은 상기 체반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이송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스프로킷마다 연결 결합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체반이 배치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스프로킷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연결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을 180°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반전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의 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연결된 구조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하는 한쪽 상단에 완만한 만곡면을 형성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에는 상기 브라켓이 소정각도로 회전한 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걸어 고정하는 걸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반전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이 회전될 수 있게 접하는 반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가이드부재는 상기 체반의 선단이 접하여 기울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경사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을 거쳐 상기 체반이 회전된 후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수평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반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곡면구간을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수단에는 상기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수단 간에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체반이 결합된 상기 이송수단의 이동궤적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체반이 회전 후 상기 반전가이드부재에 수평상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반죽공급부(100)와, 숙성부(200)와, 튀김부(300)와, 이송부(400)와, 반전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인 기술구성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체로서, 복수의 프레임이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반죽공급부(100)나 숙성부(200), 튀김부(300), 이송부(400), 반전부(500)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들이 개개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숙성부(200) 및 튀김부(300), 이송부(400)와 같은 전기적인 구조로 연결되는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컨트롤러(5)가 설치된다. 즉 제어컨트롤러(5)는 전원스위치를 비롯한 다양한 스위치 및 버튼 등 조작원을 구비하고 상기 숙성부(200) 및 튀김부(300), 이송부(400)의 구성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괄적인 제어를 도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반죽공급부(1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한쪽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반죽공급부(100)는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한 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반죽공급부(100)는 도넛의 반죽원료를 저장하는 호퍼(11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1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10)에 저장된 반죽원료로부터 일정한 형상 즉 링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하는 성형튜브(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퍼(110)는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저장가능하게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호퍼(110)의 상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반죽원료를 가압할 수 있는 압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압착수단은 일반적으로 성형기나 성형장치 등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실린더나 모터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숙성부(200)는 상기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도넛 반죽물에 대해 일정한 온도환경 및 습도환경을 조성하여 숙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숙성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도넛 반죽물을 적정온도에서 숙성하도록 열풍을 접촉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숙성룸(210)과 히팅공간(225) 내에 설치된 열풍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숙성룸(21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한쪽에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폐쇄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숙성룸(210)은 도넛 반죽물이 일정한 숙성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400)에 의해 도넛 반죽물이 지그재그로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이룬다.
상기 숙성부(20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숙성룸(210)과 상기 히팅공간(225)의 영역을 상호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덕트부재(280)를 구성한다.
상기 덕트부재(280)의 상단부에는 상기 숙성룸(210)과 상기 히팅공간(225)을 연통하여 상기 숙성룸(210) 내의 열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순환구멍(28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순환구멍(281)은 상기 열풍기(220)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으로부터 상기 숙성룸(210)의 열기를 회수함에 따라 상기 열풍기(220)에서 열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숙성부(200)에 순환구멍(281)이 형성된 덕트부재(280)를 구성하게 되면, 숙성룸(210)의 열기를 열풍기(220)의 열원으로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줄이고 도넛 반죽물에 대한 숙성룸(210)의 습도 및 온도 조절이 용이하며 숙성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덕트부재(280)에는 상기 열풍기(220)를 향해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기(220)와 상기 순환구멍(28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85)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85)는 상기 열풍기(220) 중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구성인 송풍수단(260)의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히팅공간(225)이 아닌 상기 열풍기(220)를 향해 열기가 직접적으로 순환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재(285)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되 자파라 호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285)를 구성하게 되면, 숙성룸(210)으로부터 회수되는 열기를 열풍기(220)로 직접 순환공급할 수 있게 연결하므로, 열풍기(220)를 향한 열기의 공급이 원활하고 열풍기(220)에 대한 전력소비량을 대폭 줄임은 물론 설비의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풍기(220)는 상기 숙성룸(210)을 향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기(220)는 상기 숙성룸(210)의 한쪽에 구비된 히팅공간(225) 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열풍기(2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230)와, 물가열부(240)와, 증기가열수단(250)과, 송풍수단(260)과, 증기공급부(2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공간(231)을 구비하되 물유입구(233a) 및 물배출구(233b)가 개개의 위치상에 형성되며 증기배출공(234)을 구비토록 구성된다.
상기 물유입구(233a)는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에 연통하여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물유입구(233a)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별도의 물공급원인 물저장수조(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유입구(233a)는 물공급원인 물저장수조와 급수파이프(호스관, 파이프관 등)를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에서 물저장수조는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물저장수조로부터 상기 급수파이프를 따라 물이 자연히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배출구(233b)는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공간(231)에 연통하여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하면은 상기 물배출구(233b)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토록 형성하여 상기 가열공간(231)으로부터 물을 빼낼 때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230)를 지지하여 받치는 지지프레임(23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238)으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스(230)를 소정의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물배출구(233b)에 밸브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물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배출공(234)은 상기 가열공간(231)의 상부 한쪽 측면(숙성룸(210)이 위치한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3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열공간(231) 내에 유체가이드판(237)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체가이드판(237)은 상기 송풍수단(26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증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증기배출공(234)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체가이드판(23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위치하되 양쪽 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내면과 상호 간격을 두도록 형성하여 증기가 상향이동가능한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유체가이드판(237)은 상기 증기배출공(234)을 향해 완만하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되 경사각(α)이 10~15°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유체가이드판(237)의 경사각(α)이 10°미만으로 경사가 너무 완만하거나 경사각이 15°를 초과하여 너무 가파른 경사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수단(260)의 바람으로부터 상기 증기배출공(234)을 향한 증기의 이동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증기 및 열풍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가이드판(237)을 구성하게 되면, 증기의 생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증기 및 열풍을 숙성룸(210)에 용이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케이스(230)에는 한쪽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 가열공간(231)에 생성된 열이 외부로 발산됨을 차단하도록 열차단커버(239)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가열부(240)는 상기 물유입구(233a)를 통해 상기 가열공간(231)에 채워진 일정량의 물로부터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물가열부(2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 중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물가열수단(241)과 수위조절센서(243)로 구성된다.
상기 물가열수단(241)은 상기 본체케이스(230) 상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가열공간(23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공간(231)에 채워진 물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설정온도로 발열하여 물을 가열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위조절센서(243)는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유입구(233a)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위조절센서(243)는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형성된 수직바(243a)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바(243a)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되 물의 부력에 의해 떠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부표부재(243b)를 구비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위조절센서(243)는 만수위를 신호함은 물론 저수위를 신호하도록 구성하여 물 보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저장수조 및 상기 물유입구(233a)에 각각 급수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을 향한 물공급 유무를 설정하는 개폐밸브(23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밸브(235)는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물유입구(233a)에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급수파이프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위조절센서(243)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밸브(235)는 상기 수위조절센서(243)에 따른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은 상기 물가열부(240)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다시금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은 상기 물가열부(240)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 내에 장착되고, 상기 가열공간(231)의 상측으로 이동된 증기가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에 접하면서 가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가열부(240)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를 설정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컨트롤러(25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온도컨트롤러(255)는 상기 물가열부(240)의 물가열수단(241)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물가열수단(241)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250)에 대한 각각의 해당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지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물에 대한 수위조절과 가열수단에 대한 온도조절을 자동화하도록 수위조절센서(243) 및 온도컨트롤러(255)를 구성하게 되면, 작업자의 관리가 편리하고 습도 및 온도에 대한 숙성환경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반죽물의 숙성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송풍수단(260)은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가열공간(231)을 향해 바람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송풍수단(260)의 한쪽 흡입구에는 상기 덕트부재(280)의 순환구멍(281)과 연결된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연결부재(285)가 결합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송풍수단(260)은 일정한 세기의 바람을 불어넣어 증기를 유동시키되 상기 유체가이드판(237)에 의해 증기와 바람의 방향이 안내되어 상기 증기배출공(234)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송풍수단(260)은 모터와 팬 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시스템이나 각종 흡배기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형송풍기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증기공급부(27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230)의 한쪽 외면에 상기 증기배출공(234)과 연통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숙성룸(210)에 증기를 공급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증기공급부(270)는 증기와 바람이 상기 숙성룸(2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30)로부터 상기 숙성룸(210)을 향해 길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증기공급부(270)에는 상기 숙성룸(210)을 향해 증기를 공급하도록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증기토출공(271)이 형성된다.
상기 증기토출공(271)은 상기 증기공급부(270)의 양쪽 측면에 서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증기토출공(271)을 통해 토출되는 증기와 열풍은 상기 송풍수단(260)의 풍력에 의해 상기 숙성룸(21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퍼져나가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로부터 수증기를 생성시킨 후 열풍과 함께 숙성룸(210)을 향해 송풍하는 열풍기(220)를 구성하게 되면, 숙성룸(210) 전체에 습도 및 온도가 고르게 적용되어 모든 반죽의 숙성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고 도넛에 대한 완제품의 맛과 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숙성부(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숙성룸(210)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210)의 온도가 높을 시 상기 숙성룸(210)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성되는 열기배출부(2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열기배출부(29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숙성룸(210)의 개폐 여부를 조작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수단(291)과, 상기 숙성룸(210)으로부터 외부로 열기를 빼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송풍부재(295)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91)은 상기 숙성룸(210)의 벽면에 구비되는 배출공(292)과 함께 상기 배출공(292)을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부재(29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닫이부재(293)는 상기 배출공(292) 상에 상하로 왕복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여닫이부재(293)에는 작업자로부터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조작바(294)를 구비토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재(295)는 상기 개폐수단(291)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숙성룸(210)의 열기를 빼낼 수 있도록 회동한다.
상기와 같이 숙성룸(210)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열기배출부(290)를 구성하게 되면, 숙성룸(210)의 습도 및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숙성환경을 보다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튀김부(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한쪽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부(200)를 거쳐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공급됨에 따라 도넛 반죽물을 최종적으로 튀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튀김부(30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넛 반죽물이 튀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튀김본체(310)와 열선부재(320) 및 안내수단(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튀김본체(310)는 내부에 기름이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숙성부(200)에서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튀김본체(310)의 한쪽 하부에는 내부에 채워진 기름을 빼낼 수 있는 배출구(311)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배출구(311)에는 개방 및 폐쇄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밸브부재(3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부재(320)는 상기 튀김본체(310)에 채워진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튀김본체(31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열선부재(320)의 전원 및 가열온도는 상기 제어컨트롤러(5)로부터 조절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열선부재(320)로부터 기름의 가열속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튀김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안내수단(330)은 상기 튀김본체(3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기름으로부터 튀겨지는 도넛 반죽물을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안내수단(330)은 상기 튀김본체(310)로 투입된 도넛 반죽물을 기름으로 튀기면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된 반대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내수단(330)은 상기 튀김본체(310)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튀김부(300)의 안내수단(330)은 양쪽 측단에 서로 대칭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체인부재(331)와, 상기 체인부재(331)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333)과, 상기 가이드봉(333)이 동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335)와, 도넛 반죽물을 회전시켜 뒤집을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판부재(3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부재(331)는 복수의 스프로킷(S)을 연결하여 상기 튀김본체(310)의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구조를 이루되 캐터필러(caterpillar) 형태로 계속해서 순환구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333)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체인부재(331)를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333)은 도넛 반죽물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즉 복수의 상기 가이드봉(333) 간에는 도넛 반죽물이 기름에 뜬 상태로 위치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3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튀김본체(310)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35)는 상기 체인부재(331)가 순환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되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S)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S)에 대한 회전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안내수단(330)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봉(333)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 도넛 반죽물을 최종 배출할 수 있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배출안내판(325)을 구성하고, 도넛 반죽물이 배출되는 위치에는 하부에 기름제거망(도면에 미도시)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부재(337)는 상기 튀김본체(3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되 상기 가이드봉(333)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도넛 반죽물을 향해 규칙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판부재(337)는 상기 가이드봉(333)을 따라 이동되는 도넛 반죽물의 상하 양면을 고르게 튀길 수 있도록 도넛 반죽물을 뒤집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판부재(337)은 도넛 반죽물이 이동되는 경로 중 중간구간에 배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부재(337)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넛 반죽물을 향해 회전하여 도넛 반죽물을 180°로 뒤집을 수 있게 상기 회전판부재(337)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구비한다. 즉 상기 회전판부재(337)에는 상기 회전판부재(337)의 축 상에 돌출형성되는 접촉단(337a)과, 상기 회전판부재(337)의 축 한쪽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337b)와, 상기 캠부재(337b)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량체(338)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단(337a)은 상기 가이드봉(333)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가이드봉(333)에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재(337)에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접촉단(337a)은 상기 회전판부재(337)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가이드봉(333)의 접촉에 따른 상기 접촉단(337a)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판부재(337)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단(337a)은 상기 가이드봉(333)이 접촉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굴곡진 구조를 이루어 상기 가이드봉(333)이 접촉하면서 걸릴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재(337b)는 상기 회전판부재(337)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중량체(338)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339)을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338)는 상기 튀김본체(310) 상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반대편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무게추를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338)는 상기 캠부재(337b)에 소정의 중량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339) 상에 접하여 상기 캠부재(337b)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처럼 상기 회전판부재(337)는 상기 가이드봉(333)의 접촉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되 상기 회전판부재(337)의 회전각도만큼 상기 캠부재(337b)도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판(339)에 의해 상기 중량체(338)가 점점 상향이동되고, 상기 캠부재(337b)가 회전하는 도중 상기 중량체(338)가 상기 지지판(339)의 양측 단부를 지나치면서 상기 중량체(338)의 무게로부터 상기 캠부재(337b)가 회동하여 상기 회전판부재(337)를 빠르게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부(400)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인 모든 제조공정의 구성 즉 상기 반죽공급부(100)에서부터 숙성부(200) 및 튀김부(300)까지 도넛 반죽물을 순서에 따라 공급할 수 있게 이송하는 것으로서, 체반(410)과 이송수단(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반(410)은 상기 반죽공급부(100)에서 성형된 도넛 반죽물이 안착되고 상기 튀김부(300)에 투입되기까지 도넛 반죽물의 적재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체반(410)은 평탄한 평면을 이루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반죽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도넛 반죽물을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평면을 이루되 도넛 반죽물과의 접촉표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튀김부(300)를 향해 떨어뜨릴 수 있도록 다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반(410)은 상기 이송수단(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체반(41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이 축 연결 즉 하기 체결돌기(427)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체반(410)은 상기 이송수단(420)에 연결 결합하되 외력의 영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420)은 상기 체반(410) 상에 안치된 도넛 반죽물을 상기 반죽공급부(100)의 위치에서 상기 숙성부(200)를 거쳐 상기 튀김부(300)까지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420)은 상기 체반(410)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이송스프로킷(421)과, 상기 이송스프로킷(421)마다 연결 결합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는 체인컨베이어(423)와, 상기 이송스프로킷(421)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4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스프로킷(421)은 상기 체반(410)의 이동경로 상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0)의 고정된 위치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프로킷(421)은 개개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스프로킷(421) 중에는 상기 체인컨베이어(42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조절부재(429)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체인컨베이어(423)는 복수의 체반(41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돌기(42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27)는 상기 체인컨베이어(423) 상에 등간격으로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컨베이어(423)도 상기 튀김부(300)의 체인부재(331)와 마찬가지로 캐터필러(caterpillar) 형태를 이루어 계속해서 순환구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25)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이송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벨트연결되어 동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반전부(500)는 상기 이송부(400)에 의해 이동중인 상기 체반(410) 상의 도넛 반죽물이 상기 튀김부(300)를 향해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체반(410)을 뒤집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반전부(500)는 상기 이송부(40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튀김부(300)의 한쪽 상부에 위치하여 도넛 반죽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전부(5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체반(410)을 180°로 회전시켜 상기 튀김부(300)를 향해 도넛 반죽물이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브라켓(510)과 반전수단(5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연결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브라켓(51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축 연결된 구조로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510)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접하는 한쪽 상단에 완만한 만곡면(C)을 형성한다. 즉 상기 브라켓(510)이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걸리지 않도록 만곡면(C)을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1~18°의 범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전부(500)에는 상기 브라켓(510)이 소정각도(1~18°)로 회전한 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브라켓(510)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수단(51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이수단(515)은 상기 지지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구(515a)와, 상기 브라켓(510) 상에 상기 걸이구(515a)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걸이구(515a)로부터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걸이편(515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반전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반전부(500)의 아래쪽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튀김부(300)의 탈착은 물론 청소를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전수단(520)은 상기 이송수단(420)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410)을 180°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전수단(520)은 상기 브라켓(510)의 한쪽 즉 상기 이송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체반(410)이 지나가는 상기 브라켓(510)의 내측에 상기 체반(410)을 향해 소폭 돌출 연장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반전수단(520)은 상기 체반(410)이 이동중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반전수단(520)은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10)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스프로킷(521)과,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수단(420)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410)이 회전될 수 있게 접하는 반전가이드부재(523)로 구성된다.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은 상기 이송부(400)에 연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420)의 체인컨베이어(423)가 경유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은 상기 이송수단(420)을 따라 상기 튀김부(300)를 향해 이동되는 상기 체반(410)의 이동방향을 다시 상기 반죽공급부(1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경로를 전환한다.
상기 반전가이드부재(523)는 상기 반전스프로킷(521)보다 상기 체반(410)이 이동되는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돌출된 위치상에 구성된다.
상기에서 반전가이드부재(523)와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의 사이에 이격된 거리는 상기 체인컨베이어(423) 상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돌기(427)의 돌출길이보다 소폭 더 이격된 거리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반전가이드부재(523)와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체결돌기(427)가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반전가이드부재(523)는 상기 체반(410)의 선단이 접하여 기울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경사구간(523a)과, 상기 경사구간(523a)을 거쳐 상기 체반(410)이 회전된 후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수평구간(523c)과, 상기 수평구간(523c)과 상기 경사구간(523a)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반(410)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곡면구간(52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반전가이드부재(523)의 수평구간(523c)을 이루는 상면은 상기 이송수단(420)의 체인컨베이어(423)와 동일 수평중심선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전수단(520)에는 상기 체반(410)이 상기 반전가이드부재(523)에 접하여 회전된 후 상기 반전가이드부재(523)의 수평구간(523c)에 수평상태로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체반(410)을 하방으로 당기는 당김유도부재(530)가 구성된다.
상기 당김유도부재(53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10) 상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반전스프로킷(521)과 상기 이송수단(420)의 체인컨베이어(423) 간에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체반(410)이 결합된 상기 이송수단(420) 중 상기 체인컨베이어(423)의 이동궤적을 하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당김유도부재(530)는 하면이 상기 체인컨베이어(423)에 접하여 상기 체인컨베이어(42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당김유도부재(530)의 상면은 상기 반전스프로킷(521)으로부터 소폭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반전수단(520)에 당김유도부재(530)를 구성하게 되면, 체반(410)으로부터 도넛 반죽물이 쉽게 떨어져 우수한 작업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작업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넛의 반죽원료를 반죽공급부(100)에 투입한 후 제어컨트롤러(5)로부터 반죽공급부(100)를 비롯한 숙성부(200)와 튀김부(300) 및 이송부(400)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구성을 구동설정하여 작업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반죽공급부(100)에서 링 형상으로 성형과 동시에 공급되는 도넛 반죽물은 상기 이송부(400)의 체반(410)을 향해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수단(420)에 의해 이후 공정인 상기 숙성부(200)를 향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숙성부(200)는 열풍기(220)의 가동으로 숙성룸(210)이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열풍이 공급되고 상기 이송부(400)로부터 이동된 상기 체반(410) 상의 도넛 반죽물이 상기 숙성룸(210)에 이르러 지그재그로 일정시간 동안 이동되면서 도넛 반죽물을 숙성시킨다.
이후 상기 숙성부(200)의 숙성룸(210)을 거친 상기 체반(410) 상의 도넛 반죽물은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수단(420)에 의해 상기 튀김부(300)로 이동되며 상기 반전부(5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반(410)이 180°로 뒤집혀 도넛 반죽물을 상기 튀김부(300)를 향해 자동으로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반전부(500)에서는 도 15에서처럼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수단(420)을 따라 이동하던 상기 체반(410)이 반전수단(520)에 접하되 반전가이드부재(523)의 경사구간(523a)에 접하면서 기울어지고 계속해서 곡면구간(523b)과 수평구간(523c)을 거침에 따라 상기 체반(410)이 180°로 회전되어 도넛 반죽물을 상기 튀김부(300)로 투입하게 된다.
이후 체반(410)은 반전스프로킷(521)을 지나면서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 후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수단(420)에 의해 상기 반죽공급부(100)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튀김부(300)로 투입된 도넛 반죽물은 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동시에 안내수단(330)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되고, 이동 중 회전판부재(337)에 의해 도넛 반죽물이 180°로 뒤집혀 도넛 반죽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튀김에 따라 도넛 제조를 완료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에 의하면, 도넛의 모든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므로, 제품에 대한 크기 및 형상 등의 품질이 균일하면서도 우수하고 인력을 줄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도넛의 모든 제조공정을 기계화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작업이 안전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숙성공정을 거쳐 공급된 도넛 반죽물을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반전부를 구성하므로, 도넛 제조공정의 완전한 자동화를 도모하고 고온의 기름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넛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 제어컨트롤러 10 : 지지프레임 100 : 반죽공급부
110 : 호퍼 120 : 성형튜브 200 : 숙성부
210 : 숙성룸 220 : 열풍기 225 : 히팅공간
230 : 본체케이스 231 : 가열공간 233a : 물유입구
233b : 물배출구 234 : 증기배출공 235 : 개폐밸브
237 : 유체가이드판 238 : 지지프레임 239 : 열차단커버
240 : 물가열부 241 : 물가열수단 243 : 수위조절센서
243a : 수직바 243b : 부표부재 250 : 증기가열수단
255 : 온도컨트롤러 260 : 송풍수단 270 : 증기공급부
271 : 증기토출공 280 : 덕트부재 281 : 순환구멍
285 : 연결부재 290 : 열기배출부 291 : 개폐수단
292 : 배출공 293 : 여닫이부재 295 : 송풍부재
300 : 튀김부 310 : 튀김본체 311 : 배출구
312 : 밸브부재 320 : 열선부재 325 : 배출안내판
330 : 안내수단 331 : 체인부재 333 : 가이드봉
335 : 구동모터 337 : 회전판부재 337a : 접촉단
337b : 캠부재 338 : 중량체 400 : 이송부
410 : 체반 420 : 이송수단 421 : 이송스프로킷
423 : 체인컨베이어 425 : 구동수단 427 : 체결돌기
429 : 장력조절부재 500 : 반전부 510 : 브라켓
515 : 걸이수단 515a : 걸이구 515b : 걸이편
520 : 반전수단 521 : 반전스프로킷 523 : 반전가이드부재
523a : 경사구간 523b : 곡면구간 523c : 수평구간
530 : 당김유도부재 C : 만곡면 S : 스프로킷

Claims (17)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반죽원료를 투입하여 링 형상의 도넛 반죽물로 성형하는 반죽공급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한쪽에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도넛 반죽물이 일정한 숙성시간 동안 머물며 지그재그로 이동될 수 있는 숙성룸을 구비하고, 상기 숙성룸의 한쪽에 구비된 히팅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을 향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열풍기를 구비하는 숙성부와;
    상기 숙성부에서 숙성된 도넛 반죽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기름이 채워지는 튀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는 열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튀김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기름으로부터 튀겨지는 도넛 반죽물을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튀김부와;
    상기 반죽공급부에서 성형된 도넛 반죽물이 안착되며 양단이 축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체반을 구비하고, 상기 체반 상에 안치된 도넛 반죽물을 상기 반죽공급부의 위치에서 상기 숙성부를 거쳐 상기 튀김부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되 상기 튀김부의 한쪽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튀김부를 향해 도넛 반죽물이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체반을 180°로 회전시키는 반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숙성부에는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상단부에 상기 숙성룸과 상기 히팅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회수할 수 있게 순환구멍이 형성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전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연결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을 180°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가능하게 형성되는 반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재에는 상기 열풍기를 향해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기와 상기 순환구멍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가능한 가열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가열공간에 연통하여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입구 및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공간의 상부 한쪽 측면에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중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로부터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가열하는 물가열부와, 상기 물가열부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장착되고 상기 물가열부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가열하는 증기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가열공간을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한쪽 외면에 상기 증기배출공에 연통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증기를 공급가능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증기토출공이 형성되는 증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수단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증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안내하는 유체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가열부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수단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열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물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물유입구에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급수파이프 상에 구비되고 상기 수위조절센서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물공급 유무를 설정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가열부 및 상기 증기가열수단에 연결되고 각각 해당 온도를 검출하여 지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설정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부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숙성룸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성되는 열기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기배출부는, 상기 숙성룸의 벽면에 배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가능하도록 여닫이부재가 구비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숙성룸의 열기를 빼내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송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튀김부의 안내수단은, 양쪽 측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체인부재를 상호 연결하고 도넛 반죽물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이 동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축 연결되어 상기 체인부재가 순환구동토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튀김본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도넛 반죽물을 180°로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되는 회전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이동경로 상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접촉단과, 상기 회전판부재의 축 한쪽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와, 상기 튀김본체 상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캠부재에 소정의 중량을 가할 수 있도록 접하여 상기 캠부재에 회전력을 전달가능하게 형성되는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은, 상기 체반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이송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스프로킷마다 연결 결합하여 길게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체반이 배치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스프로킷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전부의 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연결된 구조로 결합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하는 한쪽 상단에 완만한 만곡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반전부에는 상기 브라켓이 소정각도로 회전한 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걸어 고정하는 걸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한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반전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중인 상기 체반이 회전될 수 있게 접하는 반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전가이드부재는, 상기 체반의 선단이 접하여 기울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경사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을 거쳐 상기 체반이 회전된 후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안내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수평구간과 상기 경사구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체반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곡면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에는 상기 반전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수단 간에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체반이 결합된 상기 이송수단의 이동궤적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체반이 회전 후 상기 반전가이드부재에 수평상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20140007723A 2014-01-22 2014-01-22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1573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23A KR101573284B1 (ko) 2014-01-22 2014-01-22 자동 도넛 제조장치
CN201410395730.6A CN104782696A (zh) 2014-01-22 2014-08-13 自动炸面圈制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23A KR101573284B1 (ko) 2014-01-22 2014-01-22 자동 도넛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82A KR20150087582A (ko) 2015-07-30
KR101573284B1 true KR101573284B1 (ko) 2015-12-11

Family

ID=5354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23A KR101573284B1 (ko) 2014-01-22 2014-01-22 자동 도넛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3284B1 (ko)
CN (1) CN1047826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135A (zh) * 2015-09-28 2015-12-16 浙江海洋学院 一种油炸食品手动烹饪装置
CN110150342A (zh) * 2019-05-18 2019-08-23 廊坊市盛兴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黄金卷的机械化生产工艺
KR102291261B1 (ko) * 2019-11-05 2021-08-20 조규선 식품 제조 장비의 재료 공급기
CN110810451A (zh) * 2019-12-11 2020-02-21 大名县巨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食品加工的自动化油炸设备
KR102352090B1 (ko) * 2021-06-04 2022-01-18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62B1 (ko) * 2013-09-12 2013-12-02 김항진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62B1 (ko) * 2013-09-12 2013-12-02 김항진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82A (ko) 2015-07-30
CN104782696A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284B1 (ko)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1857015B1 (ko) 누룽지 제조장치
CN106579121B (zh) 一种快速制备笋干的方法
KR101652587B1 (ko) 자동 도넛 제조장치
JPH06319427A (ja) パン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066976B1 (ko) 쌀국수 제조설비
AU2010291572B2 (en) A curd kneading apparatus for production of pasta-filata cheese
JPH06502081A (ja) 長いパスタ製品をプレスし乾燥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及びこの装置の使用法
CN105962201A (zh) 红薯粉丝自动化生产设备及其生产工艺
KR102188088B1 (ko) 쌀국수면 및 쌀국수면의 생산 방법
KR102182100B1 (ko) 쌀국수면 생산 장치
KR200384226Y1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101766024B1 (ko) 콩곡자 배양장치
CN101194686B (zh) 通心粉生产线及其生产工艺
CN110522055B (zh) 一种辣椒烘焙箱
KR101334962B1 (ko)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101379851B1 (ko) 자동 도넛 제조장치
CN106722481B (zh) 一种快速制备干茄子的方法
KR101367462B1 (ko) 자동 호떡 제조장치
KR20120016507A (ko) 부침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8419520U (zh) 一种食品风干装置
CN106579119B (zh) 一种快速制备干青辣椒的方法
KR101810866B1 (ko) 건조 낟알 수거장치가 구비된 올벼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올벼쌀 건조시스템
RU712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