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09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095A
KR20170132095A KR1020170062676A KR20170062676A KR20170132095A KR 20170132095 A KR20170132095 A KR 20170132095A KR 1020170062676 A KR1020170062676 A KR 1020170062676A KR 20170062676 A KR20170062676 A KR 20170062676A KR 20170132095 A KR20170132095 A KR 2017013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slat
image forming
inclined surf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831B1 (ko
Inventor
고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14Conditioning of the outside of ink supply systems, e.g. inkjet collector cleaning, ink mist remov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 B41J2/4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by pass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a hole or a slit
    • B41J2/41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by pass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a hole or a slit for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4Details
    • G03B27/26Coo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전장부로서, 상기 전장부의 하방에 공간이 제공되는,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상기 커버의 외부와 연통하게 하며, 상기 커버의 저면부에 제공되는 루버를 포함한다. 상기 루버는 제1 루버 부재와 제2 루버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루버 부재는 상기 슬랫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슬랫부를 포함한다. 제2 루버 부재는, 상기 루버의 정면 모습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슬랫부와 중첩하도록 제1 슬랫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슬랫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제2 슬랫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환기를 행하기 위한 루버(louver)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터나 전자 사진 방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의 내부에 각종 열원이나 전기 기판 같은 발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6253호 공보는, 장치 본체 내에 환기 팬을 구비하여, 환기 팬에 의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장치 본체 내에 배치된 기기류를 냉각하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의 우측면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장치 본체의 좌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된다. 환기 팬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기구의 내측에 배치된다. 환기 팬의 작동에 의해, 흡기구로부터 배기구까지 장치 본체 내를 흐르는 공기 유동이 형성되고, 이 공기 유동에 의해 장치 본체 내의 발열부가 냉각된다. 배기구 및 흡기구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면서도 외부에서 장치 본체의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루버가 제공된다.
그러나, 루버가 장치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6253호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커버의 측면이 벽면과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벽면에 의해 루버가 막혀버린다. 이로 인해, 루버를 막지 않도록, 장치 본체를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이 장치 본체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보다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루버가 장치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보는 각도에 따라 상방 또는 측방으로부터 장치 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과 관련하여 좋지 않다. 이로 인해, 장치 본체에 루버를 제공하면서도, 장치 본체의 설치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장치 본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전장부로서, 상기 전장부의 하방에 공간이 제공되는,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상기 커버의 외부와 연통하게 하며, 상기 커버의 하면부에 제공된 루버를 포함한다. 상기 루버는 제1 루버 부재와 제2 루버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루버 부재는 상기 슬랫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슬랫부를 포함한다. 제2 루버 부재는, 상기 제1 루버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이며, 상기 제1 슬랫부의 하방에서, 상기 루버의 정면 모습에서 상기 제1 슬랫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슬랫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슬랫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를 커버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로부터 절단된 루버의 일부의 조립 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로부터 절단된 루버의 일부의 조립 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예시적인 화상 형성 장치로서 탠덤형의 풀컬러 프린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탠덤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를 구비한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를 장치 본체(10)라 칭한다. 장치 본체(10)는, 시트 급송부(20), 화상 형성부(40), 시트 반송부(50), 시트 배출부(60), 및 제어부(70)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재인 시트(S)는 그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지탱한다. 시트(S)의 구체적인 예는, 보통지, 보통지의 대용품인 수지제의 시트, 엽서, 카드보드,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시트를 포함한다.
시트 급송부(20)는, 시트 카세트(20a), 급송 트레이(21), 급송 롤러(22), 및 분리부(23)를 구비한다. 시트 카세트(20a)는 기록지 시트 같은 시트(S)를 수용하며, 시트 급송부(20)는 시트(S)를 화상 형성부(40)에 급송한다. 급송 트레이(21)는, 시트(S)를 지지하면서 상승 및 하강 가능하다. 급송 트레이(2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시트(S)를 급송 트레이(21) 상에 적재할 수 있다. 급송 트레이(21)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시트(S)의 최상위 시트가 급송 롤러(22)에 접촉한다.
화상 형성부(40)는, 화상 형성 유닛(41), 토너 보틀(42), 레이저 스캐너(43), 중간 전사 유닛(44), 2차 전사부(45), 및 정착 유닛(46)을 구비하며,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유닛(41)은 4개의 상 형성 유닛(41y, 41m, 41c, 41k)을 구비한다. 문자 y, m, c 및 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대응하며, 4개의 상 형성 유닛(41y, 41m, 41c, 41k)은 각각 이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개의 상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상 형성 유닛(41y, 41m, 41c, 41k)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10)로부터 부착 및 탈거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 형성 유닛(41y)은, 토너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47y)과, 도시하지 않은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드럼 클리닝 블레이드, 토너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 형성 유닛(41y)에는 토너가 충전된 토너 보틀(42y)로부터 토너가 공급된다. 다른 상 형성 유닛(41m, 41c, 41k)은 각각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레이저 스캐너(43)는, 감광 드럼(47y, 47m, 47c, 47k)의 표면을 노광하여 감광 드럼(47y, 47m, 47c, 47k)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유닛(44)은 상 형성 유닛(41y, 41m, 41c, 41k)의 상방에 배치된다. 중간 전사 유닛(44)은, 구동 롤러(44a) 및 1차 전사 롤러(44y, 44m, 44c, 44k)를 구비하는 복수의 롤러와, 이들 롤러에 감긴 중간 전사 벨트(44b)와, 클리닝 블레이드(44d) 등을 구비한다. 1차 전사 롤러(44y, 44m, 44c, 44k)는, 감광 드럼(47y, 47m, 47c, 47k)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44b)에 접촉한다. 중간 전사 벨트(44b)에 1차 전사 롤러(44y, 44m, 44c, 44k)를 통해 정극성의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47y, 47m, 47c, 47k) 상의 각각 부극성을 갖는 토너상이 서로에 대해 중첩하도록 중간 전사 벨트(44b)에 전사된다. 이 결과, 중간 전사 벨트(44b)에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클리닝 블레이드(44d)는, 중간 전사 벨트(44b)의 일부에 접촉하고, 중간 전사 벨트(44b)에 부착된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2차 전사부(45)는, 2차 전사 내측 롤러(45a)와 2차 전사 외측 롤러(45b)를 갖고 있다. 2차 전사 외측 롤러(45b)에 정극성의 2차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44b)에 형성된 풀컬러 화상을 시트(S)에 전사한다. 2차 전사 내측 롤러(45a)는 중간 전사 벨트(44b)의 내주면에서 중간 전사 벨트(44b)를 신장시킨다. 2차 전사 외측 롤러(45b)는 중간 전사 벨트(44b)를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2차 전사내 롤러(45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정착 유닛(46)은 정착 롤러(46a) 및 가압 롤러(46b)를 구비한다. 정착 롤러(46a)와 가압 롤러(46b) 사이에 시트(S)가 반송 및 협지되고, 따라서 시트(S)에 전사된 토너상은 가열 및 가압되어 시트(S)에 정착된다.
시트 반송부(50)는, 2차 전사전 반송 경로(51)와, 정착전 반송 경로(52)와, 배출 경로(53)를 구비하고, 시트 급송부(20)에 의해 급송된 시트(S)는 화상 형성부(40)로부터 시트 배출부(60)에 반송한다.
시트 배출부(60)는, 배출 롤러 쌍(61)과 배출 트레이(62)를 구비한다. 배출 롤러 쌍(61)은 배출 경로(53)의 하류에 배치되며, 배출 트레이(62)는 배출 롤러 쌍(61)의 하류 측에 배치된다. 배출 롤러 쌍(61)은, 배출 경로(53)를 통해 반송된 시트(S)를, 그 닙부를 통해 급송하고, 시트(S)를 장치 본체(10)에 형성된 배출구(11)를 통해서 배출 트레이(62)에 배출한다.
제어부(70)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와, 리드 온리 메모리:ROM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입력/출력 회로를 구비한다. ROM은 화상 형성 장치(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은 데이터를 위한 일시 저장장치로서 사용된다. 입력/출력 회로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고 외부 장치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이 개시되면, 먼저 감광 드럼(47y, 47m, 47c, 47k)이 회전을 개시하고 그 표면이 대전 롤러에 의해 대전된다. 그리고, 레이저 스캐너(43)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광을 감광 드럼(47y, 47m, 47c, 47k)에 조사하고, 따라서 감광 드럼(47y, 47m, 47c, 47k)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정전 잠상에 토너가 부착됨으로써 현상되어 토너상으로서 가시화되며, 이들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44b)에 전사된다.
한편, 이러한 토너상의 형성 동작에 병행해서, 급송 롤러(22)가 회전하여 급송 트레이(21)의 최상위 시트(S)를 분리 및 급송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44b)의 토너상을 2차 전사부(45)에 반송하는 타이밍에 일치하는 타이밍에, 2차 전사전 반송 경로(51)를 통해 시트(S)가 2차 전사부(45)에 반송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44b) 상의 토너상이 시트(S)에 전사된다. 그리고, 시트(S)가 정착 유닛(46)에 반송되고, 정착되지 않은 토너상은 정착 유닛(46)에서 가열 및 가압되어 시트(S)에 정착된다. 이후, 시트(S)는 배출 롤러 쌍(61)에 의해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 트레이(62) 상에 지지된다.
이어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서의 커버(13) 및 루버(8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각각 전방측(F) 및 후방측(B)이라 칭하고, 전후 방향을 D1으로 표기하며, 수평 방향에서 전후 방향(D1)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W로 표기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의 하우징(12)에는, 화상 형성부(40), 전장부(30), 구동 유닛(31), 레일 부품, 토너 충전부 등이 부착되어 있다. 전장부(30)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및 전기 기판 상자를 구비한다. 구동 유닛(31)은 화상 형성부(40) 등의 가동부를 구동한다. 레일 부품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부착 및 탈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토너 충전부는 토너를 공급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전장부(30)는, 화상 형성을 위한 화상 신호의 제어 신호 및 상 형성 고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본체(10) 내의 전방측(F)에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이 배치된다. 장치 본체(10) 내의 중앙부에는, 화상 형성부(40)가 배치된다. 장치 본체(10) 내의 우측에는, 시트 급송부(20)에 의해 공급된 시트(S)를 반송하고, 화상 형성 후, 장치 본체(10)의 상부에 제공된 배출 트레이(62)에 지지되도록 시트(S)를 배출하는 시트 반송부(50)가 배치된다. 전장부(30) 및 구동 유닛(31) 같은 다른 부품은, 화상 형성 장치(1)의 폭 방향(W)의 크기의 치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10) 내에서 좌측에는 배치되지 않고 후방측(B)에 배치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10)의 하우징(12)에는 구동 유닛(31)이 부착된다. 구동 유닛(3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동부에 대하여 그 구동축이 기울지 않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 유닛(31)보다 후방측(B)에는, 전장부(30)와 배기용 팬(32)이 이 순서로 배치된다. 전장부(30)는, 고전압 기판 상자(33)와, 전원 기판 대형 상자(34)와, 제어 전원 기판 상자(35)와,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를 구비하며, 이들 상자는 하우징(12)보다 후방측(B) 이 순서로 배치된다.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는 도 6에 도시된 회로 기판(37)을 수용한다.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에 수용된 회로 기판(37)은 화상 형성부(40)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1)의 더 후방측(B)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37) 상에는 화상 형성부(4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전장부(30)는, 하우징(1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전장부(30)의 하방에 공간(30s)이 제공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12)에는, 전장부(30)를 덮는 커버(13)가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커버(13)는, 하우징(12)에 부착되는 대신에 전장부(30) 또는 다른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13)는, 화상 형성 장치(1)를 측면으로부터 볼 때, 하우징(12)에 관하여 돌출하는 전장부(30)의 외형을 추종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커버(13)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와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의 하방에 제공되는 공간(30s) 사이에 수평한 하면(13a)을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의 후방측(B)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부는 서로 겹치도록 전후 방향(D1)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화상 형성 시에는 전장부(30)의 각종 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디바이스가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장부(30)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장치 본체(10) 내의 공기 유동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부착부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열을 발생시키는 기판은, 열이 장치 본체(10)의 내부에 정체하지 않도록, 상온 환경에 더 가까워지도록 장치 본체(10) 내에서 더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판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소산을 돕는다.
커버(13)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 전장부(30)와 공간(30s)을 서로로부터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차폐에 기인하는 장치 본체(10)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하면(13a)에 환기용의 관통 구멍(13b)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13b)에는 환기용의 루버(80)가 부착된다. 즉, 루버(80)는, 커버(13)의 하면(13a)의 관통 구멍(13b)에 제공되고, 그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슬랫(81)을 구비하며, 커버(13)의 내부는 루버(80)를 통해 공간(30s)과 연통한다. 커버(13)의 내부는 루버(80)를 통해 커버(13)의 외부와 연통한다. 공기 유동은 도 6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랫(81)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용 팬(32)의 작동 결과로서, 루버(80)를 통한 커버(13)의 외부로부터 커버(13)의 내부로의 공기 유동이 발생한다.
루버가 커버(13)의 측면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루버의 배치에 의해 커버(13)와 벽면(1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루버를 통해서 커버(13)의 내부를 볼 수 있어, 외관과 관련하여 좋지 않다. 이에 대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80)는 공간(30s)에 대면하도록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의 하방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를 벽면(100)에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커버(13)의 내부를 보는 것은 곤란해진다. 이로 인해, 장치 본체(10)의 설치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장치 본체(10)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 유닛으로서의 루버(80)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고, 커버(13)의 하면(13a)에 부착되며, 볼트(14)를 통해 나사고정됨으로써 체결된다. 루버(80)는, 제1 루버부로서의 제1 루버 부재(82)와, 제2 루버부로서의 제2 루버 부재(83)를 구비한다. 제1 루버 부재(82)와 제2 루버 부재(83)는 각각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루버(80)는, 복수의 슬랫(81)을 구비하며, 슬랫(81)은, 예를 들어 전후 방향(D1)의 2열 및 폭 방향(W)의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배열로 배치된다. 즉, 루버(80)는, 루버(80)와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 사이에 제공된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상태로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 하방의 위치에서 하우징(12)의 커버(13)에 부착되며, 하우징(12)의 커버(13)의 내부 및 외부는 각각 루버(80)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또한, 하우징(12)의 커버(13)는, 루버(80)와 화상 형성 장치(1)가 설치된 면이 그 사이에 공간(30s)이 있는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형상을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80)는, 제1 루버 부재(82) 및 제1 루버 부재(82)에 장착된 제2 루버 부재(83)로부터 조립된다. 즉, 루버(80)는, 별개의 부재인 제1 루버 부재(82)와 제2 루버 부재(83)를 조립함으로써 일체화된 부재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1 루버 부재(82)와 제2 루버 부재(83)는, 이들 부재가 루버(80)의 형성 전에 별개의 부재인 한은, 루버(80)의 형성 후에 단일 부재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부재(82)는, 슬랫(81)의 일부를 구성하는 슬랫부로서의 제1 슬랫부(84)를 구비한다. 제1 루버 부재(82)는, 전후 방향(D1)에서, 전방측(F)에 배치된 2개의 제1 슬랫부(84)와 후방측(B)에 배치된 보조 슬랫부(82a)를 구비한다. 제1 슬랫부(8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D1)으로 2열 및 폭 방향(W)으로 다수의 열을 갖는 배열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루버 부재(82)에서는, 폭 방향(W)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슬랫부(84) 사이 및 폭 방향(W)으로 서로 인접하는 보조 슬랫부(82a) 사이에 격벽(82b)이 제공되어, 인접하는 제1 슬랫부들(84) 및 보조 슬랫부들(82a)을 구획한다. 즉, 제1 루버 부재(82)는, 그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 슬랫부(84)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하는 제1 슬랫부(84) 사이의 개구는, 제1 루버 부재(82)의 개구(82s)로서 간주된다.
제2 루버 부재(83)는, 슬랫(81)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슬랫부로서의 제2 슬랫부(85)를 구비한다. 제2 루버 부재(83)는, 전후 방향(D1)에서, 후방측(B)에 배치된 2개의 제2 슬랫부(85)와 전방측(F)에 배치된 보조 슬랫부(83a)를 구비한다. 제2 슬랫부(8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D1)의 2열 및 폭 방향(W)의 다수의 열을 갖는 배열로 배치되며, 하나의 슬랫(81)은 1개의 제2 슬랫부(85) 및 1개의 제2 슬랫부(85)에 대향하는 1개의 제1 슬랫부(84)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2 루버 부재(83)에서는, 폭 방향(W)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2 슬랫부(85) 사이 및 폭 방향(W)으로 서로 인접하는 보조 슬랫부(83a) 사이에 격벽(83b)이 제공되어, 인접하는 제2 슬랫부들(85) 및 인접하는 보조 슬랫부들(83a)을 구획한다. 즉, 제2 루버 부재(83)는 그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2 슬랫부(85)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하는 제2 슬랫부(85) 사이의 개구는 제2 루버 부재(83)의 개구(83s)로서 간주된다.
제2 슬랫부(85)는, 루버(80)의 정면 모습에서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슬랫부(84)와 겹치도록 제1 슬랫부(84)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슬랫부(84)와 제2 슬랫부(85) 사이의 겹침량(Y1)은 예를 들어 8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르면, 손 또는 손가락 등의 이물이 외부로부터 커버(13)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13)의 내부가 하방으로부터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루버(80)의 정면 모습은, 예를 들어 슬랫(81)의 정렬 방향, 즉 전후 방향(D1) 및 전후 방향(D1)에 직교하는 슬랫(81)의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루버(80)를 본 상태에 대응한다. 또한, 루버(80)의 정면 모습은, 예를 들어 루버(80)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루버(80)를 그 측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루버(80)의 정면 모습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된 루버(80)를 연직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 대응한다. 양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된 루버(80)의 다른 측을 그 정면 모습에서 루버(80)를 통해 볼 수 있는 경우, 커버(13)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가 루버(80)에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직접 낙하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슬랫부(84)와 제2 슬랫부(85)는 루버(80)의 정면 모습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친다. 이에 따르면, 커버(13)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는, 제1 슬랫부(84)와 제2 슬랫부(8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단되며, 따라서 외부에 직접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루버(80)를 보았을 때에, 제2 루버 부재(83)의 제2 슬랫부(85)가 제1 루버 부재(82)의 개구(82s)를 덮고, 제1 루버 부재(82)의 개구(82s), 제1 루버 부재(82)와 제2 루버 부재(83) 사이의 간극(80s) 및 제2 루버 부재(83)의 개구(83s)가 하우징(12)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제2 루버 부재(83)는 제1 루버 부재(82)의 바로 하방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80)는, 슬랫(81)의 전방측(F)이 전후 방향(D1)으로 그 후방측(B)보다 낮도록, 즉 슬랫(81)의 제1 측이 그 정렬 방향으로 슬랫(81)의 제2 측보다 낮도록 커버(13)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루버(80)는, 후방측(B)이 전방측(F)보다 높도록 미리결정된 경사각(θ)만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전후 방향(D1)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된다. 경사각(θ)은 예를 들어 약 5°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θ)이 약 5°가 되도록 설정되지만, 경사각(θ)은 이 값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사각(θ)은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5°이하이다. 또한, 경사는 후방측(B)이 전방측(F)보다 높은 경사로 제한되지 않고, 전방측(F)이 후방측(B)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θ)은, 예를 들어 수평면과 루버(80)의 슬랫(81)의 정렬 방향 사이의 경사각에 대응한다. 정렬 방향은 예를 들어 전후 방향(D1)이다. 대안적으로, 경사각(θ)은, 예를 들어 수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는 루버(80)의 측면 사이의 경사각에 대응한다.
제1 슬랫부(84)는 제1 겹침부(84a) 및 제1 연결부(84b)를 각각 구비한다. 제1 겹침부(84a)는 전후 방향(D1)을 추종하는 형상을 갖고, 제1 연결부(84b)는 제1 겹침부(84a)의 후방 단부로부터 대각 하방으로 그리고 후방측(B)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슬랫부(85)는 제2 겹침부(85a) 및 제2 연결부(85b)를 각각 구비한다. 제2 겹침부(85a)는 전후 방향(D1)을 따른 형상을 갖고, 제2 연결부(85b)는 제2 겹침부(85a)의 전방 단부로부터 대각 상방으로 그리고 전방측(F)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연결부(84b, 85b)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서로 접촉 또는 매우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 연결부(84b)의 선단부와 제2 연결부(85b)의 선단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제2 연결부(85b)는 제2 연결부(85b)의 선단부의 상면이 제1 연결부(84b)의 선단부의 하면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루버 부재(82)의 전방측(F)의 제1 겹침부(84a)는 제2 루버 부재(83)의 보조 슬랫부(83a)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다. 제1 루버 부재(82)의 후방측(B)의 제1 겹침부(84a)는 제2 루버 부재(83)의 전방측(F)의 제2 겹침부(85a)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다. 제1 루버 부재(82)의 보조 슬랫부(82a)는 제2 루버 부재(83)의 후방측(B)의 제2 겹침부(85a)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다. 이들 구성의 결과로서, 상하 방향의 직선형 관통 구멍이 없다. 따라서, 커버(13)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는 제1 슬랫부(84)와 제2 슬랫부(8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단되고 외부에 직접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최근, 화상 형성 장치가 신흥국에서도 판매되고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들 신흥국 중 몇몇에서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가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정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화상 형성 장치(1)에 부여되고, 따라서 기판에 실장된 캐패시터가 과충전되어서 액체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 전해액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밖으로 비산하지 않도록 외부로의 캐패시터의 전해액의 누설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루버(80)의 상방에 배치된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에 장착된 회로 기판(37)에 실장된 캐패시터(38)로부터 액체가 누설되는 경우, 누설된 액체는 루버(80)를 향해 낙하한다.
따라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80)의 슬랫(81)은 상면 측에 저류부(86)를 각각 구비한다. 저류부(86)는 커버(13)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인 누설 액체를 저류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캐패시터의 전해액이 커버(13)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의 예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유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현상제 같은 분말일 수 있다.
저류부(86)는 제1 경사면(86a)과 제2 슬랫부(85) 상의 제2 경사면(86b)을 구비한다. 제1 경사면(86a)은, 제2 겹침부(85a)의 상면에 형성되고, 그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도록 수평면에 대해서 슬랫(81)의 전후 방향(D1)으로 경사진다. 제2 경사면(86b)은, 제2 연결부(85b)의 상면에 형성되고, 그 전단부가 그 후단부보다 높도록 수평면에 대해서 슬랫(81)의 전후 방향(D1)으로 경사진다. 제1 경사면(86a)과 제2 경사면(86b)은 제1 경사면(86a)의 하단부와 제2 경사면(86b)의 하단부가 연속하도록 제공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루버(80)에서, 각각의 제1 겹침부(84a)가 직선상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제2 겹침부(85a)가 제1 겹침부(84a)와 평행한 직선상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겹침부(84a 또는 85a)의 상면은 이러한 구성을 갖는 루버(80)를 그 전방측(F)을 슬랫(81)의 전후 방향(D1)으로 그 후방측(B)보다 낮아지도록 커버(13)에 부착함으로써 경사진다. 즉, 루버(80)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루버(80)에는 누설된 액체가 소정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경사각(θ)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서 전원 기판 소형 상자(36)로부터의 액체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의 루버(80)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누설된 액체는 제1 겹침부(84a)의 상면에 낙하하거나, 인접하는 제1 겹침부(84a)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제1 연결부(84b) 혹은 제2 연결부(85b)의 상면에 낙하한다. 제1 겹침부(84a)의 상면에 낙하한 누설된 액체는 상면의 경사에 의해 전방측(F)을 향해 하방으로 유동하고, 제1 겹침부(84a)의 단부로부터 제2 겹침부(85a)의 상면에 낙하한다. 제1 연결부(84b) 혹은 제2 연결부(85b)의 상면에 낙하한 누설된 액체는 연결부(84b, 85b)의 경사에 의해 제2 겹침부(85a)의 상면에 하방으로 낙하한다. 제2 겹침부(85a)의 상면, 즉 제1 경사면(86a)에 도달한 누설된 액체는 제1 경사면(86a)의 하측인 제2 경사면(86b) 측에 저류된다. 이에 따르면, 누설된 액체가 제1 경사면(86a)의 상방에서 인접하는 제2 겹침부(85a)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동하여, 커버(13)의 외부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에 공간(30s)이 제공된 전장부(30)를 덮는 커버(13)의 하면(13a)에, 커버(13)의 내부가 전장부(30)의 하방의 공간(30s)과 연통하게 하는 루버(80)가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장치 본체(10)의 측면이 벽면(100)과 접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루버(80)가 차단되지 않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벽면(100)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감소시킨다. 또한, 루버(80)는 커버(13)의 하면(13a)에 배치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상방 혹은 측방으로부터 루버(80)를 통해서 커버(13)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치 본체(10)에 루버(80)를 설치하면서도, 장치 본체(10)의 설치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장치 본체(10)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랫(81)의 겹침량(Y1)은, 예를 들어 Underwriters Laboratories 규격:UL 규격에서는, 인클로저인 커버(13)의 저면에 슬릿 또는 구멍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슬랫(81)의 겹침량(Y1)은 슬랫(81) 사이의 간극(Z1)의 2배 이상이 되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즉, 슬랫(81)의 간극(Z1)에 대하여 겹침량(Y1)은 크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단일 부재로서 루버(80)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해,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루버(80)는 제1 루버 부재(82) 및 제2 루버 부재(83)의 2개의 의 부재로부터 조립되기 때문에, UL 규격을 충족하는 큰 겹침량(Y1)을 갖는 루버(80)를 사출 성형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비용이며 양산에 적합한 루버(8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슬랫(81)은, 커버(13)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누설 액체를 저류할 수 있는 저류부(86)를 그 상면 측에 각각 갖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장부(30)의 캐패시터로부터의 액체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누설 액체를 저류부(86)에 저류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에의 액체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루버(80)가 장치 본체(10)의 후방측(B)에 부착된 커버(13)의 하면(13a)에 부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루버(80)의 위치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루버(80)는 장치 본체(10)의 측면에 부착된 커버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슬랫(81)이 그 상면 측에 저류부(86)를 각각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성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저류부(86)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커버의 내부가 전장부 하방의 공간과 연통하게 하는 루버가 커버의 저면에 제공된다. 전장부는 그 하방에 공간이 제공되도록 제공되고, 커버가 전장부를 덮는다. 이에 따르면, 장치 본체의 측면이 벽면과 접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루버가 차단되지 않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벽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루버가 커버의 하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상방 혹은 측방으로부터 볼 때 커버의 내부가 루버를 통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 본체에 루버를 제공하면서도 장치 본체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장치 본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전장부로서, 상기 전장부의 하방에 공간이 제공되는,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내부가 상기 커버의 외부와 연통하게 하며, 상기 커버의 하면부에 제공된 루버(louver)를 포함하며,
    상기 루버는 제1 루버 부재 및 제2 루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루버 부재는 상기 슬랫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루버 부재는, 상기 제1 루버 부재와 상이한 부재이며, 상기 제1 슬랫부의 하방에서 상기 루버의 정면 모습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슬랫부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랫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제2 슬랫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그 상면측에,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유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된 저류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슬랫의 정렬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슬랫의 정렬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경사면의 하단부가 상기 제2 경사면의 하단부와 연속하도록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랫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루버의 제1 측이 상기 슬랫의 정렬 방향으로 상기 루버의 제2 측보다 낮도록 상기 커버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슬랫부는 제1 겹침부 및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겹침부는 상기 정렬 방향을 따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정렬 방향의 제2 측의 상기 제1 겹침부의 단부로부터 대각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정렬 방향의 제2 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랫부는 제2 겹침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겹침부는 상기 정렬 방향을 따른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정렬 방향의 제1 측의 상기 제2 겹침부의 단부로부터 대각 상방으로 그리고 상기 정렬 방향의 제1 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정렬 방향이 0°<θ≤5°를 만족하는 경사각(θ)만큼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커버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방향의 제2 측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선단부와 상기 정렬 방향의 제1 측의 상기 제2 연결부의 선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선단부의 상면이 상기 제1 연결부의 선단부의 저면 하방에 있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정면 모습에서 상기 제1 슬랫부와 상기 제2 슬랫부 사이의 겹침량이 상기 제1 슬랫부와 상기 제2 슬랫부 사이의 간극의 2배 이상인, 화상 형성 장치.
  9. 화상 형성 장치이며,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보다 후방측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회로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루버 유닛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하게 하고, 상기 루버 유닛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 미리정해진 크기의 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 기판의 하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부착되며, 제1 루버부 및 제2 루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루버부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루버부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랫부를 포함하는, 루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되는 면과 상기 루버 유닛이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루버부는,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상기 루버 유닛을 보는 경우에, 상기 제2 루버부의 상기 슬랫부들이 상기 제1 루버부의 개구와 각각 겹치고, 상기 제1 루버부의 개구, 상기 제1 루버부와 상기 제2 루버부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제2 루버부의 개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루버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루버부는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낙하하는 유체를 저류하도록 구성된 저류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루버부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2 루버부의 복수의 슬랫부의 정렬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정렬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면의 하단부가 상기 제2 경사면의 하단부와 연속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저류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전해액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62676A 2016-05-23 2017-05-22 화상 형성 장치 KR102121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2258 2016-05-23
JP2016102258A JP6739999B2 (ja) 2016-05-23 2016-05-23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95A true KR20170132095A (ko) 2017-12-01
KR102121831B1 KR102121831B1 (ko) 2020-06-26

Family

ID=5866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76A KR102121831B1 (ko) 2016-05-23 2017-05-2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10449B2 (ko)
EP (1) EP3248789B1 (ko)
JP (1) JP6739999B2 (ko)
KR (1) KR102121831B1 (ko)
CN (1) CN107422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6440A (ja) 2019-10-01 2021-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334125B1 (en) * 2020-10-27 2022-05-1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visually dynamic bez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053A (ja) * 1994-08-30 1996-03-12 Casio Comput Co Ltd 画像投影機の吸排気口構造
JPH08101458A (ja) * 1994-10-03 1996-04-16 Sony Corp 電子機器用筐体
JPH09281876A (ja) * 1996-04-15 1997-10-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排気装置
JP2009210862A (ja) * 2008-03-05 2009-09-1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14239167A (ja) * 2013-06-07 2014-12-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8577A (en) * 1980-11-04 1982-05-17 Ricoh Co Ltd Copier incorporating dropwise condensation device
EP0419881A1 (en) * 1989-08-31 1991-04-03 Mita Industrial Co., Ltd. A coating material for obstructing optical flare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714510B2 (ja) * 1992-02-04 1998-02-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の外装構造
JP2003076253A (ja) 2001-08-31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58117A (ja) * 2003-02-24 2004-09-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751681B2 (ja) * 2004-11-12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60314B2 (ja) * 2005-11-09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77860B2 (en) * 2006-08-25 2009-01-13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air channel that communicates with a handle for a sheet cassette
JP4961896B2 (ja) * 2006-08-28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19653B2 (ja) * 2006-12-04 2013-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96255B2 (ja) * 2008-08-11 2013-05-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導風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06747B2 (ja) * 2008-11-17 2011-06-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18092B2 (ja) * 2009-09-11 2014-02-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585054B2 (ja) * 2009-11-12 2014-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排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51815B2 (en) * 2010-07-19 2013-0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apor emissions from a printer
JP2012073596A (ja) * 2010-08-30 2012-04-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679786B2 (ja) * 2010-12-02 2015-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953774B2 (ja) * 2012-01-31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29710B2 (ja) * 2012-03-09 2014-11-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94707B2 (ja) * 2012-03-19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031448B2 (en) * 2012-06-28 2015-05-12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artition that forms part of a cooling air path when a cover is closed but permits access to an image forming unit when the cover is open
JP6070033B2 (ja) * 2012-10-03 2017-02-01 株式会社リコー 空調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空調流路切替方法
JP2014106284A (ja) * 2012-11-26 2014-06-09 Ricoh Co Ltd 冷却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2977B2 (ja) * 2013-03-08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16135B2 (ja) * 2013-03-29 2017-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36312B2 (ja) * 2013-04-26 2015-12-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4298B2 (ja) * 2015-01-2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02705B2 (ja) * 2015-12-08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053A (ja) * 1994-08-30 1996-03-12 Casio Comput Co Ltd 画像投影機の吸排気口構造
JPH08101458A (ja) * 1994-10-03 1996-04-16 Sony Corp 電子機器用筐体
JPH09281876A (ja) * 1996-04-15 1997-10-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排気装置
JP2009210862A (ja) * 2008-03-05 2009-09-1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14239167A (ja) * 2013-06-07 2014-12-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2620B (zh) 2021-04-16
CN107422620A (zh) 2017-12-01
JP2017211407A (ja) 2017-11-30
JP6739999B2 (ja) 2020-08-12
US20170336758A1 (en) 2017-11-23
US10310449B2 (en) 2019-06-04
EP3248789A1 (en) 2017-11-29
KR102121831B1 (ko) 2020-06-26
EP3248789B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18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732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creased noise resistance
JP2007199505A (ja) 現像剤補給装置
JP581657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212164A1 (en) Cool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KR10212183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392022B2 (ja) 画像形成装置
US89348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39335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17658A (ja) 画像形成装置
US78136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198487A (zh) 显影装置及具有该显影装置的图像形成装置
US7809306B2 (en) Process cartridge
US9310763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ntake duct
US93044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ischarge tray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92744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ternally provided with shield for preventing foreign light from reaching light sensitive area
US2015009314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18522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7478A (ja) 画像形成装置
US92801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venting
JP2023057434A (ja) 画像形成装置
CN113917816A (zh) 成像装置
JP20230807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449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6439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