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441A -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441A
KR20100068441A KR1020107008207A KR20107008207A KR20100068441A KR 20100068441 A KR20100068441 A KR 20100068441A KR 1020107008207 A KR1020107008207 A KR 1020107008207A KR 20107008207 A KR20107008207 A KR 20107008207A KR 20100068441 A KR20100068441 A KR 2010006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ity
remote monitoring
abnormal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720B1 (ko
Inventor
세이지 카와이
사토루 탐바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異常) 발보(發報)의 양을 감소시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에 관련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기 감시 장치 또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10)는, 기기를 감시하고, 기기의 운전 상황을 기기의 원격에 배치된 원격 감시 장치로 송신하는 기기 감시 장치(10)이고, 기기에서 발생한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12a)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기초하여, 이상을 식별하는 이상 식별부(12e)와, 이상 식별부가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의 통보인 이상 발보를 행하는 이상 발보부(12d)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DEVICE MONITOR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조화 장치 등의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기기의 운전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감시 시스템에서는, 기기를 설치한 건물 내(물건(物件); 물품 등의 동산 외에, 토지, 건물 등의 부동산)에 기기 감시 장치를 설치하고, 기기 감시 장치가 기기의 이상(異常)을 검지하면,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기기의 원격에 배치된 원격 감시 장치에 이상 발보(發報, 알림을 보냄)가 행하여진다. 원격 감시 장치에서 이상 발보가 수신되면, 당해 이상 발보에 관련되는 이상 정보는 기기의 관리자 등에게 통지되고, 이상에 대하여 어떠한 조치가 취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이 많아지면, 어느 이상 발보에 관련되는 이상이 조급하게 대응하여야 할 것인지를 판별하는 작업이 번잡해진다. 그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을 저감시켜, 관리자 등이 이상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과거에 검출한 이상과 동일한 내용을 검지한 경우에,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를 제한하는 기기 감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70056호
그러나, 이와 같은 기기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기기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경우여도, 관리자 등에게 통지되는 이상에 관한 정보량은 여전히 많아, 정보를 판별하는 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에 관련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기 감시 장치 또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기기를 감시하고, 기기의 운전 상황을 기기의 원격에 배치된 원격 감시 장치로 송신하는 기기 감시 장치이고, 이상 검지부와 이상 식별부와 이상 발보부를 구비한다. 이상 검지부는, 기기에서 발생한 이상을 검지한다. 이상 식별부는,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기초하여 이상을 식별한다. 이상 발보부는, 이상 식별부가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의 통보인 이상 발보를 행한다. 여기서, 이상의 카테고리란, 동종의 이상 내용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동일 부품의 고장, 동일한 센서로부터 검지되는 이상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의 레벨이란, 경미, 정도가 심함(重度) 등, 이상에 대하여 조급하게 대응하여야 할지 여부로 결정되는 이상의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이상 식별부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기초하여 이상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를 행한다.
따라서,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이고, 이상 식별부는, 이미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한 이상인 발보 완료된 이상의 카테고리 및 레벨과, 새롭게 검지된 이상인 새로운 이상의 카테고리 및 레벨을 비교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이상 식별부가 비교한 새로운 이상의 카테고리 및 레벨과 발보 완료된 이상의 카테고리 및 레벨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상 발보부가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를 행한다.
따라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 수신한 이상 발보에 관련되는 이상을 중복하여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원격 감시 장치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이고, 이상 발보부는, 새로운 이상의 카테고리가 발보 완료된 이상의 카테고리와 동일하고, 또한, 새로운 이상의 레벨이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과 동일한 경우 및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보다 낮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경우는,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상기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새로운 이상의 카테고리와 발보 완료된 이상의 카테고리가 동일한 경우, 새로운 이상의 레벨과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과의 관계로 이상 발보가 제한된다.
따라서, 기기 감시 장치가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과 동일 및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이상에 관해서는 이상 발보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에 관한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제2 또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이고, 조건 취득부를 더 구비한다. 조건 취득부는,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이상의 비발보(非發報) 조건을 취득한다. 또한, 발보 완료된 이상에 관한 정보는, 조건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비발보 조건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새로운 이상과 비교하는 발보 완료된 이상에 관한 정보가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이상의 비발보 조건에 의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비발보 조건이 갱신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발보하는 이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이미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한 발보 완료된 이상이고, 한 번은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를 금지한 이상에 관해서도, 그 후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비발보 조건의 내용이 변경되는 것에 의하여, 재차 원격 감시 장치에 발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이고, 정기 발보부를 더 구비한다. 정기 발보부는, 기기의 운전 상황의 이력인 운전 이력 및 이상의 변화점의 이력인 변화점 이력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원격 감시 장치로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는,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하여 운전 이력 및 변화점 이력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원격 감시 장치로 보내기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았던 이상에 관해서도 변화점 이력에 의하여 이상의 발생 및 이상의 해소를 파악할 수 있다. 모든 이상 발생마다 이상 발보를 행하는 일 없이,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효율 좋게 기기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은, 기기 감시 장치와 원격 감시 장치를 구비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이고, 기기 감시 장치는 기기의 운전 상황을 감시하고, 원격 감시 장치는, 기기의 원격에 배치되고,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운전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기기 감시 장치는, 이상 검지부와 이상 식별부와 이상 발보부를 가진다. 이상 검지부는, 기기에서 발생한 이상을 검지한다. 이상 식별부는,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기초하여, 이상을 식별한다. 이상 발보부는, 이상 식별부가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의 통보인 이상 발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은, 이상 식별부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어느 일방에 기초하여 이상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를 행한다.
따라서,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은,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이고, 원격 감시 장치는, 이상 발보 수신부와 비발보 조건 생성부와 비발보 조건 송신부를 가진다. 이상 발보 수신부는, 이상 발보를 수신한다. 비발보 조건 생성부는, 이상 발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감시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 발보의 비발보 조건을 생성한다. 비발보 조건 송신부는, 비발보 조건을 기기 감시 장치로 송신한다. 나아가, 비발보 조건 생성부는, 레벨에 따라, 비발보 조건을 갱신하고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한 이상의 레벨에 따라 비발보 조건이 갱신되고 생성되며,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당해 비발보 조건에 기초하여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의 이상 발보를 행한다.
따라서, 이상의 레벨에 따라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생성되는 비발보 조건의 갱신의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정도가 심한 이상과 경미한 이상으로 비발보 조건의 갱신 기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정도가 심한 이상은 순차적으로 이상 발보를 행하도록, 경미한 이상은 잠시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은, 제6 또는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이고, 원격 감시 장치는, 이상 정보 송신부를 가진다. 이상 정보 송신부는, 이상 발보 수신부에 의하여 이상 발보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이상 정보를 기기의 관리자 및 판매점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관리자란, 물건의 오너(owner) 등, 기기의 이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판매점이란, 기기의 판매점 외에, 기기의 보수를 행하는 서비스 스테이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한 이상 발보에 관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기기의 관리자 및 판매점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관리자 또는 판매점이 기기의 상황을 적당히 파악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 수신한 이상 발보에 관련되는 이상을 중복하여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원격 감시 장치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기기 감시 장치가 발보 완료된 이상의 레벨과 동일 및 낮은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이상에 관해서는 이상 발보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에 관한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비발보 조건이 갱신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발보하는 이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는, 모든 이상 발생마다 이상 발보를 행하는 일 없이,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효율 좋게 기기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원격 감시 장치에 있어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정도가 심한 이상과 경미한 이상으로 비발보 조건의 갱신 기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정도가 심한 이상은 순차적으로 이상 발보를 행하도록, 경미한 이상은 잠시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관리자 및 판매점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기기의 상황을 적당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비발보 조건 생성부가 비발보 조건의 갱신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장치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원격 감시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원격 관리 센터(2) 내의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물건(1)에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50)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각 공기 조화 장치(50)에는, 각각 기기 감시 장치(10)가 접속되어 있고, 공기 조화 장치(50)에서 발생한 이상이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검지된다. 기기 감시 장치(10)와 원격 감시 장치(20)는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공기 조화 장치(50)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와, 공기 조화 장치(50)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인 이상 정보가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원격 감시 장치(20)로 송신된다. 원격 감시 장치(20)에서 공기 조화 장치(50)의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이상 정보가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공기 조화 장치(50)의 판매점에 설치된 판매점 단말(30)과, 공기 조화 장치(50)의 관리자가 가지는 관리자 단말(31)로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송신된다. 여기서, 관리자란, 물건의 오너 등 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판매점이란, 기기의 판매점 외에, 기기의 보수를 행하는 서비스 스테이션을 의미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공기 조화 장치(50), 기기 감시 장치(10), 원격 감시 장치(20) 등의 수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부의 구성〉
(1) 공기 조화 장치(50)의 개략 구성
우선, 도 2를 이용하여, 이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50)를 설명한다. 공기 조화 장치(50)는,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회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50)에는,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 51a는, 공기 조화 장치(50)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 51b는, 공기 조화 장치(50)가 설치되어 있는 설비 부근의 외기(外氣)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 51c는, 공기 조화 장치(50)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인 토출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 51d는, 공기 조화 장치(50)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인 토출압을 검출한다. 센서 51e는, 공기 조화 장치(50)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흡입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인 흡입압을 검출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50)에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54)가 장착되어 있다.
나아가, 공기 조화 장치(50)는, 기기 제어부(52) 및 기기 통신부(53)를 가지고 있다. 기기 통신부(53)는, 기기 감시 장치(10)와 접속되어 있고, 상술한 대로 기기 감시 장치(10)를 통하여 원격 감시 장치(20)로 기기 정보를 송신한다. 기기 제어부(52)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 조화 장치(50)를 제어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52)에는, 상술의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 및 전류 검출부(54)가 접속되어 있다. 기기 제어부(52)는,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 및 전류 검출부(54)에 의하여 검출된 값(기기 정보)을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분)으로 기기 감시 장치(10)로 송신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52)는,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분)으로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 및 전류 검출부(54)로부터 취득한 값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하는 등 하여, 소정의 역치를 넘는 등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이상 정보를 기기 감시 장치(10)로 송신한다.
(2) 기기 감시 장치(10)의 구성
기기 감시 장치(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기기 감시 통신부(11)와 기기 감시 제어부(12)와 기기 감시 기억부(13)를 가진다. 기기 감시 통신부(11)는, 복수의 입출력 포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기 감시 통신부(11)는, 공기 조화 장치(50) 및 원격 감시 장치(20)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공기 조화 장치(50)로부터 기기 정보 및 이상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 감시 장치(20)와 각종 신호의 수수(授受)를 행한다.
기기 감시 기억부(13)는, 기기 정보 기억 영역(13a)과 이상 정보 기억 영역(13b)과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13c)을 확보하고 있다. 기기 정보 기억 영역(13a)에는, 공기 조화 장치(5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란, 공기 조화 장치(50)를 관리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어드레스, 기기명, 기종 코드, 운전 이력(어떠한 운전 모드(냉방 모드, 난방 모드, 송풍 모드 등)로 어느 정도의 시간 구동하였는지 등을 나타내는 것),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 및 전류 검출부(54)로부터 검출된 값을 말한다. 이상 정보 기억 영역(13b)에는, 기기의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기기의 이상이란, 각종 센서값의 이상이나, 전류값의 이상 등을 말한다. 덧붙여, 센서값의 이상이란, 각종 센서(51a, 51b, 51c, 51d, 51e, …)에 있어서 검출된 값이 소정의 역치를 넘고 있었던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전류값의 이상이란, 전류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값이 소정의 역치를 넘고 있었던 경우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들의 정보에 의하여, 공기 조화 장치(50)에 있어서의 플랩 모터의 고장, 쇼트서킷(short circuit)의 발생,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 또는 팬의 모터 이상 등, 각종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정보 기억 영역(13b)은 기억한 정보를 소정의 기간(본 실시예에서는 30분)분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기억 용량만을 가지고 있고, 새로운 정보가 취득될 때마다, 순차로, 가장 낡은 정보가 소거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기기 감시 제어부(12)는, 주로, 이상 검지부(12a)와 조건 취득부(12b)와 정기 발보부(12c)와 이상 발보부(12d)와 이상 식별부(12e)를 가지고 있다. 이상 검지부(12a)는, 공기 조화 장치(50)로부터 송신되는 이상 정보를 검지한다. 조건 취득부(12b)는,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이상 발보에 관한 비발보 조건을 취득한다. 여기서, 이상 발보에 관한 비발보 조건이란, 이상 발보부(12d)가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할 때에 참조하는 조건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감시 장치(20)가 그때까지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이상 발보에 관련되는 이상 중, 새롭게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검지된 경우에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한 이상 발보의 필요가 없는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을 든 것이다. 정기 발보부(12c)는,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하여, 1일 1회, 변화점 이력 및 일보(日報)를 송신한다. 여기서, 변화점 이력이란 공기 조화 장치(50)에서 발생한 이상의 변화점의 이력이며, 변화점 이력에는, 이상의 발생, 이상의 해소, 및 그 시간 등이 나타내져 있다. 또한, 일보란, 공기 조화 장치(50)의 운전 상황의 이력인 운전 이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기기 정보 기억 영역(13a)에 기억되는 기기 정보와, 이상 정보 기억 영역(13b)에 기억되는 이상 정보에 기초하여, 1일분의 공기 조화 장치(50)의 운전 이력이나 운전 상태가 정리된 정보이다. 상세하게는, 그 1일에 센서(51a, 51b, 51c, 51d, 51e, …) 및 전류 검출부(54)에 있어서 검출된 값의 최대값·최소값이나, 그 1일의 공기 조화 장치(50)의 적산(積算) 운전 시간, 적산 발정(發停) 횟수, 최대 연속 운전 시간 등의 운전 내용이 나타내진다. 이상 발보부(12d)는,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한다. 덧붙여, 이상 발보부(12d)는, 후술의 이상 식별부(12e)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한 이상 발보를 행한다. 이상 식별부(12e)는, 이상 검지부(12a)가 검지한 이상과,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취득한 비발보 조건을 비교하여, 원격 감시 장치(20)에 이상 발보를 행하는 이상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상 식별부(12e)는, 새롭게 검지한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과,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을 비교하여, 새롭게 검지한 이상을 식별한다.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에 관해서는, 후술의 원격 감시 장치(20)에 있어서의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에 관한 설명 시, 아울러 설명한다. 덧붙여, 여기서, 이상 검지부(12a)에 의하여 검지된 이상의 카테고리가,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의 카테고리와 동일하고, 또한, 이상 검지부(12a)에 의하여 검지된 이상의 레벨이 비발보 조건으로 특정되는 이상의 레벨과 동일한 경우는, 이상 발보부(12d)는, 원격 감시 장치(20)에 대한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는다.
(3) 원격 감시 장치(20)의 개략 구성
원격 감시 장치(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원격 감시 통신부(21)와 원격 감시 입력부(22)와 원격 감시 출력부(23)와 원격 감시 기억부(24)와 원격 감시 제어부(25)와 타이머(26)를 가지고 있다.
원격 감시 통신부(21)는, 복수의 입출력 포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기기 감시 장치(10), 판매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31)과 인터넷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원격 감시 입력부(22)는, 이상의 대처 결과 등, 각종 데이터 입력을 받아들인다. 원격 감시 입력부(22)에서 받아들인 이상의 대처 결과 등은,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정보에 관련지어져 후술하는 원격 감시 기억부(24)에 기억된다. 원격 감시 출력부(23)는, 주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부와, 스피커를 구성하는 음성 출력부로 이루어진다. 표시부에서는, 원격 감시 장치(20)의 각종 조작에 필요한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원격 감시 출력부(23)는, 공기 조화 장치(50)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나 그 이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타이머(26)는, 이상 발보 수신부가 이상 발보를 수신한 후의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원격 감시 기억부(24)에는, 주로, 정기 정보 기억 영역(24a)과 이상 정보 기억 영역(24b)과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24c)이 확보되어 있다. 정기 정보 기억 영역(24a)에는, 상술의 정기 발보부(12c)에 의하여 발보된 변화점 이력 및 일보를 기억한다. 이상 정보 기억 영역(24b)은, 상술의 이상 발보부(12d)에 의하여 발보된 이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24c)은, 후술하는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에 의하여 생성된 비발보 조건을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된 비발보 조건은, 후술하는 비발보 조건 송신부(25c)에 의하여, 기기 감시 장치(10)로 송신된다.
원격 감시 제어부(25)는, 주로, 발보 수신부(25a)와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와 비발보 조건 송신부(25c)와 이상 정보 송신부(25d)를 가진다. 발보 수신부(25a)는, 이상 발보 수신부(도시하지 않음)와 정기 발보 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이상 발보 수신부는,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이상 발보를 수신하고, 정기 발보 수신부는, 변화점 이력 및 일보를 수신한다.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는, 발보 수신부(25a)에서 수신한 이상 발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감시 장치(10)에 있어서의 이상 발보의 비발보 조건을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비발보 조건은, 상술한 기기 감시 장치(10)의 조건 취득부(12b)가 취득하는 비발보 조건이고,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 향하여 행하여지는 이상 발보를 제한하기 위한 조건이다.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는, 이상 정보 기억 영역(24b)에 기억된 과거의 이상에 기초하여 비발보 조건을 생성하고, 그 이상의 카테고리 및 레벨에 따라 비발보 조건을 갱신한다. 이상의 카테고리란, 임의로 결정되는 동종의 이상의 분류이며, 예를 들어, 동일 부품의 고장, 동일한 센서로부터 검지되는 이상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의 레벨이란, 경미, 정도가 심함 등, 이상에 대하여 조급하게 대응하여야 할지 여부에 기초하여 임의로 결정되는 이상의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경미한 이상이란, 플랩 모터의 고장, 복수의 실내기가 있는 경우의 하나의 실내기의 흡입 센서 이상, 동종의 센서가 복수 있는 경우의 일부 센서의 고장 등, 공기 조화 장치(50)의 냉매 회로의 제어와는 관계가 없고 조급한 대응이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50)의 관리자 또는 판매점이 연속하여 이상의 연락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과 같은 레벨의 이상도 경미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중요한 이상이란, 예를 들어, 토출 센서 이상,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의 이상 및 팬의 모터 이상 등, 냉매 회로의 제어에 관계되고, 조급하게 대응하여야 하는 레벨의 이상이다. 덧붙여,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에 의한 비발보 조건의 갱신은, 이상의 종류 및 레벨에 기초하여 다른 타이밍에서 행하여진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가 행하는 비발보 조건의 갱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상의 카테고리(열 501), 이상의 레벨(열 502),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에 대응하는 갱신 시간(열 503), 상술의 타이머(26)에 의하여 계측된 경과 시간(열 504), 갱신 시간 및 경과 시간의 관계로 결정되는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의 필요/불필요(열 505)의 관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중 이상의 카테고리, 이상의 레벨, 및 갱신 시간은, 원격 감시 센터(2)의 관리자가 고객(판매점 및 공기 조화 장치(50)의 관리자)의 요망 등을 반영시켜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그 정보는 원격 감시 기억부(24)에 기억된다. 경과 시간(열 504)은, 원격 감시 장치(20)에서 당해 카테고리 및 레벨의 이상 발보를 전회(前回) 수신한 후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행 511에서는, 갱신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상(카테고리 : A, 레벨 : 고)에 관하여, 전회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를 수신한 후의 경과 시간이 4분 35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기기 감시 장치(10)가 공기 조화 장치(50)의 당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과 동일한 카테고리(카테고리 : A) 및 동일한 레벨(레벨 : 고)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는 불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카테고리 A 및 레벨 고의 이상이 검지되어도,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한편, 행 512에서는, 갱신 시간이 15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상(카테고리 : A, 레벨 : 중)에 관하여, 전회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를 수신한 후의 경과 시간이 16분 50초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기기 감시 장치(10)가 공기 조화 장치(50)의 당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과 동일한 카테고리(카테고리 : A) 및 동일한 레벨(레벨 : 중)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가 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공기 조화 장치(50)의 이상이 검지되면,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가 행하여진다. 덧붙여, 타이머(26)가 계측하는 경과 시간(열 504)은, 당해 비발보 조건이 기기 감시 장치(10)로 송신된 후, 리셋된다.
이상 정보 송신부(25d)는, 이상 발보 수신부가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를 수신하면, 이상 정보에 관한 정보를 판매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31)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자동적으로 송신한다.
〈이상 발생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
(i) 다음으로, 기기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50)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도 6 및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A. 기기 감시 장치(10)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상 검지부(12a)에 의하여 공기 조화 장치(50)에 있어서의 이상이 검출되면(스텝 S1), 이상 식별부(12e)는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13c)에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었던 경우, 이상 식별부(12e)는, 이상 검지부(12a)가 검지한 이상이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13c)에 기억되어 있는 비발보 조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여기서, 검지된 이상이 비발보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원격 감시 장치(20)로 이상 발보를 행하고(스텝 S4), 비발보 조건에 일치하는 경우는,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2에서,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를 행한다. 원격 감시 장치(20)로 이상 발보를 행하면, 그 후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비발보 조건을 취득한다(스텝 S5).
B. 원격 감시 장치(20)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원격 감시 장치(20)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한다.
원격 감시 장치(20)에 있어서 이상 발보가 수신되면(스텝 S11),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는 비발보 조건 기억 영역(24c)에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2).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었던 경우,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는 비발보 조건을 갱신한다(스텝 S13). 스텝 S12에 있어서 비발보 조건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된 경우는,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는 비발보 조건을 생성한다(스텝 S14). 스텝 S13 또는 스텝 S14에 있어서 비발보 조건이 갱신 또는 생성되면, 비발보 조건 송신부(25c)가 원격 감시 통신부(21)를 경유하여 당해 비발보 조건을 기기 감시 장치(10)로 송신한다(스텝 S15).
〈특징〉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 발보되는 이상이, 이미 발보된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과 비교된다. 검지된 새로운 이상과, 이미 발보된 이상에 기초하는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이 동일 카테고리이고, 또한 동일 레벨의 이상이었던 경우에는, 기기 감시 장치(10)는 원격 감시 장치(20)로의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 송신되는 이상 발보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20)에 있어서, 조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이상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검출된 공기 조화 장치(50)의 이상이 원격 감시 장치(20)로 송신되면, 당해 이상에 관한 정보가 관리자 단말(31) 및/또는 판매점 단말(30)로 자동적으로 송신된다. 그 때문에, 원격 감시 장치(20)에서 수신하는 이상 발보를 제한하는 것에 의하여, 관리자 단말(31) 및/또는 판매점 단말(30)로 송신되는 이상에 관한 정보도 제한하기 때문에, 각 단말(30, 31)에 있어서도 이상에 대응하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2) 또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기기 감시 장치(10)는, 이상 발보 시에 원격 감시 장치(20)에서 생성된 비발보 조건을 취득한다. 이 비발보 조건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에 따라 다른 갱신 시간을 가진다. 또한, 이 갱신 시간은, 원격 관리 센터(2)의 관리자가 고객의 의향을 반영시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즉석에서 대응하여야 할 이상이며 상시 파악하고 싶은 이상과, 이미 알고 있는 이상이며 일정 기간은 확인할 필요가 없는 이상과의 갱신 시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고객의 요망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3)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50)의 운전 상황의 이력인 운전 이력과, 이상의 변화점의 이력인 변화점 이력이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20)로 정기적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기기 감시 장치(10)에서 검지한 이상 모두를 원격 감시 장치(20)에 통보하고 있지 않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이어도, 원격 감시 센터(2)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50)의 상황을 효율 좋게 파악할 수 있다.
〈변경예〉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감시 장치(10)의 관리 대상으로 되는 기기는, 공기 조화 장치(50) 이외의 설비 기기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원 설비, 급배수 장치, 승강기, 조명 장치, 방재 장치, 방범 장치 등이어도 무방하고, 또한, 복수 종류의 기기가 조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2) 본 실시예에서는, 기기 감시 장치(10)와 원격 감시 장치(20)와 판매점 단말(30)과 관리자 단말(31)이, 인터넷 회선 이외의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화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판매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31)은, 기기 감시 장치(10) 및 원격 관리 장치(20)와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3)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가, 원격 감시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비발보 조건에 기초하여 행하여지고,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과 동일한 카테고리 및 동일한 레벨의 경우에, 기기 감시 장치(10)로부터의 이상 발보가 제한되었지만,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과 동일 레벨에 한정하지 않고, 비발보 조건으로 나타내지는 이상과 동일 레벨 및 그것보다 낮은 레벨의 이상 발보를 제한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그것에 의하여, 원격 감시 장치(20)에서 수신되는 이상 발보의 양을 한층 더 제한할 수 있고, 공기 조화 장치(50)의 운전 상황의 파악 및 이상에 대한 대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상의 레벨이 높은 경우이고, 조급한 대응이 필요한 이상에 관해서는, 항상 통보를 필요로 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4) 또한, 도 5에서는, 이상의 레벨이 「고, 중, 저」로 분류되었지만, 이상의 레벨의 분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 감시 센터(2)의 관리자 임의로 결정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경미, 중요의 2단계로 분류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이상 발보의 양을 감소시켜, 조급한 대응이 필요한 이상에 관련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기 감시 장치 및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유용하다.
1 : 물건 2 : 원격 감시 센터
10 : 기기 감시 장치 20 : 원격 감시 장치
50 : 공기 조화 장치 100 : 원격 감시 시스템

Claims (8)

  1. 기기를 감시하고, 상기 기기의 운전 상황을 상기 기기의 원격에 배치된 원격 감시 장치로 송신하는 기기 감시 장치(10)이고,
    상기 기기에서 발생한 이상(異常)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12a)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을 식별하는 이상 식별부(12e)와,
    상기 이상 식별부가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상기 이상의 통보인 이상 발보(發報)를 행하는 이상 발보부(12d)
    를 구비하는 기기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식별부는, 이미 상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하여 이상 발보를 행한 상기 이상인 발보 완료된 이상의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레벨과, 새롭게 검지된 상기 이상인 새로운 이상의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레벨을 비교하는,
    기기 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보부는, 상기 새로운 이상의 상기 카테고리가 상기 발보 완료된 이상의 상기 카테고리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새로운 이상의 상기 레벨이 상기 발보 완료된 이상의 상기 레벨과 동일한 경우 및 상기 발보 완료된 이상의 상기 레벨보다 낮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경우는, 상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상기 이상 발보를 행하지 않는,
    기기 감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이상의 비발보(非發報) 조건을 취득하는 조건 취득부(12b)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보 완료된 이상에 관한 정보는, 상기 조건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상기 비발보 조건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기기 감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운전 상황의 이력인 운전 이력 및 상기 이상의 변화점의 이력인 변화점 이력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상기 원격 감시 장치로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정기 발보부(12c)를 더 구비하는,
    기기 감시 장치.
  6. 기기의 운전 상황을 감시하는 기기 감시 장치(10)와,
    상기 기기의 원격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운전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원격 감시 장치(20)
    를 구비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이고,
    상기 기기 감시 장치는,
    상기 기기에서 발생한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12a)와,
    이상의 카테고리 및 이상의 레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을 식별하는 이상 식별부(12e)와,
    상기 이상 식별부가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감시 장치에 대한 상기 이상의 통보인 이상 발보를 행하는 이상 발보부(12d)
    를 가지는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장치는,
    상기 이상 발보를 수신하는 이상 발보 수신부(25a)와,
    상기 이상 발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감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이상 발보의 비발보 조건을 생성하는 비발보 조건 생성부(25b)와,
    상기 비발보 조건을 상기 기기 감시 장치로 송신하는 비발보 조건 송신부(25c)를 가지고,
    상기 비발보 조건 생성부는, 상기 레벨에 따라, 상기 비발보 조건을 갱신하고 생성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장치는, 상기 이상 발보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이상 발보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이상 정보를 상기 기기의 관리자 및 판매점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송신하는 이상 정보 송신부(25d)를 가지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107008207A 2007-09-27 2008-09-25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97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0332 2007-09-27
JP2007250332A JP4337923B2 (ja) 2007-09-27 2007-09-27 機器監視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441A true KR20100068441A (ko) 2010-06-23
KR101097720B1 KR101097720B1 (ko) 2011-12-23

Family

ID=4051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207A KR101097720B1 (ko) 2007-09-27 2008-09-25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26578B2 (ko)
EP (1) EP2208944B1 (ko)
JP (1) JP4337923B2 (ko)
KR (1) KR101097720B1 (ko)
CN (1) CN101809373B (ko)
AU (1) AU2008305923B8 (ko)
ES (1) ES2709900T3 (ko)
WO (1) WO20090410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81B1 (ko) * 2013-07-11 2014-01-28 한국과학기기공업협동조합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KR20190080752A (ko) * 2017-12-28 2019-07-08 아즈빌주식회사 시설 감시 장치 및 시설 감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683B1 (ja) * 2007-10-31 2009-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1003007A (ja) * 2009-06-18 2011-01-06 Yamatake Corp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EP2927613B1 (en) * 2012-11-30 2019-09-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acility equipment operation device, facility equipment operation system, facility equipment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US9529629B2 (en) * 2012-12-20 2016-12-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mputing resource inventory system
US9189644B2 (en) 2012-12-20 2015-11-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ccess requests at IAM system implementing IAM data model
CN105339852A (zh) * 2013-06-26 2016-02-17 三菱电机株式会社 远程单元及远程单元的异常判定方法
CN104033992A (zh) * 2014-06-06 2014-09-1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空调故障处理方法及空调器
CN104898639B (zh) * 2015-04-03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设备状态检测的系统及控制方法
CN107842975A (zh) * 2016-09-20 2018-03-2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机房专用空调运行状态确定方法、装置、系统和用户终端
JP6899177B2 (ja) * 2016-10-27 2021-07-07 ホーチキ株式会社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7111944B2 (ja) * 2017-12-13 2022-08-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リモコン装置、及び、空調機の運転データ履歴保存方法
CN110086697A (zh) * 2019-04-29 2019-08-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故障处理方法和装置
JP7397276B2 (ja) * 2019-05-21 2023-1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EP3982049A4 (en) * 2019-06-05 2022-06-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NAGEMENT DEVICE FOR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QUIPMENT
JP2021189964A (ja) * 2020-06-03 2021-12-1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CN113324313A (zh) * 2021-05-17 2021-08-3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使用空调器报案的方法、空调器报案系统、空调器和存储介质
CN114139745A (zh) * 2021-12-01 2022-03-04 北京磁浮有限公司 轨道交通供配电设施的信息处理与控制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504B2 (ja) 1996-12-12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3521843B2 (ja) * 2000-04-20 2004-04-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監視システム
JP2003166745A (ja) 2001-11-29 2003-06-1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遠隔監視装置
CN1256550C (zh) 2004-03-25 2006-05-17 上海交通大学 中央空调水系统温度及流量传感器的在线故障诊断系统
US7188482B2 (en) * 2004-08-27 2007-03-13 Carrier Corporation Fault diagnostics and prognostics based on distance fault classifi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81B1 (ko) * 2013-07-11 2014-01-28 한국과학기기공업협동조합 과학기기 관리 시스템
KR20190080752A (ko) * 2017-12-28 2019-07-08 아즈빌주식회사 시설 감시 장치 및 시설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9900T3 (es) 2019-04-22
JP2009079843A (ja) 2009-04-16
AU2008305923B8 (en) 2011-03-31
JP4337923B2 (ja) 2009-09-30
EP2208944A1 (en) 2010-07-21
CN101809373B (zh) 2012-10-17
KR101097720B1 (ko) 2011-12-23
AU2008305923A1 (en) 2009-04-02
EP2208944B1 (en) 2018-11-07
AU2008305923B2 (en) 2011-03-17
US8326578B2 (en) 2012-12-04
EP2208944A4 (en) 2015-02-18
WO2009041039A1 (ja) 2009-04-02
CN101809373A (zh) 2010-08-18
US20100204958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720B1 (ko) 원격 감시 시스템
US6955302B2 (en) Remote monitoring diagnostics
KR20070068867A (ko) 멀티에어컨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에러관리방법
US20080186160A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ulti-air conditioner an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5606334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2231725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WO200800451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JP2015188421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697079B1 (ko) 멀티에어컨의 중앙제어시스템 및 그의 에러통보방법
JP4765798B2 (ja) 診断装置および空調管理装置
US8001230B2 (en) Group management apparatus and group management system
JP2001141290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監視装置
JP2001007935A (ja) データ収集装置
JP3731125B2 (ja) 保守情報提供システム
JP4550253B2 (ja) 空調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室内機の監視方法
JPH07103540A (ja) 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メンテナンスツール
JP2009059270A (ja) 機器監視装置、包括管理装置、および異常発報先変更システム
JP4404163B1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管理方法
JP2010190550A (ja) 空調制御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237935A (ja)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JPH11296767A (ja) 多段階警報処理方式
JPH1139031A (ja) 監視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9205526A (ja) 監視装置
CN117007127A (zh) 酒店设备运营状态自动巡检系统及方法
JP2009222321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