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225A -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225A
KR20170131225A KR1020170059056A KR20170059056A KR20170131225A KR 20170131225 A KR20170131225 A KR 20170131225A KR 1020170059056 A KR1020170059056 A KR 1020170059056A KR 20170059056 A KR20170059056 A KR 20170059056A KR 20170131225 A KR20170131225 A KR 20170131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election screen
floor plan
view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065B1 (ko
Inventor
요시히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3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a collection of video files or sequ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리 대상의 시설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표시시켜야 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와,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와,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가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 그 선택 지시에 기초하여,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가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는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시설 내의 각종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빌딩 등의 시설 내에서의 각종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관리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 내의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정한 플로어, 혹은, 계통의 서머리 그래프를 표시시켜, 각종 감시 포인트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서브 화면에 각종 감시 화면의 메뉴를 표시시키고, 그 메뉴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감시 화면(서머리 그래프)을 메인 화면에 표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감시 포인트에 있어서 발생한 사상의 내용을 일람으로 하여 인자하고, 그 인자된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사상을 선택하면, 미리 기록해 둔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머리 그래프 상에, 선택된 사상에 따른 감시 포인트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설비 기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951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06816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기술에서는, 사용자는, 문자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되는 메뉴, 혹은, 일람표로부터, 원하는 감시 포인트의 상태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정을 행하기 때문에, 예컨대, 경험이 얕아 업무 스킬이 미숙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관리 대상의 시설의 물리적인 공간을 파악하기 어려워, 어떤 메뉴, 혹은, 사상을 선택하면, 표시시켜야 하는 서머리 그래프를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여, 보아야 하는 서머리 그래프에 바로 도달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는, 관리 대상의 시설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표시시켜야 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는,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와,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와,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 그 선택 지시에 기초하여,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가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는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관리 대상의 시설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표시시켜야 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관리 정보의 내용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감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이동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도 7의 단계 ST704에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도 9의 단계 ST904에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 관리 장치(1)는, 지시 접수부(11)와, 표시 제어부(12)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와, 데이터 기억부(14)와, 표시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시설 관리 장치(1)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CPU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지시 접수부(11)는, 시설 관리자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지시 접수부(11)는,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와,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로 이루어진다.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취지의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한다.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접수한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표시 제어부(12)의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에 출력한다.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선택 화면이란, 관리 대상의 시설 내에 있어서,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플로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말한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사용자로부터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한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접수한 플로어 선택 지시를, 표시 제어부(12)의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접수한 플로어 선택 지시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에 대하여, 선택된 플로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컨트롤러(2)로부터 취득시키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플로어 선택 지시 및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플로어의 계층 정보도 포함된다.
또한, 컨트롤러(2)는, 예컨대, 센서, 온도계, 전력계 등,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그 설비 기기에 관한 온도, 습도, 전력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설비 기기의 센서, 온도계, 전력계 등을 감시 포인트라고 하고, 그 감시 포인트로 취득되는 데이터, 즉, 감시 포인트의 값을, 감시 포인트 데이터라고 한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1대 이상의 컨트롤러(2)가, 예컨대, BACnet(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 등의 오픈 네트워크를 통해 시설 관리 장치(1)와 접속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선택 화면 표시 지시 및 플로어 선택 지시를 입력한다.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그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하고,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그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2)는,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정보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2)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와,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로 이루어진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로부터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취득하면, 데이터 기억부(14)의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로부터 취득한,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이때,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선택 화면에서 표시되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다른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로 차폐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적층된 상태로 사시 표시되도록,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로부터 플로어 선택 지시를 취득하면,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 기억부(14)의 기기 구성 데이터 기억부(142)로부터 취득한, 시설 내의 플로어에서의 설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플로어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감시 화면으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가 출력되면, 해당 플로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현재의, 즉, 최신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컨트롤러(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에는, 플로어의 계층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미리, 관리 대상의 시설 내의 각 플로어에 존재하는 감시 포인트와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2)가 대응된 관리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에 포함되는,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관리 정보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트롤러(2)를 특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여기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컨트롤러(2)로부터 현재의, 즉, 최신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컨트롤러(2)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는 서버(도시 생략)에서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그 서버로부터, 현재의, 즉, 최신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데이터 기억부(14)는,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 및 시설 내의 미리 정해진 플로어에서의 설비 기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픽 데이터를 기억한다.
데이터 기억부(14)는,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와, 기기 구성 데이터 기억부(142)를 갖는다.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는, 관리 대상의 시설마다, 그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기 구성 데이터 기억부(142)는, 관리 대상의 시설마다, 그 시설 내의 미리 정해진 플로어에서의 설비 기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픽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부(15)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이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의 제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는,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의 제어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감시 화면(서머리 그래프)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억부(14), 표시부(15)는, 시설 관리 장치(1)가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기억부(14), 표시부(15)는, 시설 관리 장치(1)의 외부의, 예컨대, 서버, 혹은, 엔지니어링 장치 등에 구비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지시 접수부(11)의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취지의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T201의 "아니오"의 경우),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하면(단계 ST201의 "예"의 경우), 접수한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에 출력한다.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예컨대, 표시부(15)에 표시된 「선택 화면 표시」 버튼을 누르는 등에 의해,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행한다.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그 사용자에 의한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입력 장치로부터 접수한다. 또한, 이때, 사용자는, 아울러, 관리 대상의 시설의 정보도 입력하도록 한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데이터 기억부(14)의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T202). 구체적으로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로부터 취득한,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이때,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선택 화면에서 표시되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다른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로 차폐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적층된 상태로 사시 표시되도록,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또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선택 화면 표시 지시에 포함되는 관리 대상의 시설의 정보와 합치하는 시설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한다.
도 3은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일례로서, 시설 관리 장치(1)가 「제1 빌딩」의 관리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제1 빌딩」은, 지하 1층 지상 9층의 10층의 건물인 것으로 하고 있다. 이때,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에는, 「제1 빌딩」에 대해서, 지하 1층 지상 9층의 10층이라고 하는 플로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그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빌딩」의 지하 1층 지상 9층까지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계층순으로, 「○F」라고 하는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다. 즉, 「제1 빌딩」의 플로어 평면도가, 계층순에 따라 10개 적층되어 표시된다.
이때,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즉, 계층순으로 적층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에 대해서, 각각의 계층을 나타내는 플로어 평면도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다른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로 차폐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도 3의 a)만큼 이격되어 적층된 상태로 표시시키도록 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은 일정하게 하며, 지하 1층부터 지상 9층까지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층계가 될수록 간격을 좁히도록 하여도 좋으며, 각 플로어 평면도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로 차폐되지 않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각 플로어 평면도를, 선택 화면 상, 앞쪽측으로 경사하여 보이도록, 사시 표시시킨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계층 정보는, 「1F」, 「2F」 등, 「○F」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된 플로어 평면의 계층 정보를 알 수 있는 표시이면 좋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플로어 평면은 직사각형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플로어 평면은, 타원형 등이어도 좋고,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각 플로어 평면도가, 각각 계층순으로 적층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 화면으로부터, 관리 대상의 시설 내에 있어서,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원하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할 때, 관리 대상의 시설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도 2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사용자로부터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203).
사용자는, 단계 ST2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킨 선택 화면(도 3 참조)을 확인하고, 시설 내의,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 장치인 마우스를 조작하여, 선택 화면 상의 원하는 플로어를 클릭한 후, 화면 상에 표시된 「플로어 결정」 버튼(도 3에서는 도시 생략)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행한다. 「플로어 결정」 버튼은,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단계 ST202에 있어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표시부(15)에 맞추어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혹은,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 장치인 키보드로부터 원하는 플로어의 계층을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고, 음성 입력에 의해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그 외의 방법으로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하는 것이어도 좋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입력 장치로부터, 그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1층의 플로어 평면도를 클릭하여 「플로어 결정」 버튼을 누르고, 「1F」를 선택하였다고 하면,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1층」이라고 하는, 선택된 플로어의 정보를 포함하는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한다.
단계 ST203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203의 "아니오"의 경우), 단계 ST203의 처리를 반복하며,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T203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203의 "예"의 경우),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접수한 플로어 선택 지시를,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를 출력한다.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가 출력되면, 해당 플로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현재의, 즉, 최신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컨트롤러(2)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T204). 구체적으로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관리 정보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여야 하는 컨트롤러(2)를 특정하고, 특정한 컨트롤러(2)로부터, 해당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도 4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관리 정보의 내용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정보에는, 시설마다, 계층 정보와, 설치된 설비 기기와, 설비 기기에 존재하는 감시 포인트와,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2)의 정보가 링킹되어 있다.
예컨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플로어의 계층 정보가 「1층」이었던 경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리 정보로부터, 「1층」에 설치된 설비 기기(A∼C)에 존재하는 감시 포인트인 「포인트 1」∼「포인트 30」 및 그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트롤러인 「컨트롤러 1」∼「컨트롤러 30」을 특정한다.
그리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컨트롤러 1」∼「컨트롤러 30」으로부터, 현재의, 즉, 최신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한다.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는, 단계 ST203에서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로부터 플로어 선택 지시가 출력되면, 단계 ST204에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가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 기억부(14)의 기기 구성 데이터 기억부(142)를 참조하여 시설 내의 플로어에서의 설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그래픽 데이터를 취득하며, 그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플로어에 대해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감시 화면(서머리 그래프)으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단계 ST205).
도 5는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감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1층의 플로어 평면도를 선택한 경우에, 1층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감시 포인트에서 취득된 현재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그 1층의 플로어 평면도에 중첩 표시시킨 서머리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시설 전체를 파악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플로어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화면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사용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하고(단계 ST203의 "예"의 경우), 그 선택된 플로어에 존재하는 모든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여, 감시 화면에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단계 ST204, 205), 그 감시 화면을 표시시킨 후, 더욱,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감시 포인트의 지정을 접수하여, 그 감시 화면으로부터, 지정된 감시 포인트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에 천이시켜 표시부(15)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는, 감시 화면 상의, 원하는 감시 포인트를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지정하고,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그 감시 포인트의 지정을 접수한다. 그리고,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감시 포인트의 지정 정보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에 출력하고,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는, 지정된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컨트롤러(2)로부터 취득하며,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122)는, 감시 화면으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13)가 취득한 미리 정해진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감시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감시 포인트 데이터의 상세한 정보를,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의 그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한 감시 포인트에 대해서, 그 외의 정보를 상세한 정보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하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지 않고, 시설 관리 장치(1)의 전원 투입 시 등에,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이 복수 있는 경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복수의 시설에 관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행할 때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복수의 시설을 지정하도록 하고,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는, 지정된 복수의 시설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 표시 지시를 접수한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111)가 접수한 선택 화면 표시 지시에 포함되는 복수의 시설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모든 시설에 관하여,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실제의 관리 상황에 맞는 선택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시설의 플로어 구성을 나타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원하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고자 하는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할 때, 관리 대상의 시설 전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도 3 참조)을 표시시키고, 사용자는, 그 선택 화면으로부터,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더욱,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시킨 각 플로어 평면도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를 보다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시키도록 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구성도는, 실시형태 1에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은, 실시형태 1에서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하는 흐름도는 생략한다.
단,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단계 ST2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에서의 각 플로어 평면도의 표시의 형태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플로어의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킬 때,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외주 형상을, 시설의 해당 플로어 위치에서의 단면도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표시시키도록 한다.
또한, 시설의 계층마다의 플로어의 단면도의 외주 형상은, 미리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에 기억시켜 두도록 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해당 플로어 위치에서의 단면도의 외주 형상을,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단면도로부터 특정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외주 형상을, 관리 대상의 시설 등의 해당 플로어 위치에서의 단면도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표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적층 표시가 전체적으로 시설의 외형에 근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설 전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게,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이동시킨다, 혹은,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시키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7의 단계 ST701, 702, 705∼707의 구체적인 동작은, 각각,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의 단계 ST201∼205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T7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데이터 기억부(14)의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면,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선택 화면에서의 원하는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는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703).
예컨대, 단계 ST7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도 3과 같은 선택 화면을 표시시켰다고 하면, 사용자는 그 선택 화면을 확인하고,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원하는 플로어 평면도를 클릭한 후, 화면 상에 표시된 「경사」 버튼(도 3에서는 도시 생략)을 누름으로써, 평면 기울임 지시를 행할 수 있다. 「경사」 버튼은,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단계 ST702에 있어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표시부(15)에 맞추어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것은 일례이며, 사용자는 그 외의 방법으로, 평면 기울임 지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T703에 있어서,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입력 장치로부터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T703에 있어서,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703의 "아니오"의 경우), 단계 ST704를 스킵하고, 단계 ST705로 진행한다.
단계 ST703에 있어서,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703의 "예"의 경우),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접수한 평면 기울임 지시를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에 출력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한 선택 화면으로 변경하여, 그 변경 후의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단계 ST704).
단계 ST7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한 선택 화면으로 변경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지정된 플로어보다 위의 층의 플로어 평면도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평행 이동시켜 표시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에 있어서, 「6F」의 계층 정보가 부여된 플로어 평면도, 즉, 6층의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가 기울임 지시를 행하였다고 하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6층의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위의, 7∼9층의 각 플로어 평면도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평행시켜 표시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그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단계 T702에 있어서 표시시킨 선택 화면에서의 간격보다 넓힌다. 예컨대, 6층의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7층의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이 넓혀져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그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여 표시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6층의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화면 위 앞쪽측으로 더욱 경사하여 표시시키도록 한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도 7의 단계 ST704에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가, 6층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는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그 평면 기울임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 화면에 있어서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에 있어서, 「6F」의 계층 정보가 부여된 플로어 평면도, 즉, 6층의 플로어의 평면 기울임 지시를 행한 경우의 변경 후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6층보다 상방에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 즉, 7∼9층의 각 플로어 평면도를, 도 3에 나타낸 거리(도 8의 a)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더욱 상방(도 8의 b)으로 평행 이동시켜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6층과 7층의 플로어 평면도의 사이의 거리가 커져, 6층과 7층의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이 넓혀진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그 거리가 커진 6층과 7층의 플로어 평면도 사이에, 6층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되는 면적이 커지도록, 앞쪽측으로 더욱 경사지게 하여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단계 ST7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확인하고,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를 판단한다.
도 7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사용자로부터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705).
단계 ST705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705의 "아니오"의 경우), 단계 ST703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T705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705의 "예"의 경우), 단계 ST706으로 진행한다. 이후의 구체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가,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그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면, 평면 기울인 지시 정보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선택한 플로어가,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인지의 여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단계 ST7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면, 단계 ST705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재차,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단계 ST7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킬 때,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상방으로 평행 이동시켜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즉, 전술한 예로 말하면 B1∼5F의 각 플로어 평면도를, 하방으로 평행 이동시켜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 및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상방, 혹은, 하방으로 평행 이동시켜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 혹은,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예컨대, 경사 우측 위 방향, 경사 좌측 아래 방향 등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더욱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그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보다 넓히도록 하여도 좋다.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여 표시시킬 때에, 그 지정된 플로어의 면적을 크게 표시하는 데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 지정된 플로어의 상방, 혹은,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에, 선택 화면으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9의 단계 ST901, 902, 905∼907의 구체적인 동작은, 각각,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의 단계 ST201∼205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T9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데이터 기억부(14)의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141)를 참조하여, 표시부(15)에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면,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선택 화면에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시키는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903).
예컨대, 단계 ST902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도 3과 같은 선택 화면을 표시시켰다고 하면, 사용자는 그 선택 화면을 확인하고,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로, 화면 상에 표시된 「시점 변경」 버튼(도 3에서는 도시 생략)을 누른 후, 플로어 평면도 상에서, 마우스를 원하는 시점이 될 때까지 드래그 조작하여, 「결정」 버튼(도 3에서는 도시 생략)을 눌러,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하는 시점을 변경시키는 시점 변경 지시를 행할 수 있다. 「시점 변경」 버튼, 「결정」 버튼은,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단계 ST902에 있어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표시부(15)에 맞추어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것은 일례이며, 사용자는 그 외의 방법으로, 시점 변경 지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T903에 있어서,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입력 장치로부터 그 시점 변경 지시를 취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T903에 있어서, 시점 변경 정보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903의 "아니오"의 경우), 단계 ST904를 스킵하고, 단계 ST905로 진행한다.
단계 ST903에 있어서,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903의 "예"의 경우),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접수한 시점 변경 지시를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에 출력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시점 변경 지시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시점을 변경한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형태를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단계 ST904).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도 9의 단계 ST904에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부(15)에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가, 선택 화면에서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적층 표시를 우측으로 45도 회전시키는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그 시점 변경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 화면에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 화면으로부터, 「시점 변경」 버튼을 누른 후, 플로어 평면도 상에서 마우스를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플로어 평면도의 적층 표시를 우측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정」 버튼을 눌러, 시점 변경 지시를 행한 경우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각 플로어 평면도의 적층 표시를 좌측 방향으로 45도 회전시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단계 ST9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확인하고,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원하는 플로어를 판단한다.
도 9의 흐름도로 되돌아간다.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는, 사용자로부터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905).
단계 ST905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905의 "아니오"의 경우), 단계 ST903으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T905에 있어서, 플로어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단계 ST905의 "예"의 경우), 단계 ST906으로 진행한다. 이후의 구체적인 동작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표시 플로어 접수부(112)가,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는, 그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면, 시점 변경 지시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시점을 변경한 각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부(15)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여러 가지 시점 방향으로부터 각 플로어 평면도가 표시된 선택 화면을 확인할 수 있어, 시설 전체를 보다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선택한 플로어가,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인지의 여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단계 ST904에 있어서,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시점 변경 지시에서 지정된 시점이 되도록, 플로어 평면도의 적층 표시의 표시 방향을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키면, 단계 ST905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121)가, 시점 변경 지시에서 지정된 시점이 되도록 표시 방향을 변경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5)에 표시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재차,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선택 화면에 있어서 적층 표시시킨 각 플로어 평면도에 대해서,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 즉,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플로어를,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2에서 설명한 시설 관리 장치(1)는, 빌딩, 공장, 플랜트 등의 모든 시설에 있어서, I/O 상태를 감시하는 시설 관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1: 시설 관리 장치 2: 컨트롤러
11: 지시 접수부 12: 표시 제어부
13: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 14: 데이터 기억부
15: 표시부 111: 선택 화면 지시 접수부
112: 표시 플로어 접수부 121: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
122: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 141: 플로어 데이터 기억부
142: 기기 구성 데이터 기억부

Claims (9)

  1.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와,
    상기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표시 플로어 접수부와,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상기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선택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가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는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택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적층한 상태로 경사지게 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택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각 플로어 평면도의 외주 형상을, 각각, 상기 시설의 플로어 위치에서의 단면도의 외주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는, 상기 선택 화면에 있어서 표시된 각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만드는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하고,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상기 평면 기울임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상기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상기 설정된 간격보다 넓게 하며, 상기 평면 기울임 지시에서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를, 상기 플로어 평면도의 경사를 크게 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상기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상기 설정된 간격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상기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상기 설정된 간격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보다 하방에 표시되어 있는 각 플로어 평면도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정된 플로어의 플로어 평면도와 상기 플로어 평면도의 상방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어 평면도의 간격을 상기 설정된 간격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는, 상기 선택 화면에 있어서 표시된 각 플로어 평면도의 시점을 변경시키는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상기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상기 시점 변경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시점 변경 지시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시점을 변경한 각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9. 선택 화면 표시 제어부가, 시설의 플로어마다의 플로어 평면도를 각각 계층 정보와 관련시켜 적층 표시시킨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와,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상기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의 상태를 표시시키는 플로어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와,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표시 플로어 접수부가 상기 선택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선택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 기기로부터 수집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감시 포인트 표시 제어부가, 상기 감시 포인트 데이터 취득부가 취득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중첩 표시된 플로어 평면도를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KR1020170059056A 2016-05-20 2017-05-12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KR101890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1436 2016-05-20
JP2016101436A JP6729966B2 (ja) 2016-05-20 2016-05-20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25A true KR20170131225A (ko) 2017-11-29
KR101890065B1 KR101890065B1 (ko) 2018-08-20

Family

ID=6041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056A KR101890065B1 (ko) 2016-05-20 2017-05-12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29966B2 (ko)
KR (1) KR101890065B1 (ko)
CN (1) CN107451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3759A (ja) * 2019-09-12 2021-03-1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491A (ja) * 1995-02-21 1996-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ル管理装置
JP2002189514A (ja) 2000-12-22 2002-07-05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施設管理装置
US20080058970A1 (en) * 2006-08-30 2008-03-06 Venkitasamy Perumalsam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ildings
KR20100136405A (ko) * 2009-06-18 2010-12-28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KR20130042547A (ko) * 2010-08-25 2013-04-26 아즈빌주식회사 설비 관리 장치, 화면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4206816A (ja) 2013-04-11 2014-10-30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監視装置及び施設監視方法
US20150212717A1 (en) * 2014-01-30 2015-07-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ashboard and control point configurato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778A (ja) * 1994-06-07 1995-12-22 Toshiba Corp 保守監視装置
JPH08278996A (ja) * 1995-04-06 1996-10-22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建屋内レイアウトの画面表示方法
JPH11306456A (ja) * 1998-04-15 1999-11-05 Nittan Co Ltd 火災表示装置
JP3705706B2 (ja) * 1998-10-30 2005-10-12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表示装置
US6873256B2 (en) * 2002-06-21 2005-03-29 Dorothy Lemelson Intelligent building alarm
JP2008159002A (ja) * 2006-12-26 2008-07-10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監視操作装置及びプラント監視プログラム
JP5313481B2 (ja) * 2007-10-26 2013-10-09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表示装置
JP5347663B2 (ja) * 2008-04-07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擬似3次元画面生成装置
JP2010203964A (ja) * 2009-03-04 2010-09-16 Toshiba Corp 下水道施設の監視制御システム
JP5474641B2 (ja) * 2009-04-17 2014-04-16 トモデータサービス有限会社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プログラム
JP5351802B2 (ja) * 2010-03-11 2013-11-27 アズビル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位置情報表示方法
JP5948901B2 (ja) * 2012-01-26 2016-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986816B2 (ja) * 2012-06-14 2016-09-06 株式会社ゼンリン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用プログラム
KR101391797B1 (ko) * 2012-12-07 2014-05-12 박두현 자기마커의 기울임조절이 가능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US9652115B2 (en) * 2013-02-26 2017-05-16 Google Inc. Vertical floor expansion on an interactive digital map
CN103150407A (zh) * 2013-03-29 2013-06-12 安科智慧城市技术(中国)有限公司 楼宇设施可视化展示方法及其展示装置
CN103530456B (zh) * 2013-10-10 2017-02-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五研究所 构建楼层平面图地图的方法及楼层平面图地图生成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491A (ja) * 1995-02-21 1996-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ル管理装置
JP2002189514A (ja) 2000-12-22 2002-07-05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施設管理装置
US20080058970A1 (en) * 2006-08-30 2008-03-06 Venkitasamy Perumalsam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ildings
KR20100136405A (ko) * 2009-06-18 2010-12-28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KR20130042547A (ko) * 2010-08-25 2013-04-26 아즈빌주식회사 설비 관리 장치, 화면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4206816A (ja) 2013-04-11 2014-10-30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監視装置及び施設監視方法
US20150212717A1 (en) * 2014-01-30 2015-07-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ashboard and control point configu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08017A (ja) 2017-11-24
JP6729966B2 (ja) 2020-07-29
CN107451174B (zh) 2021-03-16
CN107451174A (zh) 2017-12-08
KR101890065B1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878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with help and login for customization
US7715929B2 (en) Human-machine interface for a control system
JP5323103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967908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pping and proces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data
CA2746705C (en) Method and device to supervise a power network
US201000177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201202547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HMI In A Process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A Process
JP2003525489A (ja) 産業プラント設備管理システム
JP5751477B2 (ja) 工程管理システム、及び工程管理方法
Johansson et al. BIM and Virtual Reality (VR) at the construction site
KR20180092371A (ko)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US10761706B2 (en) Navigating an operational user interface for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890065B1 (ko)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WO20211788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EP1975754B1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to display technical data for monitoring an industrial installation
EP2343642A1 (en) User interface panel
Boring et al. RevealFlow: A process control visualization framework
St Germain et al. Development of Improved Graphical Displays for an Advanced Outage Control Center, Employing Human Factors Principles for Outage Schedule Management
CN102428430B (zh) 用于控制技术系统的监视控制系统和方法
KR20190102819A (ko) Hmi화면 작화 방법
WO2023199727A1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US20040221263A1 (en) Guided data entry
JP5504109B2 (ja) 電力管理用スケルトン画面の変更表示装置
WO20030918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 data representation
JP6523160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