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514A - 식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514A
KR20220106514A KR1020210009502A KR20210009502A KR20220106514A KR 20220106514 A KR20220106514 A KR 20220106514A KR 1020210009502 A KR1020210009502 A KR 1020210009502A KR 20210009502 A KR20210009502 A KR 20210009502A KR 20220106514 A KR20220106514 A KR 2022010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moving
present
coo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780B1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10009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1조리부와,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와,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뒤집어 제2조리부로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조리대상물의 양면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煎)은 우리 민족의 전통식품으로, 주재료에 따라 녹두전을 비롯하여 호박전, 부추전, 김치전, 해물파전, 고기전, 감자전, 버섯전 등이 있다. 이러한 전의 조리방법은 주재료를 일정규격으로 썰어서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고, 반죽을 프라이팬에 정량씩 넣고 펼쳐서 윗면과 아랫면을 뒤집어서 조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은 조리와 동시에 먹게 되는데, 가정에서 전을 조리하기 위해 재료의 준비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조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6681호(2019.04.02. 등록, 발명의 명칭 :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1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뒤집어 상기 제2조리부로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상기 제2조리부에 뒤집혀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이동컨베이어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로 유도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는 이격된 한 쌍의 이동롤러부; 상기 이동롤러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벨트부; 및 상기 이동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는 상기 이동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벨트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도부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도부는 유체를 분사하여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을 뒤집는 위치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이동부가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로 이동시키면서 양면 조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리대상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와 제2조리부가 서로 연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저장부에서 공급대기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대기부에서 제1조리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와, 이동부(30)와, 후처리부(40)를 포함한다.
제1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한다. 일예로, 제1조리부(10)는 원판 형상을 하여 회전되면서 전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제2조리부(20)는 제1조리부(1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한다. 일예로, 제2조리부(20)는 원판 형상을 하여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회전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함으로써, 조리를 위한 설비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1차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처리부(40)는 제2조리부(20)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후처리한다. 일예로, 후처리부(40)는 조리대상물을 급속 냉동 시설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10)는 제1조리구동부(11)와, 제1조리판부(12)와, 제1조리가열부(13)를 포함한다.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된다. 일예로, 제1조리구동부(11)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조리판부(12)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조리판부(12)는 제1조리구동부(1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제1조리판결합부(121)와, 제1조리판결합부(121)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조리판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부(12)를 가열한다. 일예로,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연장부(122)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1조리판연장부(122)를 가열할 수 있다. 제1조리가열부(1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1조리판부(12)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제1조리가열부(13)는 제1조리판연장부(122)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고, 연료로 점화되는 버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10)는 제1조리오일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리오일부(14)는 제1조리판부(12)에 오일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조리오일부(14)는 오일이 저장되는 제1오일저장부(141)와, 제1오일저장부(141)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제1오일안내부(142)와, 제1오일안내부(142)와 연결되고 제1조리판연장부(122)에 오일을 배출하는 제1오일배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조리구동부(11)에는 제1조리공급부(19)가 구비되고, 제1조리가열부(13)에 연결된 제1조리단자부(18)는 제1조리판부(12)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조리공급부(19)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조리공급부(19)는 나산형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조리단자부(18)는 회전되면서 제1조리공급부(19)와 순차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조리공급부(19)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회전되는 제1조리가열부(1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20)는 제2조리구동부(21)와, 제2조리판부(22)와, 제2조리가열부(23)를 포함한다.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된다. 일예로, 제2조리구동부(21)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조리판부(22)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제2조리판결합부(221)와, 제2조리판결합부(221)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2조리판연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부(22)를 가열한다. 일예로,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연장부(222)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2조리판연장부(222)를 가열할 수 있다. 제2조리가열부(2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2조리판부(22)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제2조리가열부(23)는 제2조리판연장부(222)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고, 연료로 점화되는 버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리부(20)는 제2조리오일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조리오일부(24)는 제2조리판부(22)에 오일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2조리오일부(24)는 오일이 저장되는 제2오일저장부(241)와, 제2오일저장부(241)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제2오일안내부(242)와, 제2오일안내부(242)와 연결되고 제2조리판연장부(222)에 오일을 배출하는 제2오일배출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조리구동부(21)에는 제2조리공급부(29)가 구비되고, 제2조리가열부(23)에 연결된 제2조리단자부(28)는 제2조리판부(22)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2조리공급부(29)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조리공급부(29)는 나산형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2조리단자부(28)는 회전되면서 제2조리공급부(29)와 순차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조리공급부(29)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회전되는 제2조리가열부(2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리부와 제2조리부가 서로 연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조리부(20)는 제1조리부(10)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제2조리판부(22)는 제2조리구동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조리판부(22)에 결합되는 제2조리기어부(25)는 제1조리부(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조리기어부(15)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조리기어부(1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조리기어부(25) 및 제2조리기어부(25)와 결합된 제2조리판부(22)가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기어부(15)는 제1조리판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뒤집어 제2조리부(20)로 공급한다. 일예로, 이동부(30)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실어 나르되, 이동부(30)에서 조리대상물이 낙하되면서 뒤집힌 상태로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0)는 이동컨베이어부(31)와, 이동유도부(32)를 포함한다.
이동컨베이어부(3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제2조리부(20)에 뒤집혀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이동컨베이어부(3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이동컨베이어부(31)의 단부는 제2조리부(20)와 이격되므로, 이동컨베이어부(31)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이 뒤집혀서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유도부(32)는 제1조리부(10)에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컨베이어부(31)로 유도한다. 일예로,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이동컨베이어부(31)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 안착된 조리대상물은 이동유도부(32)에 의해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31)는 이동롤러부(311)와, 이동벨트부(312)와, 이동모터부(313)를 포함한다.
이동롤러부(311)는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이동롤러부(311)는 미도시된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동롤러부(311) 중 어느 하나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동롤러부(311) 중 다른 하나는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 보다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가 더 고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벨트부(312)는 이동롤러부(311)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이동벨트부(312)는 탄성을 갖는 고무벨트가 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체인벨트가 될 수 있다.
이동모터부(313)는 이동롤러부(311)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이동롤러부(311) 중 어느 하나는 이동모터부(31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31)는 이동조절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314)는 이동롤러부(311)를 지지하고, 이동벨트부(31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조절부(314)는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311)를 지지하되, 자체 길이가 가변되거나 회전을 유도하여 이동롤러부(3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리대상물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낙하지점이 조절되면 조리대상물은 뒤집혀 제2조리부(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32)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린다. 일예로, 이동유도부(32)는 이동유도회전부(321)와, 이동유도막대부(322)와, 이동유도접촉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회전부(321)는 이동컨베이어부(3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유도막대부(322)는 이동유도회전부(32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이동유도접촉부(323)는 이동유도막대부(3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조리대상물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유도회전부(321)가 회전되면 이동유도접촉부(323)가 조리대상물의 단부를 눌러주어 조리대상물의 단부가 이동컨베이어부(31)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 외, 이동유도막대부(322)가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이동유도막대부(322) 사이로 조리대상물이 진입하면 회전되는 이동유도막대부(322)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32)는 유체를 분사하여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린다. 일예로, 이동유도부(32)는 이동유도저장부(325)와, 이동유도라인부(326)와, 이동유도노즐부(3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저장부(325)는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유도라인부(326)는 이동유도저장부(325)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동유도노즐부(327)는 제1조리부(1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동유도노즐부(327)에서 경사지게 분사되는 유체로 인해 조리대상물의 전단부가 들려 이동컨베이어부(31)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위치변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환부(5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제1조리부(10)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제2조리부(20)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회전부(51)와 변환덕트부(52)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
즉, 변환회전부(5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제공하고, 변환덕트부(52)는 변환회전부(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변환덕트부(52)는 일측이 개구된 덕트 형상을 하고, 초기에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이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이 변환덕트부(52)에 삽입되면, 변환회전부(51)에 의해 변환덕트부(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뒤집힌 상태로 낙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지지부(55)와, 변환축부(56)와, 변환판부(57)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
즉, 변환지지부(55)는 조리대상물의 상방에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대상물을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변환축부(56)는 변환지지부(55)에 장착되고, 변환판부(5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변환지지부(55)의 이동으로 변환판부(57)가 조리대상물을 받쳐주면, 변환지지부(55)가 원위치로 이동되고, 변환축부(56)에 의해 변환판부(57)가 회전되면 조리대상물이 뒤집혀 낙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청소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6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즉, 조리대상물이 가열된 기름에 의해 조리되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청소부(6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일예로, 청소부(60)는 조리 완료된 영역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청소부(60)는 이동부(30)의 하방에 배치되고, 조리대상물이 이동부(30)로 이동된 후 비워진 제1조리부(10)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부(60)는 후처리부(40)의 하방에 배치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 완료되어 후처리부(40)로 이동된 후 비워진 제2조리부(20)에 대한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부(60)는 청소지지부(61)와 청소받이부(62)를 포함한다. 청소지지부(61)는 지면이나 고정된 설비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청소받이부(62)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되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각각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62)는 받이막대부(621)와, 받이틀부(622)를 포함한다.
받이막대부(621)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된다. 일예로, 받이막대부(621)는 청소지지부(61)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이막대부(621)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근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받이틀부(622)는 받이막대부(621)에 조립 가능하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밀착 가능하다. 일예로, 받이틀부(622)는 받이막대부(621)의 단부에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교체될 수 있다. 받이틀부(622)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밀착되어 이물질 및 오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받이틀부(622)가 연이어 배치되면, 이물질 및 오일이 받이틀부(622)에 의해 일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받이부(62)는 받이망부(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이망부(623)가 형성되는 경우, 받이틀부(622)는 판재 형상이 아니라 사각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이망부(623)는 받이틀부(622)의 내측을 연결하되 오일을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이망부(623)는 받이틀부(622)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받이틀부(62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회전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회전부(63)는 청소받이부(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청소회전부(63)는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되고, 청소지지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청소받이부(6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청소회전부(63)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청소받이부(62)가 회전되어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수거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을 하여 잔류물이 보관 가능하다. 일예로,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다. 청소수거부(64)는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 보다 저점을 형성하여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시 발생하는 잔류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조리판부(12) 및 제2조리판부(22)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청소수거부(64)로 이동될 수 있다. 그 외, 청소받이부(62)에 부딪힌 오일이나 이물질이 청소받이부(62)를 따라 이동되면서 청소수거부(64)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60)는 청소회부수(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회수부(65)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된 오일 중 이물질이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회수부(65)는 회수관부(651)와, 회수필터부(652)와, 회수저장부(653)와, 회수활용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관부(651)는 청소수거부(64)에 연결되어 청소수거부(64)에 저장된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회수필터부(652)는 회수관부(651)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이러한 회수필터부(652)는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연속여과가 가능할 수 있다. 회수저장부(653)는 회수필터부(652)를 통과한 오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회수활용부(654)은 회수저장부(653)에 연결되어 회수저장부(653)에 저장된 오일을 재활용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회수활용부(654)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오일을 공급하는 제1조리오일부(14)와 제2조리부(2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공급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7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조리부(10)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부(70)에서 공급되는 조리대상물은 각종 육류와 해물 및 야채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밀가루와 물이 혼합된 반죽이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저장부에서 공급대기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대기부에서 제1조리부로 조리대상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저장부(71)와, 공급대기부(72)와, 공급배출부(73)와, 공급안내부(74)를 포함한다.
공급저장부(71)에는 조리대상물이 저장된다. 일예로, 공급저장부(7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공급저장부(71)는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여 작업자가 추가로 조리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 외, 공급저장부(71)는 이동 가능하고, 제1조리부(10)에 근접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공급대기부(72)는 공급저장부(71)에 연결되고, 설정용량의 조리대상물이 유입된다. 일예로, 공급대기부(72)는 대기하우징부(721)와, 대기저장부(722)와, 대기유입부(723)와, 대기연결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하우징부(721)는 공급저장부(71)의 하방에 배치되고, 공급저장부(71)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하우징부(72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대기저장부(722)는 대기하우징부(721)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설정용량의 조리대상물이 대기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대기저장부(722)는 대기하우징부(72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할 수 있다. 대기유입부(723)는 대기저장부(722)와 연통되고 대기하우징부(721)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기연결부(724)는 공급저장부(71)와 대기유입부(723)를 연결할 수 있다.
공급배출부(73)는 공급대기부(72)에 유입된 조리대상물을 배출한다. 일예로, 공급배출부(73)는 대기저장부(722)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대기저장부(722)에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배출부(73)는 대기하우징부(721)에 연결되는 배출하우징부(731)와, 배출하우징부(731)에 장착되고 전후 이동되면서 대기저장부(722)에 대기중인 조리대상물을 밀어내는 배출실린더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실린더부(72)는 대기저장부(722)의 일단부로 출입 가능하고, 대기저장부(722)의 타단부는 대기밸브부(72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공급안내부(74)는 공급대기부(72)에 연결되고, 공급배출부(73)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제1조리부(10)로 안내한다. 일예로, 공급안내부(74)는 대기저장부(722)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공급배출부(73)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제1조리부(10)로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교반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교반부(75)는 공급저장부(71)에 장착되고, 조리대상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일예로, 공급교반부(75)는 공급저장부(71)에 장착되는 교반지지부(751)와, 교반지지부(7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교반축부(752)와, 교반축부(752)를 회전시키는 교반구동부(753)와, 교반축부(7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돌기부(7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교반부(75)는 조리대상물 중에 포함된 건더기류를 균일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70)는 공급형상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형상부(76)는 공급안내부(74)의 단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형상부(76)는 조리될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유도하는 틀이 될 수 있으며, 공급안내부(74)에 탈부착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틀이 공급안내부(74)에 조립될 수 있다. 그 외, 공급형상부(76)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면서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형상유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에 공급된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유지부(80)는 유지승강부(81)와, 유지틀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승강부(81)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유지승강부(81)는 공급부(70)와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공급부(70)와 결합되거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유지틀부(82)는 유지승강부(81)에 장착되고, 제1조리부(10)에 도달하여 조리대상물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조리대상물이 제1조리부(10)에 안착된 후, 유지승강부(81)에 의해 유지틀부(82)가 제1조리부(10)에 밀착되어 각각의 조리대상물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틀부(82)는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고, 조리 완료될 식품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교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유지누름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누름부(83)는 유지틀부(82)에 내장되고, 상하 이동되어 조리대상물을 눌러줄 수 있다. 일예로, 유지누름부(83)는 유지틀부(82)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고 상하 길이가 조절 가능한 누름구동부(831)와, 누름구동부(831)에 장착되고 유지틀부(82)에 내장된 조리대상물의 상면을 눌러주어 식품의 균일 두께를 유도하는 누름판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구동부(831)는 식품 두께에 따라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통과하는 조리대상물을 가압하여 조리대상물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유지롤러부(85)가 될 수 있다. 일예로, 유지롤러부(85)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유지롤러회전부(851)가 유지롤러지지부(8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유지롤러지지부(852)의 길이가 가변되면 유지롤러회전부(8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리대상물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하방으로 통과하는 조리대상물을 설정시간 동안 가압하여 조리대상물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유지컨베이어부(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유지컨베이어부(89)는 제1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가 유지컨베이어지지부(89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에 감긴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는 굽힘 가능한 형상을 하고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유지컨베이어지지부(892)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리대상물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유지컨베이어풀리부(891)와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열하는 유지컨베이어가열부(894)에 의해 유지컨베이어벨트부(893)가 가열되어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커버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9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커버부(90)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영역 전체 상방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버부(9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각각 커버하거나, 이들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상부(91)와, 커버덕트부(92)와, 커버지지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상부(9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커버상부(91)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각각 커버하되, 가장자리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으로 갈수록 고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덕트부(92)는 커버상부(91)에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한다. 일예로, 커버덕트부(92)는 일체로 이루어진 커버상부(91)의 고점과 연통되어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로 유입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커버덕트부(92)는 커버상부(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지지부(93)는 커버상부(91)를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하나 이상의 커버지지부(93)는 제1조리부(10) 또는 제2조리부(20)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지지부(93)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커버상부(9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배출부(94)와 커버필터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배출부(94)는 커버덕트부(92)와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배출부(94)에 내장된 커버필터부(95)는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일예로, 커버배출부(94)는 커버덕트부(92)에 조립되어 커버덕트부(92)와 연통되는 커버배출연결부(941)와, 커버배출연결부(941)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하방으로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커버배출몸체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배출몸체부(942)의 상단부는 건물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커버배출몸체부(942)의 하단부는 이물질이 수렴해서 모여진 후 배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배출몸체부(942)에는 커버배출도어부(943)가 형성되어 커버배출몸체부(942)의 내부 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커버필터부(95)는 커버배출부(94)에 장착되고,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필터부(95)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되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배출도어부(943)를 통해 커버배출몸체부(942)에 내장된 커버필터부(95)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커버배출부(94) 또는 커버덕트부(92)에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송풍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90)는 커버회수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에서 흘러내리는 낙하물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고온의 공기가 커버상부(91)의 저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커버상부(91)의 저면에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경사진 커버상부(91)를 따라 흘러내리다가 커버회수부(96)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즉,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커버상부(91)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받아내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응축수를 저장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육류, 해물류, 야채류, 밀가루, 물 등이 선택적으로 혼합된 조리대상물을 공급저장부(71)에 투입하면, 공급교반부(75)가 구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이 굳는 것을 방지하고, 주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공급저장부(71)에 투입된 조리대상물은 공급대기부(72)로 설정량 유입되고, 공급배출부(73)에 의해 공급대기부(72)에서 배출된 후 공급안내부(74)에 의해 안내되어 제1조리부(10)에 안착된다.
제1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안착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데, 승하강 가능한 형상유지부(80)는 제1조리부(10)에 도달하여 조리대상물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도록 유도한다.
형상유지부(80)에 의해 외관이 균일해진 조리대상물은 제1조리부(10)를 통해 이동되고, 이동부(30)에 의해 제2조리부(20)로 이동되어 조리된다. 이때, 이동컨베이어부(31)는 제1조리부(10)에서 제2조리부(20)로 조리대상물을 옮기고, 이동유도부(32)는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되면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살짝 들어올려 이동컨베이어부(31)에 안착시킨다. 한편, 이동컨베이어부(31)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은 뒤집혀서 제2조리부(20)에 안착되어 조리된다. 그리고,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을 뒤집어줄 수 있다.
제2조리부(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은 후처리부(40)로 이동되어 급속냉동 및 포장되어 제품화된다.
청소부(60)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를 통해 생성되는 잔류물을 걷어낸다. 즉, 청소지지부(61)에 장착된 청소받이부(62)는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에 밀착되어 오일에 포함된 주재료를 청소수거부(64)로 유도한다. 그리고, 청소회수부(65)는 청소수거부(64)에 수거된 오일을 재활용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한편, 청소회전부(63)는 청소받이부(62)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청소받이부(62)가 선택적으로 주재료를 처리할 수 있다.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커버부(90)는 조리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즉, 제1조리부(10)와 제2조리부(20)의 상방을 커버하는 커버상부(91)로 유입된 공기는 커버배출부(9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되, 커버필터부(95)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다. 그리고, 커버회수부(96)는 커버상부(91)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거한다. 한편, 조리대상물에 대한 조리 공정 중에는 커버지지부(93)에 의해 커버상부(91)가 상하 이동되어 제1조리부(10) 및 제2조리부(2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줌으로써, 외부로 오염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이동부(30)가 제1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제2조리부(20)로 이동시키면서 양면 조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리대상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조리부 11 : 제1조리구동부
12 : 제1조리판부 13 : 제1조리가열부
14 : 제1조리오일부 20 : 제2조리부
21 : 제2조리구동부 22 : 제2조리판부
23 : 제2조리가열부 24 : 제2조리오일부
30 : 이동부 31 : 이동컨베이어부
32 : 이동유도부 40 : 후처리부
50 : 위치변환부 51 : 변환회전부
52 : 변환덕트부 60 : 청소부
61 : 청소지지부 62 : 청소받이부
63 : 청소회전부 64 : 청소수거부
65 : 청소회수부 70 : 공급부
71 : 공급저장부 72 : 공급대기부
73 : 공급배출부 74 ; 공급안내부
80 : 형상유지부 81 : 유지승강부
82 : 유지틀부 83 : 유지누름부
90 : 커버부 91 : 커버상부
92 : 커버덕트부 93 : 커버지지부
94 : 커버배출부 95 : 커버필터부
96 : 커버회수부

Claims (7)

  1.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1조리부;
    상기 제1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제2조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뒤집어 상기 제2조리부로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상기 제2조리부에 뒤집혀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이동컨베이어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을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로 유도하는 이동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는
    이격된 한 쌍의 이동롤러부;
    상기 이동롤러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벨트부; 및
    상기 이동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컨베이어부는
    상기 이동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벨트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부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부는
    유체를 분사하여 조리대상물의 전단부를 들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부와 상기 제2조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을 뒤집는 위치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KR1020210009502A 2021-01-22 2021-01-22 식품 제조장치 KR10259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02A KR10259178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02A KR10259178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14A true KR20220106514A (ko) 2022-07-29
KR102591780B1 KR102591780B1 (ko) 2023-10-23

Family

ID=8260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02A KR10259178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187A (ko) * 2004-08-20 2006-02-23 홍병환 자동 엽채류 탈수기
KR101366121B1 (ko) * 2013-09-09 2014-02-21 김형광 어묵 양면 구이기
KR20170142004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사옹원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101833369B1 (ko) * 2017-11-14 2018-02-28 주식회사 금진식품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187A (ko) * 2004-08-20 2006-02-23 홍병환 자동 엽채류 탈수기
KR101366121B1 (ko) * 2013-09-09 2014-02-21 김형광 어묵 양면 구이기
KR20170142004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사옹원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101833369B1 (ko) * 2017-11-14 2018-02-28 주식회사 금진식품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780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8462C1 (ru) Обж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US20110168031A1 (en) Automatic frying apparatus for foodstuffs
CA2462097C (en)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CN110840220B (zh) 炒食机
CN108353959B (zh) 油炸食品自动油炸装置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20090044190A (ko) 자동튀김장치
KR20220106514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3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6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7A (ko) 식품 제조장치
KR200391045Y1 (ko) 자동식 튀김기
KR20220106515A (ko) 식품 제조장치
CN210095447U (zh) 一种炖煮油炸装置
KR20230169707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40016666A (ko) 식품 제조장치
US20100107898A1 (en) Machine and methods of operation for frying comestibles
CN209863479U (zh) 一种多层无烟自动旋转烧烤炉
JP2807158B2 (ja) 食品焼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20100119832A (ko) 구이기구의 자동 세척방법
CN111887268A (zh) 一种自动化面包生产线
JPH05293039A (ja) 自動精米・研米・炊飯装置と自動研米装置
JP2003047558A (ja) 釜内攪拌装置
CN220235832U (zh) 一种网带油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