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926A -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926A
KR20170093926A KR1020177018829A KR20177018829A KR20170093926A KR 20170093926 A KR20170093926 A KR 20170093926A KR 1020177018829 A KR1020177018829 A KR 1020177018829A KR 20177018829 A KR20177018829 A KR 20177018829A KR 20170093926 A KR20170093926 A KR 2017009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reel
compon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286B1 (ko
Inventor
히로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2Arrangements to facilitate sever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를 구비한다. 릴 장치(2)는 전자 부품(105)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권회된 테이프 릴(8)을 갖는다. 테이프 처리 장치(3)는 상기 릴 장치(2)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105)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18)를 갖는다. 상기 릴 장치(2)는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REEL APPARATUS, TAP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ENISHING COMPONENT STORED TAPE}
본 발명은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여 전자 회로 기판을 제작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 공급 장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전자 부품을 탑재함으로써 전자 회로 기판을 제작하는 부품 실장 장치(칩 마운터)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 전자 부품 공급 장치는 기판에 탑재해야 할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는 다종 다양한 전자 부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전자 부품 공급 장치는 부품 실장 장치에서 취급하는 전자 부품에 대응하여 부품 실장 장치에 복수 대 구비된다.
부품 실장 장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전자 부품을 인출하여 기판 상으로 이동시켜서 소정의 위치에 탑재하는 부품 실장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부품 공급 장치는 전자 부품이 그 인출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전자 부품을 내포하여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냄과 아울러 부품 실장 헤드가 전자 부품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 기술분야의 배경기술로서는 이하의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테이프 피더(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는 테이프화 부품(부품 수납 테이프)이 감긴 릴을 유지하는 릴 유지부와, 전자 부품이 인출되어야 할 부품 공급부(전자 부품 노출부)를 포함하는 제 1 부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프 피더에는 부품 수납 테이프를 전자 부품 노출부로 보내는 테이프화 부품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부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와 제 2 부는 분리 가능하며, 제 1 부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제 2 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서는 제 1 부에 포함되는 릴 유지부와 전자 부품 노출부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동종의 새로운 부품 수납 테이프, 또는 이종의 부품 수납 테이프를 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 보급할 경우에는 릴 유지부 및 전자 부품 노출부의 양쪽을 포함하는 제 1 부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그리고 이 교환 작업에 의해 전자 부품 노출부의 설치 위치, 즉 전자 부품의 인출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부품 실장 헤드에 의한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에 있어서 부품 인출 불량, 또는 전자 부품의 인출 위치를 시스템에 재교시할 필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225716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의한 전자 부품 공급 장치는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와, 상기 릴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릴 장치는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한 릴 장치는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고, 상기 테이프 릴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한 테이프 처리 장치는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고,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를 향해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한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은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를 향해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릴 장치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릴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다른 릴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부품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부품 실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프 릴에 권회되는 부품 수납 테이프가 테이프 릴로부터 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릴 장치와 테이프 처리 장치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릴 장치에 테이프 처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테이프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릴 장치에 부품 수납 테이프를 격납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이어지는 릴 장치에 부품 수납 테이프를 격납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로부터 이어지는 릴 장치에 부품 수납 테이프를 격납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부품 수납 테이프를 처리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부품 공급 장치를 복수개 탑재하는 대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대차의 후방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자주 대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자주 대차에 유지되어 있는 릴 장치를 대차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로부터 이어지는 자주 대차에 유지되어 있는 릴 장치를 대차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로부터 이어지는 자주 대차에 유지되어 있는 릴 장치를 대차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자주 대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부품 실장 장치에 부설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을 실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에 테이프 처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에 테이프 처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테이프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에 테이프 처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품 수납 테이프를 처리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을 실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적당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또한, 부재의 사이즈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형 또는 과장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적용되는 부품 실장 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실장 장치(50)는 기판(52)에 전자 부품(105)(도 2 참조)을 실장하여 전자 회로 기판을 제작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품 실장 장치(50)는 기판 반송 컨베이어(51)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52)의 소정 위치(크림 땜납이 도포된 개소)에 전자 부품(105)을 자동적으로 탑재(장착)한다. 에폭시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52) 상에는 동박 등의 회로 패턴이 에칭, 인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부품(105)이 크림 땜납 상에 탑재된 기판(52)은 후공정이 도시되지 않은 노 내에서 가열된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105)이 기판(52)에 납땜되어 전자 부품(105)이 실장된 전자 회로 기판이 제조된다.
부품 실장 장치(50)의 기대(59) 상에는 한 쌍의 부품 공급부(53)가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도 1의 지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부품 공급부(53)가 기판(52)의 반송 방향을 따라 2세트(2스테이지분) 설치되어 있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기판(52)의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늘어서서 부품 공급부(5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전자 부품(105)을 각각의 전자 부품의 인출 위치(부품 흡착 위치)에 공급한다. 이들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거의 간극 없이(1㎜ 이하 정도의 간극) 서로 이웃하여 병치되어 있다.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는 기판(52)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기판(52)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기판 유지 수단을 갖고 있다(모두 도시 생략).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는 기판(52) 상에 전자 부품(105)이 장착된 후 화살표(B) 방향으로 기판(52)을 반송한다.
도 2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에 구비되는 테이프 릴(8)(도 4 참조)에 권회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테이프 릴(8)로부터 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부품 수납부(103)에 전자 부품(105)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101)와, 전자 부품(105)이 수납된 부품 수납부(103)를 덮는 커버 테이프(104)를 갖고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부품(105)은 간략화를 위해 선두의 부품 수납부(103)에 수납된 것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부품 수납부(103)는 캐리어 테이프(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 테이프(101)의 일측부에는 캐리어 테이프(101)에 대하여 반송력을 부여하기 위한 반송력 전달 구멍(102)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서 천공되어 있다.
커버 테이프(104)는 전자 부품(105)이 수납된 부품 수납부(103)의 상방 개구를 덮도록 캐리어 테이프(101)에 점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이동 중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105)의 튀어나옴을 억누름과 아울러 환경 영향(예를 들면, 습도)으로부터 전자 부품(105)을 보호할 수 있다.
초기의 상태에서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에 구비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프 릴(8)에 권회되어 있다. 전자 부품 공급 장치(1) 내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가동 상태로 이행하면 반송력 전달 구멍(102)을 사용하여 반송력이 부여되어서 조출된다.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전자 부품(105)이 그 인출 위치에 오도록 반송됨과 아울러 전자 부품(105)은 부품 수납 테이프(1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된다. 그 후,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부품 수납부(103) 내의 전자 부품(105)이 부품 실장 헤드(54)(도 1 참조)의 노즐(81)(도 10 참조)에 의해 진공 흡인됨으로써 흡착되어서 인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2)이 반송되는 방향(화살표(A, B)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X빔(55)이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X빔(55)은 기판 반송 컨베이어(51)의 상방(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 바로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X빔(55)의 양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등)이 부착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X빔(55)은 기판(52)이 반송되는 방향(화살표(A, B)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지면 상하 방향)에, Y빔(5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X빔(55)은 부품 공급부(53)와 기판(52)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X빔(55)에는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X빔(55)의 길이 방향(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품 실장 헤드(54)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 실장 헤드(54)의 선단(도 1에 나타내는 부품 실장 헤드(54)의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 내측)에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부품 수납부(103) 내의 전자 부품(105)(도 2 참조)을 흡착하기 위한 노즐(81)(도 10 참조)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부품 실장 헤드(54)는 상기 X빔(55)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Y빔(57)의 연장 방향을 따라 더 이동한다.
이렇게 부품 실장 헤드(54)는 수평 방향(도 1의 지면에 평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부품 공급부(53)에 설치된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부품(105)은 부품 실장 헤드(54)의 노즐(81)에 흡착된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장 대상의 기판(52) 상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실장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실장 대상의 기판(52) 상의 소정 위치(크림 땜납이 도포된 개소)에 전자 부품(105)이 부품 실장 헤드(54)에 의해 압압된 후, 노즐(81)의 진공이 풀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105)이 기판(52)에 탑재된다.
부품 공급부(53)와 기판 반송 컨베이어(51) 사이에는 인식 카메라(56)와 노즐 보관부(58)가 배치되어 있다.
인식 카메라(56)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이며, 부품 실장 헤드(54)에 흡착된 전자 부품(105)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취득한다. 전자 부품(105)이 기판 반송 방향(화살표(A, B) 방향) 및 기판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얼마나 위치 어긋남하고 있는지, 또한 회전 각도는 어느 정도인지가 인식 카메라에 의한 부품 실장 헤드(54)에 흡착된 전자 부품(105)의 촬영 화상에 의거하여 확인된다. 말할 것까지도 없이 인식 카메라(56)의 촬영 화상에 의거하여 부품 실장 헤드(54)에 전자 부품(105)이 흡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부품 실장 헤드(54)가 부품 공급부(53)로부터 X빔(55)의 연장 방향이나 Y빔(57)의 연장 방향으로 기판(52)의 상방을 이동할 때에 부품 실장 헤드(54)는 인식 카메라(56) 상을 통과한다. 이 때에 인식 카메라(56)가 전자 부품(105)을 촬상하고, 그 위치 어긋남 정보 등이 취득된다.
노즐 보관부(58)는 여러 가지 전자 부품(105)을 흡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품 실장 헤드(54)에 부착되는 노즐(81)(도 10 참조)을 복수개 보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전자 부품(105)에 대응한 노즐로 변경하도록 지시되었을 경우, 부품 실장 헤드(54)는 X빔(55)의 연장 방향 및 Y빔(57)의 연장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노즐 보관부(58)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부품 실장 헤드(54)에 부착되어 있는 노즐(81)이 노즐 보관부(58)에 보관되어 있는 지정된 노즐과 교환된다.
도 3은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에 일치한다. 전후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기판 반송 방향(화살표(A, B)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전」은 기판 반송 컨베이어(51)에 접근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후」는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좌우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기판 반송 방향(화살표(A, B)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릴 장치(2)는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릴 장치(2)는 내부에 여러 가지 부품을 수납하는 하우징체(85)를 갖고 있고, 테이프 처리 장치(3)는 내부에 여러 가지 부품을 수납하는 하우징체(86)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체(85, 86)는 각각 좌우로 분할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체(85, 8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릴 장치(2)의 하우징체(85)는 역 L자형의 형상이며, 후방으로의 돌출 부분(85A)을 갖는다. 테이프 처리 장치(3)의 하우징체(86)는 L자형의 형상이며, 전방으로의 돌출 부분(86A)을 갖는다. 양 하우징체(85, 86)가 일체화된 상태에서는 돌출 부분(85A, 86A)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하우징체가 된다(도 4 참조).
도 4는 릴 장치(2)에 테이프 처리 장치(3)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체(85) 및 하우징체(86) 내를 투시하는 것처럼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도 5~도 9, 도 20~도 26에서도 마찬가지).
릴 장치(2)는 전자 부품(105)(도 2 참조)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권회된 테이프 릴(8)을 갖고 있다. 또한, 릴 장치(2)에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상류측 모터(모터; 제 1 모터)(5)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처리 장치(3)는 릴 장치(2)로부터 보내지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에 수납된 전자 부품(105)을 부품 수납 테이프(1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18)를 갖고 있다. 또한, 테이프 처리 장치(3)에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하류측 모터(모터; 제 2 모터)(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처리 장치(3)는 하류측 모터(4)나 상류측 모터(5) 등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6)을 갖고 있다.
도 5는 테이프 처리 장치(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테이프 처리 장치(3)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도 4 참조)에 반송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101)의 반송력 전달 구멍(102)(도 2 참조)에 결합하는 톱니(도 10 참조)를 갖는 하류측 스프로킷(87)을 구비하고 있다. 하류측 스프로킷(87)은 제 1 스프로킷(13)과 제 2 스프로킷(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프로킷(13)과 제 2 스프로킷(14)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 동기적 또는 거의 동기적으로 동작한다. 제 1 스프로킷(13)은 웜 기어(12)에 대응한 웜 휠 기어(13H)를 구비하고 있다. 웜 휠 기어(13H)와 맞물려진 웜 기어(12)는 모터 샤프트(11)를 통해 하류측 모터(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하류측 모터(4)가 회전함으로써 제 1 스프로킷(13) 및 제 2 스프로킷(14)이 회전하여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반송한다.
테이프 처리 장치(3)의 하우징체(86)에는 릴 장치(2)(도 4 참조)를 가이드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 2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6)와, 대차(40)(도 12 참조)에 가이드되어 위치 결정되기 위한 제 1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7)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6)는, 예를 들면 주먹 장부(dovetail tenon)이라고 칭해지는 선 형상 볼록부이며, 제 1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7)는, 예를 들면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이라고 칭해지는 선 형상 오목부이지만(도 3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이프 처리 장치(3)는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부품 노출부(18)는 전자 부품(105)(도 2 참조)의 인출구(183)(도 3 참조)가 형성된 단면 역 U자 형상의 커버(181)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181)는 그 전단부에 배치되는 핀(182)의 중심축 회전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처리 장치(3)는 대차(40)(도 12 참조) 사이에서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제 1 커넥터(7)와, 릴 장치(2)(도 4 참조) 사이에서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제 2 커넥터(15)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처리 장치(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부품 수납 테이프(100)(도 4 참조)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아울러 전자 부품 노출부(18)에 의해 전자 부품(105)(도 2 참조)을 노출시켜서 전자 부품(105)을 인출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릴 장치(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릴 장치(2)는 상기 테이프 릴(8)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릴(8)은 하우징체(85)에 설치된 테이프 릴 축(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릴 장치(2)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가이드하는 단면 역 U자 형상의 테이프 가이드 커버(35)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가이드 커버(35)는 그 후단부에 배치되는 핀(351)의 중심축 회전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릴 장치(2)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에 반송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101)의 반송력 전달 구멍(102)(도 2 참조)에 결합하는 톱니(도 10 참조)를 갖는 상류측 스프로킷(88)을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스프로킷(88)은 제 3 스프로킷(30)과 제 4 스프로킷(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 스프로킷(30)과 제 4 스프로킷(31)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 동기적 또는 거의 동기적으로 동작한다. 제 3 스프로킷(30)은 웜 기어(29)에 대응한 웜 휠 기어(30H)를 구비하고 있다. 웜 휠 기어(30H)와 맞물려진 웜 기어(29)는 샤프트(28)에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28)는 기어 기구(27) 및 모터 샤프트(26)를 통해 상류측 모터(5)에 접속되어 있다. 기어 기구(27)로서는, 예를 들면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릴 장치(2)의 하우징체(85)에는 테이프 처리 장치(3)에 가이드되어 위치 결정되기 위한 제 3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34)는, 예를 들면 더브테일 홈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 오목부이지만(도 3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34)는 제 2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6)(도 5 참조)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릴 장치(2)는 테이프 처리 장치(3) 사이에서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제 3 커넥터(25)를 구비하고 있다.
릴 장치(2)는 상기 릴 장치(2)나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가 연결된 상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취급하기 위한 제 1 손잡이(9) 및 제 2 손잡이(2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손잡이(9)와 제 2 손잡이(24)는 기계가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작업원이 수동으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릴 장치(2)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1 센서(32) 및 제 2 센서(33)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릴 장치(2)에 있어서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도 9는 릴 장치(2)에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격납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릴 장치(2)가 제 3 커넥터(25)로부터 전력 및 신호를 수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원이 제 1 손잡이(9)를 조작함으로써 릴 장치(2)의 상부에 위치하는 테이프 가이드(36)(도 3도 참조)를 커버하는 테이프 가이드 커버(35)가 핀(351)의 중심축 회전으로 회전되어 상방으로 열린다. 이 때,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 커버(35)의 열림 상태가 검지되어 테이프 가이드 커버(35)가 열림 상태라는 정보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기억된다. 그 후,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권회되어 있는 테이프 릴(8)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부와 테이프 릴 축(23)을 감합시킨다. 그리고 테이프 릴(8)로부터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조출하고, 그 선단을 제 4 스프로킷(31)의 위치를 넘어서 인출한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원이 제 1 손잡이(9)를 조작하여 테이프 가이드 커버(35)를 닫는다. 테이프 가이드 커버(35)가 닫히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 커버(35)의 닫힘 상태가 검지되어 테이프 가이드 커버(35)가 닫혔다는 정보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로 보내진다. 이 때, 제 1 센서(32)가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존재를 검지하면 상류측 모터(5)에 대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동작 지령이 보내진다. 여기에서, 제 1 센서(32)가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존재를 검지해도 테이프 가이드 커버(35)가 닫힘 상태라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어 장치는 상류측 모터(5)에 대하여 동작 지령을 보내지 않는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모터(5)에 대하여 동작 지령이 보내지면 모터 샤프트(26), 기어 기구(27), 샤프트(28), 웜 기어(29)를 통해 제 3 스프로킷(30)에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 3 스프로킷(30) 및 제 4 스프로킷(31)이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전방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회전한다. 상류측 스프로킷(88)이 회전을 계속하여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선단이 제 2 센서(33)에 도달하면 제 2 센서(33)가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존재를 검지한다. 제 2 센서(33)가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존재를 검지하면 상류측 모터(5)에 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정지 지령이 보내진다.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 릴(8)을 릴 장치(2)에 셋팅하는 것만으로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피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10~도 11을 참조하여 전자 부품(105)의 노출 방법 및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10은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처리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부품 노출부(18)는 칼날(184)을 갖고 있으며,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커버 테이프(104)를 칼날(184)로 절개함으로써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하류측 스프로킷(87) 및 상류측 스프로킷(88)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 노출부(18)는 커버 테이프(104)를 캐리어 테이프(101)로부터 박리하는 일 없이 커버 테이프(104)의 폭방향 중앙부 부근을 칼날(184)로 화살표(D) 방향으로 절개하여 전자 부품(105)을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킨다.
테이프 릴(8)에 권취된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하류측 스프로킷(87) 및 상류측 스프로킷(88)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반송된다. 전자 부품 노출부(18)는 커버 테이프(104)를 칼날(184)로 절개하여 캐리어 테이프(101)로부터 커버 테이프(104)를 부분적으로 박리시킴으로써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전자 부품(105)은 노즐(81)을 선단에 부착한 부품 흡착 장착 수단(80)이 화살표(D) 방향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노즐(81)에 흡착되어서 유지된다. 칼날(184)로 절개되어 부분적으로 박리된 커버 테이프(104)는 하류측 스프로킷(87) 및 상류측 스프로킷(88)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01)와 함께 화살표(E) 방향으로 반송되어 커터부(89)에 의해 재단된다.
도 12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복수개 탑재하는 대차(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복수개 탑재된 대차(40)는 부품 실장 장치(50)의 부품 공급부(53)(도 1 참조)에 배치된다. 대차(40)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복수개 유지하는 유지대(41)와, 유지대(4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차륜(42)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대(41)에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의 제 1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7)와 결합하여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지지하고, 또한 위치 결정하는 제 4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44)가 설치되어 있다. 제 4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44)는, 예를 들면 주먹 장부라고 칭해지는 선 형상 볼록부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지대(41)에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대차(40)를 통해 전력이나 신호를 수수하기 위한 제 4 커넥터(45)가 설치되어 있다. 대차(40)의 제 4 커넥터(45)에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의 제 1 커넥터(7)가 접속됨과 아울러 제 4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44)에 제 1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7)가 결합함으로써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대차(40)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렇게 부품 공급부(53)(도 1 참조)에 대차(40)를 적용함으로써 부품 실장 장치(50)는 복수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대차(40)에 접속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대차(40)의 후방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자주 대차(대차)(6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주 대차(60)는 릴 장치 유지대(릴 장치 유지부)(61)와, 릴 장치 유지대(61)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복수의 차륜(62)을 구비하고 있다. 릴 장치 유지대(61) 상에는 복수의 릴 장치(2)가 좌우 방향을 따라 병치되어 있다.
자주 대차(60)는 릴 장치(2)의 제 1 손잡이(9) 및 제 2 손잡이(24)를 각각 파지하는 제 1 파지부(67) 및 제 2 파지부(68)와, 제 1 파지부(67) 및 제 2 파지부(68)를 지지하는 암(66)과, 암(66)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동 장치(65)와, 직동 장치(65)를 유지하는 빔(64)을 구비하고 있다. 빔(64)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직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주 대차(60)는 대차(40)에 설치된 기준 마크(69)를 검출하는 판독 장치(70)를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마크(69)는 대차(40)에 있어서의 테이프 처리 장치(3)용의 복수의 설치 개소마다 설치되고, 판독 장치(70)는 자주 대차(60)에 있어서의 릴 장치(2)용의 복수의 설치 개소마다 설치된다. 단, 기준 마크(69)는 자주 대차(6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판독 장치(70)는 대차(40)에 탑재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주 대차(60)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기준 마크(69)를 판독 장치(70)가 검출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자주 대차(60)가 위치 결정되는 위치는 자주 대차(60)에 탑재되어 있는 릴 장치(2)의 제 3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34)를 테이프 처리 장치(3)의 제 2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6)에 감합 가능한 위치이다. 이에 의해 각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소망의 릴 장치(2)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도 16을 참조하여 자주 대차(60)를 사용하여 릴 장치(2)를 테이프 처리 장치(3)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6은 자주 대차(60)에 유지되어 있는 릴 장치(2)를 대차(40)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처리 장치(3)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수납 테이프(100)(도 4 참조)의 보급이 필요해진 테이프 처리 장치(3)가 존재할 경우, 자주 대차(60)는 제어 장치(90)(도 18참조)의 지시에 따라 대차(40)에 탑재되어 있는 지정의 테이프 처리 장치(3)의 후방이 대응하는 위치에 자주 대차(60)에 탑재되어 있는 지정의 릴 장치(2)를 위치 결정시킨다. 그 후, 빔(64)에 탑재된 직동 장치(65)에 의해 암(66)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 1 파지부(67)와 제 2 파지부(68)가 각각 제 1 손잡이(9)와 제 2 손잡이(24)를 파지한다.
이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파지부(67)와 제 2 파지부(68)가 릴 장치(2)를 파지한 채 도시되지 않은 직동 장치에 의해 빔(64)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빔(64)이 전방 방향으로 더 이동되고, 제 2 커넥터(15)와 제 3 커넥터(25)가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16)에 제 3 위치 결정 슬라이드 가이드(34)가 결합하여 릴 장치(2)가 테이프 처리 장치(3), 나아가서는 대차(40)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릴 장치(2)의 테이프 처리 장치(3)로의 장착(셋팅)이 완료되고,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구성된다.
이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셋팅이 완료된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에 대하여 제 1 파지부(67) 및 제 2 파지부(68)에 의한 파지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빔(64)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다음의 릴 장치의 취급에 대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주 대차(60)는 다른 대차(40)에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7은 자주 대차(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부품 실장 장치(50)는 복수의 스테이지(ST1, ST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설명하기 쉽도록 스테이지는 2개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품 실장 장치(50)는 임의의 개수의 스테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기판 반송 컨베이어(51)는 1개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기판 반송 컨베이어(51)가 2개 병설되어 2개의 기판이 동시에 반송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7에서는 자주 대차(60) 상에 병치된 복수의 릴 장치(2)는 1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기판(52)은 도 17 중의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부품 실장 장치(50)에 반입되어 화살표(B) 방향으로 다음 공정을 향해 반출된다. 부품 실장 장치(50)의 각 스테이지(ST1, ST2)의 부품 공급부(53)에 대차(4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부품 공급부(53)는 상기 복수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를 탑재하는 대차(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테이지(ST1)에 배치된 자주 대차(60)는 릴 장치(2)를 자주 대차(60)로부터 부품 공급부(53)로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스테이지(ST2)에 배치된 자주 대차(60)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배출 종료한 테이프 릴(8)(도 4 참조)을 포함하는 릴 장치(2)를 부품 공급부(53)로부터 자주 대차(60)로 회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기판(52)의 실장 스케줄과, 자주 대차(60)에 의한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스케줄을 관계지어 생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보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18~도 19를 참조하여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부품 실장 장치(50)에 부설되는 제어 장치(9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방법을 실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데이터 처리부(91), 기억부(92), 표시부(93) 및 입력 장치(94)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90)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PC(퍼스널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91)는 CPU를 포함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제어나 각종 연산 처리 등을 행한다.
기억부(92)는 미리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격납해 두는 ROM과, 작업 영역으로서 일시적으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과,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데이터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 등을 보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를 갖고 있다. 표시부(93)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이며, 데이터 처리부(91)에 의한 연산 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장치(94)는 키보드, 마우스, 외부 기기로부터의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고, 각종 정보의 입력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S11)에서는 대차(40)에 설치된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릴 장치(2)가 장착되어 전자 부품 공급 장치(1)가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 장치(90)는 부품 실장 장치(50)를 운전시킨다.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의 상류측 모터(5) 및 하류측 모터(4)의 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고, 전자 부품(105)이 부품 실장 장치(50)에 공급된다.
스텝(S12)에서는 부품 부족의 예고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즉, 제어 장치(90)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 내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얼마 남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테이프 잔량 검출용의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S12)에서 부품 부족의 예고가 없을 경우(스텝(S12)에서 No) 스텝(S11)으로 돌아가고, 부품 실장 장치(50)의 운전이 그대로 계속된다.
한편, 스텝(S12)에서 부품 부족의 예고가 있었을 경우(스텝(S12)에서 Yes) 부품 부족을 예고하는 알람이 발생된다(스텝(S13)). 이 알람은 제어 장치(90)에 포함되는 표시부(93)상에 표시해도 좋고, 부저 등의 소리로 알리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스텝(S14)에서는 부품 부족의 예고 대상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에 있어서 릴 장치(2)가 장착된 상태의 테이프 처리 장치(3)로부터 상기 릴 장치(2)가 분리된다. 이 테이프 처리 장치(3)로부터 릴 장치(2)를 분리시키는 작업은 제어 장치(90)의 지시에 의거하여 자주 대차(60)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단, 이 릴 장치(2)를 분리시키는 작업은 인력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이어서, 스텝(S15)에서는 스텝(S14)에서 릴 장치(2)가 분리된 상태의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다른 릴 장치(2)가 장착된다. 다른 릴 장치(2)는 통상적으로는 전에 장착되어 있었던 것과 동종의 릴 장치이지만 이종의 릴 장치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다른 릴 장치(2)를 장착하는 작업은 제어 장치(90)의 지시에 의거하여 자주 대차(60)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단, 이 다른 릴 장치(2)를 장착하는 작업은 인력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스텝(S16)에서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 내에 남아있는 선행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후단에 이어서 새롭게 장착한 다른 릴 장치(2) 내의 보급용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상류측 모터(5) 및 하류측 모터(4)의 동작에 의해 자동 반송된다. 그 후, 스텝(S11)으로 돌아가 부품 실장 장치(50)의 운전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가 권회된 테이프 릴(8)을 갖는 릴 장치(2)와, 부품 수납 테이프(100)에 수납된 전자 부품(105)을 부품 수납 테이프(1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18)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릴 장치(2)는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처리 장치(3)를 부품 공급부(53)에 설치하여 고정한 채로 릴 장치(2)를 교환함으로써 동종의 새로운 부품 수납 테이프 또는 이종의 부품 수납 테이프를 전자 부품 공급 장치(1)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자 부품 노출부(18)의 설치 위치, 즉 전자 부품(105)의 인출 위치(부품흡착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전자 부품(105)을 인출하는 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의한 부품 인출 불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부품(105)의 인출 위치를 부품 실장 장치(50)(시스템)에 재교시할 필요도 없어진다. 즉, 전자 부품 공급 장치(1)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에 수납된 전자 부품(105)을 확실하게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 노출부(18)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커버 테이프(104)를 절개하는 칼날(184)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에 의해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선행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후단에 이어서 보급용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반송함으로써 커버 테이프(104)를 캐리어 테이프(101)로부터 박리하는 일 없이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행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종단과 후속하는 보급용 부품 수납 테이프의 선단을 접속하는 스플라이싱이라는 작업원의 습숙도 및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처리 장치(3)로부터 릴 장치(2)를 분리시킬 때에 분리된 릴 장치(2)는 이동 가능한 자주 대차(60)에 설치된 릴 장치 유지대(61)에 회수된다. 또한, 테이프 처리 장치(3)에 다른 릴 장치(2)를 장착할 때에 다른 릴 장치(2)는 자주 대차(60)의 릴 장치 유지대(61)로부터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작업을 효율 좋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자주 대차(60)가 부품 실장 장치(50)의 라인 내를 자유자재로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릴 장치(2)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원에 의한 미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작업의 효율이 향상함과 아울러 절력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류측 모터(5)(제 1 모터)가 릴 장치(2)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류측 모터(4)(제 2 모터)가 테이프 처리 장치(3)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릴 장치(2)와 테이프 처리 장치(3)의 양쪽 모터(4, 5)를 이용하여 큰 구동력으로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고속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릴 장치(2)는 전원, 상류측 모터(5) 제어용 제어 기판 및 제어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를 준비하면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단독으로 동작 점검하거나 미리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피딩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20~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2a)에 테이프 처리 장치(3a)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a)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2a)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테이프 처리 장치(3a)가 하류측 모터(4) 등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기판(6a)을 구비하고 있으며, 릴 장치(2a)가 상류측 모터(5) 등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기판(10)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릴 장치(2a)가 제 2 제어 기판(10)을 내장함으로써 릴 장치(2a)는 전원 및 제어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를 준비하면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22~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2b)에 테이프 처리 장치(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테이프 처리 장치(3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2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테이프 처리 장치(3b)가 상류측 모터(5)와 하류측 모터(4)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즉,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릴 장치(2b) 및 테이프 처리 장치(3b) 중 테이프 처리 장치(3b)에만 설치되어 있다. 즉, 테이프 처리 장치(3b)에는 자신의 스프로킷(13, 14)을 구동하는 하류측 모터(4)뿐만 아니라 릴 장치(2b)의 스프로킷(30, 31)을 구동하는 상류측 모터(5)도 탑재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웜 휠 기어(30H)와 맞물려진 웜 기어(37)는 샤프트(38)에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38)는 기어(39)(구동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39)는 기어(22)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기어(22)는 샤프트(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21)는 기어 기구(20) 및 모터 샤프트(19)를 통해 상류측 모터(5)에 접속되어 있다. 기어 기구(20)로서는, 예를 들면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릴 장치(2b)는 자신이 구동원을 갖지 않고, 스프로킷(30, 31)은 기어(39)에 부여되는 상류측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릴 장치(2b)는 모터나 제어 기판을 탑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조상의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릴 장치(2b)의 하우징체(85)를,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량화 및 원가 저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테이프 처리 장치(3b)에 대하여 복수의 릴 장치(2b)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테이프 처리 장치(3b)의 좌우 방향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상류측 모터(5)나 하류측 모터(4) 등의 모터의 사이즈(지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큰 구동력으로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고속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처리 장치(3b)에 모터를 1개만 구비시키고, 그 구동력을 기어 기구에 의해 자신의 스프로킷(13, 14)용 구동력과, 릴 장치(2b)의 스프로킷(30, 31)용 구동력으로 분배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도 25~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상위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장치(2c)에 테이프 처리 장치(3c)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 공급 장치(1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릴 장치(2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테이프 처리 장치(3c)가 하류측 모터(4) 등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기판(6a)을 구비하고 있으며, 릴 장치(2c)가 상류측 모터(5) 등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기판(10)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이러한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릴 장치(2c)가 제 2 제어 기판(10)을 내장함으로써 릴 장치(2c)는 전원, 제어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및 모터 등을 준비하면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도 27~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품 수납 테이프(100)를 처리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부품 노출부(18a)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커버 테이프(104)를 박리함으로써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하류측 스프로킷(87)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반송된다.
테이프 릴(8)에 권취된 부품 수납 테이프(100)는 하류측 스프로킷(87)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반송된다. 전자 부품 노출부(18a)는 캐리어 테이프(101)로부터 커버 테이프(104)를 박리시킴으로써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전자 부품(105)은 노즐(81)을 선단에 부착한 부품 흡착 장착 수단(80)이 화살표(D) 방향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노즐(81)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박리된 커버 테이프(104)는 커버 테이프 이송 장치(82)에 의해 화살표(F) 방향으로 반송되어 도시되지 않은 수납고 등에 수납된다. 커버 테이프(104)가 박리된 캐리어 테이프(101)는 화살표(E)방향으로 반송되어 커터부(89)에 의해 재단된다.
이어서,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보급 방법을 실시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S21~S25)의 처리는 도 19의 스텝(S11~S1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26)에서는 작업원이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내의 선행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후단부를 전용 가위로 커트한 후단과, 새롭게 장착한 다른 릴 장치 내의 보급용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전방 단부를 전용 가위로 커트한 전단을 맞추어 스플라이싱을 행한다. 그 후, 스텝(S21)으로 돌아가서 부품 실장 장치(50)의 운전이 행해진다.
이렇게 본 발명은 전자 부품 공급 장치의 테이프 처리 장치가 부품 수납 테이프(100)의 커버 테이프(104)를 박리함으로써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18a)를 구비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커버 테이프(104)는 전자 부품(105)이 수납되어 있는 부품 수납부(103)의 캐리어 테이프(10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양측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01)에 점착되어 있지만 이 양측의 점착 부분 쌍방을 박리할 경우뿐만 아니라 편측의 점착 부분만을 박리하여 전자 부품(105)을 노출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커버 테이프(104)에 있어서의 한쪽의 편측의 점착 부분만을 박리하고, 다른 쪽의 편측의 점착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박리된 커버 테이프(104)를 캐리어 테이프(101)의 길이 방향에 직행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상면을 개방시켜서 전자 부품(105)을 노출시키는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품 실장 장치(50)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방식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전자 부품을 확실하게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와,
    상기 릴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릴 장치는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는,
    부품 수납부가 복수 늘어서서 형성되고,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상기 부품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갖고,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의 상기 커버 테이프를 절개하는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장치와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제 2 모터를 더 구비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릴 장치는 상기 모터가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력의 입력을 받는 구동 입력부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5.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고,
    상기 테이프 릴로부터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는,
    부품 수납부가 복수 늘어서서 형성되고,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상기 부품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갖고,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의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가 구비하는 칼날로 상기 커버 테이프를 절개함으로써 노출되는 릴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가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2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모터를 더 구비하는 릴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가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력의 입력을 받는 구동 입력부를 구비하는 릴 장치.
  9.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고,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를 향해서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가 부품 수납부가 복수 늘어서서 형성되고,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상기 부품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의 상기 커버 테이프를 절개하는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테이프 처리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장치가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2 모터를 더 구비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장치가 구동력의 입력을 받는 구동 입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입력부에 입력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
  13.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상기 전자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전자 부품 노출부를 갖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를 향해서 보내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가 권회된 테이프 릴을 갖는 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릴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릴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다른 릴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는 부품 수납부가 복수 늘어서서 형성되고,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전자 부품이 수납된 상기 부품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갖고,
    상기 전자 부품 노출부는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의 상기 커버 테이프를 칼날로 절개함으로써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상기 릴 장치와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 테이프를 보내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상기 릴 장치 및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 중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에만 설치되어 있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릴 장치는 이동 가능한 대차에 구비된 릴 장치 유지부에 회수되고,
    상기 장착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다른 릴 장치는 상기 대차의 상기 릴 장치 유지부로부터 공급되는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KR1020177018829A 2014-12-25 2015-10-05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KR101995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2524A JP6427003B2 (ja) 2014-12-25 2014-12-25 電子部品供給装置、リール装置、及び部品収納テープの補給方法
JPJP-P-2014-262524 2014-12-25
PCT/JP2015/078248 WO2016103840A1 (ja) 2014-12-25 2015-10-05 電子部品供給装置、リール装置、テープ処理装置、及び部品収納テープの補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926A true KR20170093926A (ko) 2017-08-16
KR101995286B1 KR101995286B1 (ko) 2019-07-02

Family

ID=5614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29A KR101995286B1 (ko) 2014-12-25 2015-10-05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42170B2 (ko)
JP (1) JP6427003B2 (ko)
KR (1) KR101995286B1 (ko)
CN (1) CN107114009B (ko)
DE (1) DE112015005793T5 (ko)
WO (1) WO20161038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97A (ko) * 2019-11-28 2021-06-07 강현섭 마그네트를 이용한 수동형 부품 실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0993B2 (ja) * 2016-02-26 2020-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6771255B2 (ja) * 2016-09-02 2020-10-21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装置およびフィーダならびにフィーダ制御方法
JP7117058B2 (ja) * 2016-09-02 2022-08-12 株式会社Fuji 部品種配置演算装置
JP6941924B2 (ja) * 2016-09-02 2021-09-29 株式会社Fuji 部品種配置方法および部品種配置演算装置
JP6817005B2 (ja) * 2016-09-23 2021-01-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システム、自律走行台車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7245981B2 (ja) * 2017-09-25 2023-03-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供給管理方法
JP7029596B2 (ja) * 2018-03-30 2022-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リールの配置決定方法および部品リールの配置決定装置
JP7153836B2 (ja) * 2018-06-22 2022-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6827191B2 (ja) * 2018-06-29 2021-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作業システム及びフィーダ台車の搬送方法
JP6804502B2 (ja) * 2018-10-25 2020-12-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搬送台車、リール装置の装着システム及び装着方法
KR102048455B1 (ko) * 2018-11-20 2019-11-25 주식회사 나노드림 반도체 칩 마운트 테이프 릴을 위한 칩 카운터
JP6867365B2 (ja) 2018-12-26 2021-04-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機に配置されるリール保持装置およびリール保持装置を備えるロボットシステム
US10949962B2 (en) * 2019-01-22 2021-03-16 Xavis Co., Ltd X-ray detecting type of a component counter and a method for counting components using the same
JP7457705B2 (ja) * 2019-06-28 2024-03-28 ローム株式会社 電子部品リールセット
JP6755372B2 (ja) * 2019-08-21 2020-09-16 株式会社Fuji 部品種配置の最適化方法
CN113994775B (zh) * 2019-08-27 2023-05-23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补给支援装置、元件安装系统、元件补给支援方法
DE102020100613B3 (de) * 2020-01-14 2021-05-12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Annahmevorrichtung, Bauteilkassette und System
DE102020100614B4 (de) * 2020-01-14 2021-10-07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Bauteilkassette mit passivem Bauteilausgabeantrieb, Annahmevorrichtung und System aus Bauteilkassette und Annahmevorrichtung
JP6883737B2 (ja) * 2020-02-13 2021-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7158769B2 (ja) * 2020-07-14 2022-10-24 株式会社Fuji 基板生産システム
DE102020120026B4 (de) * 2020-07-29 2022-12-08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Beladungsvorrichtung
JP7068741B2 (ja) * 2020-09-29 2022-05-17 株式会社Fuji リール保持装置交換方法
TWI785794B (zh) * 2021-09-13 2022-12-0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硬碟承載結構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997A (ja) * 1990-06-05 1992-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476997A (ja) * 1990-07-19 1992-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フィーダ
JPH11121984A (ja) * 1997-10-13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ル搭載用台車
JP2011211169A (ja) * 2010-03-30 2011-10-20 Sts Kk キャリアテープの供給装置
JP2012038762A (ja) * 2010-08-03 2012-02-23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フィーダ
JP2012248784A (ja) * 2011-05-31 2012-12-13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3225716A (ja) 2013-08-09 2013-10-31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778A (en) * 1988-06-01 1989-12-19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Feeder drive assembly and replaceable section for tape supplying and cover peeling
US6162007A (en) * 1999-01-14 2000-12-19 Witte; Stefan Apparatus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 tape
DE60141861D1 (de) * 2001-09-19 2010-05-27 Mydata Automation Ab Bandführungsvorrichtung, Anordnung und System zur Führung von Komponentenbändern
JP4132030B2 (ja) * 2002-08-05 2008-08-13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US7380581B2 (en) * 2005-01-26 2008-06-03 Samsung Techwin Co., Ltd. Tape feeder and tape feeding and recovering modules therefor
JP2006253211A (ja) * 2005-03-08 2006-09-21 Yamagata Casio Co Ltd テープ式部品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21610B2 (ja) * 2007-03-09 2009-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US8353424B2 (en) * 2009-01-27 2013-01-15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Component feeder
JP5357743B2 (ja) * 2009-12-26 2013-12-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JP5684054B2 (ja) * 2011-06-13 2015-03-1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6213915B2 (ja) * 2013-03-04 2017-10-1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半導体レーザ素子
HUE054773T2 (hu) * 2013-09-18 2021-09-28 Mycronic AB Raklapok SMT rendszerben való kezelésének módszere, rendszere és eszköz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997A (ja) * 1990-06-05 1992-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476997A (ja) * 1990-07-19 1992-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フィーダ
JPH11121984A (ja) * 1997-10-13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ル搭載用台車
JP2011211169A (ja) * 2010-03-30 2011-10-20 Sts Kk キャリアテープの供給装置
JP2012038762A (ja) * 2010-08-03 2012-02-23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フィーダ
JP2012248784A (ja) * 2011-05-31 2012-12-13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3225716A (ja) 2013-08-09 2013-10-31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フィー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297A (ko) * 2019-11-28 2021-06-07 강현섭 마그네트를 이용한 수동형 부품 실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7003B2 (ja) 2018-11-21
KR101995286B1 (ko) 2019-07-02
JP2016122753A (ja) 2016-07-07
CN107114009A (zh) 2017-08-29
CN107114009B (zh) 2019-11-15
WO2016103840A1 (ja) 2016-06-30
DE112015005793T5 (de) 2017-09-07
US20170354071A1 (en) 2017-12-07
US10342170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86B1 (ko)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릴 장치, 테이프 처리 장치 및 부품 수납 테이프의 보급 방법
CN109952821B (zh) 元件安装生产线的生产管理系统及生产管理方法
JP630080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フィーダ移し替え方法
JP4888582B2 (ja) ロボット装置及び加工システム並びに加工品の製造方法
JP6004270B2 (ja) カバー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JP6305445B2 (ja) フィーダー交換装置
WO2016035145A1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方法
JP2016026415A (ja) 部品供給装置
WO2016117091A1 (ja) フィーダ装置
JP4707584B2 (ja) 部品供給装置
WO2014097473A1 (ja) テープ自動処理装置およびテープ自動セット装置
CN108605430B (zh) 元件供给装置、元件供给方法及表面安装机
JP5822819B2 (ja) 電子部品の実装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US11765876B2 (en) Exchange device
JP5753984B2 (ja) テープフィーダ
WO2021199375A1 (ja) リール着脱装置およびフィーダ準備システム
JP2013045915A (ja) テープフィーダ、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KR101182847B1 (ko) 보강판 부착장치
JP6804502B2 (ja) 搬送台車、リール装置の装着システム及び装着方法
JP6412125B2 (ja) 部品装着機
JP6753910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リール装置、テープ処理装置、及び部品収納テープの補給方法
JP2019075445A (ja) 作業機および収納体供給装置ならびに作業機による収納体が装着されたワークの製造方法
CN112237058B (zh) 带式供料器
CN108605429B (zh) 元件供给装置、元件供给方法及表面安装机
JP2013219129A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