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148B1 -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148B1
KR102052148B1 KR1020170171341A KR20170171341A KR102052148B1 KR 102052148 B1 KR102052148 B1 KR 102052148B1 KR 1020170171341 A KR1020170171341 A KR 1020170171341A KR 20170171341 A KR20170171341 A KR 20170171341A KR 102052148 B1 KR102052148 B1 KR 10205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unit
user identification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880A (ko
Inventor
다카시 혼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6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관리 대상의 정보나 감시 관리 대상에서 발생한 사상(事象)을, 통지 대상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비 정보 취득부(103)는,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로부터 취출한다. 설비 정보 취득부(103)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로부터 취출된 권한에 대응하는 감시 관리 대상의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102)로부터 취출한다. 표시 제어부(104)는,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검출부(105)는,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한다. 통지부(106)는, 검출부(105)가 검출한 사상을 통지한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Y}
본 발명은, 시설 내의 각종 설비의 상태를 감시 관리하는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넌트 빌딩 등에 있어서는, 시설 설비의 운전 제어 및 운전 상태의 감시 관리가, 24시간 체제로 실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시설 설비의 운전 제어 및 감시 관리를 행하기 위한 시설 관리 장치는 중앙 감시실이나 경비실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전 조작 및 감시 확인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관리 시스템에는, 감시 및 관리의 대상이 되는 설비나 기기가 다수에 걸쳐 있고, 이들을 나타내는 정보도 다종다양하게 걸쳐 있다. 또한, 시스템의 효율화 및 여러 가지 안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에러, 이상 등의 사상(事象)을, 시스템 사용자에게 신속히 통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컨대, 모니터에 의해, 항상 표시 영역이나 팝업 화면 등에 의해, 발생한 사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상의 통지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감시 관리 시스템에서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에 의해, 감시 및 관리 대상의 범위가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3181호 공보
그런데, 24시간 체제로 모든 감시 관리를 실시하는 중앙 관리 부서는,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이외에 배치되어, 원격으로 감시 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긴급 대응을 실시하기 위한 부서는, 대상이 되는 설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긴급 대응용의 현장 부서에 있어서는, 시각에 따라 필요한 경보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컨대, 상용 시설의 빌딩 관리에서는, 주간과 야간에서는, 주의해야 할 경보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야간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경보라도, 현장 부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통지되게 된다. 감시 관리 범위가, 사용자마다 상이하지만, 동일한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주간과 야간에서 감시 범위가 상이한 경우, 야간에서는 불필요한 경보가, 사용자에게 통지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 과다의 상황은, 실제로 필요한 중요 정보(경보)를 놓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감시 관리 대상의 정보나 감시 관리 대상에서 발생한 사상을, 통지 대상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장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과 시간대마다의 권한을 대응시켜 기억하는 사용자 식별 기억부와,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권한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설비 정보 기억부와,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식별 기억부로부터 취출하고, 취출된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된 설비 정보 취득부와, 설비 정보 취득부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와, 설비 정보 취득부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검출부가 검출한 사상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시간 측정부와,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구성된 로그인 상태 변경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방법은,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식별 기억부로부터 취출하고, 취출된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출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에서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제1 단계에서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제3 단계에서 검출한 사상을 통지하는 제4 단계를 구비하고, 사용자 식별 기억부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과 시간대마다의 권한을 대응시켜 기억하고, 설비 정보 기억부는,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상기 권한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상기 시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하는 제5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관리 대상의 정보나 감시 관리 대상에서 발생한 사상을, 통지 대상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 시설 관리 장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 설비 정보 기억부(102), 설비 정보 취득부(103), 표시 제어부(104), 검출부(105), 통지부(106), 표시부(107)를 구비한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과 시간대마다의 권한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설비 정보 기억부(102)는,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상기한 권한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설비 정보 기억부(102)는,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설비에 관한 정보로는, 예컨대, 시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시설 설비의 명칭인 「컴프레서」 및 「드라이어」, 및 압력, 온도, 풍량 등의 목표치·상태치가 있고, 또한, 운전 시간, 발진/정지 회수, 원단위 등이 있다.
설비 정보 취득부(103)는,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설비 정보 취득부(103)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로부터 취출된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102)로부터 취출한다.
표시 제어부(104)는,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검출부(105)는,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식별)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한다.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은, 예컨대,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이상이다. 통지부(106)는, 검출부(105)가 검출한 사상을 통지한다.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이, 예컨대 이상이라면, 사상의 통지는, 경보가 된다. 사상의 통지는, 예컨대, 표시부(107)에 표시한다. 또한, 검출된 사상이 이상인 경우, 경보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동작시켜 경보를 발령시킴으로써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관리 장치는, 시간 계측부(108),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를 구비한다. 시간 측정부(108)는,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예컨대, 시간 측정부(108)는, 초기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가 시작되면, 이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는, 시간 측정부(108)가 측정한 시간(로그인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한다. 예컨대,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는, 로그인 상태를 해소한 후, 상기 디폴트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상태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예(시설 관리 방법)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201에서, 디폴트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이 이루어면(단계 S201의 yes), 단계 S202에서,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정보 기억부(101)로부터 취출한다. 다음에, 단계 S203에서,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된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102)로부터 취출한다[제1 단계].
다음에, 단계 S204에서, 표시 제어부(104)는,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106)에 표시한다[제2 단계]. 예컨대, 시설 설비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컴프레서」가 표시되고, 또한, 풍량의 목표치·상태치, 운전 시간, 발진/정지 회수 등이 표시된다.
다음에, 단계 S205에서,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가, 로그인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간 측정부(108)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로그인 시간)이 측정되고 있다.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가, 로그인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단계 205의 no),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 검출부(105)가, 설비 정보 취득부(103)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하면(단계 S206의 yes)[제3 단계], 단계 S207에서, 통지부(106)가, 검출부(105)가 검출한 사상을 통지한다[제4 단계]. 검출부(105)가, 상기한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단계 S206의 no), 단계 S204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205에서,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가, 로그인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면(단계 S205의 yes),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는,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한다[제5 단계]. 또한, 로그인 상태 변경부(109)는, 로그인 상태를 해소하면, 초기 설정되어 있는 디폴트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상태로 한다. 또한, 단계 S201에서, 디폴트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단계 S209에서, 종료의 판단을 행하고, 종료가 판단되면(단계 S209의 yes), 시설 관리 장치의 동작을 종료한다.
전술한 시설 관리 장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연산 처리 장치)와 주기억 장치와 외부 기억 장치와 네트워크 접속 장치 등을 구비한 컴퓨터 기기이며, 주기억 장치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의해 CPU가 동작함으로써, 전술한 각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각 기능은, 복수의 컴퓨터 기기에 분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우선,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을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시간대마다의 권한과 함께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통지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 설비의 정보나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통지 대상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 및 조합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101 : 사용자 정보 기억부 102 : 설비 정보 기억부
103 : 설비 정보 취득부 104 : 표시 제어부
105 : 검출부 106 : 통지부
107 : 표시부 108 : 시간 계측부
109 : 로그인 상태 변경부

Claims (4)

  1. 시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과 시간대마다의 권한을 대응시켜 기억하는 사용자 식별 기억부와,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상기 권한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설비 정보 기억부와,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상기 사용자 식별 기억부로부터 취출하고, 취출된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상기 설비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된 설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설비 정보 취득부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와,
    상기 설비 정보 취득부가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事象)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사상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 정보 취득부는, 상기 검출부가 사상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권한 및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취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시간 측정부와,
    상기 시간 측정부가 측정한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하도록 구성된 로그인 상태 변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장치.
  3. 시설 관리 방법에 있어서,
    로그인시에 입력된 사용자 식별에 대응하는 로그인 시간대에 있어서의 권한을 사용자 식별 기억부로부터 취출하고, 취출된 상기 권한에 대응하는 시설 설비의 정보를 설비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취출한 시설 설비의 정보로 특정되는 시설 설비에서 발생한 사상을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검출한 사상을 통지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기억부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과 시간대마다의 권한을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설비 정보 기억부는, 감시 관리 대상이 되는 상기 시설 설비의 정보를 상기 권한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의 경과 시간이 규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에 의한 로그인 상태를 해소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KR1020170171341A 2016-12-14 2017-12-13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52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1998A JP2018097640A (ja) 2016-12-14 2016-12-14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JP-P-2016-241998 2016-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80A KR20180068880A (ko) 2018-06-22
KR102052148B1 true KR102052148B1 (ko) 2019-12-05

Family

ID=6263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341A KR102052148B1 (ko) 2016-12-14 2017-12-13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097640A (ko)
KR (1) KR102052148B1 (ko)
CN (1) CN1082297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789B1 (ko) * 2019-01-07 2020-04-06 성진계장 주식회사 상태이력 팝업창을 제공하는 건축시설물 원격 관리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7725A (ja) * 1999-03-15 2000-09-29 Toshiba Corp 音声通知装置
JP2007249417A (ja) * 2006-03-14 2007-09-2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11086012A (ja) * 2009-10-14 2011-04-28 Hitachi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40544A (zh) * 2003-04-22 2004-10-27 联想(北京)有限公司 在线用户状态信息跟踪及控制方法
KR20050066081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빌딩설비 원격제어시스템
JP2011113181A (ja) 2009-11-25 2011-06-09 Yamatake Corp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JP6145034B2 (ja) * 2013-12-03 2017-06-07 アズビル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
JP6334930B2 (ja) * 2014-01-27 2018-05-30 アズビル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
CN105488366B (zh) * 2014-10-13 2019-12-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数据权限的控制方法和系统
CN104780167B (zh) * 2015-03-27 2018-11-27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账号登录方法及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7725A (ja) * 1999-03-15 2000-09-29 Toshiba Corp 音声通知装置
JP2007249417A (ja) * 2006-03-14 2007-09-2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11086012A (ja) * 2009-10-14 2011-04-28 Hitachi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97640A (ja) 2018-06-21
KR20180068880A (ko) 2018-06-22
CN108229794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166B2 (ja) 故障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3504102A (ja) 火災、可燃ガス報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00068441A (ko)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
US20150279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using smart alarms
KR20150080127A (ko)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JP2014167706A (ja) 監視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CN108873795A (zh) 一种可自动报警的智能监控系统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2052148B1 (ko) 시설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121389A (ko) 시설 감시 장치
WO2021070667A1 (ja) アラーム発報装置およびアラーム発報方法
JP2007116586A (ja) 設備監視システム
KR102119039B1 (ko) 아크검출 기반 복합 화재 감지장치
JP7441919B2 (ja) 防災システム
WO2017125715A1 (en) Building-specific anomalous event detection and alerting system
JP2011239196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0784798B1 (ko)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재난 관리 프로그램을 갖는디지털 셋탑박스
WO2016051686A1 (ja) 防犯管理装置、防犯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防犯管理システム
US10005640B2 (en) Elevator alert status indicator
JPH11296767A (ja) 多段階警報処理方式
JP3368998B2 (ja) 監視システム
JP2012059151A (ja) 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