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405A -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405A
KR20100136405A KR1020100043924A KR20100043924A KR20100136405A KR 20100136405 A KR20100136405 A KR 20100136405A KR 1020100043924 A KR1020100043924 A KR 1020100043924A KR 20100043924 A KR20100043924 A KR 20100043924A KR 20100136405 A KR20100136405 A KR 2010013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point data
management point
manage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10013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여, 보수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설 관리 장치는,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수단(2)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에 의해,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시설 설비의 무변화 상태를 검출하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건물 설비 등의 시설 관리 장치에는, 설비의 운전/정지 상태, 경보 정보, 기록/판독하는 설정값, 검출기(센서, 카메라 등)의 계측 정보와 같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가 1000점부터 수만점까지의 방대한 수로 되어 있다. 시설 관리 장치는 실시간으로 각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를 감시하여, 상태 변화의 정보(운전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정지 상태에서 운전 상태로 등), 경보 발생 정보, 계측값 추이 정보를 통지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5264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9-331362호 공보
종래의 시설 관리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가 있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는 검출 가능하고, 통지 및 그 후의 감시도 할 수 있지만, 그것과는 정반대로 변화가 없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는 체크 기능이 특별히 없어,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관리 포인트 데이터 그 자체를 감시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 무변화인 경우에 이것을 통지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여, 보수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는,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이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에 의해,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감시 결과 통지 수단은 감시 화면에 각 설비의 정보를,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기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방법은,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단계와,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와,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에서,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방법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에서는, 감시 기간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방법은, 감시 결과 통지 단계의 통지를 접수하고, 시설 관리 장치의 감시 화면에 각 설비의 정보를,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기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게 하는 감시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변화가 없는 경우라도 통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설비 기기가 실제로는 고장나 있거나 또는 데이터 파일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의 단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터넌스 시의 원인 추구 및 진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이 계속되고 있는 설비 기기를 추출함으로써 사용 에너지를 감시할 수 있어, 낭비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여, 보수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적절한 무변화 기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변화 기간이 긴 순서대로 각 설비의 정보를 랭킹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방대한 데이터량이어도 진단 및 문제의 유무 판단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추출 및 집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디지털 관리 포인트 데이터, 도 3의 (b)는 아날로그 관리 포인트 데이터, 도 3의 (c)는 적산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시계열적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시설 관리 장치는, 시설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에 따른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수단(2)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과,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수단(4)과, 각 설비의 정보를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기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는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을 구비한다.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은, 시설 설비를 운전 및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정해진 주기로 수집하고, 수집한 현재 값을 이번 값으로서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며, 관리 포인트 데이터로서 관리한다.
감시 기간 설정 수단(2)은, 각 설비에 대해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디지털 데이터, 아날로그 데이터, 적산 데이터 등)에 따라서, 감시 기간을 미리 설정해 둔다. 예컨대 설비 기기의 운전 정지가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이면 감시 기간을 48 시간으로 한다. 또한, 실내 온도가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출력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이면 감시 기간을 24 시간으로 한다. 또한, 전력량의 적산 데이터가 출력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이면 감시 기간을 72 시간으로 한다.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를 구비하고, 감시 기간이 시작되면 그 카운트를 시작한다. 그리고,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취득한 이번 값과 메모리에서 관리되는 전회값을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 경우에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한편, 변화가 없는 경우는 카운트를 진행시키며, 카운트가 감시 기간을 초과하면, 감시 기간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무변화의 감시 결과(주의 정보)를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에 출력한다.
한편, 이번 값이 전회 값으로부터 변화되고,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변화가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상태 변화 감시 결과(상태 변화 검출 정보)를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결과를 통신 회선 등을 경유하여 외부에 통지할 수도 있다.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으로부터 주의 정보를 수신하면,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이 구비하는 표시 화면에, 감시 기간 동안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에 변화가 없던 설비를 주의 환기 정보(주의)로서 표시한다. 또한,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을 화면 표시 기능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 기능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주의 환기 정보를 화면 표시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으로부터 상태 변화 검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에 그 취지를 화면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감시 기간 설정 수단(2)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타입마다 감시 기간의 정보를 참조하여,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수집하는 각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에 따른 감시 기간을 각각 등록한다(단계 ST1, 감시 기간 설정 단계).
여기서는 일례로서, 설비 기기의 운전을 「1」, 정지를 「0」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관리 포인트 #D1, #D2로 정의하고, 실내 온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데이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관리 포인트 #A1, #A2로 정의하며, 전력량의 적산 데이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관리 포인트 #I1, #I2로 정의하여, 이들 합계 6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감시 기간 설정 수단(2)에 의해, 관리 포인트 #D1, #D2에 감시 기간 48시간이 등록되고, 관리 포인트 #A1, #A2에 감시 기간 24 시간이 등록되며, 관리 포인트 #I1, #I2에 감시 기간 72 시간이 등록된 것으로 한다.
각 설비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감시가 시작되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이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고,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각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을 시작한다(단계 ST2). 그리고,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정해진 주기에서 이번 값을 취득하고(단계 ST3,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단계),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이 이번 값과 전회 값을 비교한다(단계 ST4).
도 3은 실시형태 1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a)는 관리 포인트 #D1, #D2의 디지털 데이터의 시계열적 그래프이다. 또한, 도 3에서, 각 화살표는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 기간을 나타내고, 화살표가 새로운 화살표로 전환되는 시점은 감시 기간 타이머가 리셋된 것을 나타낸다.
시점 A에서 취득된 관리 포인트 #D1, #D2의 이번 값이 전회 값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단계 ST4 "YES"),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관리 포인트 #D1, #D2의 각 감시 기간 타이머를 리셋한다(단계 ST5). 또한, 이 때, 도 2의 흐름도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으로부터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에 상태 변화 검출 정보를 통지하고,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에 화면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감시 기간 48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단계 ST7 "NO"), 다음 정해진 주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을 대기한다.
시점 B에서 취득된 관리 포인트 #D1의 이번 값은 전회 값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단계 ST4 "YES"),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를 리셋한다(단계 ST5). 또한, 이 때, 시점 A와 마찬가지로,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상태 변화 검출 정보를 통지하여, 화면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감시 기간 48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단계 ST7 "NO"), 다음 정해진 주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을 대기한다.
한편, 시점 B에서 취득된 관리 포인트 #D2의 이번 값은 전회 값과 일치하기 때문에(단계 ST4 "NO"),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를 카운트한다(단계 ST6).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감시 기간 48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단계 ST7 "NO"), 다음 정해진 주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을 대기한다.
시점 C에서 취득된 관리 포인트 #D1, #D2의 이번 값은 전회 값과 일치하여(단계 ST4 "NO"), 각 감시 기간 타이머가 각각 카운트된다(단계 ST6).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관리 포인트 #D1의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감시 기간 48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단계 ST7 "NO"), 다음 정해진 주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을 대기한다.
한편, 관리 포인트 #D2의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감시 기간 48 시간을 초과했기 때문에(단계 ST7 "YES"),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은 관리 포인트 #D2의 주의 정보를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에 통지한다(단계 ST8, 감시 결과 통지 단계). 그리고,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이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의 표시 화면에 주의 정보에 기초한 주의 환기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단계 ST9, 감시 결과 표시 단계). 또한, 단계 ST4∼ST7이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이다.
도 3의 (b)는 관리 포인트 #A1, #A2의 아날로그 데이터의 시계열적 그래프이다. 관리 포인트 #A1의 실내 온도를 나타내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에 의해 온도 변화가 검출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의 검출 때마다,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리셋되어 감시 기간을 초과하지 않고, 주의 정보가 통지되는 경우도 없다. 한편, 관리 포인트 #A2의 실내 온도를 나타내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는 시점 D의 온도 변화 검출 이후, 값이 일정하고 변화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시 기간 타이머가 리셋되지 않고 계속 카운트되며, 시점 E에서 감시 기간 24 시간을 초과하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으로부터 주의 정보가 통지된다.
도 3의 (c)는 관리 포인트 #I1, #I2의 적산 데이터의 시계열적 그래프이다. 관리 포인트 #I1의 전력량 적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에 의해 적산값의 변화가 검출되기 때문에, 적산값 변화의 검출 때마다, 감시 기간 타이머의 카운트가 리셋되어 감시 기간을 초과하지 않고, 주의 정보가 통지되지도 않는다. 한편, 관리 포인트 #I2의 전력량 적산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는 시점 F의 적산값 변화 검출 이후, 값이 일정하고 변화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시 기간 타이머가 리셋되지 않아 계속 카운트되고, 시점 G에서 감시 기간 72 시간을 초과하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으로부터 주의 정보가 통지된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은 감시 화면(10) 상에, 주의 환기 정보(11)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관리 포인트 #D2(4F 동쪽 집무실 A)의 기기에 상태 변화가 없는 것, 관리 포인트 #A2(4F 동쪽 집무실 A)에 온도 변화가 없는 것, 관리 포인트 #I2(1F 서쪽 전력량)에 적산값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주의 환기 정보(11)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이 주의 환기 정보(11)로부터, 인식 불능 고장(접점 고장 등) 또는 데이터 파일의 부정에 의해, 원래 변화가 있는 기기 상태, 실내 온도, 전력량 적산값과 같은 관리 포인트 데이터 또는 그 설비 기기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주의 환기 정보(11)로부터, 운전이 계속되고 있는 설비 기기를 선별할 수 있어, 에너지 낭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주의 환기 정보(11)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시간이 긴 순서대로 그 설비의 정보를 랭킹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72 시간 적산값 변화가 없는 관리 포인트 #I2(1F 서쪽 전력량), 48 시간 상태 변화가 없는 관리 포인트 #D2(4F 동쪽 집무실 A), 24 시간 온도 변화가 없는 관리 포인트 #A2(4F 동쪽 집무실 A)의 순서로 주의 환기 정보(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대상이 되는 설비수가 많으면,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변화가 없는 시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부터,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준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수단(2)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1)이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과,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에 의해,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을 구비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설비의 관리 포인트 데이터마다 변화가 없는 기간을 감시함으로써, 인식 불능 고장 또는 데이터 파일의 기록 및 판독에 문제가 있는 등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메인터넌스 시의 고장 원인의 추구, 진단, 데이터의 정확도의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3)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이 계속되고 있는 기기를 선별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검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시 결과 통지 수단(4)의 주의 정보가 통지되면, 감시 결과 표시 수단(5)이 감시 화면(10)에 주의 환기 정보(11)를 표시하지만, 이 주의 환기 정보(11) 상의 각 설비의 정보를,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시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도록 구성했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 시에, 방대한 데이터량이어도, 시설 설비의 진단 및 문제의 유무 판단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추출 및 집약할 수 있다.
1: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
2: 감시 기간 설정 수단
3: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
4: 감시 결과 통지 수단
5: 감시 결과 표시 수단
10: 감시 화면
11: 주의 환기 정보

Claims (6)

  1. 시설 내 설비의 운전을 감시하기 위한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수단이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과,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감시 기간 내에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결과 통지 수단은 감시 화면에 각 설비의 정보를,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기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4. 시설 내 설비의 운전을 감시하기 위한 시설 관리 장치의 시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취득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전회 값과 이번 값을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감시 기간 내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와,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에서, 상기 감시 기간 내에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취지를 통지하는 감시 결과 통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타입마다, 감시 기간을 설정하는 감시 기간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포인트 데이터 감시 단계에서는, 상기 감시 기간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감시 기간 내에 관리 포인트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결과 통지 단계의 통지를 접수하고, 시설 관리 장치의 감시 화면에 각 설비의 정보를, 전회 값과 이번 값이 일치하는 기간이 긴 순서대로 랭킹 표시하게 하는 감시 결과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KR1020100043924A 2009-06-18 2010-05-11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KR20100136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5411A JP2011003007A (ja) 2009-06-18 2009-06-18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JPJP-P-2009-145411 2009-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405A true KR20100136405A (ko) 2010-12-28

Family

ID=4335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924A KR20100136405A (ko) 2009-06-18 2010-05-11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24700A1 (ko)
JP (1) JP2011003007A (ko)
KR (1) KR20100136405A (ko)
CN (1) CN101930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225A (ko) * 2016-05-20 2017-11-29 아즈빌주식회사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3382A1 (en) * 2011-06-15 2012-12-20 Expa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and optimize energy usage for a facility
JP6767166B2 (ja) * 2016-05-25 2020-10-14 アズビル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29967B2 (ja) * 2016-06-02 2020-07-29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装置
JP2018036938A (ja) * 2016-09-01 2018-03-0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施設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69314B1 (en) * 1974-03-28 1976-07-29 Ivo Kouklik Method of particular independently running group-controlled knitting frames positions' parameters conversion and device for execution of this method
US5191313A (en) * 1991-09-12 1993-03-02 Honeywell Inc. Method of continuous monitoring of process variables of varying grades of a product within a process control system
JP4664469B2 (ja) * 2000-06-13 2011-04-06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4005328B2 (ja) * 2001-09-26 2007-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US7325171B2 (en) * 2005-02-22 2008-01-29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Measurement and data acquisition system including a real-time monitoring circuit for implementing control loop applications
JP4718253B2 (ja) * 2005-06-17 2011-07-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監視カメラの画像異常検出装置
JP2007188405A (ja) * 2006-01-16 2007-07-26 Nec Electronics Corp 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US20070225848A1 (en) * 2006-03-24 2007-09-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and Accurate Manufacturing Delivery Schedule
US8009027B2 (en) * 2006-05-31 2011-08-30 Infineon Technologies Ag Contactless sensor systems and methods
JP2008015568A (ja) * 2006-06-30 2008-01-24 Toshiba Corp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およ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ホストサーバおよびホストサーバ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8230781A (ja) * 2007-03-20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診断システム
JP4337923B2 (ja) * 2007-09-27 2009-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監視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JP5363008B2 (ja) * 2008-02-28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劣化判定装置
US8159358B2 (en) * 2008-05-12 2012-04-17 Enraf B.V.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age tank hatch monitoring in a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225A (ko) * 2016-05-20 2017-11-29 아즈빌주식회사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03007A (ja) 2011-01-06
CN101930228A (zh) 2010-12-29
US20100324700A1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1216A (zh) 用于检测机械系统|以及调整与所述机械系统关联的极限值以反映|机械系统的当前条件的监测系统和方法
KR20100136405A (ko) 시설 관리 장치 및 시설 관리 방법
KR102103144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KR102103146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KR102314069B1 (ko) 자동화 시스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00029513A (ja) プロセスデータ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102103145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KR102103149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KR102103151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JP6205945B2 (ja) 伝送装置、伝送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伝送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685950B1 (ko)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올인원 녹화 장치
KR20180121389A (ko) 시설 감시 장치
JP6503541B2 (ja) ポンプ異常検知システム、ポンプ異常検知方法、及びポンプ異常検知プログラム
JP2020511217A5 (ko)
KR102103152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JP6369895B2 (ja) モータ異常検知システム、モータ異常検知方法、及びモータ異常検知プログラム
KR102555156B1 (ko)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KR102103147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JP3643442B2 (ja) 冷熱機器の遠隔監視装置
JP2018191217A (ja) データ監視装置、データ監視方法及びデータ監視プログラム
KR20130117596A (ko) 에이치엠아이 시스템의 알람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6791612B (zh) 总控端的视频显示方法、系统及监控视频显示系统
KR102052148B1 (ko)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0198410A (ja) サーバ故障予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