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089A -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089A
KR20170094089A KR1020170016678A KR20170016678A KR20170094089A KR 20170094089 A KR20170094089 A KR 20170094089A KR 1020170016678 A KR1020170016678 A KR 1020170016678A KR 20170016678 A KR20170016678 A KR 20170016678A KR 20170094089 A KR20170094089 A KR 2017009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job
cpu
transmission
execu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965B1 (ko
Inventor
다이키 다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produ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communication or activity log or re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생성된 파일의 작업 종류에 대한 실행 이력을 파일의 파일명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은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FILE GENER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FILE GENER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작업의 실행 이력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실행된 작업의 실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8160호 공보에는, 다기능 주변 기기(MFP)로부터 인쇄 작업의 실행 이력을 수집하고, 인쇄 작업의 복수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실행 이력을 이메일로 사용자용 컴퓨터에 송신하는 인쇄 작업 관리 장치가 논의되어 있다.
종래, 사용자는, 저장된 파일을 개방해서 내용을 열람하고, 그 파일에 포함된 한 종류의 작업 실행 이력을 확인했다.
그러나, 사용자는, 파일에 포함된 한 종류의 작업 실행 이력을 그 파일의 파일명으로부터 식별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복수의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가정한다. 복수의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되어도, 어느 파일이 어떤 종류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지가 파일명으로부터 식별 가능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816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실행 이력은 이메일 본문의 인쇄 작업의 실행 이력이다. 실행 이력은 파일의 형태로 송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파일 생성 장치는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파일 생성 유닛, 및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파일명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기능 주변 기기(MFP)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일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조작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파일 생성 장치의 일례인 MFP(101), 파일 서버(102), 및 퍼스널 컴퓨터(PC)(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 이외에도, 근거리 통신망(LAN)(100)에는,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PC) 및/또는 복수의 서버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MFP(101)는, LAN(100)과 같은 유선 통신에 의해 파일 서버(102) 및 PC(103)과 통신하는 MFP에 한정되지 않는다. MFP(101)는,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 통신에 의해 파일 서버(102) 및 PC(103)와 통신할 수 있다. MFP(101)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10)에 접속되고, PSTN(110)에 접속된 다른 팩시밀리 장치와의 팩시밀리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MFP(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FP(101)는, 제어 유닛(210), 조작 유닛(220), 프린터(221), 스캐너(222), 및 모뎀(223)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220)은, 표시 유닛과 하드 키를 포함한다. 표시 유닛은, 터치 패널 시트가 부착된 액정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220)은, 액정 표시 유닛에 조작 화면 및 통지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 유닛(220)은, 터치 패널 시트 및/또는 하드 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접수한다.
프린터(221)는, 제어 유닛(210)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한다. 스캐너(222)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여, 판독한 원고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제어 유닛(210)에 송신한다.
제어 유닛(210)은, 중앙 처리 유닛(CPU)(211), 판독 전용 메모리(ROM)(21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214), 타이머(230), 조작 유닛 인터페이스(I/F)(215), 프린터 I/F(216), 스캐너 I/F(217), 모뎀 I/F(218), 및 네트워크 I/F(219)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닛은, 버스를 통해 접속된다.
CPU(211)는, ROM(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MFP(101)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OM(212)은, CPU(211)에 의해 판독될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213)은, CPU(21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HDD(214)는, 화상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저장 매체이다. 타이머(230)는, 시각을 관리한다.
조작 유닛 I/F(215)는, 제어 유닛(210)과 조작 유닛(220)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프린터 I/F(216)는, 제어 유닛(210)이 프린터(221)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프린터(221)로/로부터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프린터 I/F(216)는, 제어 유닛(210)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221)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스캐너 I/F(217)는, 제어 유닛(210)이 스캐너(222)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스캐너(222)로/로부터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스캐너 I/F(217)는, 스캐너(22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모뎀 I/F(218)는, 제어 유닛(210)이 모뎀(223)을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모뎀(223)로/로부터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모뎀 I/F(218)는, 제어 유닛(210)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모뎀(223)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모뎀 I/F(218)는, 모뎀(223)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모뎀(223)은, PSTN(110)에 접속되고, 팩시밀리의 송수신을 행한다. 모뎀(223)은, 제어 유닛(210)으로부터 수신한 팩시밀리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PSTN(110)에 송신한다. 모뎀(223)은, PSTN(110)로부터 수신한 팩시밀리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이 디지털 신호를 제어 유닛(210)에 전송한다. 네트워크 I/F(219)는 LAN(100)에 접속된다. 네트워크 I/F(219)는, MFP(101)가 LAN(100)을 통해 파일 서버(102) 및 PC(103)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도 3은, 파일 서버(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PC(103)는, 파일 서버(102)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파일 서버(102)는, 제어 유닛(310), 조작 유닛(332), 및 표시 유닛(334)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310)은, CPU(311), ROM(312), RAM(313), HDD(314), 조작 유닛 I/F(331), 표시 유닛 I/F(333), 및 네트워크 I/F(315)를 포함한다.
CPU(311)는, ROM(3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파일 서버(102)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OM(312)은, CPU(311)에 의해 판독될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313)은, CPU(31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HDD(314)는, 화상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저장 매체이다.
조작 유닛 I/F(331)은, 제어 유닛(310)과 조작 유닛(332)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조작 유닛(332)은,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한다. 표시 유닛 I/F(333)은, 제어 유닛(310)과 표시 유닛(334)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표시 유닛(334)은,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화면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I/F(315)는, LAN(100)에 접속된다. 네트워크 I/F(315)는, 파일 서버(102)가 LAN(100)을 통해 MFP(101) 및 PC(103)와 통신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의 설명이다.
상술한 MFP(101)는, MFP(101)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MFP(101)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MFP(101)의 이용을 사용자에게 허가한다.
도 4는, MFP(101)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CPU(211)가, ROM(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13)에 판독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단계 S1001에서, CPU(21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접수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초기에, CPU(211)는 도 5에 도시하는 로그인 화면을 조작 유닛(22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220)을 조작해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영역(401)을 터치하고, 표시된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명을 입력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영역(402)을 터치하고, 표시된 키보드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CPU(211)는, 접수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RAM(213)에 저장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적 회로(IC) 카드를 캐리하고 IC 카드를 MFP(101)의 카드 판독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접근시킬 수 있다. MFP(101)는 IC 카드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CPU(211)는, 로그인 키(403)가 눌린 것인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로그인 키(403)가 눌리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0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1로 복귀한다. 한편, CPU(211)가, 로그인 키(403)가 눌렸다고 판정하면(단계 S10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3에서, CPU(211)는, 접수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미리 HDD(214)에 저장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단계 S1004에서, CPU(211)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사용자의 인증에 실패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10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6에서, CPU(211)가, 인증에 실패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유닛(220)에 표시한다.
한편, CPU(211)가,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인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단계 S1005에서, CPU(211)는, 사용자가 MFP(101)에 로그인하게 허락한다. 그 다음, 처리는 종료된다. MFP(101)에 로그인한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해서, CPU(211)는, MFP(101)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RAM(213)에 저장한다. MFP(101)에 로그인한 사용자는, MFP(101)를 이용하도록 허가된다. MFP(101)의 이용이 허가되면, MFP(101)을 이용하기 위한 조작 화면이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도 6은, MFP(101)가,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작업을 수행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CPU(211)가, ROM(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13)에 판독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단계 S2001에서, CPU(211)는, 송신 설정 화면을 조작 유닛(220)에 표시한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송신 설정 화면 및 다른 조작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송신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도 7의 송신 설정 화면 상의 조작 키(501 및 502)중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조작 키(501)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능의 예로서, 도 7은, "스캔 및 송신" 및 "카피"를 나타내고 있지만, MFP(101)는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키(501)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조작 키(511 내지 513)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송신될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조작 키(511)는 주소록 키이다. 조작 키(511)가 조작되면, HDD(214)에 저장된 주소록의 내용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주소록에 등록된 목적지의 리스트를 참조하고,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하여,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조작 키(512)는, 신규 입력 키이다. 조작 키(512)가 조작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규 목적지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화면을 통해 신규 목적지를 입력하고, 이 신규 목적지를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시된 화면에 대해서는, 도 8a를 참조해서 하기에 설명한다. 조작 키(513)는, "자신의 폴더에 파일 송신" 키이다. 조작 키(513)는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폴더를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설정하고 싶을 경우(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폴더를 목적지로서 화상 데이터의 파일을 송신하고 싶을 경우)에 조작된다. 사용자가 조작 키(513)를 조작하면, 사용자 자신의 폴더에 관한 패스 정보가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자동 설정된다. 사용자 자신의 폴더에 관한 패스 정보는, 미리 HDD(214)에서 사용자와 대응지어서 관리된다.
조작 키(521)는, 원고를 컬러로 또는 흑백으로 판독할지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하는 조작 키이다. 조작 키(522)는,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조작 키이다. 조작 키(524)는, 편면/ 양면 판독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하는 조작 키이다. 조작 키(525)는, 판독 사이즈를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조작 키이다.
이러한 화면을 표시한 후, 처리는 단계 S2002로 진행한다. 단계 S2002에서, CPU(211)는, 표시된 화면을 통해 설정을 접수한다. 예를 들어, CPU(211)는, 원고를 컬러로 또는 흑백으로 판독할지에 관한 설정 및 판독 해상도를 포함하는 판독 설정을 접수한다. CPU(211)는, 접수한 판독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단계 S2002에서, CPU(211)는, 또한 도 8a 내지 도 9b에 나타내는 화면을 통해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 및 파일 형식에 관한 송신 설정을 접수한다.
도 8a는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은, 도 7의 조작 키(512)가 눌러졌을 경우에 표시된다.
영역(601)은, 송신 프로토콜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601)은, 서버 메시지 블록(SMB), 파일 송신 프로토콜(FTP), 이메일(electronic mail), 및 팩시밀리(FAX)를 포함하는 옵션들의 드롭-다운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들 옵션들은 다른 송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화면에서는, 송신 프로토콜로서 SMB가 선택된다.
영역(602)은,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폴더를 관리하는 서버의 호스트명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602)에는, 예를 들어 파일 서버(102)의 호스트명이 입력된다. 영역(603)은,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폴더의 패스를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604)은,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폴더에 로그인하는데 필요한 사용자명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605)은, 화상 데이터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폴더에 로그인하는데 필요한 패스워드를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또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는 총칭하여 인증 정보로서 지칭된다. 영역(606)은, 파일 형식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606)은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및 TIFF(Tagged Image File Format)를 포함하는 옵션들의 드롭-다운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들 옵션들은 다른 파일 형식을 포함한다.
OK 키(607)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도 8a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이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도 8a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행해진 송신 설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캔슬 키(608)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파기한다. 그 다음, 도 8a에 나타내는 화면이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이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도 8b는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은, 도 8a의 영역(601)에서 FTP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된다.
영역(701)은, 송신 프로토콜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701)은, FTP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영역(702 내지 706)은, 영역(602 내지 606)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OK 키(707)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도 8b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도 8b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행해진 송신 설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캔슬 키(708)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파기한다. 그 다음, 도 8b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도 9a는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은, 도 8a의 영역(601)에서 이메일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된다.
영역(801)은, 송신 프로토콜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801)은, 이메일이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영역(802)은, 이메일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메일 주소를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803)은, 파일 형식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803)은, PDF 및 TIFF를 포함하는 옵션들의 드롭-다운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들 옵션들은 다른 파일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OK 키(807)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도 9a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이 경우,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도 9a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행해진 송신 설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캔슬 키(808)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파기한다. 그 다음, 도 9a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도 9b는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은, 도 8a의 영역(601)에서 FAX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된다.
영역(810)은, 송신 프로토콜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영역(810)은, FAX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영역(811)은, FAX의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FAX 번호를 접수하기 위한 영역이다. OK 키(813)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도 9b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도 9b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행해진 송신 설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캔슬 키(812)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파기한다. 그 다음, 도 9b에 나타내는 화면은 폐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은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다.
도 6의 흐름도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2002에서 설정을 접수한 후, 처리는 단계 S20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03에서, CPU(211)는, 송신 시작 지시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송신 시작 지시는, 조작 유닛(220) 상에 스타트 키가 눌러진 것에 따라서 접수된다. 송신 시작 지시가 접수되면(단계 S20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04로 진행한다.
단계 S2004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HDD(214)에 저장된다.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송신 이력(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시작 시각(901), 목적지 주소(902), 프로토콜(903), 일련 번호(904), 통신 결과(905), 파일 형식(906), 사용자명(907), 및 출력 플래그(908)과 같은 열을 포함한다.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송신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송신 이력의 레코드가 작성되어서 관리된다.
시작 시각(901)은, 송신 작업의 실행을 시작한 시각을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는, 연, 월, 일, 및 시각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숫자가 송신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저장된다. 연, 월, 일, 및 시각이 모두 시작 시각(9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연(year)은 생략될 수 있다. 시작 시각(901)은 월 및 일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 시각(901)은 단지 연, 월, 일, 및 시각에 관한 시각 정보 중 적어도 임의의 하나를 포함해야 한다. 요일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각 정보 중 어느 것을 저장할지를, 조작 유닛(220)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목적지 주소(902)는,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의 주소를 나타낸다. 프로토콜(903)은,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된 송신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일련 번호(904)는, 각각의 레코드에 유일하게 할당된 번호를 나타낸다. 통신 결과(905)는,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는지를 나타낸다. 파일 형식(906)은, 송신될 데이터를, 어떤 파일 형식으로 변환해서 송신했는지를 나타낸다. 사용자명(907)은,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한 사용자의 명칭을 나타낸다. 출력 플래그(908)는, 각각의 레코드가 외부 장치에 출력(송신 또는 인쇄)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단계 S2004에서, CPU(211)는, 이러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도 11은, 단계 S2004에서 실행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11의 단계 S3001에서, CPU(211)는, 초기에 도 10의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1개의 레코드를 추가한다.
단계 S3002에서, CPU(211)는, 레코드를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번호를 레코드에 부여한다. 이 번호는 일련 번호(904)의 필드에 부여된다. 더 구체적으로, CPU(211)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련 번호 중, 가장 큰 일련 번호에 1을 추가하고, 결과적인 일련 번호를, 단계 S3001에서 작성된 레코드의 일련 번호(904)의 필드에 저장한다.
단계 S3003에서, CPU(211)는, 타이머(230)로부터 현재 시각을 획득하고, 획득된 시각을 시작 시각(901)의 필드에 저장한다.
단계 S3004에서, CPU(211)는, 도 8a 내지 도 9b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설정된 목적지를 목적지 주소(902)의 필드에 저장한다. 송신 프로토콜이 SMB인 경우, 호스트명(602)에 설정된 호스트명은 목적지 주소(902)의 필드에 저장된다. 송신 프로토콜이 FTP인 경우, 호스트명(702)에 설정된 호스트명은 목적지 주소(902)의 필드에 저장된다. 송신 프로토콜이 이메일인 경우, 이메일 주소(802)에 설정된 이메일 주소가 목적지 주소(902)의 필드에 저장된다. 송신 프로토콜이 FAX인 경우, FAX 번호(811)에 설정된 FAX 번호가 목적지 주소(902)의 필드에 저장된다.
단계 S3005에서, CPU(211)는, 프로토콜(903)의 필드에, 도 8a의 영역(601), 도 8b의 영역(701), 도 9a의 영역(801), 또는 도 9b의 영역(810)에서 선택된 송신 프로토콜을 저장한다.
단계 S3006에서, CPU(211)는, 파일 형식(906)의 필드에, 도 8a 영역(606), 도 8b의 영역(706), 또는 도 9a의 영역(803)에서 선택된 파일 형식을 저장한다. 송신 프로토콜이 FAX인 경우, 파일 형식(906)의 필드는 공란으로 남는다.
단계 S3007에서, CPU(211)는, 사용자명(907)의 필드에, MFP(101)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1005에서 RAM(213)에 저장된, MFP(101)에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명은 사용자명(907)의 필드에 저장된다.
단계 S3008에서, CPU(211)는, 출력 플래그(908)의 필드에, "미출력"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한다. 이 값은, 레코드가 아직 파일에 포함되지 않고(레코드를 포함하는 파일이 아직 생성되지 않고) 또는 외부 장치에 통신 관리 리포트로서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레코드의 파일이 생성되고 통신 관리 리포트로서 외부 장치에 출력되면, CPU(211)는 출력 플래그(908)의 값을 "미출력"으로부터 "출력"으로 갱신한다.
단계 S3008의 처리가 끝나면, 처리는 도 6의 단계 S2005로 진행한다.
단계 S2005에서, CPU(211)는, 도 7에 나타내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판독 설정에 따라서 원고를 판독하도록 스캐너(222)에 지시하고, 이에 의해 원고의 판독을 시작한다. 스캐너(222)는, 원고를 판독하고, 그 원고 상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CPU(211)에 송신한다. CPU(211)는, 스캐너(222)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HDD(214)에 저장한다.
단계 S2006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도 8a 내지 도 9b에 나타낸 조작 화면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해서 설정된 목적지 주소에 의해 지정된 목적지에, 도 8a 내지 도 9b에 나타낸 조작 화면 중 하나를 사용해서 설정된 송신 프로토콜을 따라서 송신한다. 도 8a의 화면에서 SMB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호스트명(602)에 입력된 값과 패스(603)에 입력된 값을 연결시켜서 나타낸 목적지에, 사용자명(604)에 입력된 값과 패스워드(605)에 입력된 값을 사용해서 로그인한다.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606)에서 선택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CPU(211)는, 그 다음, 변환된 파일을 로그인한 목적지에 네트워크 I/F(219)를 사용해서 송신한다. 이러한 작업은 SMB 송신 작업으로서 지칭된다. 도 8b의 화면에서 FTP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호스트명(702)에 입력된 값과 패스(703)에 입력된 값을 연결시켜서 나타낸 목적지에, 사용자명(704)에 입력된 값과 패스워드(705)의 값을 사용해서 로그인한다.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706)에서 선택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 다음, CPU(211)는, 변환된 파일을 로그인한 목적지에 네트워크 I/F(219)를 사용해서 송신한다. 이러한 작업은 FTP 송신 작업으로서 지칭된다. 도 9a의 화면에서 이메일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803)에서 선택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 다음, CPU(211)는, 이메일 주소(802)에 입력된 목적지에, 변환된 파일을 첨부한 이메일을 네트워크 I/F(219)를 사용해서 송신한다. 이러한 작업은 이메일 송신 작업으로서 지칭된다. 도 9b의 화면에서 FAX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FAX 번호(811)에 입력된 목적지에 모뎀(223)을 사용해서 송신한다. 이러한 작업은 FAX 송신 작업으로서 지칭된다.
단계 S2007에서, CPU(211)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06으로 복귀되고, CPU(211)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계속한다. 한편, CPU(211)가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0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08로 진행한다.
단계 S2008에서, CPU(211)는, 화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목적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정상적 수신을 나타내는 응답이 수신되면, CPU(211)는, 화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목적지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정상적 수신을 나타내는 응답이 일정한 기간 동안 수신되지 않은 경우, CPU(211)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실패했다고 판정한다. CPU(211)가 화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08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09로 진행한다. CPU(211)가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11로 진행한다.
단계 S2009에서, CPU(211)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결과(905)의 필드에, 성공적 송신을 나타내는 "OK"를 저장한다.
단계 S2011에서, CPU(211)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통신 결과(905)의 필드에, 송신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NG"를 저장한다.
단계 S2010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레코드 카운터의 값에 1을 추가한다. 레코드 카운터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레코드 중,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 상태에 있는 각각의 레코드의 총 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레코드 카운터는, 공장 출하 시에 0으로 설정된다. 그 다음, 레코드 카운터는, 송신 작업을 실행할 때마다 카운트 업된다.
단계 S2012에서, CPU(211)는, 단계 S2006에서 실행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FAX에 의한 것(즉, FAX 송신 작업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211)는, 도 9b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입력된 FAX 번호(811)에 의해 지정된 목적지에, 프로토콜(810)에 의해 선택된 FAX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송신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단계 S2006에서 실행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FAX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1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13으로 진행한다. 한편, CPU(211)가 단계 S2006에서 실행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FAX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201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13을 스킵한다. 그 다음,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2013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FAX 카운터에 1을 추가한다. FAX 카운터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레코드 중,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각각의 FAX 송신 작업의 레코드의 총 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FAX 카운터는, 공장 출하 시에 0으로 설정된다. 그 다음, FAX 카운터는, FAX 송신 작업을 실행할 때마다 카운트 업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MFP(101)는, 데이터를 지정된 목적지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작업을 실행한다.
MFP(101)는, 실행된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을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서 HDD(214)에 저장한다. MFP(101)가, 조작 유닛(220)으로부터 송신 작업의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MFP(10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송신 작업의 이력을 조작 유닛(220)의 표시 유닛에 표시한다. 또한, MFP(10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송신 작업의 이력을 통신 관리 리포트로서 인쇄한다.
따라서, MFP(101)의 관리자는, MFP(101) 상에, 언제, 누가, 어떤 송신 작업을 실행하고, 그 통신 결과가 어땠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송신 작업의 이력에 기초하여, 통신 관리 리포트의 파일 또는 FAX 관리 리포트의 파일을 생성해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리포트는, MFP(101)가 실행 가능한 모든 송신 프로토콜(SMB, FTP, 이메일, 및 FAX)에 기초하여 수행된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을 커버하는 리포트이다. FAX 관리 리포트는, SMB, FTP, 이메일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을 커버하지 않고, FAX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만을 기재한 리포트이다. 즉, FAX 관리 리포트는 하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한다.
모든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서, 관리자는,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도록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관리자가 FAX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과 다른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분리해서 관리하고 싶은 경우, 관리자는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도록 설정을 행할 수 있다. FAX는, 기밀 문서를 취급하는데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FAX 송신 작업의 실행 이력을 특별히 주의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기능이 유용하다.
이제, MFP(101)가,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송신 작업의 이력에 기초하여, 통신 관리 리포트의 파일 또는 FAX 관리 리포트의 파일을 생성해서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통신 관리 리포트의 출력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조작 화면은 MFP(101)의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화면이다. 도 12a의 조작 화면은, 인쇄 키(1301), 송신 키(1302), OFF 키(1303), 및 통신 수 지정 필드(1308)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템들을 조작하여, 단계 S2010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인쇄 키(1301)는, 단계 S2010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인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가 인쇄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키(1302)는, 단계 S2010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인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가 송신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사용자는, 버튼(1307)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의 값을 입력한다. OFF 키(1303)는,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통신 관리 리포트를 인쇄하는 기능과,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통신 관리 리포트를 송신하는 기능 둘 다를 무효로 하기 위한 키이다.
도 12a의 조작 화면은 또한 인쇄 키(1304), 송신 키(1305), OFF 키(1306), 및 시각 지정 필드(13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템들을 조작하여,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을 갖는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인쇄 키(1304)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3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가 인쇄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키(1305)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3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가 송신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OFF 키(1306)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3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무효로 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목적지 필드(1313)는, 통신 관리 리포트의 송신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필드이다. 사용자는, 송신 목적지 버튼(1312)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송신 목적지 필드(1313)에 송신 목적지를 입력한다.
OK 키(1315)가 눌러지면, CPU(211)는 도 12a의 화면을 통해 접수한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CPU(211)는 도 12a에 나타내는 화면을 폐쇄한다. 캔슬 키(1314)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은 파기한다. 그 다음, CPU(211)는 도 12a에 나타내는 화면을 폐쇄한다.
도 12b는 FAX 관리 리포트의 출력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화면이다. 이러한 조작 화면은 MFP(101)의 조작 유닛(220)에 표시된 화면이다.
도 12b의 조작 화면은, 인쇄 키(1401), 송신 키(1402), OFF 키(1403), 통신 수 지정 필드(1408)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템들을 조작하여, 단계 S2013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인쇄 키(1401)는, 단계 S2013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인 경우, FAX 관리 리포트가 인쇄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키(1402)는, 단계 S2013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인 경우, FAX 관리 리포트가 송신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사용자는, 버튼(1407)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의 값을 입력한다. OFF 키(1403)는,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FAX 관리 리포트를 인쇄하는 기능과,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 수에 따라 FAX 관리 리포트를 송신하는 기능 둘 다를 무효로 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도 12b의 조작 화면은, 인쇄 키(1404), 송신 키(1405), OFF 키(1406), 및 시각 지정 필드(14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템들을 조작하여,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인쇄 키(1404)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4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FAX 관리 리포트가 인쇄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키(1405)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4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FAX 관리 리포트가 송신되도록 지정하기 위한 키이다. OFF 키(1406)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시각 지정 필드(1410)에 지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무효로 하기 위한 키이다. 송신 목적지 필드(1413)는, FAX 관리 리포트의 송신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필드이다. 사용자는, 송신 목적지 버튼(1412)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송신 목적지 필드(1413)에 송신 목적지를 입력한다.
OK 키(1415)가 눌러지면, CPU(211)는, 도 12b의 화면을 통해 접수한 설정을 HDD(214)에 저장한다. 그 다음, CPU(211)는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을 폐쇄한다. 캔슬 키(1414)가 눌러지면, CPU(211)는, 화면을 통해 접수한 송신 설정을 파기한다. 그 다음, CPU(211)는,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을 폐쇄한다.
CPU(211)는, 도 12a의 조작 화면을 통해 접수한 설정에 따라,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송신 또는 인쇄)한다. 그러한 처리의 상세는,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CPU(211)가, ROM(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13)에 판독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2a의 인쇄 키(1301) 또는 송신 키(1302)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수행된다. 즉, 도 12a의 OFF 키(1303)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2a의 인쇄 키(1304) 또는 송신 키(1305)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즉, 도 12a의 OFF 키(1306)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와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 양쪽이 실행되는 경우, CPU(211)는, 도 1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4010의 처리와 도 14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5010의 처리를, 교대로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40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프로토콜의 송신 작업의 레코드 중,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211)는, 단계 S2010에서 카운트된, "미출력" 상태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인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010에서, 아니오), CPU(211)는 단계 S4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CPU(211)가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0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20에서, CPU(211)는, 도 12a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송신 키(1302)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송신 키(1302)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402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인쇄 키(1301)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송신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402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3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HDD(214)로부터 획득한다. CPU(211)는, 이 획득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4040에서, CPU(211)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 중에서, 각각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를 식별한다.
단계 S4050에서, CPU(211)는,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로부터 시작 시각(901)의 값을 획득한다. CPU(211)는, 이 획득된 값을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4060에서, CPU(211)는, 각각이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를 식별한다.
단계 S4070에서, CPU(211)는,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로부터 시작 시각(901)의 값을 획득한다. CPU(211)는 이 획득된 값을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4080에서, CPU(211)는, 단계 S4050에서 획득된 시작 시각(901)의 값과, 단계 S4070에서 획득된 시작 시각(901)의 값을 하이픈으로 연결시켜서 파일명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처리는 파일명 생성 처리라고 지칭된다.
파일명 생성 처리의 구체예가 설명된다. CPU(211)가,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파일명을 생성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파일명이 생성된다. 먼저, CPU(211)는,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의 시작 시각(901)의 값 "201503160948"을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의 시작 시각(901)의 값 "201503161405"을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값들을 하이픈으로 연결시켜서 파일명 "201503160948-201503161405"을 생성한다. 또한, CPU(211)는, "201503160948-201503161405.csv"와 같이, 파일명 확장자를 말미에 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보고 싶은 송신 이력을 저장한 파일을 찾기 쉽게 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2015년 03월 16일 11시경에 송신한 작업의 송신 이력을 보고 싶을 경우, 관리자는 파일명 "201503160948-201503161405.csv"로부터, 파일을 개방함으로써 송신 결과를 볼 수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단계 S4090에서, CPU(211)는, 단계 S4030에서 RAM(213)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csv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S4100에서, CPU(211)는, 단계 S4080에서 생성된 파일명을, 단계 S4090에서 생성된 파일의 파일명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4110에서, CPU(211)는, 단계 S4090에서 생성된 파일(통신 관리 리포트)을 이메일에 첨부해서 이 이메일을, 송신 목적지 필드(909)에 지정된 송신 목적지에 송신한다. 송신 방법은, FTP 기반 또는 SMB 기반 파일 송신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 목적지 필드(1313)에서 이메일 주소가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파일을 이메일로 송신한다. 서버의 호스트명이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파일을 서버에 FTP 또는 SMB에 의해 송신한다.
단계 S4120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파일화되어, 송신이 완료된 레코드의 출력 플래그(908)을 "미출력"으로부터 "출력"으로 변경한다.
단계 S4130에서, CPU(211)는, 레코드 카운터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단계 S4140에서, CPU(211)는, FAX 카운터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도 1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가 종료된다. 처리를 종료한 후, CPU(211)는, 다시, 단계 S4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처리가 단계 S4020로부터 단계 S4210으로 진행하면, 단계 S42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HDD(214)로부터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획득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422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4230에서, CPU(211)는, 단계 S422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221)에 송신하고, 프린터(221)로 하여금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를 실행하게 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4130으로 진행한다.
이상은, MFP(101)가,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프로토콜의 송신 작업의 레코드 중,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된 것을 조건에서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처리이다.
도 14는, MFP(10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5010에서, CPU(211)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50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20으로 진행한다.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5010에서, 아니오), CPU(211)는 단계 S5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5020에서, CPU(211)는, 도 12a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송신 키(1305)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502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50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인쇄 키(1304)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송신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502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5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03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HDD(214)로부터 획득한다. CPU(211)는, 이 획득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5040에서, CPU(211)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현재의 시각을 획득하여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5050에서, CPU(211)는, 단계 S5040에서 RAM(213)에 저장된 시각으로부터 파일명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파일명을 RAM(213)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단계 S5040의 처리를 행하는 시점이 2015년 3월 16일 15:00이라면, CPU(211)는, 파일명 "201503161500"을 생성한다.
단계 S5060에서, CPU(211)는, 단계 S5030에서 RAM(213)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csv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S5070에서, CPU(211)는, 단계 S5050에서 생성된 파일명을, 단계 S5060에서 생성된 파일의 파일명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5080에서, CPU(211)는, 송신 목적지 필드(1313)에 지정된 송신 목적지에, 단계 S5070에서 생성된 파일(통신 관리 리포트)을 이메일에 첨부해서 이 이메일을 송신한다. 송신 방법은, FTP 기반 또는 SMB 기반 파일 송신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 목적지 필드(1313)에 이메일 주소가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파일을 이메일로 송신한다. 서버의 호스트명이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서버에 파일을 FTP 또는 SMB에 의해 송신한다.
단계 S5090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신 완료된 레코드의 출력 플래그(908)를 "미출력"으로부터 "출력"으로 변경한다.
단계 S5100에서, CPU(211)는, 레코드 카운터의 값을0으로 설정한다. 단계 S5110에서, CPU(211)는, FAX 카운터의 값을0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종료된다. 처리를 종료한 후, CPU(211)는, 다시, 단계 S5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처리가 단계 S5020으로부터 단계 S5210으로 진행하면, 단계 S52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HDD(214)로부터 획득한다. CPU(211)는, 이 획득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5220에서, CPU(211)는, 단계 S5210에서 RAM(213)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5230에서, CPU(211)는, 단계 S522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221)에 송신하고, 프린터(221)로 하여금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게 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5100으로 진행한다.
이상은, MFP(10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처리이다.
이어서, 도 12b의 조작 화면을 통해 접수한 설정에 따라, CPU(211)가,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송신 또는 인쇄)하는 처리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된다. 도 15 및 도 1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CPU(211)가, ROM(2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13)에 판독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2b의 인쇄 키(1401) 또는 송신 키(1402)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즉, 도 12b의 OFF 키(1403)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도 1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2b의 인쇄 키(1404) 또는 송신 키(1405)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즉, 도 12b의 OFF 키(1406)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도 1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도 15의 흐름도 처리와 도 16의 흐름도 처리 양쪽을 실행하는 경우, CPU(211)는, 도 15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8010의 처리와 도 16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9010의 처리를 교대로 및 계속적으로 행한다.
단계 S80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프로토콜의 송신 작업의 레코드 중, "미출력" 상태의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프로토콜의 송신 작업의 레코드 중, "미출력" 상태의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인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미출력" 상태의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8010에서, 아니오), CPU(211)는 단계 S8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CPU(211)가, "미출력" 상태의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의 저장된 레코드 수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이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80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20에서, CPU(211)는,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송신 키(1402)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송신 키(1402)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802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인쇄 키(1401)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송신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802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8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3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프로토콜(903)의 값이 FAX인 FAX 작업의 레코드만을 추출한다. CPU(211)는, 이 추출된 레코드를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서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8040에서, CPU(211)는,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를 식별한다.
단계 S8050에서, CPU(211)는,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로부터 시작 시각(901)의 값을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이 획득된 값을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8060에서, CPU(211)는,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FAX 작업의 레코드 중,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를 식별한다.
단계 S8070에서, CPU(211)는,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로부터 시작 시각(901)의 값을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이 획득된 값을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8080에서, CPU(211)는, 단계 S8050에서 획득된 시작 시각(901)의 값과, 단계 S8070에서 획득된 시작 시각(901)의 값을 하이픈으로 연결시킨다. CPU(211)는 또한, 그 곳에 문자 "F"를 연결시켜서 파일명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생성한다. "F"는, "FAX"의 이니셜 문자이고, 생성된 파일이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처리는 파일명 생성 처리로 지칭된다.
이제, 파일명 생성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CPU(211)가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파일명을 생성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파일명이 생성된다. 먼저, CPU(211)는,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FAX 작업의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빠른 레코드의 시작 시각(901)의 값 "201503161015"을 획득한다. CPU(211)는,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FAX 작업의 레코드 중에서 시작 시각(901)이 가장 최근의 레코드의 시작 시각(901)의 값 "201503161305"을 획득한다. 그 다음, CPU(211)는, 그 2개의 값을 하이픈으로 연결시키고 "F"를 부가하여 파일명 "201503161015-201503161305F"를 생성한다. CPU(211)는, "201503161015-201503161305F.csv"와 같이, 파일명 확장자를 말미에 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보고 싶은 송신 이력을 저장한 파일을 찾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2015년 03월 16일 11:00경에 송신한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보고 싶을 경우를 상정한다. 그 경우, 관리자는, 파일명 "201503161015-201503161305F.csv"로부터,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개방하여 파일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관리자가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보고 싶을 경우, 관리자는 파일명에 포함되는 문자 "F"로부터 어느 파일을 개방하여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볼 수 있을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단계 S8090에서, CPU(211)는, 단계 S8030에서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csv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S8100에서, CPU(211)는, 단계 S8080에서 생성된 파일명을, 단계 S8090에서 생성된 파일의 파일명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8110에서, CPU(211)는, 송신 목적지 필드(1413)에 지정된 송신 목적지에, 단계 S8090에서 생성된 파일(FAX 관리 리포트)을 이메일에 첨부해서 이 이메일을 송신한다. 송신 방법은, FTP 기반 또는 SMB 기반 파일 송신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 목적지 필드(1413)에 이메일 주소가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파일을 이메일로 송신한다. 서버의 호스트명이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서버에 파일을 FTP 또는 SMB에 의해 송신한다.
단계 S8120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파일화되어, 송신 완료된 레코드의 출력 플래그(908)를 "미출력"으로부터 "출력"으로 변경한다.
단계 S8130에서, CPU(211)는, FAX 카운터의 값을0으로 설정한다.
단계 S8140에서, CPU(211)는, 레코드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단계 S8120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출력"으로 변경되는 레코드 수를 감산한다. 그 다음, 도 1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가 종료된다. 처리를 종료한 후, CPU(211)는, 다시, 단계 S8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처리가 단계 S8020로부터 단계 S8210으로 진행하면, 단계 S82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프로토콜(903)의 값이 FAX인 FAX 작업의 레코드만을 추출한다. 그 다음, CPU(211)는, 이 추출된 레코드를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서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8220에서, CPU(211)는, 단계 S8210에서,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FAX 작업의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8230에서, CPU(211)는, 단계 S822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221)에 송신하고, 프린터(221)로 하여금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게 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8130으로 진행한다.
이상은, MFP(101)가,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프로토콜의 송신 작업의 레코드 중, "미출력 상태"의 FAX 작업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4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된 것을 조건에서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처리이다.
도 16은, MFP(10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송신 또는 인쇄)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9010에서, CPU(211)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90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20으로 진행한다.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9010에서, 아니오), CPU(211)는 단계 S9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9020에서, CPU(211)는,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송신 키(1405)에 의해 송신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211)가,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 S902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인쇄 키(1404)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CPU(211)는, 송신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단계 S902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9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903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프로토콜(903)의 값이 FAX인 FAX 작업의 레코드만을 추출한다. 그 다음, CPU(211)는, 이 추출된 레코드를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서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9040에서, CPU(211)는,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현재의 시각을 획득하여,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9050에서, CPU(211)는, 단계 S9040에서 RAM(213)에 저장된 시각과 문자 "F"를 연결시켜서 파일명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파일명을 RAM(213)에 저장한다. "F"는, "FAX"의 이니셜 문자이고, 생성된 파일이 FAX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계 S9040의 처리가 행해진 시각이, 2015년 3월 16일 15:00인 경우, CPU(211)는, 파일명 "201503161500F"을 생성한다.
단계 S9060에서, CPU(211)는, 단계 S9030에서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csv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S9070에서, CPU(211)는, 단계 S9050에서 생성된 파일명을, 단계 S9060에서 생성된 파일의 파일명으로서 설정한다.
단계 S9080에서, CPU(211)는, 송신 목적지 필드(1413)에 지정된 송신 목적지에, 단계 S9070에서 생성된 파일(FAX 관리 리포트)을 이메일에 첨부해서 이 이메일을 송신한다. 송신 방법은, FTP 기반 또는 SMB 기반 파일 송신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 목적지 필드(1413)에 이메일 주소가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파일을 이메일로 송신한다. 서버의 호스트명이 지정되어 있으면, CPU(211)는, 서버에 파일을 FTP 또는 SMB에 의해 송신한다.
단계 S9090에서, CPU(211)는, HDD(214)에 저장된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송신 완료된 레코드의 출력 플래그(908)을 "미출력"으로부터 "출력"으로 변경한다.
단계 S9100에서, CPU(211)는, FAX 카운터의 값을0으로 설정한다.
단계 S9110에서, CPU(211)는, 레코드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단계 S9090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출력"으로 변경되는 레코드 수를 감산한다. 그 다음, 도 1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가 종료된다. 처리를 종료한 후, CPU(211)는, 다시, 단계 S9010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처리가 단계 S9020로부터 단계 S9210으로 진행한 경우, 단계 S9210에서, CPU(2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각 프로토콜(903)의 값이 FAX인 FAX 작업의 레코드만을 추출한다. CPU(211)는, 이 추출된 레코드를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로서 RAM(213)에 저장한다.
단계 S9220에서, CPU(211)는, 단계 S9210에서 RAM(213)에 저장된 FAX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출력 플래그(908)가 "미출력"인 레코드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9230에서, CPU(211)는, 단계 S922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221)에 송신하고, 프린터(221)로 하여금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게 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9110으로 진행한다.
이상은, MFP(10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한 조건에서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처리이다.
이상과 같은 제어를 통해, 통신 관리 리포트와 FAX 관리 리포트의 송신 목적지(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PC(들)에서, 관리자는, 통신 관리 리포트와 FAX 통신 관리 리포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송신된 관리 리포트에 포함된 작업의 종류를, 파일의 파일명에 붙은 식별자(문자)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작업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FAX 관리 리포트의 파일명에만 붙여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작업의 각각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복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통신 관리 리포트의 파일명에 붙여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신 이력 테이블로부터, 연, 월, 일, 및 시각이 모두 획득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그러한 정보 중 일부만이 획득되어 파일명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작 시각(901)의 값이 하이픈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하이픈은 그러한 기호의 일례이며, 다른 기호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고, CPU(211)가, 단계 S4020에서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CPU(211)가, 단계 S4030 내지 단계 S4120의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고 단계 S5020에서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CPU(211)가, 단계 S5030 내지 단계 S5090의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PU(211)는, "미출력" 상태의 레코드가, 통신 수 지정 필드(1308)에 지정된 수만큼 저장되고 단계 S4020에서 송신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5030 내지 단계 S5090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CPU(211)가, 타이머(230)에 의해 계측된 시각이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고 단계 S5020에서 송신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CPU(211)는, 단계 S4030 내지 단계 S4120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양쪽 조건에서, CPU(211)는, 단계 S4030 내지 단계 S4120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양쪽 조건에서, CPU(211)는, 단계 S5030 내지 단계 S5090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레코드 수 또는 시각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통신 관리 리포트와 FAX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유닛(220)을 통해 통신 관리 리포트에 대한 출력 지시가 접수된 경우에 통신 관리 리포트를 출력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송신 이력을 관리하고 이 송신 이력을 포함하는 통신 관리 리포트를 송신하는 경우를 다룬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피 작업의 작업 이력을 관리하고 이 카피 작업의 작업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리포트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카피 작업은, 스캐너(222)가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프린터(221)가 이 판독된 화상을 인쇄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그 경우, 이력 리포트의 파일의 파일명은, 작업 종류가 카피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COPY"의 이니셜 문자 "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 작업의 이력을 관리하고 이 인쇄 작업의 작업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리포트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인쇄 작업은 LAN(100)을 통해 PC(103)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터(221)가 화상을 인쇄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그 경우, 이력 리포트의 파일의 파일명은, 작업 종류가 인쇄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PRINT"의 이니셜 문자 "P"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대신 작업 종류에 대응하는 기호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파일이 어떤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작업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파일명이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 등의 정보는, 파일의 프로퍼티(태그, 타이틀, 코멘트, 및 작성자를 포함)에 포함될 수 있다. 파일이 송신 목적지에 송신된 후, 송신 목적지 PC에서, 파일의 프로퍼티를 보는 것에 의해, 파일이 어떤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지가 식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파일명 확장자를 갖는 파일명 중 확장자가 아닌 부분에, 작업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가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확장자의 부분에는, 작업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MFP(101)가, 자장치가 실행한 작업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고 이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LAN(100)에 접속된 이력 관리 서버가, LAN(100)에 접속된 MFP(101)가 실행한 작업에 관한 이력 정보로부터, 작업의 실행 이력을 포함하는 파일을,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화면은, 이력 관리 서버에 표시된다. 화면으로부터 접수한 설정은 이력 관리 서버 내의 저장 유닛에 저장된다. 그 다음, 이력 관리 서버는, 단계 S4010, S5010, S8010, 및 S9010에 있어서의 판정을, MFP(101)의 HDD(214) 내의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FP(101)의 CPU(211)는, 단계 S4010, S5010, S8010, 및 S9010에 있어서의 판정을 행하고, 판정이 "예"인 경우, CPU(211)는, 그 판정을 이력 송신 데이터베이스에 통지할 수 있고 이력 관리 서버는 이후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레코드 카운터 및 FAX 카운터는, 이력 관리 서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4030, S4210, S5030, S5210, S8030, S8210, S9030, 및 S9210에서, 이력 관리 서버는, MFP(101)의 HDD(214)로부터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LAN(100)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신 이력 데이터베이스가 송신 작업의 이력을 저장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수신 작업의 이력도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는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저장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처리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micro-processing unit))에 의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그램 코드 및 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생성된 파일의 파일명으로부터 파일이 어떤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다 충실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하고,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icro processing unit)(MPU))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판독해서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파일 생성 장치로서,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수단; 및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기 위한 파일명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파일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파일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이 하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일 경우에,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이 상기 복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일 경우에,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복수의 종류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상기 파일명에 포함시키는, 파일 생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이 하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일 경우에,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이 상기 복수의 종류의 작업의 실행 이력일 경우에,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복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이, 상기 복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상기 파일명에 포함시키는, 파일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명 생성 수단은, FAX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이 생성될 경우에, 상기 파일이 상기 FAX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된다는 사실을 식별 가능한 파일명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저장 수단에, 미출력인 미리 결정된 레코드 수의 실행 이력이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저장 수단에 상기 미리 결정된 레코드 수의 실행 이력이 저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되고 미출력인 상기 실행 이력의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각에 도달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되고 미출력인 상기 실행 이력의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실행 이력의 파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파일 생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송신할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목적지에 상기 파일을 송신하는, 파일 생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실행 이력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파일 생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업은,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원고를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작업인 파일 생성 장치.
  14.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15. 컴퓨터에서,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작업의 실행 이력에 기초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의 파일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70016678A 2016-02-08 2017-02-07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05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2057A JP6635817B2 (ja) 2016-02-08 2016-02-08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6-022057 2016-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089A true KR20170094089A (ko) 2017-08-17
KR102056965B1 KR102056965B1 (ko) 2019-12-17

Family

ID=5795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78A KR102056965B1 (ko) 2016-02-08 2017-02-07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7772B2 (ko)
EP (1) EP3203371A1 (ko)
JP (1) JP6635817B2 (ko)
KR (1) KR102056965B1 (ko)
CN (1) CN107046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6481B2 (ja) * 2014-03-25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28718B2 (ja) * 2016-04-27 2019-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659635B1 (en) * 2019-02-11 2020-05-19 Xerox Corporation Proxy enhanced protocol semantics recognition
JP7351194B2 (ja) * 2019-11-21 2023-09-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3472960B (zh) * 2020-03-30 2023-12-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读取装置及系统、图像读取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5262A (en) * 1995-06-09 1999-08-10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Outputting a network device log file
CA2327211A1 (en) * 2000-12-01 2002-06-01 Nortel Networks Limited Management of log archival and reporting for data network security systems
US7099660B2 (en) * 2000-12-22 2006-08-2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organized repository of data
JP2003169188A (ja) * 2001-12-04 2003-06-13 Murata Mach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US7274476B2 (en) * 2001-12-20 2007-09-25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archiving an image data in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JP2003296163A (ja) * 2002-04-01 2003-10-17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
US7240298B2 (en) * 2002-12-19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Contact page
JP3801144B2 (ja) * 2003-03-28 2006-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78160A (ja) * 2003-08-28 2005-03-24 Minolta Co Ltd 印刷ジョブ管理装置および印刷ジョブ管理プログラム
WO2006009023A1 (ja) * 2004-07-21 2006-01-2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生成装置及び情報生成プログラム
US7991828B2 (en) * 2004-08-06 2011-08-02 Ricoh Company, Ltd. Network communication apparatus generating XML responses based on HTTP requests
WO2007056842A1 (en) * 2005-11-17 2007-05-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record logging
JP4917318B2 (ja) * 2006-01-31 2012-04-18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74254A (ja) * 2006-03-31 2007-10-18 Murata Mach Ltd タイムスタンプ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WO2008008863A2 (en) * 2006-07-12 2008-01-17 Sipera System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oubleshooting an ip network
JP2008071085A (ja) * 2006-09-13 2008-03-27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ログ転送方法
US20080112009A1 (en) * 2006-11-15 2008-05-15 Yoshiharu Tojo Image processing apparatus, log recor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1936942A1 (en) * 2006-12-20 2008-06-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device
EP1968295B1 (en) * 2007-03-05 2019-01-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JP4438868B2 (ja) * 2008-01-21 2010-03-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送信先更新方法および送信先更新プログラム
CN102104702A (zh) * 2009-12-21 2011-06-22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方法
JP6000567B2 (ja) * 2012-02-23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38964B1 (ja) * 2012-11-28 2013-1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0124B2 (ja) * 2014-06-18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965B1 (ko) 2019-12-17
US10277772B2 (en) 2019-04-30
CN107046617B (zh) 2019-07-05
CN107046617A (zh) 2017-08-15
JP2017143345A (ja) 2017-08-17
US20170230529A1 (en) 2017-08-10
EP3203371A1 (en) 2017-08-09
JP6635817B2 (ja)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85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transmission of image data
KR102056965B1 (ko) 파일 생성 장치, 파일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9837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system
JP62990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23231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file server func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5618444B2 (ja) 印刷システム
JP622934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9466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046976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nding image data
JP2011234170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98381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21858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195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involving reuse function
JP2006222636A (ja) 画像形成装置
JP594305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とそ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00769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데이터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2012003730A (ja) 印刷装置、セキュリティ印刷方法及び印刷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並びにプリンタドライバ
US1133677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51198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23175192A (ja) プリンタドライバ、プリンタドライバの処理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11001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13021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